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팥동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팥동맥은 배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와 콩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다. 오른쪽 콩팥동맥은 왼쪽보다 길며, 콩팥문에서 여러 개의 가지로 나뉜다. 콩팥동맥 협착증, 죽상경화증, 콩팥동맥류, 외상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콩팥동맥 협착증은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팥 - 옥살산 칼슘
    옥살산 칼슘은 칼슘 이온과 옥살산 음이온의 화합물로, 자연계, 인체 내, 식물, 지의류에서 발견되며 신장 결석의 주요 성분이고 일부 식물 섭취 시 유해하며 세라믹 유약 제조에도 사용된다.
  • 콩팥 - 콩팥 소체
    콩팥 소체는 콩팥의 기본 구조 단위로 혈액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구체와 보먼 주머니로 구성되어 혈액 내 혈구와 분자량이 큰 단백질은 여과하지 않는다.
  • 배의 동맥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배의 동맥 - 아래배벽동맥
    아래배벽동맥은 바깥엉덩동맥에서 시작하여 배곧은근과 배곧은근집 사이를 지나 위쪽으로 주행하며 위배벽가지 및 아래쪽 갈비사이동맥과 문합하는 동맥으로, 샅굴탈장과 가까워 해부학적 지표로 쓰이나 복강경 수술 시 손상 가능성이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콩팥동맥
개요
이름콩팥동맥
라틴어arteria renalis
영어renal artery
설명콩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구조
기원배대동맥
분지아래부신동맥
구역동맥
난소동맥
혈액 공급콩팥
정맥콩팥정맥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오는 양쪽 콩팥동맥 (빨간색으로 표시됨)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오는 양쪽 콩팥동맥 (빨간색으로 표시됨)
콩팥의 혈액 순환
콩팥의 혈액 순환

2. 구조

콩팥동맥은 배대동맥에서 거의 직각으로 갈라져 나오며, 위창자간막동맥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다.[11] 반지름은 대략 0.25cm이다.[12] 뿌리에서는 0.26cm 정도이다.[13] 평균 직경은 사용한 영상 촬영 기법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초음파로 촬영했을 때는 5.04mm, 혈관조영술에서는 5.68mm로 측정되었다.[14][15]

대동맥, 아래대정맥, 콩팥의 해부학적 위치 때문에 오른쪽 콩팥동맥이 왼쪽 콩팥동맥보다 보통 더 길다.[11][16] 오른쪽 콩팥동맥은 아래대정맥, 오른쪽 콩팥정맥, 이자 머리, 샘창자 내림부분 뒤쪽으로 지나가며, 왼쪽 콩팥정맥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다. 왼쪽 콩팥동맥은 왼쪽 콩팥정맥, 이자 몸통, 지라정맥 뒤쪽을 지나가며, 아래창자간막정맥이 왼쪽 콩팥정맥을 가로지른다.

복부 교감 신경 간선, 복강 및 하부 위 신경총


콩팥의 후면, 벽측과의 관계 영역 표시


복부 전면, 동맥 및 서혜관 표면 표시


콩팥

2. 1. 가지

콩팥문에 이르기 전 각각의 콩팥동맥은 너덧 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앞가지는 위, 중간, 아래, 꼭대기구역동맥으로, 앞쪽에 콩팥정맥, 뒤쪽에 수뇨관을 두고 있다. 뒤가지는 그 수가 앞가지보다 적으며 뒤구역동맥을 포함하고 있고, 보통 수뇨관의 뒤에 위치한다.[17]

각 콩팥동맥은 같은 쪽 부신, 수뇨관, 근처의 조직과 근육으로 작은 아래부신동맥을 낸다.

종종 한두 개의 덧콩팥동맥이 발견되며, 왼쪽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보통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오며 콩팥동맥보다 위나 아래에서 시작되는데, 위쪽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더 흔하다. 덧콩팥동맥은 콩팥문으로 들어가지 않고 보통 콩팥의 위쪽이나 아래쪽 부분을 뚫고 들어간다.

2. 2. 변이

콩팥의 혈액 분포 양상에는 변이가 많으며, 각 콩팥에 하나 이상의 콩팥동맥이 존재할 수 있다.[11] 이때 추가적인 동맥들은 콩팥정맥보다 위쪽에서 갈라져 나온다. 하나의 콩팥에 둘 이상의 동맥이 혈액을 공급하는 기형인 과잉콩팥동맥(supernumerary renal arteries)은 콩팥 혈관 기형 중 가장 흔하며, 콩팥의 25~40%에서 발생한다.[18][8] 비정상적인 콩팥동맥이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는 수술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19]

3. 임상적 중요성

콩팥동맥 협착증, 죽상경화증 등 콩팥동맥은 다양한 질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콩팥동맥이 손상되면 콩팥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3. 1. 콩팥동맥 협착증

콩팥동맥 협착증은 한쪽 또는 양쪽 콩팥동맥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혈관이 좁아지면 콩팥으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고, 콩팥은 이를 보상하기 위해 레닌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레닌은 혈압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콩팥동맥 협착증은 고혈압의 원인이 된다. 콩팥동맥 협착증은 일반적으로 콩팥동맥의 이중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풍선 혈관성형술이나 스텐트를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죽상경화증이 콩팥동맥에 발생하여 콩팥의 혈액 관류를 나쁘게 할 수 있으며, 이때는 콩팥의 기능이 감소하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1]

3. 2. 죽상경화증

동맥경화증은 콩팥동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콩팥으로 가는 혈액 공급을 감소시켜 콩팥 기능 저하 및 잠재적으로 콩팥 기능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3. 3. 외상

에 입은 둔상의 4%, 관통상의 7%에서 콩팥동맥이 손상될 수 있다.[20][10]

4. 추가 이미지



콩팥동맥


콩팥동맥


콩팥동맥


콩팥동맥


참조

[1] 논문 Chapter 19 - The Abdominal Aorta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01-01
[2] 학술지 Renin-Dependent Hypertension Caused by Nonfocal Stenotic Aberrant Renal Arteries: Proof of a New Syndrome
[3] 서적 Mathematical Modelling in Medicine IOS Press
[4] EMedicine Renal Artery Aneurysm
[5] 학술지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main renal artery and the presence of an accessory renal artery: sonographic and angiographic evaluation http://www.jultrasou[...]
[6] 학술지 Morphological Expression of the Renal Artery: A Direct Anatomical Study in a Colombian Half-caste Population
[7] 학술지 Anatomy, Abdomen and Pelvis, Renal Artery https://www.ncbi.nlm[...] 2021-11-15
[8] 학술지 "[Accessory renal artery arising from infrarenal aorta, exposed during linphadenectomy due to cytoreductive surgery and HIPEC.]" 2020-01
[9] 학술지 Aberrant renal arteries https://dx.doi.org/1[...] 1973-12-01
[10] 논문 CHAPTER 12 - Renal Arteries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04-01-01
[11] 논문 Chapter 19 - The Abdominal Aorta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01-01
[12] 학술지 Renin-Dependent Hypertension Caused by Nonfocal Stenotic Aberrant Renal Arteries: Proof of a New Syndrome
[13] 서적 Mathematical Modelling in Medicine IOS Press
[14] EMedicine Renal Artery Aneurysm
[15] 학술지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main renal artery and the presence of an accessory renal artery: sonographic and angiographic evaluation http://www.jultrasou[...]
[16] 학술지 Morphological Expression of the Renal Artery: A Direct Anatomical Study in a Colombian Half-caste Population
[17] 학술지 Anatomy, Abdomen and Pelvis, Renal Artery https://www.ncbi.nlm[...] 2021-11-15
[18] 학술지 "[Accessory renal artery arising from infrarenal aorta, exposed during linphadenectomy due to cytoreductive surgery and HIPEC.]" 2020-01
[19] 학술지 Aberrant renal arteries https://dx.doi.org/1[...] 1973-12-01
[20] 논문 CHAPTER 12 - Renal Arteries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0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