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토파가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토파가목(Cytophagales)은 셀룰로스 세포벽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진 세균의 일종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유기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그람 음성균으로 활주 운동을 하며, 키틴, 펙틴, 전분, 셀룰로스 등 다양한 생체 고분자를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한다. 키토파가목 세균은 해양, 담수,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플렉시루빈과 같은 색소를 생성하기도 한다. 또한 알칼로이드 생산, 방사선 저항성 등의 특성을 보이며, 해양에서 종속영양 세균 중 가장 풍부한 그룹 중 하나이다. 키토파가목의 분류는 16S rRNA 분석 및 계통유전체학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 Bernardetiaceae, Catalimonadaceae, Cytophagaceae 등 여러 과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간균류 - 사프로스피라목
    사프로스피라목은 3개의 과, 즉 할리스코메노박테르과, 레위넬라과, 그리고 사프로스피라과로 구성되어 있다.
  • 의간균류 - 박테로이데스목
    박테로이데스목은 박테로이데스강에 속하는 세균의 목으로, 박테로이데스과 등을 포함하며, 유전체 및 rRNA 기반 계통 발생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류 체계가 제시된다.
  • 그람 음성균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그람 음성균 - 리케차
    리케차는 사람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의 한 종류이며, 혈관 내피 세포에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고,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로 치료하며, 로키산 홍반열 등을 연구하다 사망한 하워드 테일러 리케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키토파가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Cytophagales
명명자Leadbetter 1974 (Approved Lists 1980)
이명Cyclobacteriales 페르필리예프 & 가베 1961
분류 체계
상위 분류키토파가강 (Cytophagia)
하위 분류Amoebophilaceae
Bernardetiaceae
Catalinimonadaceae
Cesiribacteraceae
Cyclobacteriaceae
Cytophagaceae
Flammeovirgaceae
Flexibacteraceae
Fulvivirgaceae
Hymenobacteraceae
Mangrovivirgaceae
Marivirgaceae
Microscillaceae
Mooreiaceae
Persicobacteraceae
Raineyaceae
Reichenbachiellaceae
Roseivirgaceae
Shiellaceae
Spirosomaceae
Thermoflexibacteraceae
Thermonemataceae
학문적 분류
부모 권위Nakagawa 2012
하위 계급
하위 참조키토파가 (LPSN)

2. 명칭 어원

'키토파가목(Cytophagales)'이라는 이름은 '세포를 먹는 것'을 의미하며, 셀룰로스 세포벽의 분해를 나타낸다.[4] '키토스(Cytos)'는 고대 그리스어 명사 κῠ́τος|kútos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용기, 생물학적 세포를 의미한다.[5] '파게인(Phagien)'은 고대 그리스어 동사 φαγεῖν|phageîngrc에서 유래되었으며, "먹다"로 번역된다.[6]

3. 생물학 및 생화학

키토파가목 세균은 모두 그람 음성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7][21][8] 화학 유기 영양 생물로서, 단백질, 키틴, 펙틴, 한천, 전분, 셀룰로오스와 같은 복잡한 생체 고분자를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7][21]

키토파가목 구성원들은 키틴, 펙틴, 전분, 한천, 셀룰로스와 같은 다양한 생체 고분자를 분해하는 가수분해 효소를 생산한다.[9] 이들은 해양, 담수, 토양, 심지어 해빙 환경에서도 발견되어 유기 탄소 순환에 큰 역할을 한다.[21]

카탈리나모나스 알칼로이디게나(Catalinamonas alkaloidigena)와 무레이아 알칼로이디게나(Mooreia alkaloidigena)는 퀴놀린 알칼로이드를 생산하는 해양 세균이다.[15] 북해에서 채취한 해양 키토파가(Cytophaga) 세균 분리체에서는 디젤 연료 냄새를 풍기는 새로운 다환 휘발성 황화물이 발견되었다.[16]

키토파가목의 일부 세균은 방사선 저항성을 갖는다.[17] 로도키토파가 로세아와 니브리박터 루버는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종으로, 새로운 방사선 저항성 유전자와 RecA 수리 단백질을 포함한 DNA 절제 수리 경로를 가지고 있다.

플렉시루빈은 플라보박테리알레스(Flavobacteriales) 및 키토파가목 (Cytophagales) 내의 많은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색소이다.[18]

3. 1. 일반적 특성

그람 음성균이다. 세포 크기는 0.3-0.5 x 2-10 µm이다. 대부분 활주 운동을 한다.

키토파가목 세균은 모두 그람 음성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7][21][8] 이들은 편모가 없지만, 활주 운동 또는 굴곡 운동을 통해 이동한다. 키토파가목은 모두 단세포 생물이며, 막대 모양의 세포는 모양이 상당히 다를 수 있다.[7] 세포는 짧거나 길고, 가늘거나 튼튼하며, 뾰족하거나 둥근 끝을 가질 수 있다. 키토파가목 세균의 두 속은 순환적인 모양을 나타낸다. 많은 종은 다형성으로, 환경 조건에 따라 생물학적 기능, 형태 또는 번식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키토파가목의 모든 세균은 화학 유기 영양 생물이며, 이들 중 다수는 단백질, 키틴, 펙틴, 한천,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와 같은 복잡한 생체 고분자를 분해할 수 있다.[7][21] 키토파가목의 유기체는 혐기성, 미호기성, 캡노필릭(CO2 요구), 또는 통성 혐기성일 수 있다. 이들은 매우 풍부하고 어디에나 존재하며, 해양과 육지에서 물질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7] 키토파가목은 매우 다채로운 색상의 집락을 형성하며, 종종 빨간색, 주황색 및 노란색 음영을 띤다. 10% KOH 용액에 반응하여, 노란색 및 주황색 키토파가목 집락은 즉시 색상이 빨간색, 보라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변화는 플렉시루빈-형 색소 때문일 수 있다.[7][21] 이러한 플렉시루빈-형 색소는 지금까지 CFB 그룹의 유기체에서만 발견되었다.

3. 2. 생화학적 특성

키토파가목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키틴, 펙틴, 전분, 아가, 셀룰로스와 같은 다양한 생체 고분자를 분해하는 가수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유기영양생물이다.[9] 이들은 해양, 담수, 토양, 심지어 해빙 환경에서도 대량으로 발견되어 자연에서 유기 탄소 순환에 큰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21]

카탈리나모나스 알칼로이디게나(Catalinamonas alkaloidigena)와 무레이아 알칼로이디게나(Mooreia alkaloidigena)는 퀴놀린 알칼로이드를 생산하는 해양 세균 종이다.[15] 이들의 집락은 오렌지-분홍색을 띠지만 플렉시루빈형 색소를 생성하지 않으며, 알칼로이드 생산은 약물 개발에 중요한 관심사이다.

북해에서 채취한 해양 키토파가(Cytophaga) 세균 분리체에서는 디젤 연료 특유의 냄새를 풍기는 새로운 다환 휘발성 황화물이 발견되었다.[16]

키토파가목의 일부 세균은 방사선 저항성을 갖는다.[17] 로도키토파가 로세아와 니브리박터 루버는 한국 토양 환경에서 처음 분리된 종으로, 새로운 방사선 저항성 유전자와 RecA 수리 단백질을 포함한 DNA 절제 수리 경로를 가지고 있다.

플렉시루빈은 플라보박테리알레스(Flavobacteriales) 및 시토파가목 (Cytophagales) 내의 많은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색소이다.[18] 플렉시루빈형 색소는 친환경적인 천연 착색료로 전통적인 생물생산물로 사용되었으며,[19] 치료적 용도와 식품 및 섬유 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이 과학계에서 평가되고 있다.

3. 2. 1. 생체 고분자 분해

키토파가목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유기영양생물이며, 키틴, 펙틴, 전분, 아가, 셀룰로스와 같은 다양한 생체 고분자를 분해하는 가수분해 효소를 생산한다.[9] 특정 종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지만, 선택된 소수의 종이 다당류 분해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생체 고분자는 바다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고분자량의 용존 유기 탄소(HMW, DOM)를 구성한다.[7] DOM 흡수는 미생물 루프의 주요 단계이며, 이는 1차 생산에서 DOM 회전을 제어하여 방대한 양의 해양 종속영양 박테리아를 지원한다. 키토파가목 종은 해양, 담수, 토양, 심지어 해빙 환경에서도 대량으로 발견되므로 자연에서 유기 탄소 회전에 큰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21]

Cytophaga-Flavobacteria 계통 발생 그룹의 구성원은 키틴과 단백질을 분해하는 데는 많이 발견되지만, 아미노산 분해에서는 다양한 다른 박테리아의 계통 발생 클러스터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10] 외부 유기 물질이 보충된 빙하 스트림 물에서 Cytophaga-Flavobacteria 개체군은 6~8배 증가했다.[7]

3. 2. 2. 알칼로이드 생산

해양 세균 종인 ''카탈리나모나스 알칼로이디게나(Catalinamonas alkaloidigena)''와 ''무레이아 알칼로이디게나(Mooreia alkaloidigena)''는 퀴놀린 알칼로이드를 생산한다.[15] 이 종들의 집락은 오렌지-분홍색을 띠지만 플렉시루빈형 색소를 생성하지 않는다. ''M. alkaloidigena'' 종의 세균은 태평양에 있는 라인 제도의 최북단인 팜라이라 환초 해안에서 채취한 해양 퇴적물 샘플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15] ''C. alkaloidigena''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카탈리나 섬에서 수심 8m에서 채취한 해양 퇴적물에서 분리되었다. 카제인, 한천, 전분 및 키틴 가수 분해가 관찰되었다.

알칼로이드 생산은 약물 개발에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

3. 2. 3. 다환 황화물 생산

북해에서 채취한 해양 키토파가(Cytophaga) 세균 분리체에서 새로운 다환 휘발성 황화물이 발견되었다.[16] 다환 황화물은 디젤 연료 특유의 냄새를 풍긴다.

몇몇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한 예로, 꼬인 의자 형태를 갖는 테트라티오칸(tetrathiocane)이 있다.

3. 2. 4. 방사선 저항성

키토파가목의 일부 세균은 방사선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17] 로도키토파가 로세아와 니브리박터 루버는 한국 토양 환경에서 처음 분리된 세균 종이다. 이들은 새로운 방사선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RecA 수리 단백질을 포함한 DNA 절제 수리 경로가 존재한다. 이 균주들은 300J/m2의 UV 노출 후 각각 71%와 4%의 생존율을 나타낸 반면, 대장균 종의 생존율은 0%였다.

3. 2. 5. 플렉시루빈

플렉시루빈은 1974년 라인바흐(Reinbach) 등이 ''플렉시박터 엘레강스(Flexibacter elegans)''에서 새로운 색소로 처음 분리하였다.[18] 이는 플라보박테리알레스 (Flavobacteriales) 및 시토파가목 (Cytophagales) 내의 다른 많은 박테리아에서 발견되었다. 플렉시루빈은 CFB 그룹에 고유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 그룹의 유기체는 플렉시루빈 외에 다른 카로티노이드 색소도 포함하고 있다. 플렉시루빈은 비-카로티노이드 구조이며 특징적인 질량 분석 단편화 패턴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18][19] 각 박테리아 속은 플렉시루빈의 특별히 변형된 종을 생성하며, 이는 화학체계학적 표지자로 유용하다.[19]

플렉시루빈형 색소의 생산은 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으며, 휴지 세포는 이러한 색소를 생성하지 않는다. 플렉시루빈의 기능은 2017년 신펑(Xinfeng) 등이 시토파가 허친소니(Cytophaga hutchinsonii)에서 fabZ 유전자를 분리하여 연구하였다.[20] FabZ는 플렉시루빈 색소 합성에 필수적인 유전자이다. 플렉시루빈을 생성하지 못한 FabZ 돌연변이체는 야생형보다 자외선(UV) 방사선, 산화 스트레스 및 알칼리 스트레스에 더 민감했다. 플렉시루빈은 빛을 흡수하는 공액 이중 결합과 발색단 내의 히드록시페닐을 가지고 있어, 박테리아에 특징적인 색상, 즉 중성 pH에서 노란색, 알칼리 조건에서 빨간색을 부여한다.

플렉시루빈형 색소는 전통적으로 생물생산물로 사용되었으며, 친환경적인 천연 착색료이다.[19] 플렉시루빈형 색소는 또한 현재 과학계에서 치료적 용도와 식품 및 섬유 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을 평가받고 있다.

4. 생태

키토파가목 세균은 발견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한다. 육상에서는 중성 또는 약산성의 토양, 부식토, 동물의 배설물 등에서 발견되며,[21] 수생 환경에서는 연안 담수, 기수역(강물이 바다로 들어가 해수와 섞이는 곳), 호기성 퇴적물, 밀집된 조류 매트 등에서 주로 발견된다.[21]

특히 남극의 얼음과 연안 표층 해역에서는 키토파가목 구성원이 대량으로 발견되어 세균 생물량의 최대 70%를 차지하기도 한다.[22] 이들은 유기물을 미량 영양소로 재광물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수생 시스템 내 다양한 영양 단계에 걸쳐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영양소의 순환을 돕는다.

키토파가목 세균은 셀룰로스 분해 능력을 가지며, 다른 비셀룰로스 분해 미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한다. 예를 들어, 키토파가목 일부 구성원과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속 균주 사이의 공생 관계는 키토파가목의 셀룰로스 분해 활성을 향상시킨다.[21] ''아크로모박터''는 β-글루코시다아제를 생산하여 키토파가목 미생물이 셀로덱스트린을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셀로비오스 축적으로 인한 피드백 억제를 방지하도록 돕는다.[21]

4. 1. 서식 환경

해양의 원핵생물 생물량은 표층수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가영양 및 종속영양 세균이 우세하다.[21] 종속영양 세균 중 가장 풍부한 두 그룹은 프로테오박테리아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Cytophaga-Flavobacteria) 집단이다. 종속영양 세균은 해양에서 용존 유기물(DOM)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지구 탄소 예산에 영향을 미친다.

형광 현미경 면역 염색법(FISH)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풍부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7]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탐침은 CF319a이다. 그러나 CF319a는 일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현재의 풍부도 값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는 해양 서식지에서 모든 세균 그룹 중 가장 풍부하며, FISH로 확인된 세균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또한 담수 및 퇴적물 시스템에서도 풍부하다. 그러나 자유 생활 세균 집단에서 16S rRNA 유전자로부터 얻은 클론 라이브러리 풍부도 추정치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해양의 동일한 위치에서 클론 라이브러리와 FISH 풍부도 추정치를 비교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FISH 풍부도 추정치가 클론 라이브러리 추정치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부 과학자들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 집단이 클론 라이브러리에서 과소 대표되는 반면 다른 세균 그룹은 과대 대표된다고 믿게 되었다.

Jurgens 등의 연구에서는 FISH를 사용하여 여러 세균 그룹의 성장 속도를 조사했다.[23] 그들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순 성장률이 조사된 다른 세균 그룹의 약 두 배임을 발견했다. 이는 해양에서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높은 풍부도를 설명할 수 있다.

4. 2. 생태적 역할

해양의 원핵생물 생물량은 표층수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가영양 및 종속영양 세균이 우세하다.[21] 종속영양 세균 중 가장 풍부한 두 그룹은 프로테오박테리아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Cytophaga-Flavobacteria) 집단이다. 종속영양 세균은 해양에서 용존 유기물(DOM)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지구 탄소 예산에 영향을 미친다.

형광 현미경 면역 염색법(FISH)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풍부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7]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탐침은 CF319a이다. 그러나 CF319a는 일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현재의 풍부도 값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는 해양 서식지에서 모든 세균 그룹 중 가장 풍부하며, FISH로 확인된 세균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또한 담수 및 퇴적물 시스템에서도 풍부하다. 그러나 자유 생활 세균 집단에서 16S rRNA 유전자로부터 얻은 클론 라이브러리 풍부도 추정치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해양의 동일한 위치에서 클론 라이브러리와 FISH 풍부도 추정치를 비교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FISH 풍부도 추정치가 클론 라이브러리 추정치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부 과학자들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 집단이 클론 라이브러리에서 과소 대표되는 반면 다른 세균 그룹은 과대 대표된다고 믿게 되었다.

Jurgens 등의 연구에서는 FISH를 사용하여 여러 세균 그룹의 성장 속도를 조사했다.[23] 그들은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순 성장률이 조사된 다른 세균 그룹의 약 두 배임을 발견했다. 이는 해양에서 사이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높은 풍부도를 설명할 수 있다.

4. 3. 풍부도

해양의 원핵생물 생물량은 표층수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가영양 및 종속영양 세균이 우세하다.[21] 종속영양 세균 중 가장 풍부한 두 그룹은 프로테오박테리아와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 (Cytophaga-Flavobacteria) 집단이다. 종속영양 세균은 해양에서 용존 유기물(DOM)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지구 탄소 예산에 영향을 미친다.

형광 현미경 면역 염색법(FISH)은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풍부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7]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탐침은 CF319a이다. 그러나 CF319a는 일부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현재의 풍부도 값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는 해양 서식지에서 모든 세균 그룹 중 가장 풍부하며, FISH로 확인된 세균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또한 담수 및 퇴적물 시스템에서도 풍부하다. 그러나 자유 생활 세균 집단에서 16S rRNA 유전자로부터 얻은 클론 라이브러리 풍부도 추정치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해양의 동일한 위치에서 클론 라이브러리와 FISH 풍부도 추정치를 비교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FISH 풍부도 추정치가 클론 라이브러리 추정치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부 과학자들은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 집단이 클론 라이브러리에서 과소 대표되는 반면 다른 세균 그룹은 과대 대표된다고 믿게 되었다.

Jurgens 등의 연구에서는 FISH를 사용하여 여러 세균 그룹의 성장 속도를 조사했다.[23] 그들은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순 성장률이 조사된 다른 세균 그룹의 약 두 배임을 발견했다. 이는 해양에서 키토파가-플라보박테리아의 높은 풍부도를 설명할 수 있다.

5. 분류 및 계통 발생

키토파가목에는 다음과 같은 과들이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키토파가목의 과



키토파가목에는 'Cytophaga', 'Flexibacter', 'Sporocytophaga', 'Sphaero-cytophagal', 'Capnocytophaga', 'Microscilla', 'Lysobacter' 등의 속이 있다.[26]

5. 1. 분류 역사

키토파가목(Cytophagales)은 1974년 리드베터(Leadbetter)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그가 이 목의 권위자이다.[24] 대략적인 계통학적 위치는 1985년 16S rRNA 연구를 통해 결정되었지만, 다른 실험에서는 키토파가목의 정확한 분류가 여전히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 ''Bernardetia'', Hugenholtzia, ''Garritya'' 및 Eisenibacter 속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및 계통유전체학적 분석과 생리학적, 형태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키토파가목 내에서 별도의 분기군을 형성한다.[25] 다른 관련 속으로는 키토파가목 내에서 '불확실한 관계의 분기군'을 나타내는 속인 Thermoflexibacter가 있다.[25]

키토파가목의 분류는 상당한 어려움을 제시하며 지난 100년 동안 여러 번 재검토되고 수정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원핵생물 계통 분류 국제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의 호기성 세균류 분류 소위원회가 2017년에 분류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27] 또한 García-López 등(2019)은 키토파가목의 과를 정의하는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는 LSPN에 반영되었다.[28]

5. 2. 계통 발생

키토파가목(Cytophagales)은 1974년 리드베터(Leadbetter)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그는 이 목의 권위자이다.[24] 1985년 16S rRNA 연구를 통해 대략적인 계통학적 위치가 결정되었지만, 다른 실험에서는 키토파가목의 정확한 분류가 여전히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 ''Bernardetia'', ''Hugenholtzia'', ''Garritya'' 및 ''Eisenibacter'' 속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및 계통유전체학적 분석과 생리학적, 형태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키토파가목 내에서 별도의 분기군을 형성한다.[25]

현재 수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을 기반으로 한다.[3]

전체 게놈 기반 계통 발생[29]16S rRNA 기반 LTP_08_2023[30][31][32]120개의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8-RS214[33][34][35]


6. 하위 분류


  • Bernardetiaceae
  • Catalimonadaceae
  • Cesiribacteraceae
  • Cyclobacteriaceae
  • 키토파가과 (Cytophagaceae)
  • Flammeovirgaceae
  • Flexibacteraceae
  • Fulvivirgaceae
  • Hymenobacteraceae
  • Marivirgaceae
  • Microscillaceae
  • Mooreiaceae
  • Persicobacteraceae
  • Raineyaceae
  • Reichenbachiellaceae
  • Roseivirgaceae
  • Spirosomaceae
  • Thermoflexibacteraceae
  • Thermonemataceae

참조

[1]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pringer
[2] 서적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The Williams and Wilkins Co.
[3] 웹사이트 Cytophagia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2021-06-24
[4] 웹사이트 Genus: Cytophaga https://lpsn.dsmz.de[...] 2021-04-03
[5]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ύτος http://www.perseus.t[...] 2021-04-06
[6]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φα^γεῖν http://www.perseus.t[...] 2021-04-06
[7] 논문 The ecology of Cytophaga–Flavobacteria in aquatic environments 2002-02-01
[8] 논문 The history, biology, and taxonomy of the Cytophaga group https://cdnsciencepu[...] 1977-12-01
[9] 웹사이트 Studies of genera cytophaga-flavobacterium in context of the soil carbon cycle {{!}} MSU Libraries https://d.lib.msu.ed[...] 2021-04-01
[10] 논문 Natural Assemblages of Marine Proteobacteria and Members of the Cytophaga-Flavobacter Cluster Consuming Low- and High-Molecular-Weight Dissolved Organic Matter 2000-04-01
[11] 논문 Reviews 1958-11-01
[12] 웹사이트 Home - Cytophaga hutchinsonii ATCC 33406 https://genome.jgi.d[...] 2021-04-02
[13] 논문 Genome Sequence of the Cellulolytic Gliding Bacterium Cytophaga hutchinsonii 2007-06-01
[14] 논문 Functional Studies of β-Glucosidases of Cytophaga hutchinsonii and Their Effects on Cellulose Degradation 2017
[15] 논문 Mooreia alkaloidigena gen. nov., sp. nov. and Catalinimonas alkaloidigena gen. nov., sp. nov., alkaloid-producing marine bacteria in the proposed families Mooreiaceae fam. nov. and Catalimonadaceae fam. nov. in the phylum Bacteroidetes 2013-04
[16] 간행물 The Chemistry of Marine Bacteria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2012
[17] 논문 Rhodocytophaga rosea sp. nov. and Nibribacter ruber sp. nov., two radiation-resistant bacteria isolated from soil https://doi.org/10.1[...] 2020-12-01
[18] 간행물 Fortschritte der Chemie organischer Naturstoffe / Progress in the Chemistry of Organic Natural Products Springer Vienna 1987
[19]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lexirubin type pigment from Chryseobacterium sp. UTM-3T https://www.scienced[...] 2014-10-01
[20] 논문 Identification of a fabZ gene essential for flexirubin synthesis in Cytophaga hutchinsonii 2017-11-01
[21] 간행물 The Order Cytophagales https://doi.org/10.1[...] Springer 2006
[22] 논문 Description of Cellulophaga algicola sp. nov., isolated from the surfaces of Antarctic algae, and reclassification of Cytophaga uliginosa (ZoBell and Upham 1944) Reichenbach 1989 as Cellulophaga uliginosa comb. nov. 2000
[23] 논문 Morphological and Compositional Changes in a Planktonic Bacterial Community in Response to Enhanced Protozoan Grazing 1999-03-01
[24]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Cytophagales http://www.marinespe[...] 2021-04-07
[25] 논문 Genome-Based Taxonomic Classification of Bacteroidetes 2016-12-20
[26] 간행물 The Order Cytophagales (with Addenda on the Genera Herpetosiphon, Saprospira, and Flexithrix) https://doi.org/10.1[...] Springer 1981
[27] 논문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 Subcommittee on the Taxonomy of Aerobic Bacteroidetes (formerly Flavobacterium and Cytophaga-like bacteria) 2020-11-01
[28] 논문 Analysis of 1,000 Type-Strain Genomes Improves Taxonomic Classification of Bacteroidetes 2019
[29] 논문 Analysis of 1,000 Type-Strain Genomes Improves Taxonomic Classification of Bacteroidetes
[30]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11-20
[31]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11-20
[32] 웹사이트 LTP_08_2023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11-20
[33] 웹사이트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3-05-10
[34] 웹사이트 bac120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35]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3-05-10
[36] 웹사이트 Order Cytophagales https://www.bacter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