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색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이제현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으로 불렸다. 원나라에서 유학 후 과거에 급제하여 주자학 발전에 기여했고, 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하며 개혁 정책에 참여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정치적 위기를 겪고, 조선 건국 후에도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유배와 석방을 반복했으며, 결국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저서로는 《목은집》이 있으며, 류성룡은 양표에 비견하며 그의 학문적, 인격적 면모를 높이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6년 사망 - 신덕왕후
신덕왕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이성계의 계비이자 조선 초대 왕비로서 조선 건국에 기여했으며, 왕자의 난의 원인이 된 의안대군 옹립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사후 지위가 강등되었다가 복위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396년 사망 - 조인옥
조인옥은 공민왕 때 벼슬을 시작하여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1등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용성군, 한산군에 봉해지고 사후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1328년 출생 - 심덕부
심덕부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명나라 사신, 왜구 토벌,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고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한양의 성곽과 경복궁, 종묘 등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 1328년 출생 - 고무라카미 천황
고무라카미 천황은 일본 남북조 시대 남조의 97대 천황으로, 쇼헤이 일통 시기 북조를 통합하기도 했으나 남조의 쇠퇴를 막지 못하고 스미요시에서 사망했으며,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다. - 조선의 백작 - 심덕부
심덕부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명나라 사신, 왜구 토벌,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고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한양의 성곽과 경복궁, 종묘 등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 조선의 백작 - 배극렴
배극렴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정치인으로, 왜구 토벌과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워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색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이색 |
한자 이름 | 李穡 |
로마자 표기 | I Saek |
자(字) | 영숙(穎叔) |
호(號) | 목은(牧隱) |
생애 | |
출생 | 1328년 5월 20일 (음력) |
사망 | 1396년 5월 20일 (음력) |
학문 및 사상 | |
주요 학문 | 성리학 |
영향 | 한국 성리학의 발전에 기여 |
주요 활동 | |
직업 | 문신, 학자, 교육자 |
주요 업적 | 고려 말 성리학을 발전시키고, 이숭인, 정몽주 등 많은 학자를 배출 |
관련 인물 | |
스승 | 이제현 염복 |
제자 | 권근 이숭인 정몽주 조준 박상충 |
기타 | |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 생애
이제현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이곡의 아들이다. 정몽주, 길재와 함께 고려 말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14세에 진사가 되었고, 원나라에 유학하여 원나라 과거에도 급제했다. 주자학에 정통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정몽주, 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주자학 발전에 기여했다. 불교에도 조예가 깊었다.
조선 건국 초 태조 이성계와 대립하여 말년에는 불우한 삶을 살았다. 1396년 여주로 피서를 가던 중 여강(驪江 연자탄)의 배 안에서 급병으로 사망했는데, 그 사인(死因)에 대한 의혹이 남아 있다. 일설에는 정도전이 보낸 자객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다. 저서로는 「목은집」이 있다.[10]
2. 1. 학문 연구
어려서부터 총기가 뛰어났고 7세 때(1335, 충숙왕 복위 4년)부터 독서를 하기 시작했으며[6] 아버지 이곡의 친구이자 안향, 백이정의 학문을 계승한 익제 이제현을 찾아가 정주학을 배웠다.[7] 이제현의 문하에서 수학한 이색의 학문은 정몽주, 정도전, 권근, 이숭인 등 고려 말 대표적 성리학자들에게로 이어졌다.[7]이제현의 문하생 중 수제자로 이름났던 그는 14세(1341, 충혜왕 복위 2년)에 자신보다 열한 살이나 많은 성총(1318년~미상)에게 시를 배웠으며[8], 같은 해에 성균시에 합격했다.[4] 중서사전부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 국자감 생원이 되었고, 3년간 유학하다가 아버지의 상을 입자 귀국했다.[4]
귀국 직후 원나라에서 입수한 송나라 정호와 주자의 학문과 예법에 대한 것을 강의했는데, 이때 정몽주, 정도전, 이숭인, 권근, 하륜 등이 그의 제자가 되었다. 이곡의 아들로, 이제현의 문하생인 이색은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14세에 진사가 되어 원나라에 유학, 원나라 과거 문과에도 급제했다. 주자학에 정통하였으며,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정몽주, 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주자학 발전에 기여하였고, 불교에도 조예가 깊었다.
2. 2. 관료 생활
이제현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14세에 진사가 되었고, 원나라에 유학하여 원나라 과거 문과에 급제했다. 주자학에 정통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정몽주, 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주자학 발전에 기여했다. 한편으로 불교에도 조예가 깊었다. 조선 건국 초에는 태조 이성계와 대립하여 말년에는 불우한 삶을 살았다. 저서로는 「목은집」이 있다.2. 2. 1. 관계 진출과 개혁 활동
1352년(공민왕 1) 이색은 자신의 학문 경향과 정치적 견해를 담은 의견서를 왕에게 제출했다.[9] 1353년(공민왕 2)에는 문과에 갑과(3등 이내)로 급제하고, 정동행성 향시(鄕試)에서 장원(1등)으로 합격하여 서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원나라에 들어가 다시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 지제고(翰林知制誥)가 되었다.귀국 후 내서사인에 올랐으며, 밀직제학 동지춘추관사가 되면서 국정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367년(공민왕 16)에는 성균관 대사성에 임명되었고, 정몽주, 김구용 등과 함께 명륜당에서 학문을 강론하여 성리학이 처음으로 일어나는 데 기여했다.
이색은 권문세족의 전횡을 비판하며 공민왕의 개혁 정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또한 불교를 대체할 새로운 개혁 이념으로 성리학을 제시했다.
2. 2. 2. 관료 활동과 위기
1371년(공민왕 20년) 정당문학이 되고 문충보절찬화공신(文忠保節贊化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1373년(공민왕 22)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졌다. 1377년(우왕 3)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推忠保節同德贊化功臣)의 호를 받고 우왕의 사부(師傅)가 되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전제 개혁 논의에서 사전 혁파에 반대했는데, 이는 많은 토지를 보유한 계층으로서 이색의 한계이기도 했다. 우왕 폐위 이후 창왕 옹립에 앞장섰으며, 공양왕 옹립 이후 정치적 공격을 받게 되었다. 이성계, 정도전, 정몽주 등이 폐가입진(廢假立眞)을 명분으로 우왕을 폐위하자 관직에서 물러났다.공양왕 때 판문하부사(判門下府使)가 되었고, 오사충의 참소로 장단(長湍)을 거쳐 함안(咸安)에 귀양 갔으나 돌아와 다시 한산부원군에 봉해져 예문춘추관사(藝文春秋館使)로 임명되었다. 귀양지 장단에서 선왕(공민왕)에 대한 그리움과 애제자(愛弟子) 유창에게 느낀 심정을 읊은 시가 목은시고권지35에 전한다.
역성혁명파의 역성 혁명에 협력하지 않았지만, 그의 문인들은 혁명참여파와 절의파로 나뉘었다. 이 때문에 한때 제자였던 정도전, 조준, 남은은 그의 정적으로 돌변한다. 이후 정도전은 우현보, 정몽주와 이색에게 격렬한 논조로 비판을 가한다.
2. 3. 생애 후반
정도전은 1392년 4월 정몽주가 피살되자 이색을 구하지 않았고, 이색은 금천, 여흥, 장흥 등지로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었다.[10]태조는 이색의 재능을 아껴 1395년(조선 태조 4) 한산백(韓山伯)으로 봉하고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이색은 망국의 사대부는 고향에 묻힐 뿐이라며 거절하였다.[10]
1396년 여주로 피서를 가던 중 여강(驪江 연자탄)의 배 안에서 급병으로 갑자기 사망하여, 그 사인(死因)에 대한 의혹이 후세에 남아 있다. 일설에는 정도전이 보낸 자객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다.
이색은 이곡(李穀)의 아들이자 이제현(李齊賢)의 제자로, 정몽주(圃隠), 길재(冶隠)와 함께 “삼은(三隱)”이라 불렸다. 14세에 진사가 되었고, 원나라에 유학하여 원나라 과거(科擧) 문과에도 급제했다. 주자학(朱子學)에 정통하였으며, 성균관(成均館) 대사성으로서 정몽주, 이숭인(李崇仁)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주자학 발전에 기여하였고, 불교(佛敎)에도 조예가 깊었다. 조선 건국 초에는 태조 이성계(李成桂)파와 대립하여, 말년에는 불우하게 보냈다. 저서로는 「목은집(牧隱集)」이 있다.
3. 평가
류성룡은 삼국의 위(魏)의 벼슬을 받지 않았던 후한(後漢) 조의 양표(楊彪)에 이색을 비겼다.[11] 이색은 유창, 권근, 변계량 등을 문하생으로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어 고려 말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을 남겼다.
이색은 여러 요직을 거치며 5번 관장을 역임하면서 132명의 인재를 선발하는 등 성리학 발전과 교육 진흥에 크게 공헌하여, 우리나라 성리학을 일으킨 유종(儒宗)으로 불린다. 유교, 불교, 도교에 모두 조예가 깊어 유교의 입장에서 삼교를 융합하였고, 훗날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룬 권근, 이숭인, 길재, 하륜, 정도전, 김종직, 변계량 등 수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였다. 성품과 언행이 관대하고 지혜로웠으며 타인에게 귀감이 되는 삶을 살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마지막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했던 굳은 절조와 덕망으로 존경받았다.
《목은고(牧隱藁)》55권에는 4,370여 제목의 1만여 수 시와 244 제목의 문장이 전해지는데, 그 양과 질에 있어서 고려조에 유일한 대가로 인정받아 당대 최고이자 문장의 조종(祖宗), 동방의 대문호로 불린다. 이색의 시문은 문학 작품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여말 지식인 사회와 정치 상황을 알아보는 귀중한 사료로도 평가받는다.
이색은 이곡(李穀)의 아들이자, 이제현(李齊賢)의 제자이다.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이라 불렸다. 14세에 진사가 되었고, 원나라에 유학하여 원나라 과거 문과에도 급제했다. 주자학(朱子學)에 정통하였으며,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정몽주, 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주자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한편으로 불교에도 조예가 깊었다. 조선 건국 초에는 태조 이성계파와 대립하여, 말년에는 불우하였다. 저서로는 《목은집(牧隱集)》이 있다.
4. 저서
- 《목은시고》
- 《목은문고》
- 《목은집》
이색은 이곡의 아들이자, 이제현의 제자였다.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렸다.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이곡(李穀) | |
어머니 | 함창 김씨(咸昌金氏) | 김택(金澤)의 딸 |
부인 | 안동 권씨(安東權氏) | 권중달(權仲達)의 딸 |
장남 | 이종덕(李種德) | |
며느리 | 진주 유씨(晉州 柳氏) | 유혜손(柳惠孫)의 딸 |
손자 | 이맹유(李孟㽥), 이맹균(李孟畇), 이맹준(李孟畯), 이맹진(李孟畛) | |
손녀 | 유기(柳沂)의 처, 하구(河久)의 처 | |
차남 | 이종학(李種學) | |
며느리 | 양성 이씨(陽城李氏) | 이춘부(李春富)의 딸 |
손자 | 이숙야(李叔野), 이숙규(李叔畦), 이숙당(李叔當), 이숙묘(李叔畝), 이숙복(李叔福), 이숙치(李叔畤) | |
손녀 | 전주 이씨(全州李氏) 이점(李漸)의 딸 | |
삼남 | 이종선(李種善) | |
며느리 | 안동 권씨(安東權氏) | 권근(權近)의 딸 |
손자 | 이계주(李季疇) | |
증손 | 이개(李塏) | 사육신 중 1인 |
손자 | 이계린(李季疄), 이계전(李季甸), 이계원(李季畹), 이계정(李季町) | |
손녀 | 이백상(李伯常)의 처, 김숭로(金崇老)의 처 |
6. 이색이 등장하는 작품
작품명 | 방송사 | 방영 연도 | 배우 |
---|---|---|---|
개국 | KBS | 1983년 | 전무송 |
추동궁 마마 | MBC | 1983년 | 이대로 |
용의 눈물 | KBS | 1996년 ~ 1998년 | 남일우 |
신돈 | MBC | 2005년 ~ 2006년 | 전인택 |
직지 | MBC | 2005년 | 황의권 |
신의 | MBC | 2012년 | 김형종 |
대풍수 | SBS | 2012년 ~ 2013년 | 최용민 |
정도전 | KBS | 2014년 | 박지일 |
육룡이 나르샤 | SBS | 2015년 ~ 2016년 | 김종수 |
태종 이방원 | KBS | 2021년 ~ | 남명렬 |
참조
[1]
웹사이트
이색(李穡)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Scholars and their Spaces] Sowing the seeds of Korean Neo-Confucianism, Yi Saek and Munheonsewon
https://www.koreaher[...]
2023-09-10
[3]
웹사이트
Yi Saek Neo-Confucianism, Poetry & Literatur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10
[4]
서적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5]
사료
태조실록 권9, 태조 5년(1396년) 5월 7일(계해) 2번째 기사
[6]
서적
목은시고 권17, 독서처가 병서
[7]
서적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8]
서적
목은문고 권20, 송씨전
[9]
사료
고려사 권115, 〈열전〉28, 이색
[10]
사료
연려실기술 권1, 〈태조조 고사본말〉, 고려에 절개를 지킨 여러 신하
[11]
서적
서애집 권15, 포은·목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