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부르크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부르크 전투는 1760년 7월 31일, 7년 전쟁 중 서부 전선에서 일어난 전투이다.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가 이끄는 연합군은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의 하노버 점령 시도를 저지하고, 연합군의 베스트팔렌 방어에 기여했다. 전투 결과 연합군은 1,173명의 사상자를 냈고, 프랑스군은 4,203명의 손실을 입었다. 바르부르크 전투는 영국 기병대의 활약으로 유명하며, 그랜비 후작의 용맹한 지휘는 "go bold-headed"라는 영어 관용구의 유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0년 7월 - 엠스도르프 전투
엠스도르프 전투는 7년 전쟁 중 하노버-헤센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영국 제15 경기병 연대의 활약이 돋보였으며, 마르부르크 점령에는 실패했으나 제15 경기병 연대는 영국 최초의 전투 훈장을 받았다. - 1760년 프랑스 - 클로스터 캄펜 전투
클로스터 캄펜 전투는 7년 전쟁 중 페르디난트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이 이끄는 동맹군이 라인강 서쪽 클로스터 캄펜 근교에서 샤를르 외젠 가브리엘 드 라 크루아 드 카스트리 후작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에게 캄펜 수도원에서 패배한 전투이다. - 1760년 프랑스 - 엠스도르프 전투
엠스도르프 전투는 7년 전쟁 중 하노버-헤센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영국 제15 경기병 연대의 활약이 돋보였으며, 마르부르크 점령에는 실패했으나 제15 경기병 연대는 영국 최초의 전투 훈장을 받았다. - 1760년 신성 로마 제국 - 토르가우 전투
토르가우 전투는 1760년 7년 전쟁 중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의 전투로, 프로이센이 승리했으나 막대한 사상자를 내며 전략적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1760년 신성 로마 제국 - 클로스터 캄펜 전투
클로스터 캄펜 전투는 7년 전쟁 중 페르디난트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이 이끄는 동맹군이 라인강 서쪽 클로스터 캄펜 근교에서 샤를르 외젠 가브리엘 드 라 크루아 드 카스트리 후작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에게 캄펜 수도원에서 패배한 전투이다.
바르부르크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바르부르크 전투 |
일부 | 7년 전쟁 |
장소 | 현재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바르부르크, 파더보른 주교후국 |
날짜 | 1760년 7월 31일 |
결과 | 연합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하노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 헤센-카셀 |
지휘관 및 병력 | |
지휘관 1 | 페르디난트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
지휘관 2 | 루이 드 무이 |
병력 1 | 62,000명 (16,000명 교전) |
병력 2 | 130,000명 (20,000명 교전) |
피해 규모 | |
사상자 1 | 1,200명 사망 또는 부상 |
사상자 2 | 1,500명 사망 또는 부상 1,500명 포로 대포 12문 손실 |
전투 지도 | |
![]() |
2. 배경
1748년 아헨 조약으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종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북아메리카 및 인도 식민지에서 벌어졌던 영국과 프랑스의 전쟁도 끝났다. 유럽의 분쟁 지역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영유했던 슐레지엔은 프로이센령으로 인정되었으나, 근본적인 대립은 남아있었다. 1755년 오하이오 강 계곡에서 영국과 프랑스가 다시 충돌했고, 오스트리아 재상 카우니츠 백작의 주도로 신성 로마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은 프로이센에 대항하여 프랑스 및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다.[7]
1756년 5월, 프랑스와 영국 간에 전쟁이 발발하자 8월에는 중앙 유럽에서도 프로이센의 작센 진공과 함께 전단이 열렸다. 같은 해 1월 16일, 웨스트민스터 조약 이후 영국과 프로이센은 동맹국이 되었다. 영국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프로이센을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프로이센은 영국에 대해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령(하노버 선제후령)의 군사적인 보호를 보장했다. 하노버는 동군 연합을 통해 하노버 선제후이기도 했던 영국 국왕 조지 2세(1683년-1760년)의 고향이었다. 프랑스의 대영국 전략은 하노버 선제후령을 점령하여, 향후 강화 협상에서 식민지 획득과 맞바꿀 수 있는 담보를 얻는 데 있었다.[7]
1760년 초여름, 서부 전선 연합군 총사령관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는 브로이 원수 휘하의 프랑스군에 대해 주도권을 잡으려 했다. 그는 헤센-카셀 방백령에서 작전을 시작하여 작센하우젠 (발데크)|Sachsenhausen (Waldeck)de 근교에 전개한 프랑스 군단 2개의 합류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 1760년 7월 10일 콜바흐 전투에서 연합군 부대가 패배했다.[10]
66,000명의 연합군에 100,000명이 넘는 프랑스군이 대치하는 상황이었지만, 양측 모두 며칠 동안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 브로이 원수가 연합군의 후방을 위협하려 파견한 프랑스 군단은 1760년 7월 16일 엠스도르프 전투에서 소모되었다.[10]
이후 브로이 공작은 군대 대부분과 함께 공세로 전환, 7월 27일까지 연합군을 풀다 강 후방으로 밀어냈다. 연합군의 주력이 카셀 근교에 전개된 한편, 프랑스군의 주력은 발호른|Balhornde에 주둔했다. 브로이 공작은 예비 군단을 무이 백작에게 맡기고 디멜 강의 도하점을 연합군으로부터 빼앗기 위해 폴크마르젠을 거쳐 슈타트베르겐으로 파견했다. 바르부르크 근교의 도하점에는 장 크레티앵 피셔|Jean Chrétien Fischer영어 소장이 지휘하는 의용 부대가 향하게 되었다. 이 도하점을 점령하기 위해 바르부르크에 증원이 보내질 때, 무이 백작도 그 명령에 따랐다. 그는 야전 보병 28개 대대, 민병대 2개 대대, 31개 기병 중대와 의용 부대 1개 부대 등 총 20,000명가량을 이끌고 7월 29일 저녁에 그곳에 도착했다.[4] 그 후 북동쪽 켈베케 (보겐트라이히)|Körbecke (Borgentreich)de에서 연합군 부대가 발견되자 프랑스군 각 연대는 바르부르크와 오센도르프 (바르부르크)|Ossendorf (Warburg)de 사이에서 그쪽을 향해 주둔했다.[11]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는 브로이 공작의 디멜 강 진격으로 인해 베스트팔렌 공국|Duchy of Westphaliade에 있는 자군 보급 기지와 요새로부터 차단될 위기에 놓였다. 우세한 프랑스군에 대해 불리한 상황에서 싸움을 걸거나, 베저 강을 건너 회피할 수밖에 없었다. 후자는 헤센과 베스트팔렌 전역의 상실을 의미했다. 공작은 프랑스군보다 먼저 도착시키기 위해 각 부대를 디멜 강으로 진격시키기로 결정한다. 7월 28일, 리베나우 근교에서 뷰로 소령이 지휘하는 레지옹 브리타니크|Légion Britannique프랑스어는 바르부르크로 후퇴하던 '피셔 의용 부대'의 전초와 마주쳤다. 공작은 프리드리히 폰 슈페르켄 대장에게 14개 대대, 14개 기병 중대와 대포 22문을 맡겨 바르부르크로 보냈다. 이 군단은 7월 29일 켈베케에 도착한다. 다음 날에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세자가 지휘하는 10개 대대, 8개 기병 중대 및 대포 4문의 증원이 도착했다.[12]
연합군 본영에서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의 비서이자 참모총장이었던 필리프 폰 베스트팔렌|Philipp von Westphalende은 신속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설득했다. 무이 백작의 군단이 증원을 받으면 디멜 강에서 공세자의 군대가 패배할 우려가 있었다. 필리프 폰 베스트팔렌은 주력과 함께 디멜 강으로 급히 이동하여 그곳에서 무이 백작을 격파하도록 건의했다.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킬만세그|Georg Ludwig von Kielmanseggde의 후위 부대만이 카셀을 지키고, 필요하다면 거기서 철수하도록 했다. 무이 백작의 군단이 격파되어야 일시적으로 포기된 헤센을 다시 점령할 수 있었다. 공작은 즉시 7월 30일 저녁 출발을 명령했다.[13]
뮈 중장은 연합군이 근처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아침 안개 때문에 지형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카스트리 후작 중장을 몇 개의 척탄병·엽병 연대, 용기병 2개 연대 그리고 "피셔 의용부대"와 함께 데젠베르크로 보냈다. 카스트리 후작은 아우구스트 크리스티안 폰 뷔로우|August Christian von Bülowde 소령이 이끄는 "영국군단"과 마주쳤지만, 이 부대는 레제베크로 물러났다. 오전 9시 30분경 안개가 걷히자 카스트리 후작, 그리고 뮈 백작은 접근해오는 적의 전열을 알아차렸다. 뮈 백작은 데젠베르크에 1개의 후위 부대를 남기고, "피셔 의용부대"에게 바르부르크를 점령하도록 명령했다. 최종적으로는 지휘 하의 부대에 전열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공격은 동쪽에서 올 것으로 예상했기에, 진형도 그쪽으로 향해 있었다. 보병 4개 여단과 포병 2개 대대가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의 지휘 하에, 바르부르크 서쪽의 고지에 진을 쳤다. 좌익은 오센도르프 전면에서 갈고리 모양으로 꺾여 있었다. 그 오른쪽에서는 모푸 후작이 이끄는 보병 2개 여단이 인접해 있었다. 뤼첼부르크와 도베 장군들이 이끄는 기병은 공격에 적합한 지형이 펼쳐지는 중앙에 배치되었다. 기병 후방에서, 뮈 백작은 "르엘르그" 여단을 예비로 남겨두었다. 군수품 부대는 디멜강 남쪽 기슭으로 옮겨졌다.[17]
2. 1. 정치적 상황
1748년 10월 18일에 체결된 아헨 조약은 8년 이상 지속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종결시켰다. 이 조약으로 북아메리카 및 인도 식민지에서 벌어졌던 영국과 프랑스의 전쟁도 끝났다. 유럽의 분쟁 지역에서, 과거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영유했던 슐레지엔은 프로이센령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근본적인 대립은 남아있었고, 1755년에 상황은 다시 긴박해졌다.[7] 오하이오 강 계곡에서는 영국과 프랑스가 다시 충돌했고, 오스트리아의 재상 카우니츠 백작의 주도로 신성 로마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은 프로이센에 대항하여 프랑스 및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다.1756년 5월, 프랑스와 영국 간에 전쟁이 발발하자 8월에는 중앙 유럽에서도 프로이센의 작센 진공과 함께 전단이 열렸다. 같은 해 1월 16일, 웨스트민스터 조약 이후 영국과 프로이센은 동맹국이었다. 이 조약에서 영국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프로이센을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프로이센은 영국에 대해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령(하노버 선제후령)의 군사적인 보호를 보장했다. 하노버는 동군 연합을 통해 하노버 선제후이기도 했던 영국 국왕 조지 2세(1683년-1760년)의 고향이었다. 프로이센을 프랑스와의 전쟁에 끌어들인 것은 무엇보다 이러한 사정 때문이었다. 이 전쟁에서 프랑스의 대영국 전략은 하노버 선제후령을 점령하여, 향후 강화 협상에서 식민지 획득과 맞바꿀 수 있는 담보를 얻는 데 있었다.[7]
2. 2. 1760년 여름의 작전
1760년 초여름, 서부 전선 연합군 총사령관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는 브로이 원수 휘하의 프랑스군에 대해 주도권을 잡으려 시도했다. 그는 헤센-카셀 방백령에서 작전을 시작하여 먼저 작센하우젠 (발데크)|Sachsenhausen (Waldeck)de 근교에 전개한 프랑스 군단 2개의 합류를 막으려 했다. 그러나 이 초동은 실패로 끝나 1760년 7월 10일 콜바흐 전투에서 연합군 부대의 패배로 이어졌다.[10]전반적으로 66,000명의 연합군에 100,000명이 넘는 프랑스군이 대치하는 상황이었지만, 쌍방 모두 며칠 동안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 브로이 원수가 연합군의 후방을 위협하려 파견한 프랑스 군단은 1760년 7월 16일 엠스도르프 전투에서 소모되었다.[10]
이후 브로이 공작은 휘하 군대의 대부분과 함께 공세로 전환하여 7월 27일까지 연합군을 풀다 강 후방으로 밀어냈다. 연합군의 주력이 카셀 근교에 전개된 한편, 프랑스군의 주력은 발호른|Balhornde에 주둔했다. 브로이 공작은 예비 군단을 무이 백작에게 맡기고 디멜 강의 도하점을 연합군으로부터 빼앗기 위해 폴크마르젠을 거쳐 슈타트베르겐으로 파견했다. 바르부르크 근교의 도하점에는 장 크레티앵 피셔|Jean Chrétien Fischer영어 소장이 지휘하는 의용 부대가 향하게 되었다. 이 중요한 도하점을 점령하기 위해 바르부르크에 증원이 보내질 때, 무이 백작도 그 명령에 따랐다. 그는 야전 보병 28개 대대, 민병대 2개 대대, 31개 기병 중대와 의용 부대 1개 부대 등 총 20,000명가량을 이끌고 7월 29일 저녁에 그곳에 도착했다.[4] 그 후 북동쪽 켈베케 (보겐트라이히)|Körbecke (Borgentreich)de에서 연합군 부대가 발견되자 프랑스군 각 연대는 바르부르크와 오센도르프 (바르부르크)|Ossendorf (Warburg)de 사이에서 그쪽을 향해 주둔했다.[11]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는 곤경에 처했다. 브로이 공작의 디멜 강 진격으로 인해 연합군은 베스트팔렌 공국|Duchy of Westphaliade에 있는 자군 보급 기지와 요새로부터 차단될 위기에 놓였다. 그렇게 되면 우세한 프랑스군에 대해 풀다 강과 디멜 강 사이에서 불리한 상황에서 싸움을 걸거나, 전년처럼 베저 강을 건너 회피할 수밖에 없었다. 후자는 헤센과 베스트팔렌 전역의 상실을 의미했다. 따라서 공작은 프랑스군보다 먼저 도착시키기 위해 지휘하의 각 부대를 디멜 강으로 진격시키기로 결정한다. 7월 28일, 그곳 리베나우 근교에서 뷰로 소령이 지휘하는 레지옹 브리타니크|Légion Britannique프랑스어는 바르부르크로 후퇴하던 '피셔 의용 부대'의 전초와 마주쳤다. 공작은 이로 인해 프랑스군의 움직임을 알게 되자 프리드리히 폰 슈페르켄 대장에게 14개 대대, 14개 기병 중대와 대포 22문을 맡겨 바르부르크로 보냈다. 이 군단은 7월 29일 켈베케에 도착한다. 다음 날에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세자가 지휘하는 10개 대대, 8개 기병 중대 및 대포 4문의 증원이 도착했다.[12]
연합군 본영에서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의 비서이자 실질적인 참모총장이었던 필리프 폰 베스트팔렌|Philipp von Westphalende이 공작에게 이 상황에서는 신속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설득했다. 현재 상황에서 무이 백작의 군단이 증원을 받으면 디멜 강에서 공세자의 군대가 패배할 우려가 있었다. 필리프 폰 베스트팔렌은 주력과 함께 디멜 강으로 급히 이동하여 그곳에서 무이 백작을 격파하도록 건의했다.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킬만세그|Georg Ludwig von Kielmanseggde의 후위 부대만이 카셀을 지키고, 필요하다면 거기서 철수하도록 했다. 무이 백작의 군단이 격파되어야 일시적으로 포기된 헤센을 다시 점령할 수 있었다. 이를 받아들여 공작은 즉시 7월 30일 저녁 출발을 명령했다.[13]
뮈 중장은 연합군이 근처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아침 안개 때문에 지형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그래서 상황을 더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카스트리 후작 중장을 몇 개의 척탄병·엽병 연대, 용기병 2개 연대 그리고 "피셔 의용부대"와 함께 데젠베르크로 보냈다. 카스트리 후작은 거기서 아우구스트 크리스티안 폰 뷔로우|August Christian von Bülowde 소령이 이끄는 "영국군단"과 마주쳤지만, 이 부대는 재빨리 레제베크로 물러났다. 오전 9시 30분경 안개가 걷히자 카스트리 후작, 그리고 달려온 뮈 백작은 접근해오는 적의 전열을 마침내 알아차렸다. 뮈 백작은 데젠베르크에 1개의 후위 부대를 남기고, "피셔 의용부대"에게 바르부르크를 점령하도록 명령했다. 최종적으로는 지휘 하의 부대에 전열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공격은 동쪽에서 올 것으로 예상했기에, 진형도 그쪽으로 향해 있었다. 보병 4개 여단과 포병 2개 대대가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의 지휘 하에, 바르부르크 서쪽의 고지에 진을 쳤다. 좌익은 오센도르프 전면에서 갈고리 모양으로 꺾여 있었다. 그 오른쪽에서는 모푸 후작이 이끄는 보병 2개 여단이 인접해 있었다. 뤼첼부르크와 도베 장군들이 이끄는 기병은 공격에 적합한 지형이 펼쳐지는 중앙에 배치되었다. 기병 후방에서, 뮈 백작은 "르엘르그" 여단을 예비로 남겨두었다. 군수품 부대는 만약을 위해, 디멜강 남쪽 기슭으로 옮겨졌다.[17]
3. 바르부르크 주변의 지형
바르부르크는 파더보른 주교령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지만, 중세 시대부터 있던 성벽 방어는 불충분했다. 도시 북동쪽에는 비옥한 바르부르크 뵈르데의 중심에 가파른 산인 데젠베르크가 솟아 있었다. 남쪽에서는 디멜 강이 전장을 나누고 있었는데, 다소 어려웠지만 부대가 도하할 수 있었다. 이 전투에서 중요했던 것은 오센도르프로 향하는 오르막길이었으며, 약간 떨어진 곳에는 다른 고지대인 하인베르크가 있었다.[14]
하인베르크에는 오래된 감시탑인 하인탑이 있다. 전투가 벌어졌을 때, 밭은 수확 시기를 맞이하고 있었다.[14]
4. 전투의 추이
뮈 백작의 군단은 민병대대와 의용부대를 제외하고 28개 대대, 31개 기병 중대, 대포 24문으로 총 18,000명에 달했다. 이들은 디멜 강 북쪽, 바르부르크에서 오센도르프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에 배치되었다. 프랑스군의 진지에서는 데젠베르크까지, 다제부르크(Daseburg) 남서쪽의 넓은 땅을 조망할 수 있었다. 이 진지는 비교적 좋았지만, 종심이 부족하여 부대 배치를 전환하기 어려웠다는 단점이 있었다. 진지 남쪽에는 바르부르크와 게르메테(Germete)에 디멜 강을 건널 수 있는 다리가 있었지만, 당시에는 강의 수량이 적었다.
4. 1. 연합군의 진격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세자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는 7월 30일 아침, 데젠베르크에서 프랑스군의 진지를 관찰했다. 그는 작년 겨울에 바르부르크에서 동계 야영을 했었기에 이 땅을 잘 알고 있었다. 공격을 결심하고 연합군 본부에 그 뜻을 전달한 공세자는 지휘 하의 부대를 이끌고 야간에 프랑스군 진지를 우회하여 하인베르크에서 그 좌측면을 치려고 계획했다. 정면에서는 양동 작전으로 경미한 공격만 가하기로 했다. 그 전에, 브라운슈바이크 공은 전군을 이끌고 바르부르크로 향하기로 결심하고, 주력이 디멜 강을 건너 충분히 접근할 때까지 대기한 후 우회 행동을 시작하라고 공세자에게 명령했다.주력군은 오후 9시 칼덴의 본영을 출발하여 리베나우와 트렌델부르크 사이에서 부교를 이용하여 디멜 강을 건넜다.[15]
공은 바르부르크 부근에 도착한 아침, 주력군의 도하가 늦어지자 공세자와 프리드리히 폰 슈페르켄 대장에게 대기하지 않고 오전 7시에 우회 행동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총 14,578명의 군단은 두 개의 전열을 형성했다. 우익 집단은 슈페르켄 대장의 지휘 하에 볼겐트라이히를 경유하여 북쪽에서 와 를 우회하여 오센도르프로 향했다. 중장이 이끄는 좌익 집단은 남쪽에서 와 을 경유하여 를 우회하여 역시 오센도르프로 향했다.[16]
4. 2. 프랑스군의 대응
뮈 중장은 연합군이 근처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아침 안개 때문에 지형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그래서 상황을 더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카스트리 후작 중장을 몇 개의 척탄병·엽병 연대, 용기병 2개 연대 그리고 "피셔 의용부대"와 함께 데젠베르크로 보냈다. 카스트리 후작은 거기서 아우구스트 크리스티안 폰 뷔로우 소령이 이끄는 "영국군단"과 마주쳤지만, 이 부대는 재빨리 레제베크로 물러났다.[17] 오전 9시 30분경 안개가 걷히자 카스트리 후작과 뮈 백작은 접근해오는 적의 전열을 마침내 알아차렸다. 뮈 백작은 데젠베르크에 1개의 후위 부대를 남기고, "피셔 의용부대"에게 바르부르크를 점령하도록 명령했다. 최종적으로는 지휘 하의 부대에 전열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공격은 동쪽에서 올 것으로 예상했기에, 진형도 그쪽으로 향해 있었다.[17] 보병 4개 여단과 포병 2개 대대가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의 지휘 하에, 바르부르크 서쪽의 고지에 진을 쳤다. 좌익은 오센도르프 전면에서 갈고리 모양으로 꺾여 있었다. 그 오른쪽에서는 모푸 후작이 이끄는 보병 2개 여단이 인접해 있었다. 뤼첼부르크와 도베 장군들이 이끄는 기병은 공격에 적합한 지형이 펼쳐지는 중앙에 배치되었다. 기병 후방에서, 뮈 백작은 "르엘르그" 여단을 예비로 남겨두었다. 군수품 부대는 만약을 위해, 디멜강 남쪽 기슭으로 옮겨졌다[17]。{| class="wikitable"
! 뮈 중장 지휘 하의 프랑스 군의 전투 서열
|-
|
상급 지휘관 | 하급 지휘관 | 연대명 | 번호 | 연대장 | 소속국 | 병력 | 비고 | |
---|---|---|---|---|---|---|---|---|
모푸 후작 루이 샤를 알렉상드르 | "라 투르 드 팽" 보병 연대 | 제7 | 프랑스 | 보병 | 4개 대대 | 제1열 | ||
모푸 후작 루이 샤를 알렉상드르 | "투렌" 보병 연대 | 제18 | 프랑스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모푸 후작 루이 샤를 알렉상드르 | "앙갱" 보병 연대 | 제100 | 프랑스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플란타" 보병 연대 | 제63 | 프랑스(Drapeaux et uniformes des régiments étrangers au service de l'Ancien Régime#Régiments suisses|프랑스 왕국의 외국인 부대의 군기와 제복|스위스인 부대프랑스어)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쿠르텡" 보병 연대 | 제91 | 프랑스(Drapeaux et uniformes des régiments étrangers au service de l'Ancien Régime#Régiments suisses|프랑스 왕국의 외국인 부대의 군기와 제복|스위스인 부대프랑스어)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르슈망" 보병 연대 | 제113 | 프랑스(Drapeaux et uniformes des régiments étrangers au service de l'Ancien Régime#Régiments suisses|프랑스 왕국의 외국인 부대의 군기와 제복|스위스인 부대프랑스어)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레딩" 보병 연대 | 제51 | 프랑스(Drapeaux et uniformes des régiments étrangers au service de l'Ancien Régime#Régiments suisses|프랑스 왕국의 외국인 부대의 군기와 제복|스위스인 부대프랑스어)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라 쿠론느" 보병 연대 | 제28 | 프랑스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오몽-마자랭" 보병 연대 | 54 | 프랑스 | 보병 | 2개 대대 | 제1열 | ||
뤼첼부르크 | 7e régiment de cuirassiers|제7 흉갑기병 연대 (프랑스 왕국)|왕립 외국인 기병 연대프랑스어 | K 6 | C. 듀 샤보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뤼첼부르크 | "생 알데공드"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뤼첼부르크 | "달시아크"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뤼첼부르크 | 4e régiment de cuirassiers (France)|제4 흉갑기병 연대 (프랑스 왕국)|"왕비" 기병 연대프랑스어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뤼첼부르크 | "크뤼솔"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뤼첼부르크 | "바랑쿠르"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루이 니콜라 도베[18] | "부르봉" 용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루이 니콜라 도베 | "몽칼름"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루이 니콜라 도베 | "보빌리에"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루이 니콜라 도베 | Régiment Royal-Piémont cavalerie|왕립 피에몽 기병 연대|왕립 "피에몽" 기병 연대프랑스어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루이 니콜라 도베 | "데스카르"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루이 니콜라 도베 | "데스팡샬" 기병 연대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프롱사크 공작 루이 앙투안 소피 뒤 비니에로 드 프레시 | "티옹주" 용기병 연대 | D XIV | V. 듀 티옹주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프롱사크 공작 루이 앙투안 소피 뒤 비니에로 드 프레시 | 1er régiment de dragons|제1 용기병 연대 (프랑스)|왕립 용기병 연대프랑스어 | D III | C. 듀 라 브라시 | 프랑스 | 기병 | 2개 중대 | 제1열 | |
카스트리 후작 샤를 외젠 가브리엘 드 라 크루아 | "피셔" 엽병 연대 | Jean Chrétien Fischer|장 크레티앵 피셔|피셔영어 | 프랑스 | 의용부대 | 4개 중대 | 분견되었다.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르엘르그" 보병 연대 | 제42 | 프랑스 | 보병 | 2개 대대 | 제2열 | ||
세귀르 후작 필리프 앙리 | "로앙-로슈포르" 보병 연대 | 제64 | 프랑스 | 보병 | 2개 대대 | 제2열 | ||
왕립 포병 연대 | 제47 | 프랑스 | 포병 | 2개 대대 | 분견되었다. |
|}
4. 3. 서쪽 집단에 대한 공격

연합군 부대가 우회하여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는 정오가 지났다. 우익 집단은 넬데를 경유하여 오센도르프에 도달, 그곳에서 남쪽으로 향하게 진형을 갖췄다. 좌익 집단은 오센도르프와 메네 사이에서 진형을 정비했다. 땅이 넓지 않았기 때문에 기병 부대는 두 보병 집단 뒤에 배치해야 했다. 헤센의 후트중령이 이끄는 연합군 중포 부대는 프랑스군 진지를 향해 포격을 시작했다.[19]
오른쪽 집단에서는 베크위즈 중령이 지휘하는 영국군 척탄병 2개 대대가 선두에 섰다. 이들에게 압박당한 몇몇 프랑스군 전초 부대는 무이 Lieutenant-général (Frankreich)|중장프랑스어에게 연합군의 목표가 중세 시대부터 있던 탑이 있는 하인베르크인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무이 백작은 우선, "부르보네즈" 보병 연대 소속 1개 대대를 고지로 보내 대응했다. 연합군은 급행군으로 프랑스군보다 먼저 도착하려 시도했다. 베크위즈 중령은 척탄병 10명을 이끌고 선행했고, 브라운슈바이크 공세자가 30명의 병사와 함께 뒤따랐다. 언덕 정상에 접근한 프랑스군 대대는 격렬한 방어 포화를 맞았다. 프랑스 측 지휘관은 상대 병력이 불명확했기에 연대의 제2대대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며 전진을 멈췄다. 이 몇 분 동안 영국 "두라트" 척탄병 대대의 전 병력이 하인베르크를 점령했다.
"부르보네즈" 대대는 공격을 재개했고, 곧 같은 여단도 전력을 다해 합류했다. 두 배의 병력을 가진 프랑스 측은 영국 측을 후퇴시켰지만, 영국군 "맥스웰" 연대 소속 각 대대가 도착하자 상황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20] 무이 중장은 위기를 감지하고 "부르보네즈" 여단에 하인베르크 점령을 명령했다. 이 여단은 영국 측 대대를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무이 백작은 "쿠론느"와 "루엘그" 여단도 불러들였다.[19]
그 사이, 오센도르프 부근에서 포병 부대에 저지되어 있던 연합군 우익 집단 소속 제 대대가 도착했다. 좌익 집단의 각 부대는 서둘러 진형을 갖추고 전군이 진격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공격을 시작했다. 헤센의 제4 근위 연대 각 대대는 오센도르프 동쪽에 있는, 스위스인 연대 "옌너"와 "플란타"가 방어하는 고지로 향했다. 하노버와 헤센 부대에 압박받는 가운데 프랑스군 좌익은 서서히 후퇴했다.[21] 얼마 지나지 않아, 영국 왕립 용기병 연대와 제7 경룡기병 연대가 공격을 감행하여 프랑스군 전열에 결정적인 충격을 주었다.[22]
무이 중장은, 더 이상 지탱할 수 없다고 보고 퇴각 준비를 지시했다. 우익의 2개 여단은 출발하여 디멜강 남안에 요격 진지를 구축하도록 했다. 기병도 그 뒤를 따르라는 명령을 받았다.[21]
4. 4. 프랑스군의 붕괴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는 자신이 이끄는 군대가 키 큰 보리밭 속에서 빠르게 진격하지 못하자, 그랜비 경 중장에게 기병대를 이끌고 먼저 가도록 명령했다. 그랜비 경은 기병 22개 중대와 샤움부르크-리페 백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이끄는 경포병 2개 여단의 지원을 받아 퇴각하는 프랑스군을 공격했다.[23] 프랑스 측에서는 왕립 "피에몬" 기병 연대와 "부르봉" 용기병 연대만이 대응할 수 있었으나, 근위 기병 연대의 지원으로 "부르봉" 용기병 연대는 격퇴되고 군기 1개를 잃었다.[23]영국 기병대는 도망가는 프랑스군 기병대와 보병대를 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플란타" 대대의 한 개 대대 전체가 항복했고, "볼보네즈" 및 "르슈먼" 연대에서도 수백 명이 포로로 잡혔다. "피셔 의용군"도 영국군단에 의해 바르부르크에서 쫓겨난 후, 탁 트인 평야에서 연합군 기병대에 따라잡혀 완전히 전멸되었다.[5]
뮈 중장은 잔존 부대를 디멜강 남안에 집결시키려 했지만, 대부분의 병사들은 전장에서 도망갔다. "투렌" 및 "라 투르 듀 팡" 보병 여단은 남안 고지에 진지를 구축하여 아군 부대의 철수를 지원한 후 퇴각했다.[25] 이 과정에서 프랑스군 병참 일부가 멩게링하우젠 부근에서 연합군의 기습 부대에 의해 탈취되었다.[26]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은 그랜비 경에게 영국군 12개 대대와 기병 10개 중대를 맡겨 패잔병을 추격하게 하고, 나머지 아군은 전장이나 디멜강 남안 고지에서 휴식을 취하게 했다.[27]
5. 전투의 결과
바르부르크 전투 결과, 연합군은 장교 66명과 병사 1,173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 중 영국군이 830명 이상이었다. 프랑스군 사상자는 4,203명(장교 240명)이었고, 장교 78명과 병사 2,100명이 포로로 잡혔다. 연합군은 대포 12문, 탄약 수송 마차 28대, 군기 10개를 노획했다.[5][6][33]
전투에 참가한 연합군 병력은 소수의 보병 연대와 그랜비 경의 기병대뿐이었다.[5] "맥스웰" 척탄병 연대는 240명의 사상자를 냈고, "두라트" 척탄병 연대도 큰 피해를 입었다.[32] 그랜비 경의 기병대는 59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33]
7월 31일 아침, 브로이 원수는 연합군 주력 부대의 출격을 확인하고 뮈 중장 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생-페른" 척탄병 연대와 귈시 백작 중장이 이끄는 보병 3개 여단을 바르부르크로 보냈으나, 너무 늦어 뮈 군단의 잔존 부대를 수용하는 데 그쳤다.
연합군의 출격은 프랑스군에게 카셀 점령의 기회를 주었다. 킬만세그 백작은 사전 협의대로 철수하여 다음 날까지 베저 강 건너편으로 퇴각했다. 브로이 원수는 디멜 강으로 후퇴했고, 그랜비 경은 휘하 부대를 프랑스군의 압박으로부터 철수시켰다. 8월 4일에는 게팅겐이 프랑스군에 함락되었다.[34]
베르사유에서는 패전 소식에 분노했고, 육군 대신 벨-일은 감정이 상했다. 뮈 백작은 지휘권을 박탈당할 위기에 놓였지만, 카셀 점령 소식으로 개인적인 책임 추궁은 면했다.[35]
이 전투는 전략적으로 연합군의 상황을 거의 개선하지 못했다. 연합군은 여전히 수세였고, 헤센 함락은 정치적으로 중대한 손실이었다. 카셀 요새는 종전까지 프랑스군의 보급 기지가 되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베스트팔렌 방어에 성공한 페르디난트 공의 노력이 돋보였다.
5. 1. 당시의 바르부르크

바르부르크 마을은 1757년 5월 하노버 부대에 점령된 적이 있었다. 같은 해 프랑스 점령군이 진주했지만, 1758년 4월에는 다시 철수를 강요당했다. 1759년에도 양측 진영이 단기간 마을에 체류했다.[28] 그러나 이러한 단기간의 주둔 영향은 1760년 여름 전투에 비하면 훨씬 작았다.
1760년 7월 28일, "피셔 의용 부대"가 마을에 진출하여 주민들에게 마룻장 등의 목재를 징발했다. 마을은 이 요구에 응했고, 같은 날 밤 사령부와 병사 4,000명을 동반한 프랑스군 상급 지휘관을 받아들였다. 지휘관 휘하의 나머지 부대는 마을 밖에 주둔했다. 마을에 수용된 프랑스 병사들은 주변 마을로 옮겨지기 전에 첫 번째 약탈을 자행했다고 한다.[29]
7월 31일 아침, 양측의 전초 부대가 데젠베르크에서 전투를 시작하자, 시역도 그에 휘말리게 되었다. 이후 바르부르크의 비서관 요하네스 안드레아스 피셔는 "마을 사람들은 모두 최대의 공황, 걱정과 공포에 휩싸였다"라고 전했다. 곧 첫 번째 부상자인 20명의 후사르가 마을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30] 저녁에는 "피셔 의용 부대"가 "영국인 군단"에 의해 마을에서 쫓겨났다. 그러나 이어서 마을에 최악의 행위가 닥쳤다. 그랜비 경의 지시에 의해[31], 연합군의 경장 부대는 2시간에서 3시간(시간은 문헌에 따라 다름)에 걸쳐 바르부르크 약탈을 허가받았다. 여기에는 "영국인 군단"뿐만 아니라, 헤센-카셀과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후사르도 참여했다. 그때 민간인 중 적어도 여성 1명이 사살되었고, 다른 2명이 발포되는 중대한 난행이 벌어졌다. 묘지는 마을 밖에 있었고, 군인이 주둔하고 있어 출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사망자 매장은 9일간 연기될 수밖에 없었다.[30]
이제 마을과 주변 전역에서 곡물 및 기타 식량을 징발한 것은 연합군이었다. 페르디난트 공과 연합군 제장 대부분은 8월 24일까지 바르부르크에 체류했다. 결과적으로 마을은 총액 50000탈러 (통화)에 달하는 물적 손해를 입었다. 후에 지불된 배상금은 페르디난트 공이 시의회에 전달한 2000탈러 (통화)에 그쳤다.[30]
5. 2. 직접적인 군사적 영향
연합군은 바르부르크 전투에서 장교 66명과 병사 1,173명을 잃었다. 전투에 참가한 병력은 소수의 보병 연대와 그랜비 경의 기병대뿐이었다.[5] "맥스웰" 척탄병 연대는 240명, "두라트" 척탄병 연대도 큰 손해를 보았다.[32] 그랜비 경의 기병대는 59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사한 군인 약 1,200명 중 830명 이상이 영국군이었다.[33] 뮈 백작이 보고한 프랑스군 사상자는 4,203명이며, 그 중 장교는 240명이었다.[6] 장교 78명과 병사 2,100명이 포로로 잡혔다. 연합군은 대포 12문, 탄약 수송 마차 28대, 군기 10개를 노획했다.[5]7월 31일 아침, 브로이 원수는 연합군 주력 부대의 출격을 알게 되었다. 뮈 중장 군단의 진지를 걱정한 그는 폴크마르젠 부근의 "생-페른" 척탄병 연대와 귈시 백작 중장이 이끄는 보병 3개 여단을 바르부르크로 보냈지만, 너무 늦었고 뮈 군단의 잔존 부대를 수용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연합군의 출격은 프랑스군에게 카셀을 점령할 기회를 제공했다. 킬만세그 백작은 사전 협의대로 철수했고, 다음 날까지 베저 강 건너편으로 퇴각했다. 브로이 원수는 디멜 강으로 반전했고, 그곳의 그랜비 경은 지휘하의 부대를 프랑스군의 압박으로부터 퇴각시켰다. 8월 4일에는 게팅겐도 프랑스군 수중에 떨어졌다.[34] 베르사유의 왕궁에서는 패전 소식에 사람들의 무이해와 분노가 있었고, 특히 육군 대신 벨-일은 감정이 상했다. 뮈 백작은 군 지휘권을 박탈당할 위기에 놓였지만, 카셀 점령 소식이 전해지면서 개인적인 책임 추궁은 면했다.[35]
전략적으로 이 전투는 연합군을 둘러싼 상황을 거의 개선하지 못했다. 연합군은 여전히 수세에 놓여 있었고, 큰 강에 의해 보호받고 있었지만, 결국 헤센의 함락은 정치적으로 중대한 손실이 되었다. 카셀 요새는 다음 해부터 종전까지 프랑스군의 보급 기지가 되었다. 그럼에도 이 전투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적어도 베스트팔렌 방어에 성공한 페르디난트 공의 명백한 노력이었다.
6. 후세에 미친 영향
바르부르크 전투는 7년 전쟁의 서부 전선에서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특히 영국군 기병대의 활약이 두드러졌다.[36] 프로이센 역사에서는 이 전투를 "회전"(Schlacht) 대신 "조우전"(Treffen)이라고 부르며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지만, 영국에서는 영국군의 큰 역할로 인해 훨씬 더 주목받고 있다.
영어의 관용구 "go bold-headed"("벗겨진 머리로 나아가다" = "무모하게 달려들다")는 이 전투에서 유래했다.[37] 당시 근위 기병 연대의 선두에 섰던 그랜비 후작은 전력 질주 중에 모자가 떨어졌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벗겨진 머리를 드러내고 전투에 참전했다.[23]
영국 국왕 조지 2세는 화가 조슈아 레이놀즈에게 그랜비 후작의 초상화를 의뢰했다. 1765년에 완성된 그림은 세인트 제임스 궁전의 젊은 장교들이 매일 아침 왕비에게 알현하기 위해 모이는 대기실에 걸렸고, 오늘날에도 같은 장소에 있다. 그림 속 그랜비 경은 연대장을 맡고 있던 근위 기병 연대의 제복을 입고 승마 전에 서 있으며, 바르부르크에서 공격을 이끌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모자를 쓰지 않고 벗겨진 머리를 드러내는 가발을 착용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38]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는 소설 『배리 린든의 행운』에서 바르부르크와 그 주변을 무대로 전투 자체에 문학적인 장식을 더했다. 1975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영화 『배리 린든』에서 이 소설을 각색하여 전투와 주인공의 바르부르크 체류를 자유롭게 재현했다.[39]
2010년 7월 31일, 바르부르크 전투 250주년을 기념하여 역사적인 전장의 일부였던 하인베르크에서 대규모의 리인액트먼트(Historical reenactment)가 개최되어 전투의 정경이 재현되었다.[40][41]
참조
[1]
서적
Origin and services of the Coldstream Guards
London
1883
[1]
서적
Origin and History of the First or Grenadier Guards
London
1874
[2]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07
McFarland
[3]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4]
서적
La guerre de Sept Ans – Histoire diplomatique et militaire
Paris
1907
[5]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6]
서적
La guerre de Sept Ans – Histoire diplomatique et militaire
Paris
1907
[7]
서적
Die Kriege Friedrichs II.
Berlin (Ost)
[8]
서적
Handwörterbuch der gesamten Militärwissenschaften
Leipzig und Bielefeld
1880
[9]
서적
The French Armies in the Seven Years’ War
Durham
1967
[10]
서적
Gedenkschrift anläßlich des 200. Jahrestages der Schlacht bei Warburg am 31. Juli 1760
Paderborn
1961
[11]
서적
Gedenkschrift anläßlich des 200. Jahrestages der Schlacht bei Warburg am 31. Juli 1760
Paderborn
1961
[12]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13]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14]
서적
Geschichte des Siebenjährigen Krieges in einer Reihe von Vorlesungen
Berlin
1834
[15]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16]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17]
서적
La guerre de Sept Ans – Histoire diplomatique et militaire
Paris
1907
[18]
웹사이트
Dictionnaire De La Noblesse
https://books.google[...]
[19]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20]
서적
A History of the British Army
London
1910
[21]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22]
서적
A History of the British Army
London
1910
[23]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24]
서적
Gedenkschrift anläßlich des 200. Jahrestages der Schlacht bei Warburg am 31. Juli 1760
Paderborn
1961
[25]
서적
Geschichte des Siebenjährigen Krieges in Deutschland zwischen dem Könige von Preußen und der Kaiserin Königin mit ihren Alliierten
Berlin
1789
[26]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27]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28]
간행물
Warburg im Siebenjährigen Kriege
J. Hense (出版): Jahresbericht über das Gymnasium zu Warburg
1887
[29]
간행물
Warburg im Siebenjährigen Kriege
J. Hense (出版): Jahresbericht über das Gymnasium zu Warburg
1887
[30]
간행물
Warburg im Siebenjährigen Kriege
J. Hense (出版): Jahresbericht über das Gymnasium zu Warburg
1887
[31]
간행물
Warburg im Siebenjährigen Kriege
J. Hense (出版): Jahresbericht über das Gymnasium zu Warburg
1887
[32]
서적
A History of the British Army
London
1910
[33]
서적
History of Friedrich II of Prussia
BiblioBazaar
2007
[34]
서적
Der Siebenjährige Krieg
Berlin
1914
[35]
서적
La guerre de Sept Ans – Histoire diplomatique et militaire
Paris
1899
[36]
서적
200 Jahre Schlacht bei Warburg 31. Juli 1760 – 31. Juli 1960
Hans von Geisau (出版)
[37]
서적
Gedenkschrift anläßlich des 200. Jahrestages der Schlacht bei Warburg am 31. Juli 1760. Paderborn 1961
[38]
서적
Gedenkschrift anläßlich des 200. Jahrestages der Schlacht bei Warburg am 31. Juli 1760. Paderborn 1961
[39]
웹사이트
『バリー・リンドン』のシナリオ
http://www.dailyscri[...]
[40]
간행물
Schlacht am Heinberg bei Ossendorf – Der Krieg und das Land – Historisch-archäologische Untersuchungen zur Schlacht bei Warburg von 1760
http://www.ossendorf[...]
Ossendorfer Schriftenreihe Heft Nr. 12 Schlacht am Heinberg bei Ossendorf
[41]
뉴스
Um 17 Uhr waren die Franzosen besiegt
http://www.nw.de/nac[...]
nw-news.de
2010-08-02
[42]
서적
Origin and services of the Coldstream Guards
London
18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