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탈 팔로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 팔로우는 미국의 재즈 기타리스트로, 1923년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에서 태어나 1998년 사망했다. 22세에 독학으로 기타를 시작하여 우쿨렐레처럼 조율된 만돌린을 연주하며 화성적 선율을 익혔다. 그는 일렉트릭 기타를 직접 제작했고, 인공 하모닉스를 활용한 독창적인 연주 스타일로 "문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49년 레드 노르보 트리오에 참여하며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1954년 첫 리더작을 발표한 후 꾸준히 앨범을 발매했다. 1958년 은퇴 후 1968년 재즈 페스티벌을 통해 복귀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린즈버러 출신 - 켄 정
    한국계 미국인 코미디언이자 배우, 의사인 켄 정(정경훈)은 의사 면허 취득 후 스탠드업 코미디로 데뷔, 《사고친 후에》를 통해 배우 활동을 시작했으며, 《행오버》 시리즈의 미스터 차우, 시트콤 《커뮤니티》, 《더 마스크드 싱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 그린즈버러 출신 - 섀넌 코크런
    섀넌 코크런은 1992년 영화 《더 베이브》로 데뷔하여 《링》, 《스타 트렉: 네메시스》 등 영화와 《사인필드》, 《NYPD 블루》, 《스타 트렉》 시리즈, 《길모어 걸스》, 《스캔들》 등 다수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한 배우이다.
  • 블루 노트 레코드 음악가 - 오넷 콜먼
    오넷 콜먼은 미국의 재즈 작곡가이자 색소폰, 바이올린, 트럼펫 연주자이며, 프리 재즈의 선구자로서 하모로딕스라는 독자적인 음악 이론을 제시하고 퓰리처상과 그래미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 블루 노트 레코드 음악가 - 버디 리치
    버디 리치는 뛰어난 테크닉과 에너지 넘치는 연주로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드러머"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재즈 드러머이자 밴드 리더로, 유명 밴드 활동과 TV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버브 레코드 음악가 - 로라 니로
    로라 니로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활동하며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로 명성을 얻었고, 1997년 난소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페미니즘과 동물 권리 운동에 참여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버브 레코드 음악가 - 쳇 베이커
    체트 베이커는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이자 보컬리스트로, 부드러운 음색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찰리 파커의 밴드에서 활동하며, 마약 중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디지 길레스피의 도움으로 재기하여 유럽에서 활동했으나 1988년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했다.
탈 팔로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털 팔로우
본명탈매지 홀트 팔로우
출생일1921년 6월 7일
사망일1998년 7월 25일
출생지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
활동지뉴욕 시
직업음악가
악기기타
장르재즈
활동 기간1940년대 후반–1998년
레이블노그란
버브
제너두
프레스티지
블루 노트
콩코드
관련 활동레드 노르보
아티 쇼
그레이트 기타스

2. 생애 및 경력

탈 팔로우는 1923년 6월 7일 노스캐롤라이나주그린즈버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9세부터 만돌린을 연주하기 시작했다. 젊은 시절 간판 그리는 일을 하면서, 밤에는 지역 밴드에서 연주했다. 1943년 다다넬 캠브리지 트리오에 합류했다가, 1945년 트리오를 그만두고 잠시 고향으로 돌아갔다.

1947년 연주 활동을 재개하여 버디 드프랑코와 마조리 하이엄스의 밴드, 마셜 그랜트 악단에서 연주했다. 1949년 맨델 로우의 후임으로 레드 노보 트리오에 참여하여 주목을 받았다. 이후 아티 쇼 콤보인 그래머시 파이브에 반년 동안 재적했고, 그 후 자신의 밴드를 결성했다.

1954년 첫 리더작 《탈 팔로우 콰르텟》을 발표했다. 같은 해 《더 탈 팔로우 앨범》, 1955년 《인터프리테이션스 오브 탈 팔로우》, 1956년 《탈》, 《더 스윙잉 기타 오브 탈 팔로우》를 녹음했다. 1958년 《디스 이즈 탈 팔로우》를 발표했지만, 같은 해 결혼을 계기로 고향으로 돌아가 은퇴했다. 1968년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에서 복귀하여, 1998년 7월 25일 식도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2. 1. 초기 생애

탈 팔로우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에서 태어났다.[10] 22살 때 기타를 독학했다.[13] 우쿨렐레처럼 조율된 만돌린을 연주하며 화음 선율을 배웠다. 우쿨렐레 연주가 기타의 높은 네 현을 멜로디와 화음 구조로 사용하고, 두 개의 밑줄은 엄지손가락으로 연주한 베이스 대위법으로 사용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유일한 전문적인 훈련은 간판 화가 견습생이었다. 가게 라디오에서 빅 밴드 기준을 들을 수 있도록 야간 근무를 요청했다. 빅스 바이더벡, 루이 암스트롱, 에디 랭의 음악을 들었다. 찰리 크리스천이 베니 굿맨 밴드와 함께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는 것을 듣고 영향을 받았다. 일렉트릭 기타를 살 여유가 없어 직접 만들었다고 말했다.

팔로우는 인공 하모닉을 사용했고 타악기를 위해 기타를 두드렸고, 납작하고 올무 같은 드럼 소리나 봉고처럼 속이 빈 백비트를 만들었다. 크고 빠른 손은 그에게 "문어"라는 별명을 주었다.[2][3]

2. 2. 음악 경력

탈 팔로우는 22살에 기타를 독학으로 시작했다.[13] 우쿨렐레처럼 조율된 만돌린을 연주하며 화음 선율을 익혔다. 우쿨렐레 연주 경험을 바탕으로 기타의 높은 네 현은 멜로디와 화음 구조로, 낮은 두 현은 엄지손가락으로 연주하는 베이스 대위법으로 활용했다. 간판 제작 견습생으로 일하면서 가게 라디오를 통해 빅스 바이더벡, 루이 암스트롱, 에디 랭 등의 빅 밴드 음악을 접했다. 찰리 크리스천이 베니 굿맨 밴드에서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는 것을 듣고 큰 영향을 받았으며, 직접 일렉트릭 기타를 만들어 연주하기도 했다.

팔로우는 인공 하모닉스 주법을 사용하고 기타를 두드려 타악기 소리를 내는 등 독창적인 연주 스타일을 선보였다. 크고 빠른 손놀림 덕분에 "문어"라는 별명을 얻었다.[3]

키스톤 코너(Keystone Korner), 샌프란시스코에서 레드 노르보와 함께 연주하는 탈 팔로우, 1981년 7월 28일


1949년, 레드 노르보, 찰스 밍거스와 함께 트리오를 결성하여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2] 1953년에는 아티 쇼가 이끄는 그라머시 파이브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2년 후에는 비니 버크, 에디 코스타와 함께 자신의 트리오를 결성하여 뉴욕에서 활동했다. 1958년 결혼 후, 부분적으로 은퇴하고[3] 시브라이트에 정착하여 간판 제작 일을 다시 시작했다.[2] 그러나 지역 클럽에서 간헐적으로 연주 활동을 이어갔다. 1962년, 깁슨 기타 공사(Gibson Guitar Corporation)는 팔로우의 의견을 반영하여 "탈 팔로우"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다. 1976년, 다시 녹음 활동을 시작했으며, 1981년에는 그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개봉되었다.[3]

1940년에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베니 굿맨 악단의 찰리 크리스천의 연주에 감명을 받아 전기 기타를 구입하고 그의 연주를 따라 하기 시작했다. 1943년부터 다다넬 캠브리지 트리오에 합류했다. 뉴욕에서 찰리 파커 등의 비밥에 충격을 받고 1945년에 다다넬 트리오를 그만두고 잠시 고향으로 돌아갔다.

1947년에 연주 활동을 재개하여 버디 드프랑코와 마조리 하이엄스의 밴드, 마셜 그랜트 악단에서 연주한 후, 1949년에 맨델 로우의 후임으로 레드 노보 트리오에 참여했다. 노보 트리오에서의 연주는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트리오를 그만둔 후 아티 쇼의 콤보인 그래머시 파이브에 반년 동안 재적했고, 그 후 자신의 밴드를 결성했다.

1954년에 첫 리더작 『탈 팔로우 콰르텟』을 발표했다. 같은 해 『더 탈 팔로우 앨범』, 이듬해인 1955년에 『인터프리테이션스 오브 탈 팔로우』, 자신의 트리오를 결성한 후에는 1956년에 『탈』, 『더 스윙잉 기타 오브 탈 팔로우』를 녹음했다. 1958년에는 『디스 이즈 탈 팔로우』를 발표했지만, 이 해에 결혼을 계기로 고향으로 돌아가 연주 활동에서 은퇴했다.

그로부터 10년 후인 1968년의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에서 복귀했다. 이듬해에 『더 리턴 오브 탈 팔로우』를 발표했고, 그 후에도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다.

2. 3. 은퇴와 복귀

1958년에 결혼하면서 고향으로 돌아가 연주 활동을 은퇴했다.[1]

10년 후인 1968년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에서 복귀했다.[1] 이듬해 『더 리턴 오브 탈 팔로우』를 발표하고,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했다.[1] 1998년 7월 25일 식도암으로 뉴욕에서 사망했다.[1]

2. 4. 사망

탈 팔로우는 1998년 7월 25일 뉴욕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식도암으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14] 사망 후 2005년에 발매된 DVD에서 위대한 기타리스트들(Great Guitars)의 멤버로 활동했다.[1][9]

3. 연주 스타일 및 영향

탈 팔로우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에서 태어났다.[10] 22살에 기타를 독학으로 시작했으며,[13] 우쿨렐레처럼 조율된 만돌린을 연주하며 화음 선율을 익혔다. 그는 우쿨렐레 연주 경험을 바탕으로 기타의 높은 네 현은 멜로디와 화음 구조로, 낮은 두 현은 엄지손가락으로 연주하는 베이스 대위법으로 활용했다고 말했다. 그의 유일한 전문적인 훈련은 간판 화가 견습생 시절이었다. 그는 가게 라디오에서 빅스 바이더벡, 루이 암스트롱, 에디 랭과 같은 빅 밴드 음악을 즐겨 들었다. 찰리 크리스천이 베니 굿맨 밴드에서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는 것을 듣고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일렉트릭 기타를 직접 만들어 연주하기도 했다.

팔로우는 인공 하모닉스를 사용하고 타악기처럼 기타를 두드려 납작하고 올무 같은 드럼 소리나 봉고와 비슷한 백비트를 만들어냈다. 크고 빠른 손놀림 덕분에 "문어"라는 별명을 얻었다.

스티브 로친스키는 "찰리 크리스천 이후 첫 세대 기타리스트들 중 탈 팔로우는 초기 전기 기타 마스터의 리듬, 멜로디, 화성 어휘를 뛰어넘은 독보적인 인물이다. 놀라운 속도, 긴 라인, 리듬감, 뛰어난 화성 감각, 그리고 엄청난 신체적, 음악적 범위는 그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만들어냈다."라고 평가했다.[5] 동시대 기타리스트들이 리듬 코드와 선형 멜로디를 결합한 반면, 팔로우는 조화롭게 풍부한 음조 사이를 오가며 단일 음표를 클러스터로 묶어 연주했다. 음악 역사가 스튜어트 니콜슨은 "기타 기량 면에서 로저 배니스터가 4분 벽을 깬 것에 비견될 만하다"라고 말했다.[6]

거대한 손을 한껏 펼쳐 프레이즈를 엮어내는 모습은 "문어발"이라고 불렸다.[7] 다이내믹한 도약을 활용하고, 이를 연달아 이어나가는 긴 프레이즈를 빠른 속도로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악보를 읽지 못하고 코드 지식도 불확실했지만, 뛰어난 음감을 바탕으로 모던한 보이싱과 코드 워크를 자유자재로 구사했다.[8]

4. 음반 목록

탈 팔로우의 음반 목록은 크게 리더 작품과 협연 작품으로 나뉜다.

'''리더 작품'''

연도앨범 제목레이블
1945골드 브레이드 (Gold Braid)Audiophile
1950Move!사보이
1954뉴욕의 가을 (Autumn in New York)버브
1954탈 팔로우 콰르텟 (Tal Farlow Quartet)블루 노트
1954탈 팔로우 앨범 (The Tal Farlow Album)Norgran, 버브
1954탈 팔로우의 예술성 (The Artistry of Tal Farlow)Norgran, 버브
1955탈 팔로우의 해석 (The Interpretations of Tal Farlow)Norgran, 버브
1955탈 팔로우의 리사이틀 (A Recital by Tal Farlow)Norgran, 버브
1955Swing Guitars버브
1955Poppin' and Burnin'버브
1956탈 (Tal)Norgran, 버브
1956Metronome All-Stars버브
1957탈 팔로우의 스윙 기타 (The Swinging Guitar of Tal Farlow)버브
1958이것이 탈 팔로우다 (This Is Tal Farlow)버브
1959탈 팔로우의 기타 예술 (The Guitar Artistry of Tal Farlow)버브
1960탈 팔로우, 해럴드 알렌의 음악을 연주하다 (Tal Farlow Plays the Music of Harold Arlen)버브
1969탈 팔로우의 귀환 (The Return of Tal Farlow)프레스티지
1974기타 플레이어 (Guitar Player)프레스티지
1975Fuerst Set영어[1]자나두
1976트리니티 (Trinity)CBS 소니
1977시대의 징조 (A Sign of the Times)콩코드
1977Second Set영어[1]자나두
1978탈 팔로우 78 (Tal Farlow 78)콩코드
1981크로매틱 팔레트 (Chromatic Palette)콩코드
1981행크 존스, 레드 노르보와 함께 (On Stage with Hank Jones, Red Norvo)콩코드
1983모든 버너에서 요리하기 (Cookin' on all Burners)콩코드
1985전설적인 탈 팔로우 (The Legendary Tal Farlow)콩코드
1987All Strings AttachedJazzVisions
1991스탠다드 리사이틀 (Standards Recital)FD Music
1993Project G-5: A Tribute to Wes MontgomeryEvidence Records
1995Jazz Masters 41 Tal Farlow버브
1996Tal FarlowGiants of Jazz
1997우연한 만남 (Chance Meeting)Guitarchives
2000Live at the Public TheatreProductions A-Propos
2001Tal Farlow's Finest Hour버브
2002Tal's BluesPast Perfect
20021956년의 모든 개인 녹음 (Complete 1956 Private Recordings)Definitive
2004Two Guys with GuitarsFrozen Sky Records
2004The Complete Verve Tal Farlow Sessions모자이크



Fuerst Set영어와 Second Set영어는 1956년에 녹음되었다.[1]

'''협연 작품'''


  • 아티 쇼와 함께: 《말을 꺼낼 수 없어서》(I Can't Get Started..., 1956년, 버브)[2]
  • 오스카 페티포드와 함께: 《오스카 페티포드 섹스텟》(Oscar Pettiford Sextet, 1954년, Vogue)
  • 버디 드프랑코와 함께: 《스위트 앤 러블리》(Sweet and Lovely, 1956년, 버브), 《쿠킹 더 블루스》(Cooking the Blues, 1958년, 버브), 《더 그레이트 인카운터》(The Great Encounter, 1977년, Progressive), 《Like Someone in Love》(1980년, Progressive)
  • 소니 크리스와 함께: 《업, 업 앤 어웨이》(Up, Up and Away, 1967년, 프레스티지)


4. 1. 리더 작품

연도앨범 제목레이블
1954뉴욕의 가을 (Autumn in New York)버브
1954탈 팔로우 콰르텟 (Tal Farlow Quartet)블루 노트
1954탈 팔로우 앨범 (The Tal Farlow Album)Norgran, 버브
1954탈 팔로우의 예술성 (The Artistry of Tal Farlow)Norgran, 버브
1955탈 팔로우의 해석 (The Interpretations of Tal Farlow)Norgran, 버브
1955탈 팔로우의 리사이틀 (A Recital by Tal Farlow)Norgran, 버브
1955Swing Guitars버브
1955Poppin' and Burnin'버브
1956탈 (Tal)Norgran, 버브
1956Metronome All-Stars버브
1957탈 팔로우의 스윙 기타 (The Swinging Guitar of Tal Farlow)버브
1958이것이 탈 팔로우다 (This Is Tal Farlow)버브
1959탈 팔로우의 기타 예술 (The Guitar Artistry of Tal Farlow)버브
1960탈 팔로우, 해럴드 알렌의 음악을 연주하다 (Tal Farlow Plays the Music of Harold Arlen)버브
1969탈 팔로우의 귀환 (The Return of Tal Farlow)프레스티지
1974기타 플레이어 (Guitar Player)프레스티지
1975Fuerst Set영어[1]자나두
1976트리니티 (Trinity)CBS 소니
1977시대의 징조 (A Sign of the Times)콩코드
1977Second Set영어[1]자나두
1978탈 팔로우 78 (Tal Farlow 78)콩코드
1981크로매틱 팔레트 (Chromatic Palette)콩코드
1981행크 존스, 레드 노르보와 함께 (On Stage with Hank Jones, Red Norvo)콩코드
1983모든 버너에서 요리하기 (Cookin' on all Burners)콩코드
1985전설적인 탈 팔로우 (The Legendary Tal Farlow)콩코드
1987All Strings AttachedJazzVisions
1991스탠다드 리사이틀 (Standards Recital)FD Music
1993Project G-5: A Tribute to Wes MontgomeryEvidence Records
1995Jazz Masters 41 Tal Farlow버브
1996Tal FarlowGiants of Jazz
1997우연한 만남 (Chance Meeting)Guitarchives
2000Live at the Public TheatreProductions A-Propos
2001Tal Farlow's Finest Hour버브
2002Tal's BluesPast Perfect
20021956년의 모든 개인 녹음 (Complete 1956 Private Recordings)Definitive
2004Two Guys with GuitarsFrozen Sky Records
2004The Complete Verve Tal Farlow Sessions모자이크



Fuerst Set영어와 Second Set영어는 1956년에 녹음되었다.[1]

4. 2. 협연 작품

'''버디 드프랑코와 함께'''

  • ''Sweet and Lovely'' (Verve, 1956)
  • ''Cooking the Blues'' (Verve, 1958)
  • ''The Great Encounter'' (Progressive, 1977)
  • ''Like Someone in Love'' (Progressive, 1980)


'''레드 노르보와 함께'''

  • ''Red Norvo Trio Vol. 1'' (Discovery, 1951)
  • ''Red Norvo Trio Vol. 2'' (Discovery, 1953)
  • ''Move!'' (Savoy, 1956)
  • ''Red Norvo with Strings'' (Fantasy, 1956)


'''기타 다른 아티스트와 함께'''

  • 세파스 & 위긴스, ''Flip, Flop, & Fly'' (Flying Fish, 1992)
  • 세파스 & 위긴스, ''Somebody Told the Truth'' (Alligator, 2002)
  • 소니 크리스, ''Up, Up and Away'' (Prestige, 1967)
  • 하워드 맥기, ''Howard McGhee Vol. 2'' (Blue Note, 1953)
  • 길 멜레, ''New Faces, New Sounds'' (Blue Note, 1953)
  • 길 멜레, ''Vol. 2'' (Blue Note, 1953)
  • 메트로놈 올스타즈, ''Metronome All-Stars 1956'' (Clef, 1956)
  • 샘 모스트, ''Mostly Flute'' (Xanadu, 1976)
  • 아니타 오데이, ''An Evening with Anita O'Day'' (Norgran, 1955)
  • 아니타 오데이, ''Anita O'Day Swings Cole Porter with Billy May'' (Verve, 1991)
  • 오스카 페티포드, ''Oscar Pettiford Sextet'' (BMG, 1964)
  • 아티 쇼, ''I Can't Get Started'' (Verve, 1956)
  • 조지 시어링 & 레드 노르보, ''Midnight On Cloud 69'' (Savoy, 1956)
  • 클라크 테리, ''Clark Terry'' (Verve, 1997)
  • 조지 와인, ''George Wein's Newport All-Stars'' (Atlantic, 1969)
  • 메리 루 윌리엄스, ''The London Sessions Original Vogue Masters'' (BMG, 1997)
  • 골드 브레이드(Gold Braid, 1945년, Audiophile)
  • Move! (1950년 사보이)


;아티 쇼

  • 『말을 꺼낼 수 없어서』 - I Can't Get Started... (1956년, Verve) ※1953년 - 1954년 녹음


;오스카 페티포드

  • 『오스카 페티포드 섹스텟』 - Oscar Pettiford Sextet (1954년, Vogue)


;버디 드프랑코

  • 『스위트 앤 러블리』 - Sweet and Lovely (1956년, Verve)
  • 『쿠킹 더 블루스』 - Cooking the Blues (1958년, Verve)
  • 『더 그레이트 인카운터』 - The Great Encounter (1977년, Progressive)
  • Like Someone in Love (1980년, Progressive)


;소니 크리스

  • 『업, 업 앤 어웨이』 - Up, Up and Away (1967년, Prestige)

참조

[1] 웹사이트 Charlie Byrd, Tal Farlow and Herb Ellis https://www.melbay.c[...] 2005-12-19
[2]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Jazz Guinness Publishing 1992
[3]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Inc. 2002
[4] 뉴스 Tal Farlow, 77, Jazz Guitarist Rooted in Bop https://www.nytimes.[...] 1998-07-28
[5] 서적 The Jazz Style of Tal Farlow: The Elements of Bebop Guitar Hal Leonard 1994
[6] 간행물 Axe of the Apostles Wire 1990-09
[7] 웹사이트 生誕100周年記念 タル・ファーロウの超絶ジャズ・ギターを味わう https://guitarmagazi[...] リットーミュージック 2021-04-21
[8] 서적 ジャズギター・ブックvol.3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2004-10-28
[9] 웹인용 Charlie Byrd, Tal Farlow and Herb Ellis https://www.melbay.c[...] MelBay.com 2005-12-19
[10]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Jazz Guinness Publishing 1992
[11] 서적 The Jazz Style of Tal Farlow: The Elements of Bebop Guitar Hal Leonard 1994
[12] 간행물 Axe of the Apostles Wire 1990-09
[13]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Inc. 2002
[14] 뉴스 Tal Farlow, 77, Jazz Guitarist Rooted in Bop https://www.nytimes.[...] 1998-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