맨위로가기

코리아게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리아게이트는 재미 사업가 박동선과 미국 하원 의원 리처드 T. 한나를 중심으로, 한국 정부가 미국 의회에 로비를 벌인 사건이다. 박동선은 한국 측을 대표하여 미국산 쌀 판매 수수료를 이용해 의원들에게 금품을 제공하고, 한나는 로비 기법을 조언했다. 이 사건은 한국의 미군 주둔 유지, 군 현대화 지원, 박정희 정권 비판 억압 등의 배경에서 발생했으며, 미국과 한국의 외교 관계를 악화시켰다. 박동선은 증언을 통해 면책을 받았고, 일부 의원들은 징계 또는 기소되었으며, 리처드 한나는 유죄 판결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대한민국 - 197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레슬링의 양정모가 첫 금메달을, 여자 배구 대표팀이 구기 종목 사상 첫 메달을 획득했다.
  • 1976년 대한민국 - 동일방직 사건
    동일방직 사건은 1970년대 동일방직에서 발생한 노동 탄압 사건으로, 장시간 노동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민주노조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회사 측의 방해와 격렬한 노사 갈등을 겪으며 많은 노동자들이 해고되었고, 이는 민주노조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76년 10월 - 1976년 월드 시리즈
    1976년 월드 시리즈는 신시내티 레즈가 뉴욕 양키스를 4승 0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조니 벤치가 MVP를 수상했고, NBC와 CBS 라디오에서 중계했다.
  • 1976년 10월 - 1976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76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헬무트 슈미트 총리 하에 사회민주당-자유민주당 연립 정부의 재선과 헬무트 콜을 총리 후보로 내세운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의 과반수 득표를 목표로 실시되었으며, 사회민주당-자유민주당 연립 정부가 승리하여 헬무트 슈미트가 총리직을 유지했다.
코리아게이트
코리아게이트
주요 사건한국 정부의 미국 정치인 매수 시도
박동선의 로비 활동
주요 인물박동선
김형욱
관련 국가한국
미국
배경
원인한국 정부의 미국 내 영향력 확대 시도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
미국 내 한국에 대한 반감
사건 진행
박동선의 활동미국 정치인들에게 뇌물 제공
미국 의회에서 한국에 유리한 법안 통과 시도
수사 진행미국 법무부의 수사
미국 의회의 조사
결과 및 영향
관련자 처벌미국 정치인 여러 명 사임 및 기소
박동선 유죄 판결
김형욱 행방불명
정치적 영향한국 정부의 이미지 실추
미국 내 한국에 대한 불신 심화
미국과 한국 관계 악화
역사적 평가한국 현대사에서 주요 정치 스캔들 중 하나
로비 활동과 정치 부패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움
기타
관련 자료MIT Press 자료
World History 자료
Newsweek Japan 자료

2. 사건 당사자

박동선과 리처드 T. 하나(Richard T. Hanna, 민주당-캘리포니아주)는 코리아게이트의 핵심 인물이었다. 박동선은 한국 측, 하나는 미국 측 대표로 비밀 협약에 관여했다.[5] 이들은 한국에 대한 미국산 쌀 판매 수수료를 공유하고, 이를 미국 의회에서 한국에 유리한 결정을 얻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5] 하나는 정일권과 박동선에게 타이완과 이스라엘의 로비 모델을 참고하도록 조언했다.[6]

박동선은 하나 등에게 10만달러~20만달러의 금전적 인센티브를 제공했다.[7] 약 115명의 의원이 연루된 것으로 추정되며, 문선명, 김형욱, 정일권 등의 역할도 거론되었다.[1][2]

2. 1. 박동선



박정희 정권의 대미 로비스트로 활동한 박동선은 코리아게이트의 핵심 인물이다. 재미 사업가였던 그는 한국 정부를 대리하여 미국 정치인들에게 로비를 하였다.[5] 그는 미국산 쌀 구매 대행 수수료를 이용하여 미국 의회에 뇌물을 제공하고, 한국에 유리한 정책 결정을 유도하려 했다.[7]

박동선은 미국 하원의원 리처드 T. 하나(Richard T. Hanna, 민주당-캘리포니아주)와 비밀 협약을 맺고, 쌀 판매 수수료를 공유하여 로비 자금으로 활용했다.[32] 하나는 정일권과 박동선에게 과거 성공한 타이완과 이스라엘의 방식을 참고하여 효과적인 로비 활동을 하도록 조언했다.[33]

박동선은 하나를 비롯한 다른 의원들에게 1인당 100000USD에서 200000USD에 달하는 뇌물을 제공했다.[34] 이 과정에서 약 115명의 의원이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25] 통일교 창시자 문선명, 전 중앙정보부장 김형욱, 전 한국 총리 정일권도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2]

2. 2. 리처드 T. 한나



리처드 T. 한나(Richard T. Hanna, 민주당-캘리포니아주)는 박동선과 함께 코리아게이트 사건의 주요 인물이다. 박동선은 한국 측을, 한나는 미국 측을 대표하여 비밀 협약에 깊이 관여했다.[5] 이 협약에 따라 양측은 한국에 대한 미국산 쌀 판매 수수료를 나누고, 이를 이용하여 미국 의회에서 한국에 유리한 결정을 얻어내기로 했다.[5]

한나는 정일권과 박동선에게 효과적인 로비 기법을 조언했는데, 과거 성공한 타이완과 이스라엘의 로비 방식을 참고하도록 했다.[6]

박동선은 한나와 다른 의원들에게 뇌물을 제공하는 역할도 맡았는데, 이는 막대한 쌀 판매 수수료를 통해 가능했다.[7] 이 뇌물은 개인당 한 번에 100000USD에서 200000USD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 115명의 의원들이 연루된 것으로 추정된다.[1]

2. 3. 기타 관련 인물

이 사건에는 약 115명의 미국 의원들이 연루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외에도 통일교 창시자 문선명,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 정일권 전 국무총리 등의 연루 의혹이 제기되었다.[1][2][25][26]

3. 사건의 배경 및 목적

코리아게이트는 정치적, 사회적, 재정적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사건이다. 박정희 대통령과 박동선을 포함한 한국 지도자들은 지미 카터 후보의 주한 미군 철수 공약과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미군 철수 결정에 위기감을 느꼈다. 이에 따라 미군 주둔 유지와 한국군 현대화 지원을 위한 미국의 지지 기반 구축 및 의회 승인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8][9][35][36] 또한, 박정희 정권의 불법적인 정책과 인권 침해에 대한 비판을 억압하거나 반박하려는 목적도 있었다.[10][37]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박정희의 기만적인 목표가 결국 그의 몰락을 초래했다고 평가한다.[11][38]

3. 1. 정치적 배경

이 사건의 배경에는 정치적, 사회적, 재정적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박정희 대통령과 박동선을 포함한 한국 지도자들은 지미 카터 후보가 주한 미군 철수를 공약한 것에 대해 위기감을 느꼈고, 미군 주둔 유지를 위한 미국의 지지 기반 구축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8] 또한 박정희 정부는 한국군 현대화 프로그램을 위한 미국의 지원 패키지 승인을 얻어내고자 했다.[9] 이와 더불어, 박정희 정권의 불법적인 정책과 인권 침해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이를 억압하거나 반박하려는 목적도 있었다.[10] 많은 사람들은 박정희의 이러한 기만적인 목표가 결국 그의 몰락을 초래했다고 평가한다.[11]

3. 2. 사회적 배경

이 사건의 배경에는 정치, 사회, 재정적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박정희 정부는 지미 카터 후보가 한국 주둔 미군 철수를 공약한 것에 분노했고, 미군 주둔 유지를 위한 지지 기반 구축이 시급하다고 느꼈다.[8] 또한, 한국군 현대화 프로그램을 위한 상당한 규모의 지원 패키지 승인에도 관심이 있었다.[9]

박정희의 불법적인 정책과 인권 침해에 대한 비판을 억압하거나 반박하려는 목적도 있었다.[10] 많은 사람들에 따르면, 박정희의 기만적인 목표가 결국 그의 몰락으로 이어졌다.[11]

3. 3. 재정적 배경

박동선과 박정희를 포함한 한국의 지도자들은 리처드 닉슨이 한국에서 미군을 철수하기로 결정한 것에 위기감을 느끼고, 잔류하는 미군의 세력을 유지하기 위한 미국 내 지지 확보가 시급하다고 생각했다.[35] 또한, 미군 철수의 대가로 여겨진 한국군 현대화 지원에 대한 미국 의회의 승인 여부도 박정권의 우려 사항이었다.[36]

4. 사건 진행 과정

미국 국무부는 1970년에 박동선의 불법 행위를 인지하고 워싱턴 D.C.의 주한 미국 대사관에 경고했다.[12][39] 전 주한 미국 대사 윌리엄 포터(William J. Porter)는 박정희 대통령과 정일권에게 박동선을 한국으로 귀국시키도록 설득했지만 효과가 없었다.[13][40] 이후 포터는 미국 정부가 베트남 전쟁 중에 한국을 비판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반응을 "매우 비관적"이라고 언급했다.[14][41] 포터를 대신하여 필립 해비브(Philip Habib)가 주한 미국 대사로 취임하자 박동선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한 추궁이 강화되었다.[15][42] 해비브는 박동선을 한국 정부의 로비스트로 등록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해비브는 주한 미국 대사관 직원 전원에게 박동선과의 관계를 끊으라고 지시하고, 한국을 방문한 여러 의원들에게 그의 불법 행위에 대해 경고했지만, 전 법무장관 윌리엄 삭스비(William B. Saxbe)가 박동선에게 이러한 행위와 기소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16][43] 그 후 포터와 해비브가 박동선의 행위를 비난하려고 시도한 직후, 해비브는 다른 직무를 맡게 되어 3년간 해외에서 근무해야 했고, 박동선의 운명은 불확실해졌다.[17][44]

5. 외교 관계에 미친 영향

코리아게이트가 공개된 후 미국과 대한민국 간의 정치 관계는 악화되었다. 상호 오해와 절차상의 이견으로 양국 간의 적대감은 더욱 커졌다.[18] 미국은 법률주의적 입장을 취하며 한국이 모든 조사에 협조할 것을 기대했다.[19] 반면 한국 관리들은 이 사건이 미국 언론에 의해 과장, 왜곡되거나 조작되었을 것이라고 믿었다.[20] 더욱이 한국은 미국의 행동을 박정희 반대 음모로 해석했다.[20] 양측의 정치 전문가들은 이 스캔들이 제럴드 포드의 선거 전략을 돕기 위해 꾸며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해석에 따르면 포드 행정부는 민주당워터게이트 사건과 포드의 리처드 닉슨 사면을 문제 삼는 것을 무력화하고, 핵심 민주당 의원들을 코리아게이트 사건에 연루시킴으로써 이를 중화하려 했다.[21]

6. 사건의 결과 및 처분

1978년 4월, 박동선은 미국으로 건너가 하원 청문회에서 공개 증언을 했다.[22] 박동선은 30명의 의원에게 현금을 제공했다고 시인했으며,[22] 이 중 10명이 연루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루된 의원들 대부분은 사퇴했고, 3명은 공소시효가 만료되었다. 박동선은 증언에 대한 대가로 완전한 면책권을 받았다.[22] 에드워드 로이벌(민주당-캘리포니아주), 찰스 H. 윌슨(민주당-캘리포니아주), 존 J. 맥폴(민주당-캘리포니아주) 의원은 견책 및 질책을 받았다.[23] 에드워드 J. 패튼(민주당-뉴저지주) 의원은 무죄 판결을 받았고, 오토 패스먼(민주당-루이지애나주) 의원은 뇌물수수, 공모, 불법 금품 수수 및 탈세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22] 리처드 한나는 유죄 판결을 받고 6개월에서 30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2] 결국 카터 대통령은 한국 주둔 미군 병력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7. 언론 보도

이 사건은 뉴욕 타임스의 리처드 홀러런(Richard Halloran) 기자가 처음 보도했다.[24]

참조

[1] 서적 Gifts of Deceit 1980
[2] 서적 Science, Sin, and Society: The Politics or Reverend Moon and the Unification Church http://mitpress.mit.[...] MIT Press 1980
[3] 웹사이트 Koreagate http://www.worldhist[...]
[4] 서적 Political Corruption in America: In encyclopedia of scandals, power, and greed 2003
[5] 문서 dynamics of adjustment
[6] 문서 koreagate investigations
[7] 잡지 Koreagate on Capitol Hill Time
[8] 문서 political notions of scandal
[9] 문서 financial notions of scandal
[10] 문서 Social Notions of Scandal
[11] 잡지 Koreagate on Capitol Hill Time
[12] 문서 A Troubled Peace
[13] 문서 Porter's concern on ethics
[14] 문서 Government bias to withhold punishment
[15] 문서 Unethical description of behavior Time
[16] 문서 A Troubled Peace
[17] 문서 Consequences on hold
[18] 문서 Dynamics of Structural Adjustment
[19] 문서 Koreagate Investigations
[20] 문서 Diplomatic Sparring
[21] 문서 Diplomatic Sparring
[22] 문서 Dobbs on Koreagate
[23] 문서 Congressional Bad Boys
[24] Youtube Koreagate (1976-77) https://www.youtube.[...] 2022-12-13
[25] 서적 Gifts of Deceit 1980
[26] 서적 Science, Sin, and Society: The Politics or Reverend Moon and the Unification Church http://mitpress.mit.[...] MIT Press 1980
[27] 웹사이트 政治工作、ビジネス、資金集め...「統一教会」問題を、歴史と国際情勢から紐解く https://www.newsweek[...] 2022-08-03
[28] 서적 証言〈上巻〉―私は生ける神の目撃者
[29] 뉴스 読売新聞 1978-03-23
[30] 뉴스 朝日新聞 1978-03-17
[31] 서적 Political Corruption in America: In encyclopedia of scandals, power, and greed 2003
[32] 문서 dynamics of adjustment
[33] 문서 koreagate investigations
[34] 잡지 Koreagate on Capitol Hill Time
[35] 문서 political notions of scandal
[36] 서적 financial notions of scandal
[37] 서적 Social Notions of Scandal
[38] 잡지 Koreagate on Capitol Hill Time
[39] 서적 A Troubled Peace
[40] 서적 Porter's concern on ethics
[41] 서적 Government bias to withhold punishment
[42] 잡지 Unethical description of behavior Time
[43] 서적 A Troubled Peace
[44] 서적 Consequences on hold
[45] 서적 Dynamics of Structural Adjustment
[46] 서적 Koreagate Investigations
[47] 서적 Diplomatic Sparring
[48] 서적 Diplomatic Sparring
[49] 서적 Koreagate
[50] 서적 Congressional Bad Boys
[51] 서적 dynamics of adjustment
[52] 서적 koreagate investigations
[53] 잡지 Koreagate on Capitol Hill Time
[54] 서적 Gifts of Deceit
[55] 서적 한미갈등의 해부 나남
[56] 서적 미국의 외교정책사 한울
[57] 서적 한미군사협력관계의 발전과 전망 세경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