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에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에타는 파푸아뉴기니 부건빌 섬 남동 해안에 위치한 지역으로, 아라와 만에 인접해 있다. 독일과 영국의 협정을 통해 독일령이 되었고, 1942년 일본군에 점령되었다가 부건빌 내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PNG 항공이 라바울과 부카로 가는 항공편을 운행하는 키에타 아로파 공항이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로 금, 코프라, 코코아 등을 선적하는 부두가 있다. 키에타 기념 공원에는 일본군 묘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건빌 자치주 - 부카섬
    부카섬은 파푸아뉴기니 부건빌 자치구에 속하며 약 3만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한 섬으로, 한때 독일 제국의 지배와 일본군 점령을 겪었으며, 주민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고 전통적인 멜라네시아 사회 구조를 유지하며 기독교를 믿고, 과거 사회 운동과 화물 숭배 현상이 있었고, 부건빌 자치구의 수도인 부카가 주요 도시이다.
  • 부건빌 자치주 - 부건빌 내전
    부건빌 내전은 팡구나 광산 개발 불만으로 촉발된 부건빌 혁명군의 분리 독립 운동이 파푸아뉴기니 정부군의 강경 진압과 BRA 내부 분열로 장기화되다가 2001년 평화 협정 체결 후 2019년 독립 주민투표를 거쳐 2027년 독립을 목표로 하는 분쟁이다.
  • 파푸아뉴기니의 도시 - 포트모르즈비
    파푸아뉴기니의 수도인 포트모르즈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다문화 도시로, 열대 사바나 기후를 지니며, 영국령 선포 후 호주령을 거쳐 독립 국가의 수도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의 중요 기지였으며, 현재는 경제 성장과 함께 범죄율 및 치안 문제를 겪고 있다.
  • 파푸아뉴기니의 도시 - 라바울
    라바울은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독일 건설 후 오스트레일리아 통치를 거쳐 뉴기니 준주 수도였으나 화산 폭발과 2차 세계 대전의 피해를 입었고, 현재는 코코포로 행정 기능이 이전되었지만 무역 중심지로서 재건되고 있다.
키에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정보
아라와와 키에타 항구의 모습 (우주에서 촬영)
아라와와 키에타 항구의 모습 (우주에서 촬영)
위치아라와에서 12 킬로미터 떨어져 있음
일반 정보
국가파푸아뉴기니
부건빌 주
중앙부건빌 구
지방 정부 구역아라와 농촌 LLG
기후 정보
평균 최고 기온32°C
평균 최저 기온23°C
연간 강수량3037 mm
기타 정보
시간대AEST (+10)

2. 역사

1885년 5월 17일, 독일과 영국은 독일 영향권 내의 부건빌과 부카에 대한 협정을 체결했다. 1902년부터 키에타에는 가톨릭 선교 기지가 있었다.[1] 1905년 9월 20일에는 우체국과 세관이 있는 기지가 건설되었다.[1]

1942년 일본군이 부건빌 섬에 상륙하면서 키에타를 점령했다. 일본군의 잔해가 현재에도 키에타 교외 정글에 일부 남아있다. 일본군이 사용했던 착륙장은 종전 후 부건빌 섬의 주요 공항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부건빌 분쟁으로 폐쇄되었다. 키에타 기념 공원(Kieta Memorial Park)은 공동 묘지이기도 하며, 이 섬에서 사망한 일본군 묘 등이 있다.

1988년 부건빌 섬의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부건빌 혁명군(BRA)이 키에타와 아라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1990년 부건빌 내전이 발발하여 키에타 타운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2][3] 내전의 결과, 키에타 아로파 공항은 폐쇄되었다가, 평화 감시단을 지원하기 위해 호주 공군과 뉴질랜드 공군 (C-130 허큘리스)이 운항을 재개하였다. 2001년 평화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키에타 마을은 무법 상태였다. 현재 키에타 공항은 PNG 항공에서 라바울부카로 가는 항공편을 운행하고 있다.

키에타는 오스트레일리아로의 선적을 위한 부두의 기착지이며, , 코프라, 코코아 등을 출하한다. 나아시이와 같은 여러 파푸아 언어가 키에타 지역에서 사용된다.

2. 1. 식민지 시대

1885년 5월 17일, 독일과 영국은 독일 영향권 내의 부건빌과 부카에 대한 협정을 체결했다. 1902년부터 키에타에는 가톨릭 선교 기지가 있었다.[1] 1905년 9월 20일에는 우체국과 세관이 있는 기지가 건설되었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일본군이 부건빌 섬에 상륙하면서 키에타를 점령했다.[1] 일본군의 잔해가 현재에도 키에타 교외 정글에 일부 남아있다. 일본군이 사용했던 착륙장은 종전 후 부건빌 섬의 주요 공항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부건빌 분쟁으로 폐쇄되었다.[2][3] 키에타 기념 공원(Kieta Memorial Park)은 공동 묘지이기도 하며, 이 섬에서 사망한 일본군 묘 등이 있다.

2. 3. 부건빌 내전

1988년 부건빌 섬의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부건빌 혁명군(BRA)이 키에타와 아라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1] 이로 인해 1990년 부건빌 내전이 발발하여 키에타 타운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2][3] 내전의 결과, 키에타 아로파 공항은 폐쇄되었다가, 평화 감시단을 지원하기 위해 호주 공군과 뉴질랜드 공군 (C-130 허큘리스)이 운항을 재개하였다. 2001년 평화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키에타 마을은 무법 상태였다. 현재 키에타 공항은 PNG 항공에서 라바울부카로 가는 항공편을 운행하고 있다.

2. 4. 내전 이후

키에타 타운의 대부분은 1990년 부건빌 내전으로 파괴되었다.[2][3] 내전 종식 이후, 키에타는 재건 과정을 거쳤다. 1988년 부겐빌 혁명군(BRA)이 키에타와 아라와에서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반란을 일으킨 후, 2001년 평화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키에타 마을은 무법 상태였다.

활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사용했으며, 1990년까지 에어 뉴기니가 운행했다. 내전 이후 얼마 동안은 평화 감시단을 지원하기 위해 호주 공군과 뉴질랜드 공군(C-130 허큘리스)만이 이 지역을 운행하는 항공기였다. 2021년 현재 키에타 공항은 PNG 항공에서 라바울부카로 가는 항공편을 운행하고 있다.

키에타에는 키에타 기념 공원(Kieta Memorial Park)이 있다. 이 기념 공원은 공동 묘지이기도 하며, 이 섬에서 사망한 일본군 묘 등이 있다.

3. 지리

키에타는 부겐빌섬 남동 해안의 아라와 만에 위치해 있으며, 아라와가 바로 근처에 있다. 오스트레일리아로의 선적을 위한 부두의 기착지이며, , 코프라, 코코아 등을 출하한다. 부겐빌 혁명군(BRA)이 키에타와 아라와에서 1988년 반란을 일으킨 후, 평화가 실현된 2001년까지 키에타 마을은 무법 상태였다.

1942년 1월 23일 또는 2월 18일에 일본군의 부겐빌 섬 최초 상륙지이며, 일본군의 잔해가 현재에도 키에타 교외 정글에 일부 남아있다. 일본군이 사용했던 착륙장은 종전 후 부겐빌 섬의 주요 공항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90년대 부겐빌 분쟁의 위기 이후 공항은 폐쇄되었다).

키에타 기념 공원(Kieta Memorial Park)이 있다. 이 기념 공원은 공동 묘지이기도 하며, 이 섬에서 사망한 일본군 묘 등이 있다.

4. 기후

키에타의 평균 최고 기온은 32℃이며, 평균 최저 기온은 23℃이고, 연간 강수량은 3037mm이다.

5. 언어

키에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나아시이 언어 등 파푸아 언어가 있다.

6. 교통

키에타는 부건빌 섬 남동 해안의 아라와 만에 위치해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로 선적하기 위한 부두가 있어 , 코프라, 코코아 등을 출하한다.[1] 활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사용했으며, 최근까지 에어 뉴기니가 1990년까지 운행했다.[2][3] 얼마 동안은 평화 감시단을 지원하기 위해 호주 공군과 뉴질랜드 공군 (C-130 허큘리스)만이 이 지역을 운행하는 항공기였다. 2021년 현재 키에타 공항은 PNG 항공에서 라바울부카로 가는 항공편을 운행하고 있다.

7. 기타

7. 1. 키에타 기념 공원

키에타 기념 공원(Kieta Memorial Park)은 공동 묘지이기도 하며, 이 섬에서 사망한 일본군 묘 등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의 전몰자 묘지가 있는 곳으로, 대한민국전두환 정권이 과거사 청산을 위해 노력했던 것과 달리, 일본역사 왜곡과 반성 없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ougainville History http://www.janesocea[...]
[2] 웹사이트 Pacific Wrecks http://www.pacificwr[...]
[3] 서적 Melanesian stories: Marist Brothers in Solomon Islands and Papua New Guinea 1845-2003 https://books.google[...] Lawrence McCane 2010-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