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정비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정비결은 조선 중기의 학자 이지함(토정)이 지은 도참서로, 정초에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풍속을 말한다. 개인의 사주를 바탕으로 육십갑자를 활용하여 일 년의 신수를 열두 달별로 풀이하며, 조선 말기 민생의 곤궁 속에서 개인적이고 세분된 예언을 희구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등장했다. 토정비결은 상괘, 중괘, 하괘를 합하여 세 자리 숫자로 괘를 완성하여 책에서 해당 숫자를 찾아보는 방식으로, 부귀, 화복, 구설, 가정 등 개인의 길흉화복을 중심으로 4언3구의 시구로 풀이한다.

2. 생애

이지함(1517~1578)은 조선의 문신으로, 호는 토정(土亭)이다. 마포 강변의 흙담 움막집에서 청빈하게 생활하였다. 서경덕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경사자전(經史子傳)에 통달하였고, 역학·의학·수학·천문·지리에도 해박하였다. 1573년 포천 현감, 1578년 아산 현감 등의 관직을 역임하며 민생 문제 해결에 힘썼다.[2] 《토정비결》은 이지함이 지었다고 알려진 책으로,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예언하고 있다.[3]

2. 1. 가계 및 학문

이지함은 조선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형중(馨仲), 호는 수산(水山)·토정(土亭),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토정유고》(土亭遺稿)를 저술하였다. 목은(牧隱) 이색의 후손으로, 현령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북인의 영수 이산해의 숙부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맏형인 이지번(李之蕃)에게서 글을 배우다가 서경덕의 문하에 들어갔다. 경사자전(經史子傳)에 통달하였고, 서경덕의 영향을 받아 역학·의학·수학·천문·지리에도 해박하였다.[2]

2. 2. 관직 생활

1573년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6품직을 제수받아 포천 현감이 되었으나 다음 해 사직하였다. 1578년 아산 현감이 되어서는 걸인청(乞人廳)을 만들어 관내 걸인의 수용과 노약자의 구호에 힘쓰는 등 민생 문제 해결에 큰 관심을 가졌다.[2]

2. 3. 기인적 면모와 일화

이지함은 추위와 더위는 물론 배고픔도 견딜 수 있었으며, 겨울에 벌거숭이로 매서운 바람 속에서도 앉아 견딜 수 있었고, 열흘 동안 곡기를 끊고도 병이 나지 않았다고 하는 등 기이한 행동과 관련된 많은 일화를 남겼다. 한번은 제주도에 갔을 때 제주목사가 그를 시험하기 위해 예쁜 기생을 보내 유혹했지만, 이지함은 끝내 넘어가지 않았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러한 일화들은 조선 선조 11년 7월 율곡 이이의 『경연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2]

조중봉(趙重峰)은 조선 선조 임금에게 올린 상소에서 이지함이이, 성혼과 함께 자신의 세 스승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그의 맑은 마음과 사사로운 욕심 없는 태도를 칭송하였다.

3. 토정비결

《토정비결》은 이지함이 지은 것으로 알려진 책으로, 태어난 해, 달, 날을 숫자로 계산하여 주역의 음양설에 따라 1년의 신수를 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며, 이러한 종류의 비결은 신라도선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3]

이지함은 마포 강변의 흙담 움막집에서 청빈하게 지내 '토정'이라는 호가 붙었다. 서경덕의 영향을 받아 역학, 의학, 수학, 천문, 지리에도 뛰어났다. 1573년 포천 현감, 1578년 아산 현감으로 재직하며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2]

《토정비결》은 조선 명종 때 이지함이 중국에서 유행하던 여러 가지 술서를 인용해 엮은 비결 중 하나이다. 조선 말기부터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지금도 정초에 거리에서 《토정비결》로 1년의 신수를 점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3]

3. 1. 내용 및 구성

《토정비결》은 조선 중기의 학자 토정 이지함이 지은 도참서로, 개인의 사주 중 태어난 연·월·일 세 가지로 육십갑자를 이용하여 일 년 동안의 신수를 열두 달별로 알아보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1]

토정비결을 보는 방법은 백 단위인 상괘(上卦), 십 단위인 중괘(中卦), 일 단위인 하괘(下卦)를 합하여 세 자리수로 된 괘를 완성시켜 책에서 해당 숫자를 찾아보면 된다. 백 단위는 나이와 해당 연도의 태세수(太歲數)를 합한 뒤 8로 나눈 나머지 숫자이며, 나머지가 없으면 8이다. 십 단위는 해당 연도의 생월 날짜 수(큰달은 30, 작은달은 29)와 월건수(月建數)를 합해 6으로 나눈 나머지 수, 일 단위는 생일수와 일진수(日辰數)를 합한 뒤 3으로 나눈 나머지 수이다. 이렇게 해서 얻은 세 단위의 숫자를 찾으면 그해의 전체 운수에 대한 개설이 나오고, 이어 월별 풀이가 나온다.

특히 열두 달의 운세를 4언 3구의 시구로 풀이하고 있다는 점이 재미있다.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은 ‘뜻밖에 귀인이 내방하여 길한 일이 있다.’, ‘구설수가 있으니 입을 조심하라.’, ‘봄바람에 얼음이 녹으니 봄을 만난 나무로다.’ 등과 같이 주로 부귀ㆍ화복ㆍ구설ㆍ가정 등 개인의 길흉화복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1]

3. 2. 유래 및 역사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정초에 토정비결을 보는 풍습이 오행점(五行占)으로 한 해의 신수를 보는 것이라고 적혀 있다. 이를 보아 토정비결은 정조 이후인 조선 말기부터 세시풍속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오행점, 농점, 윷점 등으로 한 해의 농사나 가정의 화목을 점쳤으나, 조선 말기 민생이 곤궁해지면서 보다 개인적이고 세분된 예언을 희구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전에는 주로 동네에서 한학을 공부한 어른들을 찾아 토정비결을 보았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는 거리에 토정비결을 봐주는 점복사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근래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토정비결도 성행하고 있다. 정초의 세시풍속에 유난히 점복적인 요소가 강하듯이, 새해를 맞아 한 해에 대한 기대심리와 놀이적 요소가 복합된 풍습으로 이어지고 있다.[1]

3. 3. 사용법

토정비결을 보는 방법은 상괘(上卦), 중괘(中卦), 하괘(下卦)를 합하여 세 자리수로 된 괘를 완성시켜 책에서 해당 숫자를 찾아보면 된다.

  • 상괘(백 단위): 나이와 해당 연도의 태세수(太歲數)를 합한 뒤 8로 나눈 나머지 숫자이다. 나머지가 없으면 8이다.
  • 중괘(십 단위): 해당 연도의 생월 날짜 수(큰달은 30, 작은달은 29)와 월건수(月建數)를 합해 6으로 나눈 나머지 수이다.
  • 하괘(일 단위): 생일수와 일진수(日辰數)를 합한 뒤 3으로 나눈 나머지 수이다.


이렇게 해서 얻은 세 단위의 숫자를 찾으면 그해의 전체 운수에 대한 개설이 나오고, 이어 월별 풀이가 나온다. 특히 열두 달의 운세를 4언 3구의 시구로 풀이하고 있다는 점이 재미있다.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은 '뜻밖에 귀인이 내방하여 길한 일이 있다.', '구설수가 있으니 입을 조심하라.', '봄바람에 얼음이 녹으니 봄을 만난 나무로다.' 등과 같이 주로 부귀, 화복, 구설, 가정 등 개인의 길흉화복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1]

3. 4. 현대적 의미와 비판

정초에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오행점(五行占)으로 한 해의 신수를 본다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토정비결》을 보는 풍습은 정조 이후인 조선 말기부터 세시풍속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전까지는 주로 오행점, 농점, 윷점 등으로 한 해의 농사나 가정의 화목을 점쳤지만, 조선 말기 민생의 곤궁이 심해지면서 보다 개인적이고 세분화된 예언을 바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 짐작된다.[1]

이전에는 주로 동네에서 한학을 공부한 어른들을 찾아 《토정비결》을 보았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는 거리에 《토정비결》을 봐주는 점복사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토정비결》도 성행하고 있다. 정초의 세시풍속에 유난히 점복적인 요소가 강하듯이, 새해를 맞아 한 해에 대한 기대심리와 놀이적 요소가 복합된 풍습으로 이어지고 있다.[1]

4. 사상과 영향

이지함서경덕의 영향을 받아 역학, 의학, 수학, 천문, 지리에 해박하였고, 경사자전(經史子傳)에도 통달하였다.[2] 그는 의약, 점, 천문, 지리, 음양, 술서 등에 모두 능통하였으며, 가난한 생활을 즐기고 기이한 행동을 하는 등 많은 일화를 남겨 '토정'이라는 호를 얻었다.[3]

《토정비결》은 주역의 음양설에 근거하여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신라 말 도선으로부터 시작된 비결(秘訣)의 전통을 잇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조선 말기에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정초에 《토정비결》로 1년의 신수를 점치는 풍습이 남아있다.[3]

5. 저서


  • 《[https://ansanmarket.co.kr/ 토정비결]》(土亭秘訣): 이지함이 조선 명종 때 만든 비결(秘訣)이다. 중국에서 유행하던 여러 가지 술서(術書)를 인용해 엮었으며, 나이, 출생 월, 일, 시를 숫자로 따지고 주역의 음양설에 근거해 1년의 신수를 보며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예언한다. 이러한 종류의 비결은 신라도선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토정비결》이 민간에 널리 보급된 것은 대체로 조선 말기인 것으로 보이며, 지금도 정초에 거리에서 《토정비결》로 1년의 신수를 점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3]
  • 《토정유고》(土亭遺稿): 이지함의 저서이다. 이지함은 생애 대부분을 마포 강변의 흙담 움막집에서 청빈하게 지내 토정이란 호가 붙었다.[2]
  • 《농아집》(聾啞集)

참조

[1] 서적 토정비결(土亭秘訣) 국립민속박물관
[2] 서적 토정비결과 한국인(토정 이지함)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00-00 # 연도만 제공되었으므로 00-00으로 설정
[3] 서적 토정비결(土亭秘訣) 가람기획 2007-00-00 # 연도만 제공되었으므로 00-00으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