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릉입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릉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7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1996년 7호선 개통과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6호선과 7호선 간 환승은 계단을 이용하며, 6호선에서 7호선으로, 7호선에서 6호선으로 환승 시 각각 화랑대역, 먹골역 방향 연결 계단을 이용한다. 주변에는 공릉시장, 서울노원우체국 등이 위치해 있으며, 6호선 석계역, 화랑대역과 7호선 공릉역, 먹골역이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태릉입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태릉입구역 |
한자 표기 | 泰陵入口驛 |
로마자 표기 | Taereungipgu-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동일로 992-1 |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
승강장 | 4 |
선로 | 4 |
구조 | 지하역 |
6호선 정보 | |
역 번호 | 645 |
영업 거리 | 응암역 기점 33.5 km |
이전 역 | 석계 |
이전 역 간 거리 | 0.8 km |
다음 역 | 화랑대 |
다음 역 간 거리 | 0.9 km |
7호선 정보 | |
역 번호 | 717 |
영업 거리 | 장암역 기점 9.8 km |
이전 역 | 공릉 |
이전 역 간 거리 | 0.8 km |
다음 역 | 먹골 |
다음 역 간 거리 | 0.7 km |
기타 | |
관련 내용 | 1939년부터 1957년까지 태릉역이라는 역명을 사용하였던 역 화랑대역 (폐역) |
2. 역사
-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 ~ 건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운영 기관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였다.
- 1998년 5월 2일: 집중 호우로 인해 침수 사고가 발생하여 영업이 중지되었다. 이 사고는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 지연의 원인이 되었다.
- 2000년 8월 7일: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상월곡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6호선과 7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 화랑대역과 이 역 사이, 그리고 7호선 먹골역과 이 역 사이에는 두 노선을 연결하는 선로가 있다. 6호선 일부 전동차는 이 연결 선로를 통해 7호선 도봉차량사업소로 이동하여 중검수를 받는다. 7호선은 이 역과 공릉역 사이에 열차 유치 선로가 있으며, 석남발 태릉입구행 막차 1편성과 태릉입구발 장암행 첫차가 이 역에서 출발한다.
3. 1. 환승
6호선과 7호선 태릉입구역의 환승은 매우 편리한 편이다. 6호선은 화랑대역 방면에, 7호선은 먹골역 방면에 환승 통로가 있으며, 6호선이 위에, 7호선이 아래에 있다. 4방위를 기준으로 할 때 역 L자 형태의 환승 동선이 나오며, 계단을 두 번만 이용하면 바로 환승할 수 있다. 그러나 휠체어, 유모차 이용자의 경우에는 환승 통로를 이용할 수 없으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간접 환승을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이 역에서 화랑대역 방면으로는 7번 출구나 8번 출구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석계역 방면의 경우 1번 출구 측에 정류소가 있다.
7호선은 강남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출근 수요가 많은 7호선 노원구 소재 지하철역에서 종로, 을지로 일대 도심으로 나가려면 반드시 4호선이나 6호선으로 환승하여야 하는데, 4호선 노원역의 경우 7호선과의 환승 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대부분의 승객들이 6호선을 이용하여 환승한다. 아울러 7호선 중랑 지역에서 도심으로 나가기 위해서도 태릉입구역까지 올라가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점에서 6, 7호선 태릉입구역은 유일한 환승역이다.
6호선과 7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며,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에서 7호선으로 환승하려면 6호선 승강장 동쪽 끝(화랑대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이용해야 하며, 7호선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려면 7호선 승강장 남쪽 끝(먹골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단, 6호선 승강장과 7호선 승강장을 직접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환승하려면 개찰구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개찰구 밖에서 환승해야 한다.
3. 2. 승강장
6호선과 7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에서 7호선으로 환승하려면 6호선 승강장 동쪽 끝(화랑대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7호선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려면 7호선 승강장 남쪽 끝(먹골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두 노선 승강장을 직접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는 없으므로, 엘리베이터 이용 시에는 개찰구 밖에서 환승해야 한다.
6호선 개찰구는 지하 1층, 7호선 개찰구는 지하 3층에 있으며, 각 노선별로 1개씩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지하 1층과 지하 3층 개찰구 밖에 각각 1곳씩 있다. 출입구는 총 7개다.
6호선 화랑대역과 이 역 사이, 그리고 7호선 먹골역과 이 역 사이에는 두 노선을 연결하는 선로가 있다. 6호선 일부 전동차는 이 연결 선로를 통해 7호선 도봉차량사업소로 이동하여 중검수를 받는다. 7호선은 이 역과 공릉역 사이에 열차 유치 선로가 있으며, 석남발 태릉입구행 막차 1편성이 운행하고, 태릉입구발 장암행 첫차가 이 역에서 출발한다.
두 노선 모두 승강장 번호는 없다.
3. 2. 1. 6호선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에서 7호선으로 환승하려면 6호선 승강장 동쪽 끝(화랑대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6호선 승강장과 7호선 승강장을 직접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환승하려면 개찰구 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개찰구 밖에서 환승해야 한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1곳, 화장실은 지하 1층 개찰구 밖에 1곳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7번까지 총 7곳이 있으며, 승강장 번호는 없다.
6호선 화랑대역과 태릉입구역 사이에는 7호선과의 연결 선로가 있다. 이 연결 선로는 7호선 먹골역과 태릉입구역 사이로 연결된다. 6호선 일부 전동차들은 이 연결 선로를 이용하여 7호선의 도봉차량사업소로 이동하여 중검수를 받는다.
3. 2. 2. 7호선 승강장
7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7호선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려면 7호선 승강장 남쪽 끝(먹골역 방향)에 있는 연결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7호선 승강장과 직접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환승하려면 개찰구 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개찰구 밖에서 환승해야 한다. 7호선 개찰구 층은 지하 3층이다. 개찰구는 1곳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장실은 지하 3층 개찰구 밖에 1곳이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7번까지 총 7곳이 있다.6호선 화랑대역과 태릉입구역 사이에는 7호선과의 연결 선로가 있다. 이 연결 선로는 7호선 먹골역과 태릉입구역 사이로 연결된다. 6호선 일부 전동차들은 이 연결 선로를 이용하여 7호선의 도봉차량사업소로 이동하여 중검수를 받는다. 또한, 7호선의 경우 태릉입구역과 공릉역 사이에 열차 유치 선로가 있다. 석남발 태릉입구행 막차 1편성이 운행하고 있으며, 태릉입구발 장암행 첫차의 기점이기도 하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3. 연결 선로
6호선 화랑대역과 이 역 사이에 7호선과의 연결 선로가 있다. 이 연결 선로는 7호선 먹골역과 이 역 사이로 연결된다. 6호선 일부 전동차들은 이 연결 선로를 이용하여 7호선의 도봉차량사업소로 이동하여 중검수를 받는다.[1] 7호선의 경우 이 역과 공릉역 사이로 열차 유치 선로가 있다. 석남발 태릉입구행 막차 1편성이 운행하고 있으며, 태릉입구발 장암행 첫차의 기점이기도 하다.[1]3. 4. 유치 선로
태릉입구역은 7호선 공릉역과 사이에 열차 유치 선로가 있다. 석남발 태릉입구행 막차 1편성이 운행하고 있으며, 태릉입구발 장암역행 첫차의 기점이기도 하다.[1]4. 이용객 변동
태릉입구역의 연도별 이용객 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4]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1,740 | 3,801 | 4,363 | 4,628 | 4,945 | 5,113 | 5,151 | 5,184 | 5,149 | 5,213 |
하차 | 1,699 | 3,683 | 4,216 | 4,471 | 4,832 | 4,991 | 5,059 | 5,052 | 5,020 | 5,164 | |
승하차 | 3,439 | 7,484 | 8,579 | 9,099 | 9,777 | 10,104 | 10,209 | 10,236 | 10,169 | 10,377 | |
7호선 | 승차 | 7,275 | 7,936 | 8,017 | 8,387 | 8,730 | 9,060 | 8,785 | 8,484 | 8,465 | 8,516 |
하차 | 7,042 | 7,446 | 7,441 | 7,631 | 7,976 | 8,093 | 7,747 | 7,457 | 7,401 | 7,544 | |
승하차 | 14,316 | 15,383 | 15,458 | 16,019 | 16,706 | 17,153 | 16,532 | 15,942 | 15,865 | 16,06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5,203 | 5,152 | 5,116 | 5,253 | 5,433 | 5,269 | 5,279 | 5,361 | ||
하차 | 5,267 | 5,351 | 5,466 | 5,998 | 6,212 | 6,168 | 6,283 | 6,439 | |||
승하차 | 10,470 | 10,503 | 10,582 | 11,251 | 11,645 | 11,437 | 11,562 | 11,800 | |||
7호선 | 승차 | 8,338 | 8,330 | 8,472 | 8,817 | 9,092 | 9,058 | 9,192 | 9,344 | ||
하차 | 7,574 | 7,669 | 7,919 | 8,128 | 8,467 | 8,499 | 8,491 | 8,567 | |||
승하차 | 15,912 | 15,999 | 16,391 | 16,945 | 17,559 | 17,557 | 17,683 | 17,911 | [4] |
5. 역 주변
6호선은 화랑대역 방면, 7호선은 먹골역 방면에 환승 통로가 있어 환승이 매우 편리하며, 6호선이 위에, 7호선이 아래에 있다. 4방위를 기준으로 할 때 역 L자 형태의 환승 동선이 나오며, 계단을 두 번만 이용하면 바로 환승할 수 있다. 그러나 휠체어, 유모차 이용자의 경우에는 환승 통로를 이용할 수 없으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간접 환승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화랑대역 방면으로는 7번 출구나 8번 출구에서, 석계역 방면으로는 1번 출구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7호선은 강남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출근 수요가 많은 7호선 노원구 소재 지하철역에서 종로, 을지로 일대 도심으로 가려면 반드시 4호선이나 6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4호선 노원역은 7호선과의 환승 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대부분 6호선을 이용하여 환승한다. 또한, 7호선 중랑 지역에서 도심으로 가기 위해서도 태릉입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6, 7호선 태릉입구역은 이러한 점에서 유일한 환승역이다.
1, 6, 7, 8번 출구는 6호선, 2, 3, 4, 5번 출구는 7호선의 출구이다.
6.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6호선 | ||
---|---|---|
석계 (644) | 응암 순환 | 화랑대 (646) |
서울 지하철 7호선 | ||
공릉 (716) | 장암 방면 | 먹골 (718) |
참조
[1]
웹사이트
태릉입구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21-02-26
[2]
웹사이트
태릉입구역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2021-02-25
[3]
웹사이트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4]
웹사이트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