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튀르키예 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르키예 여단은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요청에 따라 튀르키예가 파병한 여단급 전투 부대이다. 3개 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타흐신 야즈즈 준장이 초대 여단장을 맡았다. 1950년 10월 부산에 도착하여 미국 제25보병사단에 배속되었으며, 군우리 전투, 금양장리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721명이 전사하고 2,111명이 부상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튀르키예 여단의 참전은 대한민국과 튀르키예 양국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았으며, 영화 등 대중문화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 여단 - 군우리 전투
    군우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 군우리 일대에서 중국인민지원군과 유엔군, 특히 미국 제2보병사단과 튀르키예군 여단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중국군의 공세로 유엔군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튀르키예 여단은 미 제9군단의 철수를 지원했으나 큰 피해를 입었고, 튀르키예 여단의 역할에 대해서는 과대평가 논란과 유엔군 철수 엄호 옹호론이 존재한다.
  • 튀르키예의 군사 - 튀르키예군
    튀르키예군은 튀르키예 공화국의 육해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과 영토 확보에 기여하고, 한국 전쟁 참전 및 NATO 가입을 통해 활동했으며, 쿠르드족 분쟁, 키프로스 분쟁, 시리아 내전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치 개입의 역사도 가지고 있다.
  • 6.25 전쟁에 참전한 여단 - 제25보병여단 (캐나다)
    제25보병여단 (캐나다)은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창설되어 가평 전투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며, 여러 부대로 구성되어 전쟁 기간 동안 부대 교체가 이루어졌다.
튀르키예 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원어 이름Şimal Yıldızı
Kutup Yıldızı
타흐신 야즈즈
튀르키예 여단의 여단장 타흐신 야즈즈가 미국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로부터 수훈받는 중이다.
활동 기간1950년 – 1960년
국가튀르키예
소속유엔 유엔 사령부
미국 제25보병사단
병과육군
종류보병
규모14,936명
명령 체계유엔 유엔 사령부
별명북극성
훈장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지휘관
사령관타흐신 야즈즈 (1950년 – 1951년 11월 16일)
보좌관: 제랄 도라
작전 책임자: 파이크 튀륀
나므크 아르구치 (– 1952년 8월 20일)
보좌관: 누리 파미르 (1952년 6월 5일 전사)
스르르 아자르 (1953년 7월 6일)
참전
참전6.25 전쟁
주요 전투청천강 전투
군우리 전투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수리산 전투
금양장리 전투
제3차 후크고지 전투
식별 기호
북극성

2. 배경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안 제83호를 채택하여 회원국들에게 대한민국에 대한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튀르키예 정부는 6월 29일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파병을 결정하고, 3개 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 및 지원 부대로 구성된 여단급 전투 부대를 파병하기로 했다.[53] 튀르키예 여단은 앙카라에 주둔하던 제28사단 241보병연대를 기반으로 편성되었으며,[54] 튀르키예 독립 전쟁과 갈리폴리 전투에서 공을 세운 타흐신 야즈즈 준장이 여단장으로 임명되었다.[54]

타흐신 야즈즈 준장은 튀르키예 군사 설립에 깊이 관여된 인물이었다. 튀르키예군과 미군 사이에는 문화적, 종교적 차이가 있었지만, 두 부대 모두 훈련을 통해 적응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장 극복하기 어려웠던 것은 언어였다.[55] 야즈즈 준장은 영어를 할 줄 몰랐고, 미군은 언어 장벽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1950년 10월 12일 튀르키예 여단의 첫 번째 병력이 부산에 도착했고, 이후 두 번째 병력이 튀르키예 동부 지중해에 면한 항구 이스켄데룬에서 출발해 5일 후인 10월 17일 도착하여 미군 장비를 받고 훈련에 들어갔다. 튀르키예 여단은 미국 제25보병사단에 배치되었다.[56]

3. 편성

튀르키예 여단은 앙카라 서쪽 17km 지점에 주둔하던 튀르키예 육군 제28사단 241보병연대를 기간으로 편성되었으며, 당시 튀르키예 육군 제2기갑여단장을 맡고 있던 타흐신 야즈즈 준장이 파병부대의 여단장에 임명되었다.[54] 그는 튀르키예 독립 전쟁과 갈리폴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명장이었다. 튀르키예 여단은 이마데틴 쿠라넬, 미트하트 울루누, 뤼트피 빌곤이 이끄는 3개의 대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지원 포병단 및 공병단으로 구성된 전투부대였다.[54]

튀르키예군 사령부(TAFC)는 3개의 보병대대와 지원 포병 및 공병으로 구성된 연대 전투단이었다. 3개 대대는 이마데틴 쿠라넬 소령, 미트하트 울루누 소령, 뤼트피 빌곤 소령이 지휘했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사단에 영구적으로 배속된 유엔 부대 중 여단 규모는 튀르키예군이 유일했다.

튀르키예 여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241 보병 연대 (3개 보병대대)
  • 기동 야전 포병 대대 (3개 105mm영어 곡사포 포대, 본부 포대): 각 곡사포 포대는 6문의 105mm영어 곡사포로 구성
  • 기동 공병 중대
  • 기동 대공포대
  • 수송 트럭 중대
  • 기동 통신 소대
  • 기동 대전차 소대
  • 의무 중대
  • 수리 및 유지 부대
  • 군악대
  • 보충 중대 (보병, 포병, 통신, 공병 등 다양한 병과 및 부사관, 병사로 구성)

4. 주요 전투 및 작전

튀르키예 여단은 1950년 10월 12일 부산에 도착한 이후, 미국 제25 보병 사단에 배속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83호에 따라 터키 공화국은 유엔의 군사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여단 규모의 병력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터키는 미국 다음으로 유엔의 요청에 응답한 두 번째 국가였다.[6]



더글러스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은 튀르키예 여단의 공헌에 대해 "한국의 군사 상황은 모든 미국 대중의 우려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우려스러운 시기에 터키인들이 보여준 영웅심은 미국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다."라고 언급하며, 튀르키예 여단 덕분에 제8군이 혼란 없이 철수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10]

튀르키예 여단은 앙카라 아야스에 주둔한 제241 보병 연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갈리폴리 전투 참전 용사인 타신 야즈즈 준장이 지휘했다.[8] 여단은 3개의 보병 대대, 1개의 포병 대대 및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으며,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사단에 영구적으로 배속된 유일한 여단 규모의 부대였다.

튀르키예 여단은 1950년 11월부터 1953년 7월까지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 금양장리 전투 & 151고지 전투[12][13] (1951년 1월): 튀르키예 여단은 세 배나 많은 중국군을 격퇴했지만, 미국 부대와 협조하지 않아 큰 피해를 보았다.[37][38][39][40]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1951년 7월 11일 여단의 공로를 인정하여 수훈 부대 훈장(현재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했다. 여단은 또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 1951년 4월 22–23일; 철원-서울 돌파전; 대계원리 방어전; 바하르-금화 공격
  • 네바다 고지 전투 (1953년 5월 25–29일).

4. 1. 군우리 전투 (1950년 11월)

1950년 11월 말, 튀르키예 여단은 군우리 일대에서 중공군과 격전을 벌였다. 튀르키예군은 수적으로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지만 용감하게 싸웠으며, 특히 유엔군의 철수를 엄호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1] 그러나 이 과정에서 튀르키예 여단은 병력의 15% 이상, 장비의 70%를 잃는 큰 피해를 보았다.[35]

1950년 11월 26일, 와원에 도착한 튀르키예군 대대는 대한민국 제6사단 및 제7사단의 한국군을 중공군으로 오인하여 공격했다. 이로 인해 한국군 125명이 포로로 잡히고 일부는 사망했다.[14] 이 사건은 미국과 유럽 언론에 튀르키예군의 승리로 잘못 보도되기도 했다.[15][16][17]

1950년 11월 27일, 와원 동쪽에서 튀르키예군 선두 부대가 중공군의 기습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18] 다음 날 생존자들은 미 제38 보병 연대 지역에 나타났다.[19] 튀르키예군은 대부분의 장비, 차량, 포병을 잃었고, 개천과 군우리 지역, 그리고 덕천-군우리 도로 주변에서 우세한 중공군과 교전한 후 최대 1,000명의 사상자(사망 또는 부상)를 냈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튀르키예 여단은 중공군의 함정을 돌파하여 미 제2 보병 사단에 합류할 수 있었다.[21]

중공군의 진격이 튀르키예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여 지연되면서, 유엔군은 많은 사상자 없이 철수하여 1950년 12월에 재집결할 수 있었다.[21] 이후 튀르키예군은 한국 제2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다.[22]

1950년 12월, 타신 야즈즈 장군과 휘하 장병 15명은 월턴 워커 장군으로부터 은성 및 동성 무공 훈장을 받았다.[23]

1950년 11월 28일, 튀르키예 여단은 와원 전투에서 중공군과 치열한 백병전을 벌였다. 유엔 사령관들은 튀르키예 여단이 3일 동안 중공군을 붙잡아 둔 덕분에 미 제8군이 생존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24] 1950년 11월 29일, 튀르키예군은 신님리에서 쫓겨나 평명리와 군우리로 후퇴해야 했다.[25] 튀르키예 여단 지휘관 타신 야즈즈 장군은 와원 전투에서 "왜 후퇴하는가? 우리가 중국군을 죽이고 있잖아!"라고 말했다.[26]

군우리 전투는 1950년 11월 26일부터 12월 6일까지 4차례에 걸쳐 벌어진 일련의 교전이었다. 여기에는 1950년 11월 28일의 가평 전투, 1950년 11월 28–29일의 신님리, 1950년 11월 29–30일의 군우리 협곡, 1950년 11월 30일의 순천 협곡이 포함되었다.[34]

4. 2. 기타 전투

가평 전투 (1950년 11월)에서 터키 여단은 대한민국 제6사단 및 제7사단 소속 한국군을 중국군으로 오인하여 교전을 벌였다. 이 오인 사격으로 125명의 한국군이 포로로 잡혔고, 일부는 터키군에게 살해되었다.[14] 이 사건은 미국과 유럽 언론에 터키군의 승리로 잘못 보도되기도 했다.[15][16][17]

1951년 4월, 터키 여단은 철원-서울 돌파전 및 대계원리 방어전에 참여했다.

1953년 5월에는 네바다 고지 전투에 참전했다.

5. 피해 규모

한국 전쟁 중 튀르키예 여단의 전체 피해 규모는 전사 721명, 부상 2,111명, 실종 168명이었다.[5] 이 중에는 미국 B-26기를 조종하다 원청앙니 상공에서 격추된 튀르키예의 유일한 조종사 무자페르 에르되네즈도 포함되어 있었다.[41]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총 14,936명의 병력이 튀르키예 여단에서 복무했으며,[1] 한 번에 약 5,455명의 병사가 한국에 주둔했다.[42] 전사자 중 462명은 부산에 있는 유엔 기념 공원에 안장되어 있다.[43] 묘지에는 튀르키예 군인들을 위한 두 개의 기념비가 있다.[44][45]

6. 평가 및 의의

한국 전쟁에 참전한 튀르키예 여단은 대한민국과 튀르키예 양국 간의 굳건한 우호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튀르키예군의 희생과 헌신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으며, 양국 관계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7. 대중 문화

나짐 히크메트는 한국 전쟁과 튀르키예의 참전을 반대하는 시 "23센트 가치의 병사에 관하여"를 썼다. 이 시는 미국 국무 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가 튀르키예 여단 병사들의 가치를 한 달에 23센트로 평가한 것을 비판한 것이다.[46] 이는 미국 병사의 한 달 급여 70달러와 비교되었다.[47]

1954년에는 튀르키예 여단의 작전 암호를 딴 영화 ''Şimal Yıldızı''가 개봉되었다. 아트프 일마즈가 감독하고 아이한 이시크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부대의 업적을 칭송했다.[48]

2017년 튀르키예 영화 ''아일라: 전쟁의 딸''은 튀르키예 여단 소속 하사와 한국 전쟁 고아 소녀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49]

참조

[1] 웹사이트 Allies To Honor Each Nation's Korean War Veterans http://korea50.army.[...] 2009-04-15
[2] 웹사이트 UNMCK, Nuri Pamir http://www.unmck.or.[...] 2011-08-23
[3] 웹사이트 Şimal Yıldızı http://www.turkiyega[...] 2009-09-21
[4] 간행물 "Kutup Yıldızı – Kore Savaşı'nın 50. Yıldönümü" TRT İzmir 2000
[5] 웹사이트 The Turkish Brigade http://www.korean-wa[...] 2008-09-29
[6] 웹사이트 Allied Forces in the Korean War http://korea50.army.[...] 2008-09-29
[7] 문서 Bevin Alexander photo collection http://bevinalexande[...]
[8] 서적 Turkish Military Forces Korean War Operations (language Turkish)
[9] 웹사이트 Korean War: 1st Brigadeś Baptism of Fire http://www.historyne[...] 2016-11-04
[10] 웹사이트 The Turks in the Korean War http://www.korean-wa[...] 2014-05-28
[11] 웹사이트 The 2nd Infantry Division in Korea http://www.2id.org/k[...] 2008-09-29
[12] 웹사이트 Korean War UN Allies Turkey – Main Battles https://www.mpva.go.[...]
[13] 웹사이트 Kumyangjang-ni Zaferi (25–27 Ocak 1951) http://www.tsk.mil.t[...] 2008-09-29
[14]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15]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16] 서적 Leckie 1996 https://books.google[...]
[17] 서적 Leckie 1962 https://archive.org/[...]
[18]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19]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20]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21] 웹사이트 Turkish veterans recall Korean War memories http://www.trdefence[...] 2010-10-03
[22]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23]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24] 웹사이트 Korea: Gallant Allies: The Story of the Turkish Brigade http://www.utimes.pi[...] 2014-05-28
[25]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26] 뉴스 Courage, Stamina, Shown By Turks Fighting in Korea https://www.newspape[...] 1951-03-01
[27]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28] 서적 Blair 2003 https://books.google[...]
[29] 서적 Blair 1987 https://books.google[...]
[30]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31] 서적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9
[32] 서적 Korea: The First War We Lost https://archive.org/[...] Hippocrene Books 1986
[33] 서적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抗美援朝战争史) Beijing: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2000
[34] 뉴스 "Turkish Brigade in Korean War – Kunuri Battles (26–30 November 1950)" Turkish Times Weekly 2007-01-09
[35] 간행물 "Kore Savaşi Ve Denızlı Kore Şehıtlerı İle Gazilri" Pamukkale Üniversitesi Eğitim Fakültesi Dergisi 2002
[36] 서적 The Korean War: The Chinese Intervention http://www.history.a[...] 2014-04-19
[37] 웹사이트 Command and Control Challenges During Coalition Operation http://handle.dtic.m[...] Naval War College 1976-06-14
[38] 웹사이트 Military Review https://books.google[...] Command and General Staff School 1993-09-27
[39] 웹사이트 Joint Force Quarterly: JFQ.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National Strategic Studie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1993-09-27
[40] 문서 Singh 2003 https://books.google[...]
[41] 웹사이트 Kore Şehidi Kıdemli Üsteğmen Muzaffer ERDÖNMEZ - Türk Hava Kuvvetleri http://www.hvkk.tsk.[...] 2015-12-05
[42] 웹사이트 A brief account of the Korean War http://www.koreanwar[...] 2007-08-15
[43] 웹사이트 UN Memorial Cemetery (Official) http://www.unmck.or.[...] 2014-02-15
[44] 웹사이트 South Koreans, allies pay tribute to Turkish war effort http://defence.pk/th[...] Pakistan Defence 2010-06-27
[45] 문서 UNMCK: Turkish Memorial I http://www.unmck.or.[...]
[46] 서적 Legislative-judiciary Appropriations https://books.google[...] U.S. Govt. Print. Off.
[47] 서적 Mutual Security Act of 1951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48] 문서 Şimal Yıldızı http://www.sinematur[...]
[49] 웹사이트 'Ayla,' a movie based on a heart-breaking 65-year-old real-life story http://www.korea.net[...] 2017-05-02
[50] 문서 Şimal Yıldızı http://www.turkiyega[...]
[51] 문서 'Kutup Yıldızı – Kore Savaşı'nın 50. Yıldönümü'
[52] 웹인용 The Turkish Brigade http://www.korean-wa[...] 2008-09-29
[53] 웹인용 Allied Forces in the Korean War http://korea50.army.[...] 2008-09-29
[54] 서적 Turkish Military Forces Korean War Operations (language Turkish)
[55] 웹인용 Korean War:1st Brigadeś Baptism of Fire http://www.historyne[...] 2016-11-04
[56] 웹인용 The Turks in the Korean War http://www.korean-wa[...] 2014-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