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강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강릉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있는 조선 왕릉으로, 문정왕후의 단릉인 태릉과 명종과 인순왕후의 쌍릉인 강릉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태릉은 1565년에 조성되었으며, 문정왕후의 단독 묘역이다. 강릉은 명종과 인순왕후의 동원 쌍봉릉으로 조성되었다. 태릉봉향회는 문정왕후의 제향을 주관하며, 강릉은 2014년 1월 1일부터 일반에 개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문화유산 -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조선 중종 시대에 세워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는 묘비 훼손을 막기 위한 경계문이 한글로 새겨진 비석으로,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비석으로 평가받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 서울 노원구의 문화유산 - 불암산성 (서울/경기)
불암산성 (서울/경기)은 서울 노원구와 경기 남양주 별내동에 걸쳐 있는 불암산 정상부에 축조된 조선 시대의 석축 산성으로, 군사적 방어 기능과 지역 방어 체계를 보여주는 유적이며, 성벽 길이는 약 2,300m이다. - 조선 명종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 조선 명종 - 이준경
이준경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대에 영의정을 지냈고 선조 즉위 후 원상으로서 국정을 주도했으며, 을사사화 때 사림을 보호하고 을묘왜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 조선의 왕릉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 조선의 왕릉 - 서삼릉
서삼릉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왕실의 능원이며, 희릉, 효릉, 예릉 등의 능과 원, 묘 등이 있으며 일부 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태강릉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울 태릉과 강릉 |
한자 표기 | 서울 泰陵과 康陵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201 |
지정일 | 1970년 5월 26일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727 (공릉동)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문화재청 |
면적 | 1,639,180m² |
좌표 | 37°38′6″N 127°6′12″E |
문화재청 | |
문화재청 번호 | 13,02010000,11 |
2. 태릉(泰陵)
중종의 제3비 문정왕후 윤씨(1501년~1565년)의 단릉이다. 1565년에 조성되었다. 문정왕후는 중종의 정릉을 봉은사 곁으로 옮기고 자신도 그 옆에 묻히기를 원했지만, 정릉 주위 지대가 낮아 장마철에 물이 자주 차 침수되자 뜻을 이루지 못하고 태릉에 안장되었다.
2. 1. 조성 배경
중종의 제3비 문정왕후 윤씨(1501년~1565년)의 능으로, 1565년에 조성되었다. 태릉은 왕비의 봉분 1기만을 조성한 단릉이다. 문정왕후는 중종의 제2비 장경왕후 윤씨와 함께 중종의 정릉 옆에 묻히기를 원했다. 그러나 정릉 주위 지대가 낮아 장마철에 물이 자주 차 침수되자, 뜻을 이루지 못하고 태릉에 안장되었다.2. 2. 태릉봉향회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산하기관으로 중종의 제3비인 문정왕후 윤씨의 제향을 주관하는 공식 단체이다. 태릉 제향은 처음 정릉왕자파 동종회에서 1965년부터 2001년 5월 16일까지 제향을 봉행해오다가 2002년 5월 16일부터 전주이씨 덕흥대원군파 대종회로 이관되어 봉행하고 있다. 2002년 5월 16일 능하에서 많은 종친이 참석한 가운데 태릉봉향회 창립 총회가 개최되고, 이날 총회에서 초대 회장으로 덕흥대원군 12대손 이재원이 선임되면서 봉향회가 새롭게 출발하였다. 2005년 3월 10일 2대 회장으로 대원군 16대손 이우영이 취임하고, 2007년 3월 10일 3대 회장에 이재구가 취임하였다. 현재 제향에는 많은 종친과 파평 윤씨 문중, 일반인들이 참반한 가운데 기신일 5월 16일에 제향을 받들고 있다. 조선왕릉 40기가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되게 하는 큰 역할이 바로 이러한 전통 왕릉제향이 계속 이어져 오는 점들을 들어 세계문화유산에 지정하였다고 한다.3. 강릉(康陵)
조선 제13대 왕 명종(재위 1545년~1567년)과 인순왕후 심씨(1532년~1575년)의 능이다. 강릉은 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마련한 동원(同原) 쌍봉릉(雙封陵)이며, 난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3. 1. 개방
강릉은 원형 보존을 위해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았으나, 태릉을 찾는 관람객들의 요구와 문화재 정비 등을 통해 2014년 1월 1일부터 개방되었다.4. 지리
태릉과 강릉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있다. 근처에 태릉선수촌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