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콰드라게시모 안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콰드라게시모 안노》(Quadragesimo Anno)는 교황 비오 11세가 발표한 회칙으로, 레오 13세의 회칙 《새로운 사태》 발표 40주년을 기념하여 발표되었다. 이 회칙은 사유 재산, 자본과 노동의 관계, 사회 질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다루고 있다. 비오 11세는 사유 재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사회적 기능과 공동선에 종속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자본과 노동 간의 연대와 정당한 임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동시에 공산주의를 낳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비판도 덧붙였다. 이 회칙은 현대 분배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국의 사회주의자와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에게도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주의와 사회 - 새로운 사태
    《새로운 사태》는 레오 13세가 발표한 회칙으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하며 사유 재산권 옹호, 노동자 권익 보호, 계급 협조, 사회 정의 실현을 강조하며 가톨릭 사회 운동과 기독교 민주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콰드라게시모 안노
개요
제목 (라틴어)Quadragesimo anno
제목 (한국어 번역)40주년
부제사회 질서 재건에 관하여
발표일1931년 5월 15일
유형교황 회칙
교황비오 11세
페이지 수(정보 없음)
순서31개 중 19번째
이전 회칙혼인 정결
다음 회칙우리는 필요 없다
언어
원어라틴어
IPA/kʷa.draˈd͡ʒɛː.si.mo ˈan.no/

2. 《Rerum Novarum》 이후의 변화

교황 비오 11세는 회칙 《새로운 사태》 발표 40주년이 되는 해에 이 회칙을 발표했다. 그동안 교황 레오 13세의 다른 교황 문헌과 비오 10세의 회칙 《싱굴라리 콰담》도 있었다. 비오 11세는 이 회칙에 《사회 질서의 재건》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그는 첫 번째 부분에서 전임자의 회칙을 검토하고 칭찬했다. 가톨릭교회는 진보에 참여하고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새로운 사회적 양심을 발전시켰다.[1]

3. 사유 재산

가톨릭 교회는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기술적인 측면이 아닌 도덕적, 윤리적 측면을 다룬다. 여기에는 여러 상충된 견해가 가톨릭 교회 내에서 발전해 온 사유 재산[2]의 본질이 포함된다. 비오 11세는 사유 재산이 개인의 발전과 시민 자유를 위해 필수적이며, 이는 부인할 수 없는 기독교적 가치라고 선언한다. 그러나 비오 11세는 사유 재산 또한 사회적 기능을 가지며, 공동선에 종속되지 않으면 도덕적 가치를 잃는다고 말한다. 따라서 정부는 재분배 정책을 추진할 권리가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사유 재산을 수용할 권리도 갖는다.[3]

4. 자본과 노동

교황 비오 11세는 자본과 노동 간의 관계, 그리고 정당한 임금 결정 문제를 관련 문제로 지적한다.[4] 교회는 소득을 기반으로 한 사회 계급 간의 격렬한 대립을 산업 사회에서 잘못된 것으로 여긴다. 그는 이러한 갈등을 완화하고 원인을 개선하려는 모든 시도를 환영한다. 정당한 임금을 결정하는 세 가지 요소는 근로자와 가족의 필요, 기업의 경제적 상황, 그리고 전체 경제이다. 가족은 발전에 대한 고유한 권리를 가지지만, 이는 기능하는 경제와 건실한 기업의 틀 내에서만 가능하다. 이를 위해 교황 비오 11세는 노동자와 고용주 간의 계급 갈등이 아니라, 관련된 당사자들의 상호 의존성을 고려할 때 연대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린다.[4]

5. 사회 질서

산업화는 개인적, 공동체적 수준에서 자유를 감소시켰다고 비오 11세는 말한다. 왜냐하면 수많은 자유로운 사회적 실체들이 더 큰 실체에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개인의 사회는 대중 사회와 계급 사회가 되었다. 오늘날 사람들은 고대 시대보다 훨씬 덜 상호 의존적이며, 스스로의 자유를 되찾기 위해 이기적이거나 계급 의식을 갖게 된다. 교황은 새로운 형태의 협력과 소통을 통해 고용주와 피고용인 간의 더 많은 연대를 요구한다. 비오 11세는 자본주의, 특히 익명의 국제 금융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았다.[5] 그는 자본 시장에 대한 접근이 불충분한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에 의해 압박받거나 파괴되는 것을 개탄한다. 그는 자본의 이익이 국가를 위협하여 잠재적으로 "개인의 이익에 얽매인 노예"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6] 이 회칙은 현재의 자본주의보다 더 큰 연대와 보조성을 추구하는 현대 분배주의 사상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비오 11세는 주로 젠더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아버지의 가족 임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familiae membris reliquis congruere, ut pro sua quisque facultate ad commune sustentaculum conferant, iam obtinet, ut in agricolarum familiis, ita in opificum quoque et tenuis fortunae mercatorum familiis pluries usuvenit. At puerorum, itemque mulierum imbecilliori aetate, in hoc genere abuti, nefas est. Matresfamilias vero, ob domestica in primis opera et curas, intra domesticos potissimum parietes, aut non procul ab iisdem, laborem exerceant suum. Patremfamilias autem tam exiguam mercedem accipere, ut ad communes familiares necessitates, matre ad quaestum extra domesticos parietes faciendos neglectis propriis curis et officiis, praesertim puerorum educatione, compellenda, sustinendas, immanis sane abusus est, qui quibusvis viribus enitendum est, ut tollatur. Danda igitur opera est, ut patresfamiliarum mercedem reportent satis amplam, quae communibus domesticis necessitatibus convenienter sufficiat. Quod si in praesentibus rerum adiunctis non semper fieri poterit, postulat socialis iustitia, ut eae mutationes quam primum inducantur, quibus salaria talia omni adulto opifici praestentur.|가족의 다른 구성원들도 각자의 능력에 따라 공동의 생계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히 옳다. 특히 농부의 가족뿐만 아니라 많은 장인과 소규모 상인의 가족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어린 시절과 여성의 제한된 힘을 악용하는 것은 심각한 잘못이다. 가정일에 집중하는 어머니는 주로 집이나 바로 인접한 곳에서 일해야 한다. 아버지의 낮은 임금 때문에 어머니가 적절한 보살핌과 의무, 특히 자녀 양육을 소홀히 하면서 집 밖에서 수입을 얻는 직업에 종사하도록 강요받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학대이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폐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족의 아버지가 일반적인 가족의 필요를 적절하게 충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 항상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사회 정의는 모든 성인 노동자에게 그러한 임금이 보장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변화가 도입되어야 한다.la 비오 11세[7]

6.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교황 비오 11세는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점을 언급하면서,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동시에 공산주의를 낳는 사회적 조건도 비판한다. 그는 온건한 사회주의가 전체주의적 공산주의와 실질적으로, 그리고 인간 존엄성의 관점에서 원칙적으로 거리를 두기를 원했다.[8] 존엄성과 인간의 자유는 적대적인 계급 대립으로는 보장될 수 없는 윤리적 고려 사항이다. 윤리는 종교에 기반하며, 이것이 바로 교회가 산업 사회와 만나는 영역이다.[9]

교황은 "교리, 역사적 사실, 또는 운동으로서 사회주의는, 우리가 언급한 문제에 대해 진실과 정의에 굴복한 후에도 진정으로 사회주의로 남아 있다면, 사회 그 자체에 대한 개념이 기독교적 진리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과 화해될 수 없다."라고 하였다.[8]

또한 "사회주의는 인간과 사회의 이 숭고한 목적을 완전히 무시하고 무관심하며, 인간의 연합이 물질적 이익만을 위해 제정되었다고 단언한다."라고 비판했다.[8]

7. 회칙에 대한 반응

램지 맥도널드 영국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지부 대표는 웨스트민스터 대주교 추기경에게 사회주의에 대한 회칙의 내용이 가톨릭 신자들이 사회주의 정당에 투표하거나 참여하는 것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문의했다. 추기경은 "회칙에는 가톨릭 신자들이 영국 노동당의 당원이 되는 것을 막을 만한 내용은 없다"고 답했다.[10]

프랭클린 D. 루즈벨트는 회칙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렸고, 집중된 경제 권력의 폐해에 대해 광범위하게 인용했다.[11]

참조

[1] 간행물 Quadragesimo anno
[2] 간행물 Quadragesimo anno
[3] 간행물 Quadragesimo anno
[4] 간행물 Quadragesimo anno
[5] 간행물 Quadragesimo anno
[6] 간행물 Quadragesimo anno
[7] 간행물 Quadragesimo Anno
[8] 간행물 Quadragesimo anno
[9] 간행물 Quadragesimo anno
[10] 뉴스 The Greatest Priest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23-12-03
[11] 서적 Franklin D. Roosevelt and the Third American Revolution ABC-C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