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 큰 양귀비 증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 큰 양귀비 증후군은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이나 집단을 시기하거나 억압하는 현상을 비유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로마 왕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얀테의 법칙으로, 일본에서는 "튀는 말뚝은 박힌다"와 같은 표현으로 나타난다.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타인의 성공을 비판하는 행위를, 캐나다에서는 성공한 여성에 대한 비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문화 - 키위 (별명)
    키위는 마오리족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키위 새에서 유래되어 뉴질랜드의 국가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뉴질랜드 군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면서 뉴질랜드 국민을 부르는 애칭이 되었지만, 일부는 거부감을 느끼는 등 논란이 있다.
  • 뉴질랜드의 문화 - 아오테아로아
    아오테아로아는 '긴 흰 구름의 땅'으로 번역되는 뉴질랜드의 마오리어 이름으로, 그 유래는 불분명하지만 마오리 이주 카누 이름이나 탐험가 쿠페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으며, 19세기 후반부터 뉴질랜드 전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어 현재 국가 기관 이름이나 국가 가사에 등장하고, 공식 국명 변경 논의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문화 - 펑크 서브컬처
  • 오스트레일리아의 문화 - 노랫길
    호주 원주민 문화에서 노랫길은 조상의 발자취를 따라 전해지는 지식과 문화를 의미하며, 드림타임에서 유래하여 랜드마크, 자연 현상, 상징 문자를 통해 이동 경로, 지리적 지식, 문화적 가치, 사회적 연결,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생존과 정체성을 연결하는 끈으로서 문화적 다양성 존중, 환경 보호,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 사회학 용어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학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키 큰 양귀비 증후군
개요
이름키 큰 양귀비 증후군
로마자 표기khi kheun yanggwibi jeung hugeun
정의동료의 성공에 대한 반감
관련 용어시기심, 질투
사회적 함의
영향개인의 발전 저해
조직의 혁신 저해
사회 전체의 성장 저해
발생 환경경쟁적인 사회
성과 중심 문화
수직적인 조직 구조
극복 방안개인의 자존감 향상
협력적인 문화 조성
공정한 평가 시스템 구축
문화적 맥락
호주"키 큰 양귀비를 꺾는다"는 표현은 호주에서 널리 사용됨
평등주의적 가치와 관련
캐나다"가장 키 큰 양귀비"라는 상이 존재함
참고 자료
학술 자료여성 영향력 - 가장 키 큰 양귀비
뉴스 기사뉴욕 타임즈 - 키 큰 양귀비는 호주에서 번성

2. 어원

키 큰 양귀비 증후군의 어원은 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 (5권, 10장)과 티투스 리비우스의 Ab Urbe Condita (1권)에서 유래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페리안드로스가 트라시부로스에게 다수의 시민을 능가하는 소수의 시민을 막기 위해 키가 가장 큰 곡식의 이삭을 자르라고 알렸다고 말했다.

오늘날에는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주지사 잭 랭(Jack Lang)이 1931년에 설명한 평등주의적인 정책을 ''키가 큰 양귀비의 꽃송이를 꺽는다''라고 비유한 것에서 쓰인다. 마거릿 대처는 총리되기 이전에 자신의 철학을 ''자기의 양귀비를 크게 자라게 만들어라''라고 미국 시민들에게 비유하였다.[20]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이와 비슷한 사회현상을 '''얀테의 법칙'''(Jante Law영어)이라고 부른다.

"키 큰 양귀비"라는 구절은 리비우스의 설명에서 유래되었다.[4] 이는 폭군 로마 왕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는 아들 섹스투스 타르퀴니우스로부터 가비이에서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할지 묻는 전갈을 받았는데, 그곳에서 그는 모든 권력을 갖게 되었다. 타르킨은 전령에게 말로 대답하는 대신 정원으로 가서 막대기를 들고 정원을 쓸어 모든 가장 키 큰 양귀비의 머리를 잘라냈다. 전령은 가비이로 돌아가 섹스투스에게 그가 본 것을 말했고, 섹스투스는 그의 아버지가 가비이의 가장 저명한 사람들을 모두 죽이기를 원한다는 것을 깨닫고 그렇게 했다.[4]

같은 주제를 가진 더 이전의 이야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5] (여기서는 코린토스의 폭군인 페리안드로스가 밀레투스의 폭군인 트라시불루스의 전령에게 이 제스처를 한다)와 헤로도토스의 ''역사''[6] (여기서는 트라시불루스가 페리안드로스의 전령에게 이 제스처를 한다)에 나온다. 그러나 이 그리스 이야기들은 곡물밭을 포함하고 있으며, 리비우스의 로마 이야기가 양귀비를 처음으로 등장시킨다.

3. 각국의 유사 사례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이와 비슷한 사회현상을 '''얀테의 법칙'''(Jante Law영어)이라고 부른다.[14][15]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는 "키 큰 양귀비 자르기"라는 표현이 사용된다.[1][7][8] 일본에서는 "튀는 말뚝은 박힌다"(出る杭は打たれる일본어)라는 표현이 있다.[10][11][12] 네덜란드에서는 "땅 위로 머리를 내밀지 마라"(boven het maaiveld uitstekennl)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러한 문화 현상을 마이벨트컬쳐라고 부른다. 칠레에서는 chaquetear|'재킷을 잡아당기다'es라고 부른다.[13] 캐나다에서는 "키 큰 양귀비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특히 성공한 여성들이 그들의 성공 때문에 비판받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16][17][18][19]

3. 1.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키 큰 양귀비 자르기"가 사업가들이 다른 사람의 성공과 업적을 의도적으로 비판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7][8]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문화적 가치인 평등주의의 부산물로 묘사되어 왔다.[1][9]

3. 2. 스칸디나비아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이와 비슷한 사회현상을 '''얀테의 법칙'''(Jante Law영어)이라고 부른다.[14][15] 얀테의 법칙은 악셀 산데모세가 1933년에 쓴 소설에서 유래했다. 여기에는 "자신이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또는 "어쩌면 '우리'가 '너'에 대해 몇 가지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겠지?"와 같은 규칙과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3. 3. 일본

일본에서는 "튀는 말뚝은 박힌다"라는 비슷한 표현이 있다.[10][11][12]

3. 4.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땅 위로 머리를 내밀지 마라"(boven het maaiveld uitstekennl)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러한 문화 현상을 마이벨트컬쳐라고 부른다.

3. 5. 칠레

칠레에서는 이 표현을 chaquetear|'재킷을 잡아당기다'es라고 부른다.[13]

3. 6.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키 큰 양귀비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특히 성공한 여성들이 그들의 성공 때문에 비판받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16][17][18][19]

참조

[1] 논문 Tall poppies and egalitarianism in Australian discourse: From key word to cultural value 2004
[2] 뉴스 Opinion {{!}} Tall poppies flourish Down Under https://www.nytimes.[...] 2023-05-12
[3] 웹사이트 The Tallest Poppy TM https://www.womenofi[...] 2023-03-30
[4] 서적 Ab urbe condita https://www.perseus.[...]
[5] 서적 Politics https://www.perseus.[...]
[6]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7] 서적 Culture and Leadership Across the World: The GLOBE Book of In-Depth Studies of 25 Societies Psychology Press
[8] 논문 Negotiating the tall poppy syndrome in New Zealand workplaces: women leaders managing the challenge https://journal.equi[...] 2017-03-28
[9] 간행물 Political values - Political values and the 'Kiwi' way of life https://teara.govt.n[...] 2012-06-20
[10] 웹사이트 出る杭は打たれるとは https://kotobank.jp/[...] 2022-02-12
[1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roverbs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WWWJDIC: Word Display http://nihongo.monas[...]
[13] 웹사이트 chaquetear https://dle.rae.es/c[...] 2022-08-21
[14] 논문 The Law of Jante and generalized trust http://journals.sage[...] 2017-08
[15] 서적 En flyktning krysser sitt spor Aschehoug
[16] 뉴스 Tall Poppy Syndrome is impacting corporations, and it's not just a women's issue https://www.theglobe[...] 2023-03-30
[17] 뉴스 9 in 10 women experiencing 'Tall Poppy Syndrome' https://www.hrreport[...] 2023-03-02
[18] 뉴스 Canada is hiking taxes and regulating business as the neighboring U.S. economy booms https://fortune.com/[...] 2004-05-06
[19] 뉴스 Majority of female leaders experience Tall Poppy Syndrome https://dailynews.mc[...] McMaster University 2019-03-05
[20] 서적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