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밀만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인-밀만 정리는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위상 벡터 공간의 비어 있지 않은 볼록 집합에 대한 정리로, 집합을 덮는 볼록 닫힌 부분 집합족이 유한 교차 속성을 가지면 극점을 갖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정리는 콤팩트성과 유사한 볼록 콤팩트성을 사용하며, 강한 크레인-밀만 정리로도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경우, 국소 볼록 공간의 조건이 필요하며, 선형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크레인-밀만 정리는 선택 공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증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리는 민코프스키, 슈타이니츠, 크레인과 밀만에 의해 발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록 껍질 - 라돈의 정리
d차원 공간에서 d+2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집합은 볼록 껍질이 교차하는 두 개의 부분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다는 라돈의 정리는 헬리의 정리 증명에 사용될 뿐 아니라 VC 차원 계산과 중심점 근사 알고리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볼록 껍질 - 볼록 조합
볼록 조합은 실수 벡터 공간에서 유한 개의 점들을 0 이상의 계수 합이 1이 되도록 선형 결합한 것으로, 볼록 집합과 볼록 껍질의 정의에 사용되며 확률 분포 혼합, 모델 앙상블, 경제 모델링 등에 활용된다. - 볼록기하학 정리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는 콤팩트 볼록 집합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반드시 고정점을 가진다는 정리로,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며 함수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볼록기하학 정리 - 헬리의 정리
헬리의 정리는 d차원 공간의 볼록 부분집합들 중 임의의 d+1개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니면 전체 집합의 교집합도 공집합이 아니라는 정리이다. - 이산기하학 정리 - 헬리의 정리
헬리의 정리는 d차원 공간의 볼록 부분집합들 중 임의의 d+1개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니면 전체 집합의 교집합도 공집합이 아니라는 정리이다. - 이산기하학 정리 - 라돈의 정리
d차원 공간에서 d+2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집합은 볼록 껍질이 교차하는 두 개의 부분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다는 라돈의 정리는 헬리의 정리 증명에 사용될 뿐 아니라 VC 차원 계산과 중심점 근사 알고리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크레인-밀만 정리 | |
---|---|
일반 정보 | |
이름 | 크레인-밀만 정리 |
분야 | 함수해석학 |
설명 | 국소 볼록 공간의 콤팩트 볼록 부분집합은 그 극점들의 닫힌 볼록 껍질과 같다. |
역사적 맥락 | |
발표 | 1940년 |
이름의 유래 | 마르크 크레인과 다비트 밀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관련 개념 | |
관련 분야 | 함수해석학, 볼록 기하학 |
관련 정리 | 쇼케 정리 |
2. 정의
X영어가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이라 하자.
Hausdorff영어 국소 볼록 공간 의 콤팩트 볼록 부분집합 는 극점들의 닫힌 볼록 껍질과 같다. 즉, 이다.
벡터 공간의 임의의 원소 x영어와 y영어에 대해, 집합 [x, y] := \{tx + (1-t)y : 0 \leq t \leq 1\영어}를 x영어와 y영어 사이의 '''폐선분''' 또는 '''폐구간'''이라고 한다. x영어와 y영어 사이의 '''개선분''' 또는 '''개구간'''은 x = y영어일 때는 (x, y) := \varnothing영어이고, x \neq y영어일 때는 (x, y) := \{tx + (1-t)y : 0 < t < 1\영어}이다. 이는 (x, y) = [x, y] \setminus \{ x, y \영어} 및 [x, y] = (x, y) \cup \{x, y\영어}를 만족한다. 점 x영어와 y영어는 이러한 구간의 끝점(endpoints)이라고 한다. 구간의 끝점이 서로 다르면 해당 구간을 비퇴화(non-degenerate) 또는 proper라고 한다.
구간 [x, x] = \{x\영어}와 [x, y]영어는 항상 끝점을 포함하지만, (x, x) = \varnothing영어과 (x, y)영어는 끝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만약 x영어와 y영어가 실수선 \R영어 위의 점이라면, [x, y]영어의 위의 정의는 폐구간으로서의 일반적인 정의와 같다.
임의의 p, x, y \in X영어에 대해, 점 p영어가 x영어와 y영어 '''사이에 있다'''는 것은 p영어가 개선분 (x, y)영어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K영어가 X영어의 부분 집합이고 p \in K영어이면, p영어는 K영어의 '''극점'''이라고 하며, K영어의 두 개의 다른 점 사이에 있지 않다. 즉, x, y \in K영어와 0 < t < 1영어이 존재하여 x \neq y영어이고 p = tx + (1-t) y영어인 경우가 없다. 이 문서에서, K영어의 모든 극점 집합은 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평면 \R^2영어의 임의의 볼록 다각형의 꼭짓점은 그 다각형의 극점이다.
\R^2영어에서 폐단위 원판의 극점은 단위 원이다.
\R영어의 모든 개구간과 퇴화된 폐구간은 극점을 갖지 않지만, 비퇴화 폐구간 [x, y]영어의 극점은 x영어와 y영어이다.
집합 S영어가 임의의 두 점 x, y \in S영어에 대해 S영어가 선분 [x, y]영어를 포함하면 '''볼록'''이라고 한다. S영어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볼록 집합을 S영어의 '''볼록 껍질'''이라고 하며, 로 표시한다.
집합 S영어의 '''닫힌 볼록 껍질'''은 \overline{\operatorname{co영어(S)}}로 표시하며, S영어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볼록 집합이다. 이는 또한 S영어를 포함하는 모든 닫힌 볼록 부분 집합의 교집합과 S영어의 볼록 껍질의 폐포와 같다. 즉,
\overline{\operatorname{co영어(S) = \overline{\operatorname{co}(S)},}}
여기서 오른쪽은 의 폐포를 나타내고, 왼쪽은 표기법이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서로 다른 점들의 집합의 볼록 껍질은 공선이면 폐선분, 그렇지 않으면 경계를 포함한 삼각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평면 \R^2영어에서, 단위 원은 볼록하지 않지만 폐단위 원판은 볼록하며, 또한 이 원판은 원의 볼록 껍질과 같다.
3. 크레인-밀만 정리
벡터 공간에서 임의의 원소 와 에 대해, 집합 를 와 사이의 '''폐선분''' 또는 '''폐구간'''이라고 한다. 와 사이의 '''개선분''' 또는 '''개구간'''은 일 때는 이고, 일 때는 이다. 점 와 는 이러한 구간의 '''endpoints'''라고 하며, endpoints가 서로 다르면 해당 구간을 '''비퇴화'''라고 한다.
가 의 부분 집합이고 이면, 는 의 '''극점'''이라고 하며, 의 두 개의 다른 점 사이에 있지 않다. 즉, 와 이 존재하여 이고 인 경우가 없다. 의 모든 극점 집합은 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평면 에서 임의의 볼록 다각형의 꼭짓점은 그 다각형의 극점이다. 에서 폐단위 원판의 극점은 단위 원이다.
집합 가 임의의 두 점 에 대해 선분 를 포함하면 '''볼록'''이라고 한다.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볼록 집합을 의 '''볼록 껍질'''이라고 하며, 로 표시한다. 집합 의 '''폐볼록 껍질'''은 로 표시하며,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볼록 집합이다.
의 극점의 볼록 폐포는 의 볼록 부분 집합을 형성하므로, 증명의 주요 부담은 볼록 폐포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극점이 충분히 많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위상 벡터 공간의 모든 비어있는 콤팩트 볼록 부분 집합은 극점을 가진다.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의 공리적 틀 내에서, 선택 공리('''AC''')는 크레인-밀만 정리를 증명하기에 충분하다. 선택 공리는 불 대수 소 아이디얼 정리('''BPI''')를 함의하지만, BPI와 동치는 아니며, BPI는 바나흐-알라오글루 정리와 동치이다. 크레인-밀만 정리와 BPI를 함께 사용하면 선택 공리가 도출된다.[6]
크레인-밀만 정리는 마르크 크레인과 다비드 밀만에 의해 증명된 원래의 명제는 여기에서 언급된 형태보다 다소 덜 일반적이었다.[7] 그보다 앞서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가 3차원인 경우 가 극점 집합의 볼록 폐포와 같다는 것을 증명했다.[8] 이 주장은 에른스트 슈타이니츠에 의해 임의의 유한 차원 경우로 확장되었다.[9] 크레인-밀만 정리는 이를 임의의 국소 볼록 공간 로 일반화한다.
3. 1. 강한 크레인-밀만 정리 (존재성)
Hausdorff영어 국소 볼록 위상 벡터 공간 의 비어 있지 않은 볼록 부분 집합 가 있고, 를 덮는 의 볼록 닫힌 부분 집합족 가 있다고 하자. 이때, 가 유한 교차 속성을 가지면, 즉 는 비어 있지 않다는 속성을 가진다고 가정한다.[1] 그러면 는 비어 있지 않다. 즉, 는 극점을 가진다.
이 속성은 때때로 준콤팩트성 또는 볼록 콤팩트성이라고 불린다. 콤팩트성은 유한 교차 속성(FIP)을 갖는 닫힌 부분 집합족의 공통 부분이 비어 있지 않으면 콤팩트하다는 점에서 볼록 콤팩트성과 유사하지만, 볼록 콤팩트성은 모든 닫힌 부분 집합이 아닌 볼록한 닫힌 부분 집합만을 고려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4. 일반적인 경우
주변 공간의 국소 볼록성에 대한 가정은 필요하다. 제임스 로버츠는 1977년에 더 일반적인 공간의 반례를 제시했기 때문이다.[2]
선형성 역시 필요하다. 니콜라스 모노가 2016년에 증명했듯이 CAT(0) 공간의 약한 콤팩트 볼록 집합에 대해서는 이 정리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3] 그러나 테오 뷔흘러는 2006년에 크레인-밀만 정리가 ''계량적으로'' 콤팩트한 CAT(0) 공간에 대해서는 성립함을 증명했다.[4][10][11]
5. 관련 결과
가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위상 벡터 공간의 콤팩트 부분 집합이고, 가 의 부분집합이며, 의 닫힌 볼록 껍질이 전체라면, 의 모든 극점은 의 폐포에 속한다. 이 결과는 크레인-밀만 정리의 ''밀만의 (부분) 역''이다.[5]
쇼케–비숍–드 류 정리는 의 모든 점이 의 극점 집합에서 지지되는 확률 측도의 바리센터라고 말한다.
6. 선택 공리와의 관계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에서 선택 공리 또는 그 약한 형태인 불 소 아이디얼 정리를 사용하여 크레인-밀만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1] 크레인-밀만 정리와 불 소 아이디얼 정리를 함께 사용하면 선택 공리를 증명할 수 있다.
7. 역사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3차원 공간에서 K가 극점 집합의 볼록 껍질과 같음을 증명했다.[8] 에른스트 슈타이니츠는 이를 유한 차원으로 확장했다.[9] 마르크 크레인과 다비드 밀만은 이 결과를 국소 볼록 공간으로 일반화했다. 그러나 유한 차원에서 무한 차원 공간으로 일반화하려면 폐포를 사용해야 한다.
참조
[1]
학술지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olean Prime Ideal Theorem and Two Principles in Functional Analysis
https://publish.uwo.[...]
1971
[2]
간행물
A compact convex set with no extreme points
https://eudml.org/do[...]
[3]
간행물
Extreme points in non-positive curvature
[4]
간행물
The Krein–Mil'man theorem for metric spaces with a convex bicombing
[5]
간행물
[6]
학술지
A geometric form of the axiom of choice
http://matwbn.icm.ed[...]
1972
[7]
간행물
On extreme points of regular convex sets
https://eudml.org/do[...]
[8]
간행물
Gesammelte Abhandlungen
Teubner
[9]
간행물
Bedingt konvergente Reihen und konvexe Systeme VI, VII
[10]
웹사이트
The Krein-Mil'man Theorem for Metric Spaces with a Convex Bicombing, Theo Buehler, 2006.
https://arxiv.org/ab[...]
2014-10-31
[11]
웹인용
The Krein-Mil'man Theorem for Metric Spaces with a Convex Bicombing, Theo Buehler, 2006.
http://arxiv.org/a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