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치타 스페르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치타 스페르비아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활동한 스페인 출신의 메조소프라노 성악가이다.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나 리세우 음악원에서 성악을 공부했으며, 19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데뷔했다. 로시니 오페라의 메조소프라노 레제로 배역을 소화하며 명성을 얻었고, 런던, 밀라노 등지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200개 이상의 음반을 녹음했으며, 1936년 출산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오페라 가수 - 호세 카레라스
호세 카레라스는 몬세라트 카바예의 발탁으로 데뷔하여 세계적인 무대에서 명성을 얻고 백혈병을 극복한 후 '세계 3대 테너'로서 큰 인기를 누린 스페인의 테너 가수이다. - 스페인의 오페라 가수 - 포르투니오 보나노바
포르투니오 보나노바는 호세 루이스 몰트 에스테베라는 본명으로 활동한 스페인 출신의 오페라 가수 겸 배우로, 유럽과 미국을 오가며 다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 특히 《시민 케인》,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이중 배상》 등의 할리우드 영화와 《아이 러브 루시》 같은 시트콤에서 활약했다. - 메조소프라노 - 체칠리아 바르톨리
이탈리아의 메조소프라노 성악가 체칠리아 바르톨리는 성악가 부모에게 음악 교육을 받고,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 졸업 후 9세에 무대 데뷔, 19세에 TV 데뷔, 모차르트와 로시니 작품 중심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업, 세계적인 무대에서 활동, 바로크 음악과 벨칸토 레퍼토리 음반 발매, 잘츠부르크 휘트선 페스티벌 예술 감독과 몬테카를로 오페라 감독을 역임하며 오페라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 메조소프라노 - 키리 테 카나와
키리 테 카나와는 뉴질랜드 출신의 세계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메조소프라노에서 소프라노로 전향하여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에서 활동했고,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결혼식 축가, 그래미상 수상 등으로 유명하며, 오페라 은퇴 후에도 콘서트, 리사이틀, 젊은 음악가 육성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스페인의 여자 가수 - 아이타나
아이타나는 1999년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난 스페인의 가수 겸 배우로, 《오페라시온 트리운포》 시즌 9에서 2위를 차지한 후 싱글 "Teléfono"로 데뷔하여 스페인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고, 2022년에는 드라마 'La Última'에 출연하며 연기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 스페인의 여자 가수 - 레이레 마르티네스
레이레 마르티네스는 스페인의 가수이자 배우이며, 2008년 'Factor-X' 출연 후 라 오레하 데 반 고흐의 보컬로 합류하여 'El Último Vals'로 성공적인 데뷔를 하고 그룹 재도약에 기여했으며, 솔로 앨범 발매 및 TV 영화 출연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콘치타 스페르비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95년 12월 8–9일 |
출생지 | 바르셀로나 |
사망일 | 1936년 3월 30일 |
사망지 | 런던 |
직업 | 오페라 가수 |
2. 생애
바르셀로나에서 안달루시아인 가정에서 태어나, 12세 때 바르셀로나 리세우 음악원에서 성악 공부를 시작했다. 1910년 15세의 나이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콜론 극장에서 데뷔했다. 1911년에는 로마 코스탄치 극장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 이탈리아 초연에 옥타비안 역으로 참여했고, 1912년에는 바르셀로나 리세우 극장에서 『카르멘』의 타이틀 역할을 불렀다.
1915년 시카고에서 『카르멘』, 쥘 마스네의 『베르테르』, 앙브루아즈 토마의 『미뇽』으로 미국 무대에 데뷔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로마로 돌아와 『라 체네렌토라』의 안젤리나 역,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이사벨라 역,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지나 역을 메조소프라노 레제로 음역으로 불러 주목받았다. 1924년부터 5시즌 동안 밀라노 스칼라좌에 출연했다.
1930년부터 런던에서 활동하며 리사이틀을 열었고, 1934년 『라 체네렌토라』로 코벤트 가든 극장 무대에 섰다. 런던 위그모어 홀 근처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영국인 남성과 결혼했고, 1936년 출산 중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
바르셀로나의 안달루시아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출생 당시 이름은 콘셉시온 수페르비아 파스쿠알(Concepción Supervía Pascual)이고,[1] 세례명은 '마리아 데 라 콘셉시온 수페르비아 파스쿠알(María de la Concepción Supervía Pascual)'이었다.[1]처음에는 지역 수녀원에서 공부했지만, 12세 때 바르셀로나 리세우 음악원에 입학하여 성악 공부를 시작했다.[1]
2. 2. 초기 경력

그녀는 15세의 어린 나이인 1910년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테아트로 콜론에서 Stiattesi의 ''Blanca de Beaulieu''로 무대 데뷔를 했다.[2] 이후 토마스 브레톤의 ''테루엘의 연인들''에서 공연했으며,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에서 롤라 역을 맡았다.
1911년에는 로마의 테아트로 코스탄치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를 이탈리아어로 초연할 때 옥타비안 역을 맡았다.[3] 1912년에는 고향인 바르셀로나의 그란 테아트레 델 리세우에서 카르멘 역을 맡았으며, 이 역할은 그녀의 경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1915년에는 줄 마스네의 ''베르테르''에서 샬롯 역으로 시카고 오페라에서 미국 데뷔를 하였으며, 그곳에서 ''미뇽''과 ''카르멘''에도 출연했다.[2]
2. 3. 전성기
그녀는 1910년, 15세의 어린 나이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테아트로 콜론에서 Stiattesi의 ''Blanca de Beaulieu''로 무대 데뷔를 했다.[2] 이후 토마스 브레톤의 ''테루엘의 연인들''에서 공연했으며, 피에트로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에서 롤라 역을 맡았다.1911년에는 로마의 테아트로 코스탄치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를 이탈리아어로 초연할 때 옥타비안 역을 맡았다.[3] 1912년에는 고향인 바르셀로나의 그란 테아트레 델 리세우에서 카르멘 역을 맡았으며, 이 역할은 그녀의 경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1915년에는 줄 마스네의 ''베르테르''에서 샬롯 역으로 시카고 오페라에서 미국 데뷔를 하였으며, 그곳에서 ''미뇽''과 ''카르멘''에도 출연했다.[2]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유럽으로 돌아온 그녀는 로마로 초청받아 그녀를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로시니 부흥 운동을 시작했다. 여기에는 ''라 체네렌톨라''의 안젤리나,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이사벨라, 그리고 원 키로 부른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시나가 포함되었다.[4]
그녀는 총 200개 이상의 음반을 제작했으며, 대부분 포노티피아와 오데온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여기에는 그녀가 오페라에서 연기했던 유명한 역할뿐만 아니라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로 된 방대한 가곡 레퍼토리, 사르수엘라 작품, 심지어 오페레타 작품 (그녀는 프란츠 레하르의 ''프라스키타''의 전설적인 프로덕션에 출연했었다.)도 포함되었다.
1930년에는 퀸스 홀에서 런던 데뷔를 했다. 이듬해 그녀는 런던 출신의 유대인 사업가 벤 루빈스타인과 결혼하여 그곳에 정착했다. 그녀는 이미 1917년에 낳은 아들 조르지오가 있었다.
그녀는 1934년 ''라 체네렌톨라''로 코벤트 가든에서 데뷔했으며, 1935년에는 이 역할과 함께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과 ''카르멘''을 다시 공연했다. 1934년, 수페르비아는 배우 프리츠 코르트너와 함께 빅터 사빌의 영국 영화 ''Evensong''에 바바 레토일이라는 가수로 출연했다.[5]
2. 4. 결혼과 죽음
1930년, 퀸스 홀에서 런던 데뷔를 했다. 이듬해 런던 출신의 유대인 사업가 벤 루빈스타인과 결혼하여 그곳에 정착했다. 이미 1917년에 낳은 아들 조르지오가 있었다.[1]1934년 ''라 체네렌톨라''로 코벤트 가든에서 데뷔했으며, 1935년에는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과 ''카르멘''을 같은 역할로 다시 공연했다. 1934년, 빅터 사빌의 영국 영화 ''Evensong''에 배우 프리츠 코르트너와 함께 바바 레토일이라는 가수로 출연했다.[5] 이후 임신으로 인해 1935년 가을에 예정되었던 출연을 취소해야 했다. 1936년 3월 29일, 아기 출산을 위해 런던의 한 병원에 입원했지만, 3월 30일에 아기는 사산되었고, 몇 시간 후 그녀 자신도 사망했다.[1] 딸과 함께 런던 북서부 윌스던의 자유 유대교 묘지에 에드윈 래치언스가 디자인한 묘지에 묻혔다. 훼손되었던 묘는 2006년 10월에 팬들에 의해 재정비되고 재헌정되었다.
3. 음반
그녀는 200개 이상의 음반을 제작했으며, 대부분 포노티피아와 오데온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4] 여기에는 그녀가 오페라에서 연기했던 유명한 역할뿐만 아니라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로 된 방대한 가곡 레퍼토리, 사르수엘라 작품, 심지어 오페레타 작품(그녀는 프란츠 레하르의 ''프라스키타''의 전설적인 프로덕션에 출연했었다.)도 포함되었다.
1930년대에는 정력적으로 레코딩을 진행하여 총 200면 이상의 SP 음반을 남겼다. 내용은 특기인 오페라에서의 기교적인 아리아는 물론,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및 영어로 된 대중 가요나 사르수엘라 발췌곡 등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그녀의 힘찬 중저음과 고음의 초절 기교가 남아 있다. 레코드에 남겨진 그녀의 노랫소리는 다소 비브라토가 강한 인상을 주지만, 무대에서 스페르비아를 들었던 동시대인들은 비브라토는 신경 쓰이지 않았다고 증언하며, 마이크가 발성의 결점을 필요 이상으로 강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4. 평가
콘치타 스페르비아는 19세기 후반에는 드물었던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라는 독특한 음역에서 활약한 가수로, 1990년대의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잇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귀여운 외모와 매력적인 연기, 그리고 비극적인 죽음으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다.
4. 1. 성악적 특징
콘치타 수페르비아는 화려한 구절을 쉽게 처리하는 유연한 고음과 강력한 흉성을 지녔으며, 개성 강하고 매력적인 음악성을 갖춘 가수였다. 그러나 그녀의 목소리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영국의 평론가 필립 호프-월리스는 목소리 낮은 부분에서 뚜렷한 비브라토가 '유리잔 속의 얼음이나 상자 안의 주사위처럼 강렬했다'고 평했다.[6]그녀를 직접 들었던 많은 사람들은 이 비브라토가 무대에서보다 음반에서 더 두드러졌다고 말한다. 이는 마이크가 가수의 결점을 과장한 예이다.[1] 1930년대에 수페르비아는 총 200면 이상의 SP 음반을 남겼다. 내용은 특기인 오페라에서의 기교적인 아리아는 물론,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영어로 된 대중 가요나 사르수엘라 발췌곡 등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그녀의 힘찬 중저음과 고음의 초절 기교가 남아 있다. 레코드에 남겨진 그녀의 노랫소리는 다소 비브라토가 강한 인상을 주지만, 무대에서 수페르비아를 들었던 동시대인들은 비브라토는 신경 쓰이지 않았다고 증언하며, 마이크가 발성의 결점을 필요 이상으로 강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19세기 전반, 로시니가 정력적으로 신작 오페라 작곡을 하던 시절에는 상식이었지만, 동세기 후반 이후 멸종한 듯했던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라는 독특한 음역에서 활약한 수페르비아는, 1990년대의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에 이어지는 가수로 볼 수 있다.
4. 2. 로시니 부활의 선구자
로시니 부흥 운동은 19세기 후반 이후 잊혀졌던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라는 독특한 음역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콘치타 수페르비아는 이 흐름을 이끈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유럽으로 돌아온 그녀는 로마로 초청받아 ''라 체네렌톨라''의 안젤리나,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이사벨라, 그리고 원 키로 부른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시나 역을 맡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4]로시니가 왕성하게 활동하던 19세기 전반에는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가 일반적이었으나, 이후 쇠퇴하였다. 수페르비아는 이러한 독특한 음역을 가진 가수로, 1990년대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잇는 인물로 볼 수 있다.
그녀는 귀여운 외모와 매력적인 연기, 그리고 비극적인 죽음으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J. B. Steane
2003
[2]
웹사이트
CONCHITA SUPERVIA - MEZZO SOPRANO 1895-1936: Liner Notes: Conchita Supervia (1895-1936) - Opera And Song Recital
http://www.arkivmusi[...]
2013-03-01
[3]
웹사이트
CONCHITA SUPERVIA
http://www.marstonre[...]
Henig, Stanley
2009-09-22
[4]
간행물
The Art of conchita Supervia
https://archive.toda[...]
Opera Quarterly
2009-09-22
[5]
IMDb
Evensong
2009-09-22
[6]
문서
Steane
1993
[7]
서적
Singers of the Century vol ii
http://books.google.[...]
2009-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