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퉁퉁마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퉁퉁마디는 지중해 원산의 식물로, 전 세계 해안 염습지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전북특별자치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남도 등지에서 자생한다. 줄기는 녹색이며, 가을에는 붉은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한다. 퉁퉁마디는 C3 탄소 고정 경로를 사용하며, 줄기, 잎, 열매를 식용으로 사용한다. 짠맛이 나며, 채소로 이용되거나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퉁퉁마디는 유리 및 비누 제조를 위한 탄산 소다의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카드뮴 오염 토양의 식물정화에도 활용될 수 있다.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염생식물 - 갈대
    갈대는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의 수변 환경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수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과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니지만, 과도한 번식이나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점도 발생한다.
  • 염생식물 - 갈대속
    갈대속은 전 세계 습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키 큰 여러해살이풀로, 큰 군락을 이루어 서식처를 제공하고 과거 지붕 재료로 쓰였으며, 생태적 가치와 수질 정화 기능이 있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생태계를 위협하기도 한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퉁퉁마디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Salicornia europaea
명명자L.
이명Salicornia annua Sm.
Salicornia appressa Dumort.
Salicornia biennis Afzel. ex Sm.
Salicornia europaea subsp. brachystachya (G.Mey.) R.Dahmen & Wissk.
Salicornia europaea var. herbacea L.
Salicornia europaea var. pachystachya (W.D.J.Koch) Fernald
Salicornia gracillima Moss
Salicornia herbacea (L.) L.
Salicornia herbacea var. annua (Sm.) Pursh
Salicornia herbacea var. pachystachya W.D.J.Koch
Salicornia herbacea var. ramosissima Hook.f.
Salicornia intermedia J.Woods
Salicornia megastachya J.Woods
Salicornia peregrina Weinm. ex Ung.-Sternb.
Salicornia radicans Mert. & W.D.J.Koch
Salicornia ramosissima (Hook.f.) J.Woods ex W.A.Clarke & E.S.Marshall
Salicornia salsola Montbret ex Ung.-Sternb.
Salicornia simonkaiana Soó
Salicornia smithiana Moss
화과히유과
아케시소우속 Salicornia
한국어 명칭
한국어 이름아케시소우 (앗케시소우), 산고소우 (산호초)
일본어 이름아케시소우 (厚岸草)
영어 명칭
영어 이름Common Glasswort
Sea beans
Samphire
Samphire greens
Sea asparagus
Sea pickle

2. 서식

지중해 지방이 원산지로 주로 바닷가에서 자라며, 대한민국에서는 전북특별자치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남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 해안지대 염습지에 분포한다.

3. 특징

에탕 다그릴(Étang d'Ingril) 둑에서 자라는 퉁퉁마디, 에로, 프랑스


''Salicornia europaea'' (가을), 노토로 호수, 아바시리, 홋카이도, 일본


바쿠, 아제르바이잔에 있는 ''Salicornia europaea''


퉁퉁마디는 염생 식물 중에서도 특히 강한 내염성을 보이며, 염의 존재에 의존하는 식물이다. 생육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염을 축적함으로써 내염성을 획득하는 강염생 식물이다. 이러한 생리적 내염성 기작은 과도한 염류를 액포 내에 축적하고 삼투압을 조절하는 세포 적합 물질인 글리신베타인을 합성, 축적함으로써 세포질의 기능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것이다.[10][6]

3. 1. 형태

퉁퉁마디는 비교적 작고 마디가 있는 밝은 녹색 줄기를 가지고 있다. 가을이 되면 붉은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한다. 잎은 작고 비늘 모양이며, 단일 씨앗을 포함하는 다육질 열매를 생산한다.[10]

Salicornioideae 아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구성원과 마찬가지로, ''Salicornia'' 종은 주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C3 탄소 고정 경로를 사용한다.[6]

퉁퉁마디


퉁퉁마디의 줄기는 짙은 녹색이며, 높이 10-35cm, 원기둥 모양으로 마디를 형성하며, 마디에서 가지가 마주난다. 또한, 퇴화된 인편상의 잎이 마디 부분에 마주난다. 8-9월에는 줄기 및 가지의 끝부분이 원기둥 모양의 수상화서를 이루고, 잎겨드랑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3개의 꽃이 쌍을 이루어 하나의 마디에 6개의 꽃기관을 형성한다. 3개의 꽃 중 중앙에 위치한 것을 중앙화, 그 양쪽에 위치한 것을 양측화라고 하며, 중앙화에서는 대립종자, 양측화에서는 소립종자라고 불리는 크고 작은 2종류의 종자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퉁퉁마디는 꽃기관과 종자에 이형성이 인정된다. 대립종자는 환경 스트레스에 강하고, 소립종자는 휴면 기간이 길기 때문에 군락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식물의 꽃기관의 특징으로, 꽃받침이 퇴화하고, 암술이나 수술을 감싸듯이 꽃받침 조각이 매우 발달해 있다.

가을이 되면 퉁퉁마디의 줄기 및 가지의 짙은 녹색이 홍자색으로 단풍이 드는 모습에서 '''산호초''' 또는 '''갯산호'''라고도 불린다. 그 색소는, 같은 비름과에 속하는 사탕무뿌리에서 합성되는 색소와 같은 종류의 베타시아닌이다.

3. 2. 생리

퉁퉁마디는 비교적 작고 마디가 있으며 밝은 녹색 줄기를 가지고 있다. 가을이 되면 붉은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한다. 잎은 작고 비늘 모양이며, 단일 씨앗을 포함하는 다육질 열매를 생산한다.[10]

Salicornioideae 아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구성원과 마찬가지로, ''Salicornia'' 종은 주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C3 탄소 고정 경로를 사용한다.[6]

퉁퉁마디의 줄기는 짙은 녹색이며, 높이 10-35cm, 원기둥 모양으로 마디를 형성하며, 마디에서 가지가 마주난다. 또한, 퇴화된 인편상의 잎이 마디 부분에 마주난다. 8-9월에는 줄기 및 가지의 선단부가 원기둥 모양의 수상화서를 이루고, 잎겨드랑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3개의 꽃이 쌍을 이루어 하나의 마디에 6개의 꽃기관을 형성한다. 3개의 꽃 중 중앙에 위치한 것을 중앙화, 그 양쪽에 위치한 것을 양측화라고 하며, 중앙화에서는 대립종자, 양측화에서는 소립종자라고 불리는 크고 작은 2종류의 종자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퉁퉁마디는 꽃기관과 종자에 이형성이 인정된다. 대립종자는 환경 스트레스에 강하고, 소립종자는 휴면 기간이 길기 때문에 군락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식물의 꽃기관의 특징은 꽃받침이 퇴화하고, 암술이나 수술을 감싸듯이 꽃받침 조각이 매우 발달해 있다는 점이다.

가을이 되면 퉁퉁마디의 줄기 및 가지의 짙은 녹색이 홍자색으로 단풍이 드는 모습에서 '''산호초''' 또는 '''갯산호'''라고도 불린다. 그 색소는, 같은 비름과에 속하는 사탕무뿌리에서 합성되는 색소와 같은 종류의 베타시아닌이다. 퉁퉁마디는 염생 식물 중에서도 특히 강한 내염성을 보이며, 염의 존재에 의존적인 식물이다. 생육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염을 축적함으로써 내염성을 획득하는 강염생 식물이다. 이러한 생리적 내염성 기작은 과도한 염류의 액포 내 축적과 연동하여 삼투압을 조절하는 세포 적합 물질인 글리신베타인을 합성, 축적함으로써 세포질의 기능을 보호하고 강화한다.

3. 3. 성분

함초에는 콜린(Choline)과 비테인(Betain), 식이섬유 및 미네랄 등이 포함돼 간의 독소 해소와 지방간 치유, 면역기능 증강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2]

퉁퉁마디는 비교적 작고 마디가 있으며 밝은 녹색 줄기를 가지고 있다. 가을이 되면 이 식물은 빨간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한다. 잎은 작고 비늘 모양이며, 단일 씨앗을 포함하는 다육질 열매를 생산한다.[10]

Salicornioideae 아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구성원과 마찬가지로, ''Salicornia'' 종은 주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C3 탄소 고정 경로를 사용한다.[6]

퉁퉁마디의 줄기는 짙은 녹색이며, 높이 10-35cm, 원기둥 모양으로 마디를 형성하며, 마디에서 가지가 마주난다. 또한, 퇴화된 인편상의 잎이 마디 부분에 마주난다. 8-9월에는, 줄기 및 가지의 선단부가 원기둥 모양의 수상화서를 이루고, 잎겨드랑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3개의 꽃이 쌍을 이루어, 하나의 마디에 6개의 꽃기관을 형성한다. 3개의 꽃 중, 중앙에 위치한 것을 중앙화, 그 양쪽에 위치한 것을 양측화라고 하며, 중앙화에서는 대립종자, 양측화에서는 소립종자라고 불리는 크고 작은 2종류의 종자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퉁퉁마디는 꽃기관과 종자에 이형성이 인정된다. 대립종자는 환경 스트레스에 강하고, 소립종자는 휴면 기간이 길기 때문에 군락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식물의 꽃기관의 특징으로, 꽃받침이 퇴화하고, 암술이나 수술을 감싸듯이 꽃받침 조각이 매우 발달해 있다.

가을이 되면 퉁퉁마디의 줄기 및 가지의 짙은 녹색이 홍자색으로 단풍이 드는 모습에서 '''산호초''' 또는 '''갯산호'''라고도 불린다. 그 색소는, 같은 비름과에 속하는 사탕무뿌리에서 합성되는 색소와 같은 종류의 베타시아닌이다.

4. 분포

지중해 지방이 원산지로 주로 바닷가에서 자란다. 대한민국에서는 전북특별자치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남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 세계 해안지대 염습지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1891년(메이지 24년) 스기야마 기요토시에 의해 홋카이도 동부의 앗케시 호 굴 섬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미야베 킹고가 '''앗케시소'''(厚岸草)라고 명명했다.[17] 1912년(메이지 45년/다이쇼 원년) 마키노 토미타로에 의해 에히메현에서도 발견되었다. 이후 홋카이도 인근 노츠케 반도, 온네토 호, 후렌 호와 오호츠크해 연안 콤케 호, 사로마 호, 노토리 호, 도후쓰 호 등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 1. 세토 내해 연안 퉁퉁마디의 기원

에도 시대에 기타마에부네를 통해 소금 등의 물자를 현재의 홋카이도로 운반하고, 세토 내해로 돌아올 때 배의 밸러스트 등에 붙은 퉁퉁마디 개체나 종자가 세토 내해 연안으로 유입되었다는 '기타마에부네 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도쿄 농업대학 연구팀은 2003년 (헤이세이 15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RAPD법으로 분석한 결과, 홋카이도와 오카야마현에 자생하는 퉁퉁마디의 유전적 조성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18] 오카야마 이과대학 등 연구팀은 2010년(헤이세이 22년) 논문에서 홋카이도, 오카야마현, 에히메현, 가가와현, 대한민국에서 채취한 퉁퉁마디의 엽록체 DNA 일부를 분석했다.[19] 그 결과, 홋카이도 퉁퉁마디와 세토 내해 연안 퉁퉁마디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은 달랐고, 세토 내해 연안 퉁퉁마디와 한국 퉁퉁마디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은 동일했다. 이러한 DNA 분석 결과는 '기타마에부네 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5. 재배

퉁퉁마디는 가볍고 모래가 많은 토양(또는 배수가 잘 되는 토양)과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한다. 퉁퉁마디는 서리의 위험이 지나간 후에 심을 수 있다. 퉁퉁마디는 물 1imppt에 바닷소금 1작은술을 섞은 염수 용액으로 물을 주는 것이 가장 좋다.[7] 퉁퉁마디는 200mM NaCl에서 가장 잘 자란다.[8]

북반구에서는 퉁퉁마디 줄기를 6월부터 8월까지 수확한다. 그 이후에는 줄기가 나무처럼 변한다. 퉁퉁마디를 천천히 자라는, 잘라 다시 자라게 하는 작물로 취급하고 각 수확 사이에 한 달을 둔다.[7]

6. 이용

퉁퉁마디와 나문재(바릴라), 다시마의 재는 오랫동안 유리 및 비누 제조에 쓰이는 탄산 소다([탄산 나트륨]])의 원료였다.[9] 19세기 전반, 르블랑 공법으로 탄산 소다를 산업적으로 생산하게 되면서 식물성 원료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채소로 이용되는 퉁퉁마디


퉁퉁마디는 카드뮴에 오염된 염분 토양을 정화하는 식물정화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후보 식물 종이다.[15]

6. 1. 식용

퉁퉁마디는 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사용하며,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채소로 이용된다. 짠맛이 나며, 그대로 데쳐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21]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유통되는 경우가 있다. 해외에서는 샘파이어(Samphire, 영어), 파스피에르(Passe Pierre, 프랑스어), 제크랄(Zeekraal, 네덜란드어) 등으로 불리며, 아스파라거스와 모양이 다소 비슷하고 이용 방법도 같아서, '''씨 아스파라거스'''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씨 빈'''(Sea beans) 또는 '''씨 피클'''(Sea pickles)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S. europaea''(퉁퉁마디)는 익혀서 먹거나 생으로 먹을 수 있다.[10] 샘파이어는 보통 익혀서 버터나 올리브 오일을 발라 먹는다. 염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소금을 전혀 넣지 않고 물을 넉넉히 부어 요리해야 한다. 요리 후에는 색깔이 해초와 비슷하며, 맛과 질감은 어린 시금치 줄기, 아스파라거스, 또는 아티초크와 같다. 샘파이어는 해산물이나 해산물 요리에 적합한 해양성 반찬으로 자주 사용된다.[12]

6. 2. 약용

함초에는 콜린, 비테인, 식이섬유 및 미네랄 등이 포함되어 있어 간의 독소 해소와 지방간 치유, 면역 기능 증강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대한민국의 파이토 코퍼레이션은 염분 축적 식물인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에서 저나트륨 소금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회사는 자연 유래 식물성 소금이 나트륨 섭취를 줄여 고혈압과 지방간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13] 또한, 항산화 및 항혈전 폴리페놀을 함유한 탈염 퉁퉁마디 가루를 개발했으며, 이는 비만 및 동맥경화증 치료에 효과적이며 세계적인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4]

6. 3. 기타

퉁퉁마디와 나문재(바릴라) 그리고 다시마의 재는 오랫동안 유리 제조와 비누 제조를 위한 탄산 소다(주로 탄산 나트륨)의 원료로 사용되었다.[9] 19세기 전반에 탄산 소다의 산업적 생산을 위한 르블랑 공법의 도입으로 식물성 원료의 사용은 대체되었다.

''퉁퉁마디''는 카드뮴에 오염된 염분 토양의 효과적인 식물정화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후보 식물 종이다.[15]

7. 보존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이남의 미야기현, 에히메현, 가가와현의 염전 부지에서 퉁퉁마디의 생육이 확인되었으나, 염전 부지가 주택지나 공업 단지로 개발되면서 퉁퉁마디 군락은 거의 멸종 위기에 처했다. 2003년 말, 오카야마현 아사쿠치시 요리시마 간척지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었고, 2004년 주민들이 "지키는 모임"을 결성하여 보호 활동과 생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우시마도정, 오쿠 양정에 걸쳐 있는 킨카이 염전 부지에도 퉁퉁마디가 자생하고 있는데, 이는 식물 애호가가 가가와현 염전 부지에서 가져온 종자를 뿌린 것으로, 보호에 성공한 드문 사례이다. 에히메현 니이하마시가 자생지의 남쪽 한계이다.

일본 환경성 레드 데이터 북에서는 퉁퉁마디를 "가까운 장래에 멸종 위험이 높은 종(EN)"으로 지정했으며, 최근에는 지반 침하나 호안 침식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최초로 자생이 확인된 앗케시 호에서는 맨 안쪽에 간신히 보일 정도이다.

노토로 호 남안의 아바시리시 우바나이 지구에서는 염습지를 트랙터로 경작하여 다른 염생 식물을 억제함으로써 국내 최대 규모의 퉁퉁마디 군락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년 가을 20만 명이 방문하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그러나 부실한 토사 반입으로 인해 2011년에는 군락이 대폭 축소되었다.[20] 2012년부터 아바시리시나 도쿄 농업 대학 등에서 재생 협의회를 조직하여 토양 개량 등을 실시했고, 2015년 가을까지 80% 정도 회복시켰다. 퉁퉁마디는 잡초나 갈대의 침입에 약하지만, 노토로 호반의 사례를 참고하여 앗케시정에서도 군락 재생을 시도하고 있다.[17]

참조

[1] 간행물 "''Salicornia europaea'' L." 2022-03-14
[2] 서적 Exploring the Cornish Coast Alison Hodge 2008
[3] 간행물 BSBI 2007 2014-10-17
[4] 웹사이트 Glasswort a tasty treat https://www.mdisland[...] 2017-08-29
[5] 웹사이트 Glasswort-(Salicornia europaea) https://www.greatbay[...] 2020-10-08
[6] 논문 Phylogeny of Amaranthaceae and Chenopodiaceae and the evolution of C4 photosynthesis 2003
[7] 웹사이트 How To Sow & Grow Samphire https://www.victoria[...]
[8] 논문 Improved growth and salinity tolerance of the halophyte Salicornia sp. by co–inoculation with endophytic and rhizosphere bacteria https://doi.org/10.1[...] 2019-06
[9] 논문 Recipes and experimentation? The transmission of glassmaking techniques in Medieval Iberia 2016
[10] 웹사이트 Salicornia europaea http://www.pfaf.org/[...] 2007-07-14
[11] 서적 The Penguin Companion To Food Penguin 2002
[12] 웹사이트 Food ingredients https://www.bbc.co.u[...] BBC
[13] 논문 Protective Effect of Salicornia europaea Extracts on High Salt Intake-Induced Vascular Dysfunction and Hypertension 2016
[14] 논문 Desalted Salicornia europaea powder and its active constituent, trans-ferulic acid, exert anti-obesity effects by suppressing adipogenic-related factors 2018
[15] 논문 Cadmium tolerance and accumulation in a halophyte Salicornia europaea as a new candidate for phytoremediation of saline soils. 2009
[16] 뉴스 레어な植物 世界を救う?/アツケシソウ 芽吹いた新増殖法 塩害対策に期待/明大院の研究チーム 2024-10-21
[17] 뉴스 【地域から 179の窓】釧路・根室面10月14日付朝刊の記事「赤い群落 3度目の挑戦」 2021-10-25
[18] 논문 Identification of Salicornia Populations : Comparison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RAPD Fingerprinting https://doi.org/10.1[...] Taylor & Francis
[19] 논문 瀬戸内地方に隔離分布する絶滅危惧種アッケシソウの起源 https://doi.org/10.5[...] 植物研究雑誌編集委員会 2010-06
[20] 뉴스 来秋の色づき楽しみ 能取湖のアッケシソウ群落再生を願い種まき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4-11-06
[21] 서적 世界の食用植物文化図鑑 柊風舎 2010-01-20
[22] 뉴스 바닷가 건강식품 ‘퉁퉁마디’를 아시나요 http://biz.heraldm.c[...] 헤럴드 경제 2011-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