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마토비우스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마토비우스속은 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개구리 속으로, 대부분 반수생 또는 수생 생활을 하며, 안데스 산맥 고원의 호수, 강, 습지 주변에서 발견된다. 이 속에는 후닌호 개구리와 티티카카 물개구리가 포함되며, 60종 이상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서식지 파괴, 오염, 질병, 외래종, 인간의 포획 등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 현재 63종이 인정되고 있으며, 미기재 종이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의 양서류 - 남아메리카뿔개구리속
    남아메리카뿔개구리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매복 포식 생활을 하고,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일부 종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남아메리카의 양서류 - 케우토만티스속
    케우토만티스속은 프리스티만티나아과에 속하는 개구리 속으로, 좁은 머리와 녹색을 띠며 손가락과 발가락에 패인 발가락 디스크를 가지며, 4종의 개구리를 포함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텔마토비우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칠레 북부 알티플라노 고원의 텔마토비우스속 개구리
칠레 북부 알티플라노고원Telmatobius
학명Telmatobius
명명자비그만, 1834
이명Batrachophrynus Peters, 1873
종 다양성63종 (본문 참조)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강
개구리목
아목신와아목
상과청개구리상과
텔마토비우스과 (Telmatobiidae)

2. 생태 및 보존

''텔마토비우스'' 종은 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부분 반수생이지만 일부는 완전히 수생이다.[5] 이들은 안데스 산맥 고원의 호수, 강, 습지 주변에서 발견된다.[6] 이 속에는 후닌호 개구리(''T. macrostomus'')와 티티카카 물개구리(''T. culeus'')가 포함되어 있지만, 나머지는 상당히 작다.[7] 올챙이의 경우, 가장 큰 올챙이를 가진 종은 더 높은 고도의 시냇물과 호수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8]

''텔마토비우스''는 60종 이상을 포함하며, 압도적인 다수가 심각한 위협종이며, 특히 서식지 파괴, 오염, 질병(카이트리디진균증 및 선충 감염), 외래종 송어, 인간 소비를 위한 포획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5][9]

세 개의 에콰도르 종은 수년 동안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미 멸종되었을 수 있다: ''T. cirrhacelis''는 1981년에 마지막으로 발견되었고, ''T. niger''는 1994년, ''T. vellardi''는 1987년에 마지막으로 발견되었다.[5][9] 마찬가지로, 볼리비아의 15종 중 7종은 수년 동안 발견되지 않았다.[10] 그러나 일부는 여전히 재발견될 수 있다.[10]

2. 1. 세우엔카스 물개구리 (''T. yuracare'')의 사례

3. 하위 종

현재 텔마토비우스속에는 63종이 인정되고 있지만,[1] 일부 종의 유효성은 의문시되며, 미기재 종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다.[11][12]


  • ''Telmatobius achachila'' Gómez 외, 2024
  • ''Telmatobius arequipensis'' Vellard, 1955
  • ''Telmatobius atacamensis'' Gallardo, 1962
  • ''Telmatobius atahualpai'' Wiens, 1993
  • ''Telmatobius bolivianus'' Parker, 1940
  • ''Telmatobius brachydactylus'' (Peters, 1873)
  • ''Telmatobius brevipes'' Vellard, 1951
  • ''Telmatobius brevirostris'' Vellard, 1955
  • ''Telmatobius carrillae'' Morales, 1988
  • ''Telmatobius ceiorum'' Laurent, 1970
  • ''Telmatobius chusmisensis'' Formas, Cuevas 및 Nuñez, 2006
  • ''Telmatobius cirrhacelis'' Trueb, 1979
  • ''Telmatobius colanensis'' Wiens, 1993
  • ''Telmatobius contrerasi'' Cei, 1977
  • ''Telmatobius culeus'' (Garman, 1876)
  • ''Telmatobius dankoi'' Formas 외, 1999
  • ''Telmatobius degener'' Wiens, 1993
  • ''Telmatobius edaphonastes'' De la Riva, 1995
  • ''Telmatobius espadai'' De la Riva, 2005
  • ''Telmatobius fronteriensis'' Benavides, Ortiz 및 Formas, 2002
  • ''Telmatobius gigas'' Vellard, 1969
  • ''Telmatobius halli'' Noble, 1938
  • ''Telmatobius hauthali'' Koslowsky, 1895
  • ''Telmatobius hintoni'' Parker, 1940
  • ''Telmatobius hockingi'' Salas 및 Sinsch, 1996
  • ''Telmatobius huayra'' Lavilla 및 Ergueta-Sandoval, 1995
  • ''Telmatobius hypselocephalus'' Lavilla 및 Laurent, 1989
  • ''Telmatobius ignavus'' Barbour 및 Noble, 1920
  • ''Telmatobius intermedius'' Vellard, 1951
  • ''Telmatobius jelskii'' (Peters, 1873)
  • ''Telmatobius laevis'' Philippi, 1902
  • ''Telmatobius laticeps'' Laurent, 1977
  • ''Telmatobius latirostris'' Vellard, 1951
  • ''Telmatobius macrostomus'' (Peters, 1873)
  • ''Telmatobius mantaro'' Ttito 외, 2016
  • ''Telmatobius marmoratus'' (Duméril 및 Bibron, 1841)
  • ''Telmatobius mayoloi'' Salas 및 Sinsch, 1996
  • ''Telmatobius mendelsoni'' De la Riva, Trueb 및 Duellman, 2012
  • ''Telmatobius necopinus'' Wiens, 1993
  • ''Telmatobius niger'' Barbour 및 Noble, 1920
  • ''Telmatobius oxycephalus'' Vellard, 1946
  • ''Telmatobius pefauri'' Veloso 및 Trueb, 1976
  • ''Telmatobius peruvianus'' Wiegmann, 1834
  • ''Telmatobius philippii'' Cuevas 및 Formas, 2002
  • ''Telmatobius pinguiculus'' Lavilla 및 Laurent, 1989
  • ''Telmatobius pisanoi'' Laurent, 1977
  • ''Telmatobius platycephalus'' Lavilla 및 Laurent, 1989
  • ''Telmatobius punctatus'' Vellard, 1955
  • ''Telmatobius rimac'' Schmidt, 1954
  • ''Telmatobius rubigo'' Barrionuevo 및 Baldo, 2009
  • ''Telmatobius sanborni'' Schmidt, 1954
  • ''Telmatobius schreiteri'' Vellard, 1946
  • ''Telmatobius scrocchii'' Laurent 및 Lavilla, 1986
  • ''Telmatobius sibiricus'' De la Riva 및 Harvey, 2003
  • ''Telmatobius simonsi'' Parker, 1940
  • ''Telmatobius stephani'' Laurent, 1973
  • ''Telmatobius thompsoni'' Wiens, 1993
  • ''Telmatobius timens'' De la Riva, Aparicio 및 Ríos, 2005
  • ''Telmatobius truebae'' Wiens, 1993
  • ''Telmatobius vellardi'' Munsterman 및 Leviton, 1959
  • ''Telmatobius ventriflavum'' Catenazzi, Vargas García 및 Lehr, 2015
  • ''Telmatobius verrucosus'' Werner, 1899
  • ''Telmatobius vilamensis'' Formas, Benavides 및 Cuevas, 2003
  • ''Telmatobius yuracare'' De la Riva, 1994
  • ''T. arequipensis''
  • ''T. atacamensis''
  • ''T. atahualpai''
  • ''T. bolivianus''
  • ''T. brachydactylus''
  • ''T. brevipes''
  • ''T. brevirostris''
  • ''T. carrillae''
  • ''T. ceiorum''
  • ''T. chusmisensis''
  • ''T. cirrhacelis''
  • ''T. colanensis''
  • ''T. contrerasi''
  • ''T. culeus''
  • ''T. dankoi''
  • ''T. degener''
  • ''T. edaphonastes''
  • ''T. espadai''
  • ''T. fronteriensis''
  • ''T. gigas''
  • ''T. halli''
  • ''T. hauthali''
  • ''T. hintoni''
  • ''T. hockingi''
  • ''T. huayra''
  • ''T. hypselocephalus''
  • ''T. ignavus''
  • ''T. intermedius''
  • ''T. jelskii''
  • ''T. laticeps''
  • ''T. latirostris''
  • ''T. macrostomus''
  • ''T. marmoratus''
  • ''T. mayoloi''
  • ''T. mendelsoni''
  • ''T. necopinus''
  • ''T. niger''
  • ''T. oxycephalus''
  • ''T. pefauri''
  • ''T. peruvianus''
  • ''T. philippii''
  • ''T. pinguiculus''
  • ''T. pisanoi''
  • ''T. platycephalus''
  • ''T. punctatus''
  • ''T. rimac''
  • ''T. rubigo''
  • ''T. sanborni''
  • ''T. schreiteri''
  • ''T. scrocchii''
  • ''T. sibiricus''
  • ''T. simonsi''
  • ''T. stephani''
  • ''T. thompsoni''
  • ''T. timens''
  • ''T. truebae''
  • ''T. vellardi''
  • ''T. verrucosus''
  • ''T. vilamensis''
  • ''T. yuracare''
  • ''T. zapahuirensis''

4. 계통 분류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5][16][17]

신와아목에는 유령개구리과, 나시카바트라쿠스과(돼지코개구리), 세이셸개구리과, 칼립토케팔렐라과, 림노디나스테스과, 거북개구리과가 있다. 청개구리상과/황금개구리상과에는 알소데스과, 바트라킬라과, 두꺼비과, 뿔개구리과, 키클로람푸스과, 뿔청개구리과, 힐로데스과, 긴발가락개구리과, 오돈토프리누스과, 코개구리과, 텔마토비우스속이 속한다. 또한 알로프리네과(알로프리네속), 유리개구리과(유리개구리), 청개구리과, 아로모바테스과, 독개구리과가 있으며, 황금개구리상과에는 가는발가락개구리과, 황금개구리과, 크라우가스토르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개구리상과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lmatobius'' Wiegmann, 1834"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7-02-09
[2] 웹사이트 Telmatobiidae Fitzinger, 1843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5-05-23
[3] 논문 Class Amphibia Gray, 1825. In: Zhang, Z.-Q. (Ed.)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mapress.com/z[...]
[4] 웹사이트 Telmatobiidae http://amphibiaweb.o[...] Berkeley, California: AmphibiaWeb 2015-05-23
[5] 논문 Conservation Needs of Batrachophrynus and Telmatobius Frogs of the Andes of Peru
[6] 논문 "Evolution and Conservation on Top of the World: Phylogeography of the Marbled Water Frog (Telmatobius marmoratus Species Complex; Anura, Telmatobiidae) in Protected Areas of Chile."
[7] 서적 "The Book of Frogs: A Life-Size Guide to Six Hundred Species from around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논문 Growth and cranial development in the Andean frogs of the genus Telmatobius (Anura: Telmatobiidae): Exploring the relation of heterochrony and skeletal diversity https://onlinelibrar[...] 2018-09
[9] 서적 "Threatened Amphibians of the World."
[10] 웹사이트 A Tale Of Two Frogs (And Some Of The Biologists Who Love Them) https://www.globalwi[...] Global Wildlife Conservation 2020-01-24
[11] 논문 Bolivian frogs of the genus Telmatobius: synopsis, taxonomic comments, and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12] 논문 "A new endemic lineage of the Andean frog genus Telmatobius (Anura, Telmatobiidae) from the western slopes of the central Andes."
[13] 웹인용 Telmatobiidae http://amphibiaweb.o[...] amphibiaweb.org 2014-10-09
[14] 웹인용 Telmatobius http://research.amnh[...] amnh.org 2014-10-09
[15]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16] 저널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http://www.frontiers[...]
[17] 저널 Molecular systematics of terraranas (Anura: Brachycephaloidea) with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lignment and optimality criteria http://www.ib.usp.b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