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스터 캄펜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스터 캄펜 전투는 1760년 가을, 페르디난트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이 이끄는 영국-하노버 연합군과 드 카스트리 후작이 지휘하는 프랑스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연합군은 라인강 동쪽의 베젤을 포위하여 프랑스군을 유인하려 했고, 프랑스군은 클로스터 캄펜 지역에서 연합군을 요격했다. 전투는 연합군의 기습으로 시작되었으나, 프랑스군의 반격으로 연합군은 패배하여 라인강 너머로 퇴각했다. 이 전투의 패배는 영국에서 실망을 안겨주었으나, 페르디난트는 이후 하노버를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0년 프랑스 - 바르부르크 전투
7년 전쟁 중 바르부르크 인근에서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가 이끄는 연합군이 무이 백작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을 격파하여 하노버 방어에 기여했으며, 이후 영국에서 그랜비 후작의 용맹함을 기리는 문화적 상징이 만들어진 전투이다. - 1760년 프랑스 - 엠스도르프 전투
엠스도르프 전투는 7년 전쟁 중 하노버-헤센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영국 제15 경기병 연대의 활약이 돋보였으며, 마르부르크 점령에는 실패했으나 제15 경기병 연대는 영국 최초의 전투 훈장을 받았다. - 1760년 신성 로마 제국 - 토르가우 전투
토르가우 전투는 1760년 7년 전쟁 중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의 전투로, 프로이센이 승리했으나 막대한 사상자를 내며 전략적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1760년 신성 로마 제국 - 바르부르크 전투
7년 전쟁 중 바르부르크 인근에서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가 이끄는 연합군이 무이 백작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을 격파하여 하노버 방어에 기여했으며, 이후 영국에서 그랜비 후작의 용맹함을 기리는 문화적 상징이 만들어진 전투이다.
클로스터 캄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전투 이름 | 클로스터 캄펜 전투 |
일부 | 7년 전쟁의 일부 |
날짜 | 1760년 10월 15일 |
장소 | 클로스터 캄펜, 현재의 독일 |
결과 | 프랑스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프로이센 왕국 하노버 선제후국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헤센-카셀 방백국 |
교전국 2 | 프랑스 왕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 |
지휘관 2 | 카스트리 후작 샤를 외젠 가브리엘 드 라 크루아 로샹보 백작 장바티스트 도나티앵 드 비뫼르 |
병력 규모 | |
병력 1 | 26,000명 |
병력 2 | 25,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1,628명 사망 또는 부상 1,600명 포로 |
사상자 2 | 2,036명 사상 |
이미지 | |
![]() |
2. 배경
1760년 가을, 영국과 하노버 연합군의 지휘관 페르디난트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은 프랑스군에 의한 하노버의 위협에 대처하려 했다. 그는 견제책으로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가 이끄는 2만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라인강 동쪽 기슭의 Wesel|베젤영어[3]을 포위하여 프랑스군을 서쪽으로 유인하려 했다. 프랑스군은 베젤을 지키려 리페 강 어귀에서 라인강에 가설된 다리를 불태웠고, 드 카스트리 후작이 증원을 이끌고 급행했다.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는 베젤을 포위하고 부교 2개를 만들어 라인강 서쪽 기슭의 클로스터 캄펜 지역에서 드 카스트리 후작을 요격하려 했다.
2. 1. 연합군의 구성
1760년 가을 전투 당시 연합군의 지휘관은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였다. 그는 프랑스군을 서쪽으로 유인하기 위해 2만 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이 병력은 브라운슈바이크의 에르프린츠가 지휘했다.연합군 부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부대 |
---|---|
선봉대 | 조지 오거스터스 엘리엇 소장 지휘 |
주 공격 부대 | |
기병대 | 주력 부대 뒤에 배치 |
예비대 | 본대에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 |
전투는 한밤중에 동맹군의 선봉대가 클로스터 캄펜 수도원과 도랑을 건너는 다리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내면서 시작되었다. 동맹군의 기습에 대한 프랑스군의 저항으로 인해 총소리가 났고, 이로 인해 프랑스 본대는 적이 기습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국과 독일의 보병연대가 공격을 위해 움직일 무렵 동이 트기 시작했다. 이때 하이랜더 연대가 프랑스군의 측면을 공격하였고,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4]
연합군의 패배는 영국에서 실망을 안겨주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프리드리히 대왕의 군대가 대대적으로 확장된 이후 더 좋은 소식을 기대했기 때문이다.[1] 이는 페르디난트의 연합군 지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지만, 페르디난트는 이 작전 기간 동안 수적으로 열세인 군대를 이끌었고, 바르부르크, 펠링하우젠, 빌헬름스탈에서 승리하여 하노버를 침략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방어했다.[1]
[1]
서적
His Britannic Majesty's Army in Germany During the Seven Years War
Oxford University Press
3. 전투
드 카스트리 후작은 예비대를 불러오고, 패주하던 프랑스군을 집결시킨 후 동맹군 보병대에 대하여 반격에 나섰다. 프랑스군의 공격은 영국과 독일 부대의 전열을 흩뜨려놓는 데 성공하였다. 프랑스군은 영국과 독일군을 여울 너머로 격퇴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동맹군 예비대도 투입되었으나,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전장에 도착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프랑스군은 돌격을 계속할 수 있었다.
여울의 서쪽 끝에서 엘리엇은 3개의 영국 기병 연대를 이끌고 돌격에 나서 프랑스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하였고 이 틈을 타서 동맹군 보병대는 북쪽 강기슭으로 물러나는 데 성공하였다. 동맹군 예비부대는 방어선을 구성하여 퇴각하는 동맹군이 전열을 재정비하도록 도왔다. 이때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은 동맹군에게 라인 강 너머로 퇴각하라고 명령하였다. 그러나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은 강변에 도착했을 때 도하에 필요한 부교가 물에 잠겨 버린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강을 건너기 위해 2일이 걸렸다. 다행히도 프랑스군은 승기를 몰아 동맹군을 공격하지 않았고 덕분에 동맹군은 무사히 라인 강을 건널 수 있었다.
4. 영향
참조
[2]
서적
His Britannic Majesty's Army in Germany During the Seven Years War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French Navy and the Seven Years' Wa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
서적
The French Navy and the Seven Years' Wa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
서적
The American Cyclopaedia
http://www.anyflag.c[...]
New York
2008-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