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 음성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람 음성균은 세포막,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 세균 외막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의 한 종류이다. 세균 외막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포함하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제공한다. 그람 음성균은 그람 염색 결과에 따라 분류되며, 그람 양성균과 구분된다. 일부는 병원성이 있으며, 지질 A를 포함한 LPS가 내독소로 작용하여 패혈성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종으로는 대장균, 살모넬라, 임균 등이 있으며, 다양한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염색 (생물학) - H&E 염색
H&E 염색은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을 사용하여 조직의 핵은 파란색 또는 보라색으로, 세포질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으로 염색하는 조직학적 염색법이다. - 염색 (생물학) - 질-닐슨 염색
질-닐슨 염색은 결핵균 등 항산성 세균 검출을 위해 개발된 염색 방법으로, 석탄산 푹신으로 1차 염색 후 산성 알코올로 탈색하고 대비 염색하여 항산성 세균을 붉은색으로, 비항산성 세균을 다른 색으로 염색한다. - 세균학 - 세균학자
세균학자는 미생물학의 한 분야인 세균학을 연구하며, 병리학, 면역학,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감염병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하는 과학자이다. - 세균학 - 질-닐슨 염색
질-닐슨 염색은 결핵균 등 항산성 세균 검출을 위해 개발된 염색 방법으로, 석탄산 푹신으로 1차 염색 후 산성 알코올로 탈색하고 대비 염색하여 항산성 세균을 붉은색으로, 비항산성 세균을 다른 색으로 염색한다. - 그람 음성균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그람 음성균 - 리케차
리케차는 사람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의 한 종류이며, 혈관 내피 세포에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고,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로 치료하며, 로키산 홍반열 등을 연구하다 사망한 하워드 테일러 리케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람 음성균 | |
---|---|
기본 정보 | |
학명 | Escherichia coli |
학명 | Pseudomonas aeruginosa |
학명 | Neisseria gonorrhoeae |
학명 | Chlamydia trachomatis |
학명 | Yersinia pestis |
설명 | 그람 염색법에 의해 구별되는 세균의 한 그룹으로, 그람 염색이 유지되지 않는다. |
구조 | |
세포 외피 | 세포 외피는 세균 세포의 내부와 외부 환경 사이의 경계이다. |
특징 | 세포 외피는 그람 음성균의 특징이다. |
2. 특징
그람 염색 결과 음성으로 나타나는 세균들을 통칭하며, 이는 독특한 세포벽 구조에 기인한다. 그람 음성균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보인다.
가장 큰 특징은 복잡한 다층 구조의 세포벽이다. 안쪽부터 세포질을 감싸는 내부 세포막, 매우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 그리고 가장 바깥쪽의 세균 외막으로 구성된다. 특히 외막은 바깥쪽에 리포다당류(LPS)를, 안쪽에 인지질을 가지는 비대칭적 구조이며, 특정 물질의 통로 역할을 하는 포린 단백질이 존재한다. 내부 세포막과 외막 사이에는 페리플라즘이라는 공간이 존재한다.[1][2][3]
또한, 그람 양성균에서 발견되는 테이코산이나 리포테이코산은 가지고 있지 않다. 편모가 있는 경우, 2개가 아닌 4개의 지지 고리(링) 구조를 가진다. 대부분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1][2][3]
2. 1. 세포벽 구조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은 독특한 다층 구조를 가진다. 가장 안쪽에는 세포질을 둘러싸는 내부 세포막이 존재한다. 이 막 바깥에는 펩티도글리칸 층이 있는데, 이는 그람 양성균에 비해 매우 얇다.
펩티도글리칸 층과 외막 사이에는 페리플라즘이라고 불리는 젤과 같은 물질로 채워진 공간이 있다. 이 공간에는 다양한 효소와 단백질이 존재한다.
가장 바깥쪽에는 세균 외막이 존재한다. 이 외막은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는데, 바깥쪽 면은 주로 리포다당류(LPS)로 구성되고 안쪽 면은 인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리포다당류는 지질 A, 핵심 다당류, 그리고 O 항원으로 구성되며, 특히 지질 A는 내독소로 작용하여 숙주에게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외막에는 포린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하여 특정 분자들이 막을 통과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일부 그람 음성균에서는 S-층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펩티도글리칸 층보다는 외막에 직접 부착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단백질이 다당류 골격에 부착되어 있으며, 일부 균에서는 브라운 지질단백질이 외막과 펩티도글리칸 층을 공유 결합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람 음성균은 일반적으로 테이코산이나 리포테이코산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만약 편모를 가지고 있다면, 이는 2개가 아닌 4개의 지지 고리(링)를 가진다. 대부분의 그람 음성균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2. 2. 기타 특징
- 편모가 존재하는 경우, 2개가 아닌 4개의 지지 고리를 가진다.
- 테이코산이나 리포테이코산이 없다.
- 지질단백질이 다당류 골격에 부착되어 있다.
- 일부 그람 음성균은 브라운 지질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공유 결합을 통해 외막과 펩티도글리칸 사슬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대부분 포자(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다만, Q열의 원인균인 ''Coxiella burnetti''처럼 포자 유사 구조를 형성하는 예외도 있다.
3. 분류
그람 염색은 세포 모양과 함께 세균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방법이다.[4] 전통적으로 세균은 그람 염색 결과에 따라 크게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두 그룹으로 나뉜다. 이는 세균의 세포벽 구조 차이에 기반한 분류법이다. 하나의 막만을 가진 그람 양성균은 단막 세균으로, 두 개의 막(내막과 외막)을 가진 그람 음성균은 '''이중막 세균'''으로 불리기도 한다.[7][8][9][10]
역사적으로 균계는 그람 염색 결과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네 개의 분류군으로 분류되기도 했다.[4]
분류군 | 그람 염색 결과 |
---|---|
바실리균문(Firmacutes) | 양성 (+) |
그라실리쿠테스(Gracilicutes) | 음성 (−) |
몰리쿠테스(Mollicutes) | 없음 (0) |
메탄 생성균(Mendocutes) | 다양함 (var.) |
그러나 그람 염색 결과가 항상 세균의 계통 발생학적 관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즉, 특정 세균의 그람 염색 결과, 세포막 구조, 계통 분류가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그람 염색만으로는 세균 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7][8][9][1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람 염색은 외부 지질막의 존재 유무를 구별하여 세포막 구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7][11]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그람 음성균의 분류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1987년 이후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그람 음성 세균의 단일 계통군 여부가 논의되어 왔다.[5] HSP60 (GroEL)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보존된 시그니처 삽입(CSI)은 전형적인 지질다당류(LPS)를 가진 그람 음성균 그룹(예: Pseudomonadota, Aquificota, Chlamydiota, Bacteroidota, Chlorobiota, Cyanobacteria, Fibrobacterota, Verrucomicrobiota, Planctomycetota, Spirochaetota, Acidobacteriota)이 단일계통 분지군을 형성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이는 이 그룹 내에서 외부 막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2] 일부 학자(카발리에르-스미스 등)는 그람 음성균 전체를 하나의 단일 계통군 분류군으로 간주하여 "네기박테리아"(Negibacteria) 아계로 분류하기도 한다. 다만, 이 정의는 단일 공통 조상을 요구하지만, 해당 조상의 모든 후손을 포함해야 하는 전계통군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6]
한편, 문 Bacillota (주로 단막 세균 포함)에 속하거나 그 근처에 위치하는 Negativicutes, Fusobacteriota, Synergistota, Elusimicrobiota와 같은 일부 세균 분류군도 이중막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전형적인 그람 음성균에서 발견되는 GroEL 시그니처를 가지고 있지 않다.[10][12][13]
진화적으로는 하나의 막을 가진 단막 원핵생물(주로 그람 양성균)이 조상 형태이며, 이중막 구조(그람 음성균)는 이후에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람 음성균이 일반적으로 그람 양성균보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그람 음성균의 외부 세포막이 항생제와 같은 외부 선택 압력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7][8][11][12] ''Deinococcus''와 같이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 때문에 그람 양성으로 염색되지만 외부 세포막도 가지고 있는 세균은 단막 세균과 이중막 세균 사이의 전환적 중간 단계로 제시되기도 한다.[7][12]
이중막 세균은 외부 막의 구성에 따라 더 세분화될 수 있다. 지질다당류(LPS)가 없는 단순 이중막 세균, 외부 막에 LPS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이중막 세균, 그리고 외부 막이 미콜산으로 구성된 이중막 세균(예: ''Mycobacterium'') 등으로 나눌 수 있다.[9][10][12][13]
4. 분류학
세균은 전통적으로 그람 염색 유지력에 따라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이 염색 결과가 항상 세균의 막 구성이나 계통 분류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세균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 데 신뢰성 있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람 염색은 세포막의 구조적 특징, 특히 외부 지질막의 존재 유무를 구별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7][11]
역사적으로 균계는 그람 염색을 기준으로 네 개의 분류군으로 나뉘기도 했다: 바실리균문(그람 양성, +), 그라실리쿠테스(그람 음성, −), 몰리쿠테스(그람 염색 반응 없음, 0), 메탄 생성균(그람 염색 반응 다양함, var.).[4]
1987년 이후,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그람 음성 세균이 단일 계통군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 카발리에르-스미스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그람 음성균을 "네기박테리아"(Negibacteria)라는 아계 수준의 단일 계통군 분류군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이는 단일 공통 조상을 가지지만, 반드시 모든 후손을 포함하는 전계통군은 아닐 수 있다는 관점이다.[6]
하나의 막을 가진 그람 양성균(단막 세균)과 달리 두 개의 막을 가진 그람 음성균(이중막 세균)의 외부 세포막은 항생제 선택 압력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이는 그람 음성균이 일반적으로 그람 양성균보다 항생제 내성이 강하다는 관찰에 근거한다.[7][8][11][12] ''Deinococcus''와 같이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 때문에 그람 양성으로 염색되지만 외부 세포막도 가진 일부 세균은 단막 세균과 이중막 세균 사이의 진화적 중간 단계로 제안되기도 한다.[7][12]
고세균도 그람 염색을 하면 대부분 음성 반응을 보이지만, 세포벽 구조는 세균과 크게 달라 외부 막이나 펩티도글리칸층이 없는 등 차이가 있다.
프로테오박테리아는 그람 음성균의 주요 그룹으로, 대장균, 살모넬라, 장내세균과, 슈도모나스, 모락셀라, 헬리코박터,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부델로비브리오, 초산균, 레지오넬라, 볼바키아 등이 포함된다. 다른 주요 그람 음성균 그룹으로는 시아노박테리아, 스피로헤타, 녹색황세균, 박테로이데스 등이 있다. 그람 음성균은 세균 계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그람 음성 구균으로는 성병을 일으키는 임균, 수막염을 일으키는 수막염균,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카타랄리스균 등이 있다. 그람 음성 간균 중에서는 호흡기 질환 관련 균으로 인플루엔자균, 폐렴간균,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녹농균 등이 있고, 비뇨기계 감염 관련 균으로는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박터 클로아케'', 세라티아균 등이 있으며, 소화기계 질환 관련 균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장티푸스균 등이 있다. 또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병원 내 균혈증, 이차성 수막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등과 관련이 있다.
4. 1. 그람 음성균의 세부 분류
세균을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는 그람 염색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따라 세균은 크게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나뉜다. 그람 양성균은 세포막이 하나뿐이어서 단막 세균이라고도 불리며, 그람 음성균은 세포막이 두 개여서 '''이중막 세균'''이라고도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분류가 세균의 진화적 계통을 반영한다고 생각했지만, 연구 결과 일부 세균 그룹에서는 염색 결과와 실제 계통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견되었다.[7][8][9][10] 따라서 그람 염색만으로는 세균의 계통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람 염색은 세포막의 구조적 특징, 특히 외부 지질막의 유무를 구별하는 데는 여전히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7][11]섬네일
이중막 구조를 가진 그람 음성균은 외부 막의 구성 성분에 따라 더 세분화될 수 있다. 일부 그람 음성균은 외부 막에 지질다당류(LPS)가 없는 단순한 이중막 구조를 가진다. 반면, 대부분의 전형적인 그람 음성균은 외부 막에 LPS를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그룹으로는 외부 막이 미콜산으로 구성된 세균(예: ''Mycobacterium'')이 있다.[9][10][12][13]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이용한 분류도 이루어진다. 특히, HSP60 (GroEL) 단백질에 특정 보존된 시그니처 삽입(Conserved Signature Indel, CSI) 서열이 있는지 여부로 그람 음성균을 구분할 수 있다. 전형적인 LPS-이중막 그람 음성균 그룹(예: Pseudomonadota, Aquificota, Chlamydiota, Bacteroidota, Chlorobiota, Cyanobacteria, Fibrobacterota, Verrucomicrobiota, Planctomycetota, Spirochaetota, Acidobacteriota; "Hydrobacteria")은 이 CSI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10][12][13] 이 CSI가 해당 그룹의 모든 종에서 발견된다는 점은 이들이 단일계통 분지군을 형성하며, 진화 과정에서 외부 막을 잃어버린 종이 없다는 강력한 증거로 제시된다.[12]
한편, Negativicutes, Fusobacteriota, Synergistota, Elusimicrobiota 등 일부 세균 분류군은 이중막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GroEL 단백질에서 해당 CSI가 발견되지 않는다. 이들은 계통학적으로 단막 세균인 Bacillota의 일부이거나 그 근처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석된다.[10][12][13]
5. 대표적인 종
프로테오박테리아는 그람 음성 세균의 주요 그룹으로, 여기에는 대장균(''E. coli''), 살모넬라(Salmonella), 이질균, 기타 장내세균과, 슈도모나스, 모락셀라, 헬리코박터,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부델로비브리오(Bdellovibrio), 아세트산 세균, 레지오넬라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시아노박테리아, 스피로헤타, 녹색황세균, 녹색 무황 세균, 박테로이데스 등이 그람 음성균의 주요 그룹에 속한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그람 음성 구균(쌍구균)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Neisseria gonorrhoeae'': 성병인 임질을 유발한다.
- ''Neisseria meningitidis'': 수막염을 유발한다.
- ''Moraxella catarrhalis'': 중이염, 기관지염, 부비동염 등 호흡기 증상을 유발한다.
- ''Haemophilus influenzae'': 코코바실루스 형태이지만, 폐렴, 수막염, 후두개염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의학 관련 세균이다.
질병과 관련된 그람 음성 간균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유발하는 질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주요 유발 질환 | 대표적인 균종 |
---|---|
호흡기 질환 | 인플루엔자균 (Haemophilus influenzae),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Legionella pneumophila),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
비뇨기 질환 | 대장균 (Escherichia coli),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Proteus mirabilis), 클로아케 장내세균 (Enterobacter cloacae),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Serratia marcescens) |
위장 질환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elicobacter pylori),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타이피 (Salmonella typhi) |
또한, 병원 감염과 관련하여 ''Acinetobacter baumannii''는 병원 중환자실 등에서 균혈증, 이차적인 수막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등을 유발하는 중요한 그람 음성균이다.
6. 병원성
그람 음성균의 여러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세균 외막의 구조이다. 이 막의 바깥쪽 층에는 복잡한 리포다당류(LPS)가 존재하며, 그 지질 A 부분은 내독소로 작용한다.[1] 그람 음성균의 병원성은 종종 이러한 막의 특정 성분, 특히 LPS와 관련된다.[24]
만약 그람 음성균이 인체의 순환계에 침입하면, LPS는 선천 면역 반응을 강력하게 유발한다. 이는 면역계를 활성화시키고 염증 반응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발열, 호흡수 증가, 저혈압과 같은 독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성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3] 하지만 LPS에 대한 선천 면역 반응 자체가 반드시 질병 유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외막은 그람 음성균에게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한다. 여러 종류의 항생제, 염료, 세제로부터 내부 세포막이나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보호한다. 이 덕분에 그람 음성균은 라이소자임이나 페니실린과 같은 특정 항생 물질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두 세포막 사이의 주변 세포질 공간에는 특정 항생제를 분해하거나 변형시키는 효소가 존재하기도 한다.[22] 이러한 외막의 특성 때문에 일부 병원성 그람 음성균 감염 치료에는 외막을 효과적으로 통과하거나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는 특정 항생제들이 사용된다.[22]
6. 1. 의학적으로 중요한 그람 음성균
의학적으로 관련된 그람 음성 쌍구균에는 성병을 유발하는 ''Neisseria gonorrhoeae'', 수막염을 유발하는 ''Neisseria meningitidis'', 그리고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Moraxella catarrhalis'' 등이 있다. 코코바실루스인 ''Haemophilus influenzae'' 또한 의학적으로 중요한 균으로 분류된다.의학적으로 관련된 그람 음성 간균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주로 호흡기 문제를 일으키는데, 예를 들어 ''Klebsiella pneumoniae'', ''Legionella pneumophila'', ''Pseudomonas aeruginosa'' 등이 있다. 비뇨기 문제를 주로 유발하는 균으로는 ''Escherichia coli'', ''Proteus mirabilis'', ''Enterobacter cloacae'', ''Serratia marcescens'' 등이 있다. 또한, 위장 문제를 주로 일으키는 균에는 ''Helicobacter pylori'',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등이 있다.
병원 감염과 관련된 그람 음성균 중 하나는 ''Acinetobacter baumannii''이다. 이 균은 병원, 특히 중환자실 환경에서 균혈증, 이차적인 수막염, 그리고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7. 의학 치료
그람 음성균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세균 외막 구조이다. 이 외막은 항생제, 염료, 세제 등 외부 물질로부터 세균 내부의 막이나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1] 이러한 외막 구조 때문에 그람 음성균은 라이소자임이나 페니실린과 같은 특정 항생제에 대해 자연적인 저항성을 가진다. 또한, 외막과 내막 사이의 주변 세포질 공간에는 베타-락타마제와 같이 항생제를 분해하거나 변형시키는 효소들이 존재하여 항생제 내성에 기여한다.[22]
이러한 내성을 극복하고 그람 음성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과 방법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EDTA와 함께 라이소자임을 사용하거나, 암피실린과 같은 특정 항생제가 일부 병원성 그람 음성균의 외막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람 음성균 감염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계열에는 아미노페니실린(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카복시페니실린(티카실린), 우레이도페니실린(피페라실린) 등이 있다. 이들 페니실린 계열 약물은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와 함께 사용되어 주변 세포질 공간의 베타-락타마제 효소에 의한 분해를 막고 항균 효과를 높이는 경우가 많다.[22]
이 외에도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인 다른 항생제 계열로는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예: 아즈트레오남),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퀴놀론, 마크로라이드, 클로람페니콜, 엽산 길항제, 카바페넴 등이 있다.[22] 스트렙토마이신과 날리딕스산 역시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클로람페니콜은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인 약물 유발성 범혈구감소증과의 연관성 때문에 유럽 연합(EU) 등 일부 지역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8. 세균 형질전환
형질전환은 외부 유전 물질이 한 세균에서 다른 세균으로 전달되는 수평적 유전자 이동의 세 가지 주요 과정 중 하나이다. 다른 두 과정은 두 세균 세포가 직접 접촉하여 플라스미드와 같은 유전 물질을 전달하는 세균 접합과, 세균 파지 바이러스가 숙주 세균에 외부 DNA를 주입하는 형질도입이다.[19][20] 형질전환 과정에서는 핵산 형태의 유전 물질이 세균 외부 환경을 통해 이동하며, 이 물질을 받아들이는 것은 전적으로 수용 세균의 능력에 달려있다.[19]
2014년 기준으로 약 80종의 세균이 형질전환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그람 양성 세균과 그람 음성 세균 사이에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한다. 다만, 일부 보고가 단일 연구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어 실제 수치는 이보다 적을 수도 있다.[19]
특히 의학적으로 중요한 여러 그람 음성 세균 종에서 형질전환 현상이 연구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뇌수막염균'', ''임균'', ''인플루엔자균'', ''콜레라균'' 등이 있다.[21] 또한, 토양 환경에서 발견되는 그람 음성 세균인 ''슈도모나스 슈트제리''나 ''아시네토박터 바일리아이''와 같은 종, 그리고 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음성 병원체인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과 ''자일렐라 패스티디오사'' 등에서도 형질전환이 연구되었다.[21]
참조
[1]
서적
Medical Microbiology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2021-08-18
[2]
논문
The Bacterial Cell Envelope
2010-05-01
[3]
서적
Medical Microbiology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2021-05-12
[4]
논문
Proposals Concerning the Higher Taxa of Bacteria
[5]
논문
Bacterial evolution
1987-06
[6]
논문
Rooting the tree of life by transition analyses
[7]
논문
Protein phylogenies and signature sequences: A reappraisal of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archaebacteria, eubacteria, and eukaryotes
1998-12
[8]
논문
The natural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prokaryotes
http://www.life.illi[...]
2017-10-24
[9]
논문
Secret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s of bacterial proteins: a semantic awareness issue
2009-04
[10]
논문
A phylum level perspective on bacterial cell envelope architecture
2010-10
[11]
논문
What are archaebacteria: life's third domain or monoderm prokaryotes related to gram-positive bacteria? A new proposal for the classification of prokaryotic organisms
1998-08
[12]
논문
Origin of diderm (gram-negative) bacteria: antibiotic selection pressure rather than endosymbiosis likely led to the evolution of bacterial cells with two membranes
2011-08
[13]
논문
Negativicoccus succinicivorans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human clinical samples, emended description of the family Veillonellaceae and description of Negativicutes classis nov., Selenomonadales ord. nov. and Acidaminococcaceae fam. nov. in the bacterial phylum Firmicutes
2010-06
[14]
간행물
Escherichia, Klebsiella, Enterobacter, Serratia, Citrobacter, and Proteus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2024-03-28
[15]
논문
MNeisseria Gonorrhoae and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among symptomatic patients from Gondar town, north West Ethiopia
2018-07-17
[16]
웹사이트
Vaccine Preventable Diseases Surveillance Manual
https://www.cdc.gov/[...]
2024-01-26
[17]
논문
Moraxella catarrhalis: from Emerging to Established Pathogen
2002-01
[18]
웹사이트
For Clinicians: Haemophilus influenzae
https://www.cdc.gov/[...]
2024-01-26
[19]
논문
Bacterial transformation: distribution, shared mechanisms and divergent control
[20]
논문
Analysis of Whole-Genome Sequences of Pathogenic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Isolates from the Same Hospital Environment to Investigate Common Evolutionary Trends Associated with Horizontal Gene Exchange, Mutations and DNA Methylation Patterning
[21]
논문
Cues and regulatory pathways involved in natural competence and transformation in pathogenic and environmental Gram-negative bacteria
[22]
웹사이트
Gram-Negative Bacteria and Broad-Spectrum Antibiotics: Good News Except for Fluoroquinolones
https://www.jwatch.o[...]
NEJM Journal Watch
2018-03-10
[23]
웹사이트
Preferred Usage - Emerging Infectious Disease journal - CDC
https://wwwnc.cdc.g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03-04
[24]
서적
Structure. ''in:'' Baron's Medical Microbiology ''(Baron S ''et al'', eds.)
http://www.ncbi.nlm.[...]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