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큰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큰 링(Token Ring)은 여러 스테이션(컴퓨터)들이 링 형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한 방향으로 순환하며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망(LAN) 기술이다. 1985년 IBM에서 4Mbps 속도로 처음 출시되었으며, 이후 16Mbps까지 발전했으나, 스위치 이더넷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토큰 링은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의 결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었으나, 이더넷에 비해 고가였고 참여 벤더가 적어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 - VTAM
    VTAM은 IBM의 SNA 주요 구성 요소로,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방식 소프트웨어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현재도 여러 기업에서 사용된다.
  •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 - IBM 3270
    IBM 3270은 1970년대 초 IBM에서 개발한 메인프레임 컴퓨터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동축 케이블로 연결된 단말기와 프린터,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텍스트 기반 데이터 입출력을 지원하고 화면 전체를 다시 그리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금융, 보험, 공공 부문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네트워크 토폴로지 - 메시 망
    메시 네트워크는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기술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성되어 높은 신뢰성, 유연성, 확장성을 가집니다.
  • 네트워크 토폴로지 -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킹)
    브로드캐스팅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모든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며, IPv4에서 지원되고 DHCP를 통한 IP 주소 획득 등에 활용되지만 네트워크 부하 증가 및 보안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근거리 통신망 - 가상 랜
    가상 랜(VLAN)은 물리적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확장성, 보안,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 IEEE 802.1Q 표준을 통해 이더넷 프레임에 VLAN 태그를 삽입하여 네트워크를 분리하고 유연한 네트워크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 근거리 통신망 - Open vSwitch
토큰링
개요
링 네트워크의 개념도
링 네트워크의 개념도
설명컴퓨터 네트워크의 한 종류로, 각 노드가 정확히 두 개의 다른 노드에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
데이터는 링을 따라 한 방향으로만 이동
주요 특징토큰 기반의 접근 방식
CSMA/CD 방식에 비해 예측 가능한 성능 제공
중앙 집중식 관리가 용이
단점네트워크 구성 변경의 어려움
단일 노드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기술적 세부 사항
표준IEEE 802.5
데이터 전송 속도4 Mbps
16 Mbps
물리 계층차폐 연선 (STP)
광섬유
접근 방식토큰 패싱
프레임 형식토큰 프레임
데이터/명령 프레임
토큰 관리모니터링 스테이션에 의한 토큰 관리
우선 순위우선 순위 기반의 토큰 예약
오류 감지CRC (Cyclic Redundancy Check)
역사
개발 시기1970년대
주요 개발사IBM
표준화IEEE 802.5 표준으로 정의
사용 사례기업 네트워크
금융 기관
제조 시설
쇠퇴이더넷의 발전과 함께 사용 빈도 감소
이더넷과의 비교
접근 방식토큰 링: 토큰 패싱
이더넷: CSMA/CD 또는 CSMA/CA
성능 예측 가능성토큰 링: 높음
이더넷: 낮음 (특히 트래픽이 많은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리토큰 링: 중앙 집중식 관리 용이
이더넷: 분산 관리
장애 복구토큰 링: 단일 노드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가능
이더넷: 비교적 높은 장애 복구 능력
관련 기술
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광섬유 기반의 토큰 링 기술
IEEE 802.4토큰 버스 네트워크 표준

2. 역사

1970년대 초, 다양한 종류의 LAN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 중 케임브리지 링은 토큰 패싱 링 토폴로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전 세계의 여러 팀들이 자체 구현을 시작했다. IBM 취리히 연구소의 베르너 북스와 한스 뮐러는 IBM 토큰 링 기술의 설계 및 개발에 힘썼으며,[2] MIT에서의 초기 작업[3]1981년에 프로테온 ProNet-10 토큰 링 네트워크로 이어졌다.[4] 아폴로 컴퓨터는 75옴 RG-6U 동축 케이블에서 실행되는 자체 아폴로 토큰 링(ATR) 네트워크를 같은 해에 출시했다. 프로테온은 나중에 비차폐 연선 케이블에서 작동하는 버전으로 발전했다.

1985년 10월 15일, IBM은 자체 토큰 링 제품을 출시했다.[5][6] 이 제품은 IEEE 802.5 표준의 기초가 되었다.[8] 1988년에는 IEEE 802.5 워킹 그룹에 의해 더 빠른 토큰 링이 표준화되었고,[11] 1989년 IBM이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면서 IEEE 802.5 기준도 확장되었다.

IBM은 토큰 링 LAN이 이더넷보다, 특히 부하가 걸리는 상황에서 더 우수하다고 주장했지만,[9]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10]

이후 토큰 링의 쇠퇴기에 속도 증가가 표준화되어 판매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12] 2001년에는 표준이 승인되었지만, 제품은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고, 패스트 이더넷과 기가비트 이더넷이 근거리 통신망 시장을 지배하면서 표준 활동은 중단되었다.[13] 2002년 1월 31일, IBM은 토큰 링 제품의 영업 활동을 종료했다.[31]

2. 1. 개발 배경

1970년대 초, 다양한 종류의 근거리 통신망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중 하나인 케임브리지 링은 토큰 패싱 링 토폴로지의 잠재력을 보여주었고, 전 세계의 많은 팀들이 자체 구현을 시작했다.[2]

IBM 취리히 연구소의 베르너 북스와 한스 뮐러는 IBM의 토큰 링 기술 설계 및 개발에 힘썼다.[2] MIT에서의 초기 작업[3]1981년에 10Mbit/s 프로테온 ProNet-10 토큰 링 네트워크로 이어졌다.[4] 같은 해, 아폴로 컴퓨터는 75ohm RG-6U 동축 케이블에서 실행되는 자체 12Mbit/s 아폴로 토큰 링(ATR) 네트워크를 출시했다. 프로테온은 나중에 비차폐 연선 케이블에서 작동하는 16Mbit/s 버전으로 발전했다.

1985년의 초기 토큰링 네트워크는 전송 속도가 4Mbit/s였지만, 1989년에 IBM이 16Mbit/s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IEEE 802.5 기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토큰링 네트워크는 여러 스테이션(컴퓨터)들이 하나의 링(고리)에 이어져 형성되며, 데이터는 항상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데이터는 한 컴퓨터에서 다음 컴퓨터로 순서대로 전달되며, 각 스테이션은 바로 이전 스테이션이 전달해준 비트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에 전달한다.

3바이트로 이루어진 제어 토큰이 생성되어 한 방향으로 링을 순환하며 스테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한다. 전송을 하고 있지 않다면, 이 제어 토큰 프레임이 링을 끊임없이 순환한다.

데이터 프레임을 같은 네트워크 내의 스테이션에 전달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은 토큰을 획득해야만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토큰이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가, 토큰이 전달되면 그것을 다음 컴퓨터에게 전달하지 않고,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을 내보낸다. 그 다음 스테이션들은 이 데이터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으로 넘기고, 프레임 수신자에게 도착했을 때, 수신자는 프레임의 복사본을 만들어 보관한다.

하지만 이 스테이션 또한 계속 그 프레임을 다음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그러다가 최초 전송자에게 이 프레임이 돌아왔을 때, 전송자는 이 프레임을 흡수하고 원래의 토큰 프레임을 다음 컴퓨터에게 전송한다.

토큰링은 처음엔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각광받았으나, 후에 스위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급격하게 쇠퇴하고 말았다.

2. 2. IBM의 토큰링 출시 (1985)

1985년 10월 15일, IBM은 자체 토큰링 제품을 출시했다.[5][6] 이 제품은 4 Mbit/s로 작동했으며, IBM PC, 미드레인지 컴퓨터 및 메인프레임에서 연결이 가능했다. 편리한 스타형 물리적 토폴로지를 사용했으며, 차폐 연선 케이블을 통해 작동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는 IEEE 802.5 표준의 기초가 되었다.[8]

1988년에는 802.5 워킹 그룹에 의해 더 빠른 16 Mbit/s 토큰 링이 표준화되었다.[11] 이는 1989년 IBM이 16 Mbit/s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면서 IEEE 802.5 기준도 확장된 것이다.

2. 3. 표준화 및 쇠퇴

1985년 초기 토큰링 네트워크는 전송 속도가 4Mbps였지만, 1989년에 IBM이 16Mbps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였고, IEEE 802.5 표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5][6][7][8]

IBM은 토큰링 LAN이더넷보다, 특히 부하가 걸리는 상황에서 더 우수하다고 주장했지만,[9]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10]

1988년에는 IEEE 802.5 워킹 그룹에 의해 더 빠른 16 Mbit/s 토큰링이 표준화되었다.[11] 이후 토큰링이 쇠퇴하면서 100 Mbit/s 속도 증가가 표준화되어 판매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12] 2001년에는 1000 Mbit/s 표준이 승인되었지만, 제품은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고, 패스트 이더넷과 기가비트 이더넷이 근거리 통신망 시장을 지배하면서 표준 활동은 중단되었다.[13]

3. 작동 방식

토큰링 네트워크는 여러 스테이션(컴퓨터)들이 링(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데이터는 항상 한 방향으로 흐르며, 각 스테이션은 이전 스테이션에서 받은 데이터를 다음 스테이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접속은 3바이트 크기의 제어 토큰이 링을 순환하며 제어한다.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이 제어 토큰 프레임이 링을 계속 순환한다.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스테이션은 토큰을 획득해야만 전송할 수 있다.

토큰링은 스위치 이더넷의 등장 이전에는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각광받았다. 유사한 토큰 전달 메커니즘은 ARCNET, 토큰 버스, 100VG-AnyLAN (802.12) 및 FDDI에서도 사용되며, 초기 이더넷의 CSMA/CD보다 이론적인 장점이 있었다.[18] 토큰 링 네트워크는 단일 서버가 순환 방식으로 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폴링 시스템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19]

통신 속도 설정(링 스피드)을 잘못한 기기를 접속하면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되는 단점이 있었다.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 충돌(콜리전)이 발생하지 않아 초기 10BASE이더넷보다 성능 및 안정성이 우수했지만, 이더넷의 고속화, 저가격화 및 스위칭 허브의 등장으로 우위를 잃었다.

일본에서는 IBM PC와 LAN의 보급이 늦어져서, 토큰링이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다. 인터넷 보급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토큰 링이 이더넷으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도 이용되지 않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3. 1. 기본 원리

1985년의 초기 토큰링 네트워크는 전송 속도가 4Mbps였지만, 1989년에 IBM이 16Mbps의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면서 IEEE 802.5 기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18] 노드가 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속도는 4Mbps 및 16Mbps이다.

토큰링 네트워크는 여러 스테이션(컴퓨터)들이 하나의 링(고리)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항상 한 방향으로 흐르는 구조이다. 데이터는 한 컴퓨터에서 다음 컴퓨터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각 스테이션은 이전 스테이션의 비트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에 전달한다.[18]

네트워크 접속 제어를 위해 3바이트 크기의 제어 토큰이 링을 순환한다. 전송 중인 스테이션이 없으면 이 제어 토큰 프레임이 링을 계속 순환한다.[18]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려는 스테이션은 토큰을 획득해야 한다. 토큰을 기다렸다가 받으면 다음 컴퓨터로 전달하지 않고 전송할 프레임을 내보낸다. 이후 스테이션들은 데이터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으로 넘기고, 수신자는 프레임 복사본을 만든다.[18]

수신자는 프레임을 다음 스테이션으로 계속 전송하며, 최초 전송자에게 돌아오면 전송자는 프레임을 흡수하고 원래 토큰 프레임을 다음 컴퓨터로 전송한다.[18]

토큰링은 초기에는 이더넷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평가받았으나, 스위치 이더넷 개발로 쇠퇴하였다.[18] 토큰 링 LAN 스테이션은 논리적으로 링 토폴로지로 구성되며, 제어 토큰이 링을 순환하며 액세스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정보 전송 권한은 토큰을 얻은 노드가 가지므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토큰이라는 데이터가 링 형태 네트워크를 순환하므로,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는 토큰만 네트워크를 순환한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는 빈 토큰을 잡아 프레임으로 바꿔 데이터를 탑재해 내보낸다. 노드는 프레임을 감시, 자신에게 할당된 주소가 있으면 가져가고 아니면 다음 노드로 넘긴다. 정보는 토큰에 부가되어 다음 노드로 전달되며, 수신은 자기 노드에 할당된 정보만 받고 다른 노드에 할당된 것은 토큰과 함께 넘긴다. 데이터 손상 등으로 할당 정보가 불명확한 것이 영구히 네트워크를 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로드는 몇 바퀴 후 폐기되어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막는다.[18]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 충돌(콜리전)이 없어 초기 10BASE이더넷보다 성능과 안정성이 우수했지만, 이더넷의 고속화, 저가격화, 스위칭 허브 등장으로 우위를 잃었다.[18]

3. 2. 토큰 패싱

1985년에 초기 토큰링 네트워크는 전송 속도가 4Mbps였지만, 1989년에 IBM이 16Mbps 토큰링 제품을 출시하면서 IEEE 802.5 표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토큰링 네트워크는 여러 스테이션(컴퓨터)들이 링(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한 방향으로 주고받는 방식으로, 데이터는 한 컴퓨터에서 다음 컴퓨터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각 스테이션은 이전 스테이션에서 받은 비트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에 전달한다.[18]

일반적으로 3바이트 크기의 제어 토큰이 링을 순환하며 스테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한다.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이 제어 토큰 프레임이 링을 계속 순환한다. 데이터를 보내려는 스테이션은 이 토큰을 획득해야만 전송할 수 있다. 토큰을 기다렸다가 받으면, 다음 컴퓨터에게 전달하지 않고 전송할 프레임을 내보낸다. 이후 스테이션들은 이 데이터를 다음 스테이션으로 넘기고, 수신자는 프레임의 복사본을 보관한다.[18]

최초 전송자에게 프레임이 돌아오면 전송자는 프레임을 흡수하고 원래 토큰 프레임을 다음 컴퓨터에게 전송한다.

토큰링은 초기에는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주목받았으나, 이후 스위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쇠퇴하였다. 토큰 링 LAN의 스테이션은 논리적으로 링 토폴로지로 구성되며, 제어 토큰이 링을 순환하면서 액세스를 제어하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와 비슷한 토큰 전달 방식은 ARCNET, 토큰 버스, 100VG-AnyLAN (802.12) 및 FDDI에서도 사용되며, 초기 이더넷의 CSMA/CD보다 이론적으로 장점이 있었다.[18]

논리적으로는 링 형태의 토폴로지를 가지며, 링을 '''토큰'''이라는 신호가 고속으로 회전한다. 정보를 전송하는 권한은 토큰을 얻은 노드가 가지므로, 물리적으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을 때는 토큰은 네트워크 상을 돌고 있을 뿐이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는 비어 있는 토큰을 잡아서 프레임으로 바꾸어 데이터를 탑재하여 내보낸다. 노드는 프레임을 감시하고, 프레임 헤더에 자신에게 할당된 주소가 있으면 가져가고, 아니면 다음 노드로 넘긴다. 정보는 토큰에 부가되어 다음 노드로 넘어가며, 수신은 자기 노드에 할당된 정보만 받고 다른 노드에 할당된 것은 토큰과 함께 다음 노드로 넘긴다.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 등, 어떤 노드에 할당되었는지 불명확한 정보가 영구적으로 네트워크를 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로드는 몇 바퀴 돈 후 폐기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19]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 충돌(콜리전)이 발생하지 않아 초기 10BASE이더넷에 비해 성능 및 안정성이 우수했지만, 이더넷의 고속화, 저가격화 및 스위칭 허브의 등장으로 우위를 잃었다.

3. 3. 데이터 전송 과정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3바이트 크기의 제어 토큰 프레임이 링을 순환하며 스테이션(컴퓨터)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한다.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스테이션은 이 제어 토큰을 계속 순환시킨다.

2.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스테이션은 토큰이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가, 토큰을 획득하면 다음 컴퓨터에게 전달하지 않고 전송할 프레임을 내보낸다.

3. 다른 스테이션들은 이 데이터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으로 넘긴다.

4. 수신 스테이션은 프레임의 복사본을 만들고, 계속 프레임을 다음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5. 최초 전송 스테이션에 프레임이 돌아오면, 전송자는 이 프레임을 흡수하고 원래의 토큰 프레임을 다음 컴퓨터에게 전송한다.

이 과정은 폴링 시스템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데[19], 빈 정보 프레임이 링을 따라 순환하다가 컴퓨터가 전송할 메시지가 있으면 토큰을 획득하여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이다. 각 워크스테이션은 프레임을 검사하여 메시지 목적지가 자신이면 메시지를 복사하고 토큰을 0으로 변경한다. 프레임이 발신자로 돌아오면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발신자는 프레임에서 메시지를 제거한다. 이후 프레임은 "비어 있는" 상태로 순환하며, 다른 워크스테이션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18]

IBM 8228[32] 같은 집선 장치는 수컷과 암컷 구별이 없는 커넥터를 사용하며 전력 없이 동작한다. RJ45를 사용하는 IBM 8226[33]은 LED가 추가되었고 컨센트레이터 또는 스플리터로 동작하지만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논리적으로는 링 형태의 토폴로지에서 '토큰 패싱' 방식으로 토큰이 링을 고속으로 회전하며 정보를 전송한다. 토큰을 얻은 노드가 정보를 전송할 권한을 가지므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는 토큰이 네트워크 상을 순환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는 빈 토큰을 잡아 프레임으로 바꾸어 데이터를 탑재해 내보낸다. 노드는 프레임을 감시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주소가 있으면 가져가고, 아니면 다음 노드로 넘긴다. 손상된 데이터는 몇 바퀴 후 폐기되어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막는다.

네트워크 고속화를 위해 2개 이상의 토큰을 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 충돌이 없어 초기 10BASE이더넷보다 성능 및 안정성이 우수했지만, 이더넷의 고속화, 저가격화, 스위칭 허브의 등장으로 우위를 잃었다.

3. 4. 다중 스테이션 접근 장치 (MAU)

물리적으로 토큰 링 네트워크는 'MAU'가 중앙에 있고 각 스테이션으로 '암'이 뻗어 있으며 각 스테이션을 통해 루프가 앞뒤로 연결되는 스타 형태로 배선된다.[20]

MAU는 허브 또는 스위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토큰 링은 충돌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MAU가 허브로 제조되었다. 토큰 링은 LLC에서 실행되지만 로컬 네트워크를 넘어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소스 라우팅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MAU는 기본적으로 '집중' 구성으로 구성되지만, 나중에 IBM 8226과 같이 분할 장치로 작동하고 집중 장치로만 작동하지 않는 기능을 지원하는 MAU도 있다.[21]

집중 장치 또는 분할 장치로 작동하는 MAU
400px


이후 IBM은 로브 연결 모듈로 알려진 여러 MAU 모듈을 지원할 수 있는 제어 접근 장치(Controlled Access Units)를 출시했다. CAU는 죽은 포트가 발생할 경우 대체 라우팅을 위한 이중 링 중복성, LAM을 사용한 모듈식 집중, 그리고 대부분의 최신 MAU와 같은 여러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능을 지원했다.[22] 이는 관리되지 않는 MAU 허브보다 더 안정적인 설정과 원격 관리를 제공했다.

통신 속도는 4Mbps 및 16Mbps이다. 노드가 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물리적으로는, 기간은 '''MAU(Media Access Unit)'''라고 불리는 집선 장치로 링 형태를 구성하고, 지선에는 허브에 의한 스타 형태의 구성을 취한다. 집선 장치 IBM 8228[32]에는 IBM 데이터 커넥터(커넥터 특유의 대형)가 사용되었으며, 이 커넥터에는 수컷과 암컷의 구별이 없고, 같은 형태의 두 커넥터를 접속하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전력이 필요 없이 동작하므로 콘센트가 없는 구역에도 배치할 수 있다. IBM 8226[33]은, IBM 8228과는 달리, RJ45를 사용하는 집선 장치이다. LED가 추가되어, 컨센트레이터 또는 스플리터로도 동작한다. 단,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3. 5. 액티브 모니터 (Active Monitor)

토큰 링 네트워크의 모든 스테이션은 액티브 모니터(AM, active monitor) 또는 스탠바이 모니터(SM, standby monitor) 중 하나이다. 링에는 한 번에 하나의 액티브 모니터만 있을 수 있다. 액티브 모니터는 선출 또는 ''모니터 경합'' 과정을 통해 선택된다.

모니터 경합 프로세스는 다음 상황이 발생할 때 시작된다.

  • 링에서 신호 손실이 감지된다.
  • 링의 다른 스테이션에서 액티브 모니터 스테이션을 감지하지 못한다.
  • 스테이션이 지난 7초 동안 토큰 프레임을 보지 못한 경우와 같이 최종 스테이션의 특정 타이머가 만료된다.


위의 조건 중 하나가 발생하고 스테이션이 새로운 모니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새로운 모니터가 되기를 알리는 ''클레임 토큰'' 프레임을 전송한다. 해당 토큰이 발신자에게 돌아오면 모니터가 되는 것이 허용된다. 다른 스테이션이 동시에 모니터가 되려고 시도하면 가장 높은 MAC 주소를 가진 스테이션이 선출 과정을 이긴다. 다른 모든 스테이션은 스탠바이 모니터가 된다. 모든 스테이션은 필요할 경우 액티브 모니터 스테이션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액티브 모니터는 다음의 여러 링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설명
마스터 클럭전선에 있는 스테이션의 신호 동기화를 제공하기 위해 링의 마스터 클럭으로 작동한다.
24비트 지연 삽입토큰이 순환할 수 있도록 링에 항상 충분한 버퍼링이 있도록 하기 위해 24비트 지연을 링에 삽입한다.
토큰 및 링 상태 감시프레임이 전송되지 않을 때 정확히 하나의 토큰이 순환하고 끊어진 링을 감지하도록 보장한다.
순환 프레임 제거링에서 순환하는 프레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3. 6. 링 삽입 과정

토큰 링 스테이션은 링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5단계의 링 삽입 과정을 거친다. 이 단계 중 하나라도 실패하면 토큰 링 스테이션은 링에 삽입되지 않으며, 토큰 링 드라이버는 오류를 보고한다.[32]

  • 0단계 (로브 점검): 스테이션은 먼저 로브 미디어 점검을 수행한다. MAU에서 ''랩핑''되어 전송 쌍으로 2000개의 테스트 프레임을 보내며, 이는 수신 쌍으로 다시 루프백된다. 스테이션은 오류 없이 이러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1단계 (물리적 삽입): 스테이션은 릴레이를 열기 위해 MAU로 5볼트 신호를 보낸다.
  • 2단계 (주소 확인): 스테이션은 토큰 링 프레임의 대상 주소 필드에 자체 MAC 주소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전송한다. 프레임이 반환되고 프레임 상태의 주소 인식(AR) 및 프레임 복사(FC) 비트가 0으로 설정되면(이는 링의 다른 스테이션이 현재 해당 주소를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냄), 스테이션은 주기적인(7초마다) 링 폴 프로세스에 참여해야 한다. 여기서 스테이션은 MAC 관리 기능의 일부로 네트워크에서 자체를 식별한다.
  • 3단계 (링 폴 참여): 스테이션은 가장 가까운 활성 업스트림 이웃(NAUN)의 주소를 배우고 가장 가까운 다운스트림 이웃에게 자신의 주소를 알려 링 맵을 생성한다. 스테이션은 AR 및 FC 비트가 0으로 설정된 AMP 또는 SMP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렇게 되면 스테이션은 충분한 리소스가 있는 경우 두 비트(AR 및 FC)를 1로 전환하고 전송을 위해 SMP 프레임을 대기열에 넣는다. 18초 이내에 그러한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스테이션은 열기에 실패하고 링에서 제거된다. 스테이션이 링 폴에 성공적으로 참여하면 삽입의 마지막 단계인 초기화 요청으로 진행된다.
  • 4단계 (초기화 요청): 마지막으로 스테이션은 구성 정보를 얻기 위해 매개변수 서버에 특수 요청을 보낸다. 이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새 스테이션이 알아야 할 타이머 및 링 번호 정보를 보유할 수 있는 토큰 링 브리지인 특수 기능 주소로 전송된다.

4. 기술적 특징

토큰링은 노드가 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속도는 4Mbps 및 16Mbps이다. 물리적으로는 '''MAU(Media Access Unit)'''라는 집선 장치로 링 형태를 구성하고, 지선에는 허브를 이용한 스타 형태의 구성을 취한다. IBM 8228[32] 집선 장치는 IBM 데이터 커넥터(커넥터 특유의 대형)를 사용하며, 이 커넥터는 수컷과 암컷의 구별이 없고 같은 형태의 두 커넥터를 접속하는 특징이 있다. 전력 없이 동작하므로 콘센트가 없는 곳에도 배치할 수 있다. IBM 8226[33]은 RJ45를 사용하는 집선 장치로, LED가 추가되어 컨센트레이터 또는 스플리터로도 동작하지만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논리적으로는 링 형태의 토폴로지로 구성되며, '''토큰'''이라는 신호가 링을 고속으로 회전한다(토큰 패싱). 정보 전송 권한은 토큰을 얻은 노드가 가지므로, 물리적으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드는 비어 있는 토큰을 잡아 프레임으로 바꾸어 데이터를 탑재하여 내보낸다. 노드는 프레임을 감시하고, 프레임 헤더에 자신에게 할당된 주소가 있으면 가져가고, 아니면 다음 노드로 넘긴다. 정보는 토큰에 부가되어 다음 노드로 전달되며, 수신은 자기 노드에 할당된 정보만 받고 다른 노드에 할당된 것은 토큰과 함께 다음 노드로 넘긴다. 데이터 손상 등으로 어떤 노드에 할당된 정보인지 불명확한 것은 몇 바퀴 돈 후에 폐기되어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방지한다.

네트워크 고속화를 위해 2개 이상의 토큰을 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속도 ('''링 스피드''') 설정을 잘못한 기기를 접속하면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되는 단점이 있었다.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 충돌(콜리전)이 발생하지 않아 초기 10BASE이더넷보다 성능 및 안정성이 우수했지만, 이더넷의 고속화·저가격화 및 스위칭 허브의 등장으로 우위를 잃었다.

일본에서는 IBM PC와 LAN의 보급이 늦어져서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다. 인터넷 보급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토큰 링이 이더넷으로 대체되어, 세계적으로도 이용되지 않는 기술이다.

4. 1. 프레임 유형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 없을 때, 특별한 토큰 프레임이 루프를 순환한다. 이 특별한 토큰 프레임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까지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으로 반복된다.

토큰은 길이가 3옥테트이며, 시작 구분자, 접근 제어 옥테트, 종료 구분자로 구성된다.

시작 구분자접근 제어종료 구분자
8 비트8 비트8 비트



전송을 중단하기 위해 송신 스테이션에서 사용된다.

SDED
8 비트8 비트



데이터 프레임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반면, 명령 프레임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가 없다. 데이터 및 명령 프레임의 크기는 정보 필드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SDACFCDASAPDU from LLC (IEEE 802.2)CRCEDFS
8비트8비트8비트48비트48비트최대 4500 × 8비트32비트8비트8비트



; 시작 구분 기호 – 시작 구분 기호는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특수 비트 패턴으로 구성된다. 최상위 비트부터 최하위 비트까지 J, K, 0, J, K, 0, 0, 0이다. J와 K는 코드 위반이다. 맨체스터 부호화는 자체 클록 방식이며 인코딩된 비트 0 또는 1마다 전환이 있기 때문에 J와 K 부호화는 이를 위반하며 하드웨어에서 감지된다. 시작 구분 기호 및 종료 구분 기호 필드는 모두 프레임 경계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JK0JK000
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



; 액세스 제어 – 이 바이트 필드는 최상위 비트부터 최하위 비트 순서로 P, P, P, T, M, R, R, R 비트로 구성된다. P 비트는 우선 순위 비트이고, T는 토큰 프레임임을 지정할 때 설정되는 토큰 비트이고, M은 활성 모니터(AM) 스테이션이 이 프레임을 볼 때 설정되는 모니터 비트이고, R 비트는 예약 비트이다.

비트 0–2345–7
우선 순위토큰모니터예약



; 프레임 제어 – 프레임 내용의 데이터 부분을 설명하는 비트를 포함하는 1바이트 필드로, 프레임에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어 프레임에서 이 바이트는 제어 정보의 유형을 지정한다.

비트 0–1비트 2–7
프레임 유형제어 비트



프레임 유형 – '''01'''은 LLC 프레임 IEEE 802.2(데이터)를 나타내고 제어 비트를 무시한다.

'''00'''은 MAC 프레임을 나타내고 제어 비트는 MAC 제어 프레임의 유형을 나타낸다.

; 대상 주소 – 대상 물리적 주소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6바이트 필드이다.

; 소스 주소 – 전송 스테이션의 물리적 주소를 포함한다. 이는 전송 스테이션 어댑터의 로컬 할당 주소(LAA) 또는 보편적으로 할당된 주소(UAA)인 6바이트 필드이다.

; 데이터 – 0바이트 이상(최대 4500바이트)의 가변 길이 필드로 MAC 관리 데이터 또는 상위 계층 정보를 포함한다. 최대 길이는 4500바이트이다.

; 프레임 검사 시퀀스 – 수신자가 프레임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C 계산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4바이트 필드이다.

; 종료 구분 기호 – 시작 구분 기호와 대응되는 이 필드는 프레임의 끝을 표시하며 최상위 비트부터 최하위 비트까지 J, K, 1, J, K, 1, I, E 비트로 구성된다. I는 중간 프레임 비트이고 E는 오류 비트이다.

JK1JK1IE
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



; 프레임 상태 – 프레임이 의도한 수신자에 의해 인식되고 복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기본 승인 체계로 사용되는 1바이트 필드이다.

AC00AC00
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1비트



'''A''' = 1, 주소 인식

'''C''' = 1, 프레임 복사

4. 2. 케이블링 및 인터페이스

케이블링은 일반적으로 IBM "Type-1"으로, 굵은 2쌍 150Ω 차폐 꼬임쌍선 케이블이다. 이것은 IBM이 널리 채택되기를 희망했던 구조적 케이블링 시스템인 "IBM 케이블링 시스템"의 기본 케이블이었다. 공식 문서에서는 '''IBM 데이터 커넥터'''라고 불리고 구어체에서는 보이 조지 커넥터라고 불리는 독특한 자웅동체 커넥터가 사용되었다.[23] 커넥터는 부피가 상당히 크고 최소 3cm x 3cm의 패널 공간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커넥터의 장점은 성별이 없고 표준 비차폐 8P8C보다 우수한 차폐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컴퓨터의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DE-9 암컷이었다. Type 2, Type 3 케이블과 같은 다른 여러 유형의 케이블도 존재했다.[24]

토큰링의 후기 구현에서는 Cat 4 케이블링도 지원되었으므로 8P8C (RJ45) 커넥터가 MAU, CAU 및 NIC 모두에서 사용되었으며, 많은 네트워크 카드에서 하위 호환성을 위해 8P8C와 DE-9를 모두 지원했다.[20]

4. 3. 우선 순위 체계 (Optional Priority Scheme)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스테이션을 지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토큰 링과 CAN 버스(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됨)는 이러한 선택적 우선 순위 체계를 지원하지만, 이더넷은 그렇지 않다.

토큰 링 우선 순위 MAC에서는 0-7의 8단계 우선 순위가 사용된다. 전송을 원하는 스테이션은 자신보다 낮거나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진 토큰 또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원하는 우선 순위로 우선 순위 비트를 설정한다. 스테이션은 즉시 전송하지 않고, 토큰이 매체를 순환하여 스테이션으로 돌아올 때까지 기다린다. 자체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고 수신하면 스테이션은 토큰 우선 순위를 원래대로 낮춘다.

다음은 802.1Q 및 802.1p를 지원하는 장치의 8가지 액세스 우선 순위 및 트래픽 유형이다.

우선 순위 비트트래픽 유형
x'000'일반 데이터 트래픽
x'001'사용 안 함
x'010'사용 안 함
x'011'사용 안 함
x'100'일반 데이터 트래픽(다른 장치에서 전달됨)
x'101'시간 민감도 요구 사항으로 전송된 데이터
x'110'실시간 민감도 데이터(예: VoIP)
x'111'스테이션 관리


5. 이더넷과의 비교

토큰링은 초기에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각광받았으나, 스위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초기 이더넷과 토큰링은 모두 공유 전송 매체를 사용했지만, 채널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현대 이더넷 네트워크는 전이중 모드로 작동하는 스위치와 점대점 링크로 구성되어 이러한 차이는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토큰링과 레거시 이더넷의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토큰링은 이더넷보다 각 인터페이스에 특수 프로세서와 라이선스된 MAC/LLC 펌웨어가 필요하여 복잡했다. 반면 이더넷은 (더 간단한) 펌웨어와 더 낮은 라이선스 비용을 MAC 칩에 모두 포함했다.
  • 처음에는 두 네트워크 모두 값비싼 케이블을 사용했지만, 이더넷이 10BASE-T (Cat 3) 및 100BASE-TX (Cat 5(e))를 사용하는 비차폐 트위스트 페어에 대해 표준화되자 뚜렷한 이점을 갖게 되었고 판매가 현저하게 증가했다.
  • 전체 시스템 비용을 비교할 때, 토큰링 대비 이더넷의 라우터 포트 및 네트워크 카드의 비용이 훨씬 더 낮았다. 이더넷 스위치의 등장은 토큰링 쇠퇴의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통신 속도는 4Mbps 및 16Mbps이며, 노드가 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물리적으로는, MAU(Media Access Unit)라고 불리는 집선 장치로 링 형태를 구성하고, 지선에는 허브에 의한 스타 형태의 구성을 취한다.

논리적으로는 링 형태의 토폴로지로 구성되며, 그 링을 토큰이라고 불리는 신호가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다 (토큰 패싱). 정보의 전송 권한은 토큰을 얻은 노드가 가진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의 충돌(콜리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 10BASE이더넷과 비교하면 성능 및 안정성의 면에서 우수했지만, 이더넷의 고속화·저가격화 및 스위칭 허브의 등장으로 인해 우위를 잃었다.

일본에서는 IBM PC와 LAN의 보급이 늦어져서,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다. 인터넷 보급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토큰 링이 이더넷으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도 이용되지 않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5. 1. 장점

토큰링은 이더넷의 경쟁 기반 CSMA/CD 방식에 비해 더 결정적이다.[14] CSMA/CD 방식과 달리 패킷의 충돌(콜리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 10BASE이더넷과 비교하면 성능 및 안정성 면에서 우수했다. 특히 여러 대량 전송 발생 시에도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이며, 사용자 응답이 저하되기 어렵다.[15]

토큰링은 특정 노드가 토큰보다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는 '액세스 우선 순위'를 사용한다. 여러 개의 동일한 MAC 주소가 지원된다.[12]

토큰 링은 단일 사용 토큰과 조기 토큰 해제를 사용하여 충돌을 제거하여 다운 타임을 완화한다.[15] 정보 전송 권한은 토큰을 얻은 노드가 가진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낭비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고속화를 위해, 2개 이상의 토큰을 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5. 2. 단점

토큰링은 초기에는 이더넷보다 이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기술로 주목받았지만, 스위치 이더넷의 등장으로 쇠퇴하였다. 다음은 토큰링과 초기 이더넷의 주요 차이점과 단점이다:

구분토큰링초기 이더넷
접근 방식결정적 접근 방식경쟁 기반 CSMA/CD 방식
케이블 연결추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필요[14]크로스오버 케이블이나 자동 감지로 직접 연결 지원
충돌 처리단일 사용 토큰, 조기 토큰 해제로 충돌 방지[15]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네트워크 스위치 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자동 감지, 라우팅 기능 포함, MAU에서 자체 작동 가능[16]기능 제한적
액세스 우선 순위특정 노드에 우선 순위 부여 가능모든 노드 동등 접근
MAC 주소여러 개의 동일 MAC 주소 지원[12]중복 MAC 주소 미지원[17]
복잡성 및 비용복잡, 특수 프로세서 및 라이선스 펌웨어 필요, 고비용상대적으로 단순, 저비용
케이블초기 고비용 케이블 사용비차폐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Cat 3, Cat 5(e)) 표준화로 비용 절감
시스템 비용라우터 포트, 네트워크 카드 고비용상대적으로 저비용, 스위치 등장으로 경쟁력 강화
기타링 스피드 설정 오류 시 네트워크 다운
벤더 참여참여 벤더 적음, 고가참여 벤더 많음, 상대적 저가



일반적인 오해와는 달리, 토큰링의 물리적 배선은 스타형으로, 한 곳의 배선이 단절되어도 토큰 순환과 데이터 전송은 계속된다.

결론적으로, 토큰링은 초기 이더넷에 비해 기술적인 장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복잡성, 비용, 이더넷의 발전 등으로 인해 시장에서 쇠퇴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IEEE 802.5 Activities https://www.ieee802.[...] IEEE 2023-10-29
[2] 간행물 IEEE honors Zurich LAN pioneers https://www.zurich.i[...] IBM 2003-04-14
[3] 논문 Early Token Ring Work at MIT 2014-04
[4] 웹사이트 14.18 Proteon in Chapter 14 - Internetworking: Emergence 1985-1988 https://historyofcom[...] 2023-05-09
[5] 웹사이트 IBM TOKEN-RING NETWORK https://www.ibm.com/[...] 2021-03-11
[6] 잡지 Major Vendors Differ On Network Approach https://books.google[...] 1986-03-24
[7] 웹사이트 InfoWorld https://books.google[...] 1988-11-21
[8] 웹사이트 IEEE Standards: P802.5 Working Group Area http://www.ieee802.o[...]
[9] 서적 IEEE 802.3 Local Area Network considerations IBM
[10] 논문 Measured capacity of an Ethernet: myths and reality http://www.hpl.hp.co[...] 2007-12-04
[11] 논문 Sponsers, Communities, and Standards: Ethernet vs. Token Ring In The Local Area Networking Business http://hcd.ucdavis.e[...] Taylor & Francis Ltd 2003-12
[12] 보고서 Token Ring Solutions http://www.redbooks.[...] IBMInternational Technical Support Organization 2000
[13] 웹사이트 IEEE 802.5 activities https://www.ieee802.[...] 2023-05-09
[14] 웹사이트 8226 TR RJ45 Connection /Model 001 https://ardent-tool.[...] 2023-05-09
[15]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n Ethernet hub and switch? http://www.duxcw.com[...] 2016-05-10
[16] 웹사이트 A Passive Ethernet Hub http://www.zen22142.[...] 2016-08-03
[17] 웹사이트 networking - Duplicate MAC address on the same LAN possible? http://serverfault.c[...] Server Fault 2013-01-03
[18] 웹사이트 Does anyone actually still USE Token Ring? http://www.techrepub[...] 2008-04-02
[19] 논문 Token-ring local-area networks and their performance
[20] 웹사이트 Why buy from IBM? ftp://ps-2.kev009.co[...] IBM 2016-08-03
[21] 웹사이트 8226 TR RJ45 Connection /Model 001 https://ardent-tool.[...] 2023-05-09
[22] 웹사이트 IBM 8230 Controlled access Unit http://public.dhe.ib[...] 2016-08-03
[23] 웹사이트 Local Area Networks - Token Ring http://www.scottsnet[...] Scottsnetworkclass.com 2013-06-15
[24] 웹사이트 Network World https://books.google[...] 1988-04-25
[25] 잡지 Buying Smart https://books.google[...] IDG Network World Inc 1991-06-03
[26] 서적 IBM 2210 Nways Multiprotocol Router Description and Configuration Scenarios - Volume I http://ps-2.kev009.c[...] IBM International Technical Support Organization Raleigh Center 1997-06
[27] 웹사이트 The end of the token ring era? https://lwn.net/Arti[...] 2023-09-22
[28] PDF ネットワーク トークンリング - IBM i バージョン 7.2 - https://www.ibm.com/[...]
[29] 웹사이트 "Early Token Ring Work at MIT"(英語) http://ieeexplore.ie[...]
[30] 서적 "Local Area Networks"(英語) https://books.google[...] InfoWorld 1986-03-24
[31] 웹사이트 平成14年1月31日「IBMトークンリング製品営業活動終了」 https://www-01.ibm.c[...] 2020-06-29
[32] 웹사이트 IBM 8228 Token Ring Hub(英語) https://ibmfiles.ret[...] 2020-06-30
[33] 웹사이트 IBM 8226 Token Ring RJ45 Connection(英語) https://ibmfiles.ret[...] 2020-06-30
[34] 웹사이트 IBM 2210 Multiprotocol Router Information and Software (英語) https://ibmfiles.ret[...] 2020-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