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레이모어는 "큰 검"을 의미하는 스코틀랜드 검의 한 종류로, 넓게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대형 검과 한 손으로 사용하는 바스켓 힐트 검을 모두 포함한다. 양손 클레이모어는 중세 시대부터 근세 초기까지 스코틀랜드 씨족 간의 전쟁과 잉글랜드와의 국경 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가볍고 빠른 공격이 가능하여 유럽의 다른 양손검보다 우위를 차지했다. 바스켓 힐트 클레이모어는 한 손 검 크기로 축소되고 힐트에 가드를 달아 손을 보호하게 만든 형태로,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되었다. 클레이모어는 스코틀랜드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의 도검 - 타치
타치는 일본의 전통 도검으로, 기병 전투에 적합하도록 허리에 차고 날을 아래로 향하게 하며, 카타나와 칼자루 서명 위치로 구분된다. - 중세의 도검 - 메서
메서는 15세기 초 독일 남부에서 유래한 외날 검으로, 칼날 한 면이 날카롭고 칼과 유사한 손잡이 구조를 가지며, 손잡이 보호를 위한 '나겔'이라는 돌기가 특징이다. - 근세의 도검 - 사브르
사브르는 9세기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곡선형 검에서 유래하여 17세기 헝가리 후사르 기병을 통해 서유럽에서 널리 사용된, 한쪽 날만 있는 도검으로 기병의 주요 무기였으며, 현대에는 의장용이나 펜싱 종목으로 사용된다. - 근세의 도검 - 츠바이헨더
츠바이헨더는 13세기부터 사용된 1.4m에서 1.8m 길이와 2kg에서 4kg 무게의 양손검으로, 란츠크네히트 용병이 애용했으며 파이크 대형과 함께 싸우거나 갑옷을 입은 상대를 타격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훈련용으로 쓰이거나 대중 문화에 등장한다. - 유럽의 도검 - 글라디우스
글라디우스는 고대 로마 군인들이 사용한 검으로, 히스파니아 검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찌르기와 베기에 모두 사용되었고 로마 군대의 주요 백병전 무기였다. - 유럽의 도검 - 에페
에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펜싱 종목으로, 전신이 유효 타겟이며, 특정 압력 이상으로 검 끝을 눌러야 득점이 인정되고, 19세기 결투용 검에서 유래하여 발전했다.
클레이모어 | |
---|---|
개요 | |
명칭 | 클레이모어 |
다른 이름 | 클레이드모어 (Claidheamh mòr) 클레이브모어 (Claymore) |
종류 | 양손검 |
역사 | |
사용 시기 | 1400년경 ~ 1700년경 |
사용 지역 | 스코틀랜드 고지대 |
특징 | |
무게 | 약 2.2kg ~ 2.8kg |
전체 길이 | 약 120cm ~ 140cm |
칼날 길이 | 약 100cm ~ 120cm |
칼날 형태 | 양날 |
손잡이 형태 | 양손 십자형, 폼멜 장식 |
용도 | 베기, 찌르기 |
관련 | |
파생 무기 | 스코틀랜드 브로드소드 |
2. 어원
"클레이모어(claymore)"라는 용어는 갈리아어 "클레이드헴 모르"(갈리아어로 "큰 검"을 뜻한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이론으로는 "클레이드헴 다 라므"("양손검"을 뜻함)에서 왔다는 주장도 있다. "클레이드헴"은 라틴어 "글라디우스"와 같은 어원을 가진다.[3]
양손 클레이모어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스코틀랜드 고지인들이 씨족 간 항쟁이나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사용했던 양손 대검이다. 당시 유럽의 양손검으로서는 소형이었지만, 가벼워서 빠른 검술이 가능했기 때문에 오히려 유럽의 양손검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칼날은 1미터 정도이며, 칼등은 칼날 쪽으로 경사져 있고 좌우로 크게 벌어져 있으며, 끝에는 주로 네잎 모양을 한 장식 고리가 여러 개 달려 있어 외관상 큰 특징을 보인다. 초기 검의 잎 모양 손잡이는 바이킹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았다.[11]
1772년에는 "클레이모어"가 "큰 양손검"을 뜻하는 "Cly-more"로 기록되었다.[3] 1773년에는 "현재 사용되는 브로드소드…클레이모어(즉, 큰 검)라고 불린다"라는 기록도 있다.[4] 그러나 OED은 이 용법이 "부정확하지만 매우 일반적"이라고 언급하며, 1911년 ''Encyclopædia Britannica'' 역시 바스켓 힐트 검에 "잘못" 사용되었다고 판단했다.[5]
폴 와그너와 크리스토퍼 톰슨은 "클레이모어"라는 용어가 처음에는 바스켓 힐트 브로드소드에, 그 후 모든 스코틀랜드 검에 적용되었다고 주장하며, 1715년 팸플릿에서 "팔 길이의 절반 이상의 날카로운 강철 촉이 그의 왼팔의 중앙에 고정된 멋진 강력한 방패, 그의 옆에는 튼튼한 클레이모어가 있다."라는 인용문을 제시한다. 또한 1678년 이전부터 전투 함성으로 사용된 것을 언급한다.[6]
일부 저술가들은 ''claybeg''이 스코틀랜드 게일어 ''claidheamh beag'' (“작은 검”)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한다.[7] 그러나 R. A. 아암스트롱(1825)의 ''게일어 사전''에 따르면, ''claidheamh mòr'' (“큰/훌륭한 검”)은 “브로드소드”로, ''claidheamh dà làimh''는 “양손검”으로 번역되며, ''claidheamh beag'' (“작은 검”)은 “빌보”의 번역어로 제시된다.[8]
클레이모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검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사용되었던 양손 대검이고, 다른 하나는 18세기부터 사용된 바스켓 힐트(basket hilt) 한손 도검이다.
3. 양손 클레이모어
3. 1. 특징
양손 클레이모어는 중세 시대에 사용된 검이다. 14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잉글랜드와의 국경 분쟁이나 부족 간의 내전에서 주로 쓰였다.[9] 킬리크랭키 전투(1689년)는 클레이모어가 사용된 최근의 유명한 전투이다.[9] 클레이모어는 동시대의 다른 양손검보다 조금 작았지만, 가벼워서 빠른 공격이 가능했고, 십자형 가드가 커서 상대를 무장 해제시키는 데 유리했다.
양손 클레이모어는 후기 중세 및 근세 초기에 사용된 대형 검으로, 1400년경부터 1700년까지 스코틀랜드 씨족 간의 전쟁과 영국과의 국경 분쟁에 사용되었다.[9]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시대부터 클레이모어가 존재했지만, 당시의 클레이모어는 크기가 더 작았고, 사엽형 디자인(존 발리올 스코틀랜드 국왕의 대인장에 묘사)을 가진 것은 몇 개 없었다.[10]
평균적인 클레이모어의 전체 길이는 약 140cm이며, 손잡이는 33cm, 칼날은 107cm, 무게는 약 약 2.49kg이다. 1772년 토마스 페넌트는 레이지 섬에서 본 검에 대해 "다루기 어려운 무기, 너비 약 5.08cm, 양날, 칼날 길이 약 0.91m, 손잡이 길이 약 35.56cm, 단순한 횡단형 가드 약 0.30m, 무게 약 2.72kg"라고 기록했다.[12]
클레이모어는 바퀴 모양의 손잡이 끝 (종종 초승달 모양 너트로 덮임), 곧고 앞쪽으로 기울어진 팔이 사엽형으로 끝나는 가드, 가드에서 칼날 중앙으로 내려가는 랑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조개껍질 손잡이" 클레이모어는 아래쪽으로 휘어진 두 개의 팔과 앞쪽 손잡이를 보호하는 두 개의 크고 둥근 오목한 판(열린 조개 모양)으로 구성된 가드를 가진다.
4. 바스켓 힐트 클레이모어
18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바스켓 힐트(basket hilt)의 한손용 도검이다. 브로드소드의 일종으로, '''바스켓 힐티드 소드'''(Basket-hilted Sword), '''백소드'''(BackSword)라고도 불리며, 세이버에 가깝다. 스코틀랜드 부대에서 즐겨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 기병 부대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어로는 '''파라슈'''(палашru, 로마자 표기: Palash영어)라고 불린다.
4. 1.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사용
19세기에 스코틀랜드 병사들은 한손검 크기로 축소시키고 힐트(손잡이)에 가드를 달아 손을 보호하게 만든 형태의 바스켓-힐트 클레이모어를 선호했다. 이 검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까지 쓰였다. 잭 처칠 중령은 2차 세계대전 때 공식적으로 바스켓-힐트 클레이모어를 무장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클레이모어의 최근 모습은 하이랜드 전통 행사에서 볼 수 있는데, 이 행사에서는 영국군 중 일부가 검과 전통 복장을 하고 전통 춤을 춘다.5. 대중문화
- 스코틀랜드 밴드 미들 오브 더 로드의 노래 "트위들 디, 트위들 덤"에는 "손에 클레이모어를 든" 스코틀랜드 전사들이 전투에 나서는 내용이 나온다.
- 드류 맥킨타이어의 WWE 피니쉬 무브는 "클레이모어 킥"으로 알려져 있다. 맥킨타이어는 고인이 된 어머니의 이름을 딴 '앤젤라'라는 클레이모어 검을 들고 경기에 출전하기도 했다.[13][14]
- 비디오 게임 ''팀 포트리스 2''에는 "아이랜더"라는 귀신이 든 클레이모어와 잘못 이름이 붙여진 차이핸더 "클라이드엠 모르"가 등장한다.
-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 에피소드 "비둘기의 날"에서, 스콧 수석 엔지니어는 함선의 무기가 고대 무기로 교체되었을 때 클레이모어를 발견하여 보관한다.
- 비디오 게임 ''포 아너''에서 하이랜더 캐릭터는 클레이모어를 사용한다.
- 클레이모어는 ''다크 소울''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무기이다.
- 2023년 ''슈퍼 마리오 RPG'' 리메이크에서 무기를 테마로 한 보스 중 하나는 클레이모턴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 비디오 게임 ''원신''에서 클레이모어는 게임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무기 종류 중 하나이다.
- 미국의 록 밴드 윈은 1997년 앨범 "더 몰러스크"에 수록된 "더 블러니 스톤"이라는 노래에서 클레이모어에 대해 부른다.
참조
[1]
서적
claymore
http://dictionary.oe[...]
Oxford English Dictionary
[2]
서적
The Word Claymore
John Donald Publishers
[3]
서적
A map of Scotland, the Hebrides, and part of England
[4]
서적
The journal of a tour to the Hebrides, with Samuel Johnson
[5]
백과사전
Claymore
[6]
서적
Spada II: Anthology of Swordsmanship
Chivalry Bookshelf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word
https://books.google[...]
[8]
서적
A Gaelic Dictionary
https://archive.org/[...]
The Chivalry Bookshelf
[9]
서적
Swords and Sabres
[10]
서적
Records of the Medieval Sword
BOYDELL&BREWER Ltd
[11]
문서
Highland grave slab
national museum of Scotland
[12]
서적
Spada II: Anthology of Swordsmanship
Chivalry Bookshelf
[13]
웹사이트
Drew McIntyre Reveals It Was Vince McMahon That Named His Sword Angela
https://411mania.com[...]
2021-11-08
[14]
웹사이트
Why Drew McIntyre Carries A Sword With Him In WWE, Explained
https://www.thesport[...]
2022-10-14
[15]
웹사이트
스코틀랜드 게일어 유래의 영어 단어 목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