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체바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체바야선은 모스크바 지하철의 순환선으로, 1950년부터 1954년까지 건설되었다. 이 노선은 도시 중심부의 혼잡을 완화하고, 주요 철도 터미널들을 연결하여 환승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계획되었다. 총 19.4km 구간에 12개의 역이 있으며, 모든 역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개통 이후 모스크바의 승객 흐름 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현재도 노후 시설 개선 및 추가 출입구 설치, 신규 역 건설 등의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세이부 야마구치선
세이부 야마구치선은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의 다마코역과 세이부 구장앞역을 잇는 2.8km의 세이부 철도 노선으로, 과거 유원지 열차에서 1985년 신교통 시스템으로 재개통되어 세이부 돔 접근성을 높이고 있으며 8500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 195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그뢰나선
그뢰나선은 스톡홀름 지하철의 주요 노선으로 17, 18, 19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 25.5km에 32개 역을 갖추고 스톡홀름 시내 및 근교를 연결하며 주요 환승역을 통해 다른 노선 및 교통 수단과의 연계를 제공한다. - 모스크바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모스크바 모노레일
모스크바 모노레일은 러시아 모스크바의 교통 체증 해결을 위해 건설되어 2008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모스크바 지하철 등과 환승이 가능하나 예산 낭비 등의 비판을 받았다. - 모스크바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은 20세기 초 건설된 화물 운송 철도 노선이었으나 2016년 여객 운송을 재개하며 모스크바 지하철과 통합 운영되어 31개 역으로 모스크바 시내를 연결하는 교통 시스템이다. - 철도 순환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은 1977년에 착공하여 1984년 환상선이 완성되었으며, 신정지선과 성수지선을 포함하여 순환 운행하고 서울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된다. - 철도 순환선 - 야마노테선
야마노테선은 도쿄 도심의 주요 역들을 연결하는 34.5km 길이의 순환선으로,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높은 이용률과 혼잡률 해소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콜체바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콜체바야 선 (순환선) |
로마자 표기 | Koltsevaya Liniya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기관 | 모스크바 지하철 |
노선 상태 | 운행 중 |
위치 | 모스크바 |
역 수 | 12개 역 |
개통일 | 1950년 1월 1일 |
운영자 | 모스크바 시 지하철 공사 |
노선 길이 | 19.4km |
궤간 | 1,520mm (광궤) |
전철화 방식 | 직류 825V 제3궤조 방식 |
일일 승객 수 | 767,900명 |
노선도 | |
![]() | |
![]() | |
차량 정보 | |
사용 차량 | 81-775/776/777 |
기타 정보 | |
특징 | 지하 |
노선 색상 | '#71592E' |
2. 역사
콜체바야선 건설 계획은 초기 모스크바 지하철 개발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당초 계획은 도시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방사형 노선을 건설하고, 중심부의 환승역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1938년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2호선)과 아르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선(3호선) 개통 이후, 중심부 환승역의 과도한 혼잡으로 인해 기존 계획으로는 증가하는 승객 수를 처리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에 따라 도시 중심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노선을 건설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최종적으로 남쪽 구간은 사도보예 콜초(가든 링)를 따라, 북쪽 구간은 레닌그라츠키 역, 야로슬라프스키 역, 카잔스키 역, 벨라루스키 역, 키옙스키 역 등 모스크바의 주요 철도 터미널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시내의 주요 역들이 서로 떨어져 있어 문제였던 철도역에서 다른 철도역으로의 인적·물적 수송이 지하철 노선을 경유함으로써 단번에 해결되었다.
건설은 종전 직후 시작되어, 1950년 파르크 쿨투리 역 - 쿠르스카야 역 구간을 시작으로, 1952년 쿠르스카야 역 - 벨로루스카야 역 구간, 1954년 벨로루스카야 역 - 파르크 쿨투리 역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며 순환선이 완성되었다.
이 순환선의 개통으로 모스크바 승객들의 이동 방식은 크게 바뀌었다. 또한 장래 새로운 노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계획적인 구조로 만들어졌다. 2009년 현재, 9개의 지하철 노선과 연결되어 있다.
2. 1. 일화
일각에서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커피 잔을 올려놓은 자국을 따라 콜체바야선을 건설하도록 지시했다는 도시 전설이 전해진다. 이 때문에 콜체바야선의 노선 색상이 갈색이라는 이야기도 있다.3. 구간
콜체바야선은 1950년부터 1954년까지 3단계에 걸쳐 개통되었다.
구간 | 개통일 | 길이 |
---|---|---|
파르크 쿨투리 역 – 쿠르스카야 역 | 1950년 1월 1일 | 6.5km |
쿠르스카야 역 – 벨로루스카야 역 | 1952년 1월 30일 | 7km |
벨로루스카야 역 – 파르크 쿨투리 역 | 1954년 3월 14일 | 5.9km |
총합 | 19.4km |
4. 역
콜체바야선의 모든 역은 다른 노선과 환승할 수 있는 환승역이며, 일부 역은 과거에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가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4. 1. 역 목록 및 환승
콜체바야선은 모스크바 지하철의 다른 노선들과 달리 해당 노선에만 속하는 역을 운행하지 않는다. 모든 역이 환승역이며, 다른 노선과 연결된다.연결 노선 | 환승역 |
---|---|
-- 소콜니체스카야 선 | 콤소몰스카야, 파르크 쿨투리 |
--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 벨로루스카야, 파벨레츠카야 |
-- 아르바츠코 포크롭스카야 선 | 키옙스카야, 쿠르스카야 |
-- 필룝스카야 선 | 키옙스카야 |
-- 칼루시스코 리시스카야 선 | 프로스펙트 미라, 옥탸브리스카야 |
-- 타간스코 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선 | 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타간스카야 |
-- 칼리닌스코 솔른쳅스카야 선 | 타간스카야 |
--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선 | 노보슬로보츠카야, 도브리닌스카야 |
--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선 | 쿠르스카야 |
4. 2. 역명 변경
역 | 이전 이름 | 해당 연도 |
---|---|---|
파르크 쿨투리 | 첸트랄니 파르크 쿨투리 이 오트디하 이메니 고리코보 | 1950년–1980년 |
옥탸브리스카야 | 칼루시스카야 | 1950년–1961년 |
도브리닌스카야 | 세르푸홉스카야 | 1950년–1961년 |
프로스펙트 미라 | 보타니체스키 사드 | 1952년–1966년 |
5. 차량
콜체바야선은 크라스나야 프레스냐 차량 사업소(4호)에서 관리한다. 1978년에 81-717/714형 전동차를 최초로 도입했고, 2010년 초부터 81–740.4/81-741.4형 전동차 운행을 시작하여 2011년 12월 1일까지 교체를 완료했다.[2] 2011년부터 2018년까지는 크라스나야 프레스냐 차량 사업소 소속 81-717/714형 전동차 4편성이 필룝스카야선에서 운행되었다. 이후 2020년에 신형 전동차(81-775/776/777형)가 투입되어 2021년 6월까지 81-740.4/741.4형 전동차를 완전히 대체했다.
5. 1. 차량 종류
콜체바야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차량 | 사용 기간 |
---|---|
게(Г) | 1950년 ~ 1982년 |
81-717/714 | 1978년 ~ 2011년 |
81-740.4/741.4 | 2009년 ~ 2021년 |
81-775/776/777형 | 2020년 ~ 현재 |
1950년부터 1978년까지는 게(Г)형 전동차가 운행되었다. 1978년에는 81-717/714형 전동차가 최초로 도입되었고, 2009년부터는 81–740.4/81-741.4형 전동차가 도입되어 2011년 12월 1일까지 교체가 완료되었다.[2] 2020년에는 새로운 81-775/776/777형 전동차가 투입되었고, 2021년 6월까지 81-740.4/741.4형 전동차를 완전히 대체했다.
6. 최근 개발 및 향후 계획
오늘날 콜체바야선은 모스크바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 중 하나이며, 러시아워 시간대에 승객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역이 반세기 이상 전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노후화가 눈에 띄게 느껴진다. 1998년에는 벨라루스카야 역에 두 번째 출입구가 개설되었으며, 파르크 쿨투리 역과 콤소몰스카야 역에도 유사한 출입구를 설치할 계획이 있다.
노후화된 노선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복원 작업이 수행되었다. 최근 노보슬로보츠카야 역에서는 파벨 코린의 스테인드글라스 걸작의 조명 교체 및 보수 작업을 포함한 대규모 복원 작업이 수행되었다. 2005년에는 타간스카야 역의 현관이 낡은 에스컬레이터를 교체하고 새로운 개찰구를 설치하며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폐쇄되었으며, 2006년에 재개장되었다. 곧 도브리닌스카야 역도 유사한 개선 작업을 거쳤다.
개통 당시 미래 환승을 위해 6개의 역이 남겨졌지만, 이는 성장하는 시스템에 비해 너무 작았다. 모스크바 지하철은 프로스펙트 미라 역과 노보슬로보츠카야 역 사이에 수보로프스카야 역을 추가로 건설하여 류블린스코-드미트롭스카야선과 연결하고, 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역과 키옙스카야 역 사이에 칼리닌스코-솔른쳅스카야선과 연결되는 로시이스카야 역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수보로프스카야 역에 대한 일부 예비 작업이 수행되었다. 2017년에 모스크바 지하철은 두 역에 대한 계획을 종료했다. 시스템 관리자는 두 역이 기술적으로 너무 복잡하고, 공사 기간이 너무 길고,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완공될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바실리예프는 역이 건설될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3] 2019년 8월 19일, 수보로프스카야 역 건설 현장에서 작업이 재개되었다.[4]
2017년에는 미추린스키 프로스펙트 역, 프로스펙트 베르나츠키 역 등 3개의 역을 건설하는 러시아 최초의 해외 기업에 의한 지하철 공사를 중국의 중국철건(China Railway Construction Corporation)이 수주했다.
참조
[1]
웹사이트
Kol'tsevaya (Circle) Line
http://engl.mosmetro[...]
Moscow Metro
2010-06-08
[2]
웹사이트
Москов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 Пресс-служба / Новости
http://old.mosmetro.[...]
2011-12-03
[3]
뉴스
Строительство новых станций в центре Москвы экономически нецелесообразно
http://realty.interf[...]
Interfax
2017-03-22
[4]
뉴스
Строительство станции Суворовская возобновлено
https://www.youtube.[...]
2019-08-19
[5]
문서
コリツェヴァーヤ線とも翻訳される。
[6]
뉴스
モスクワ地下鉄建設を中国企業が落札「効率の良さ、他国は及ばない」―露紙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7-01-30
[7]
뉴스
Китайская корпорация CRCC собирает третий ТПК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етро в Москве
http://russian.news.[...]
Russian news
2018-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