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유니터리 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수 유니터리 군은 체 위의 벡터 공간과 반쌍선형 형식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특수선형군의 부분군이다. 특히 복소수체에서 정의된 특수 유니터리 군 SU(n)은 유니터리 군 U(n)의 원소 중 행렬식이 1인 행렬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단순 리 군이자 콤팩트하고 단일 연결 공간이다. SU(n)은 다양한 군과의 관계를 가지며, 물리학, 특히 입자물리학의 표준 모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SU(3)은 강한 상호작용의 색깔 대칭성을 나타내며, SU(2)는 약한 상호작용의 아이소스핀 대칭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 수리물리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리물리학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특수 유니터리 군 | |
---|---|
개요 | |
종류 | 리 군 |
차원 | n² - 1 |
기본군 | n = 2일 때: Z/2Z n > 2일 때: 자명군 |
정의 | |
정의 | 행렬식이 1인 n × n 유니타리 행렬의 군 |
기호 | SU(n) |
관련 군 | U(n) |
예시 | |
SU(1) | 자명군 |
SU(2) | 사원수로 표현 가능, SO(3)와 위상 공간적으로 동일 |
SU(3) | 양자 색역학에 사용 |
성질 | |
성질 | 콤팩트 연결 단순 리 군 |
2. 정의
체 가 자기 동형 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와, 위에 정의된 비퇴화 반쌍선형 형식
:
:
:
가 주어졌을 때, '''특수 유니터리 군'''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특수선형군 원소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군이다.
:
만약 가 차원 벡터 공간이고, 가 항등 이차 형식
:
일 경우, 이를 로 표기한다. 를 생략하는 경우, (복소수체)를 의미한다.
이고, 자기 동형이 복소수 켤레이며, 가 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이고, 의 계량 부호수가 인 경우, 이를 로 표기한다.
2. 1. 리 대수 (Lie Algebra)
의 리 대수 는 반에르미트 행렬들로 구성된다.[4] 여기서 반에르미트 행렬이란, 어떤 행렬에 각 성분별로 켤레를 취한 뒤 전치 행렬을 취했을 때, 원래 행렬에 음의 부호(-)를 취한 것과 같은 행렬을 의미한다.특히, 는 파울리 행렬로 생성되며,[6] 는 겔만 행렬로 생성된다.[6]
의 경우, 또는 로 표기되는 특별한 실수 형태가 존재한다. 이는 사원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물리학에서, 리 대수는 대각합이 0인 에르미트 행렬 복소 행렬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리 괄호는 교환자에 를 곱한 값으로 주어진다.
군의 경우 생성자는 로 선택되며 여기서 는 파울리 행렬이다.[6]
의 경우, 리 대수 의 생성자 는 다음과 같이 겔만 행렬의 1/2배로 주어진다.[6]
:
여기서 는 겔만 행렬이다.
:
이들은 다음 관계를 따른다.
:
여기서 구조 상수 와 대칭 계수 는 다음과 같다.
:
:
의 복소화는 대각합이 0인 모든 복소 행렬의 공간인 이다.[15] 카르탕 부분 대수는 대각합이 0인 대각 행렬로 구성된다.[16] 근계는 의 모든 순열로 구성된다.
단순근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의 계수는 이고, 드킨 다이어그램은 로 주어지며, 이는 개의 노드로 구성된 체인이다.[17] 이의 카르탕 행렬은 다음과 같다.
:
이의 바일 군은 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군 이다.
3. 성질
특수 유니터리 군 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차원의 단순 리 군이다.
- 콤팩트하고 단일 연결이다.
- 랭크는 이다.
- 중심은 순환군 와 동형이다.
- 외부 자기 동형 군은 에 대해서는 이며, 의 외부 자기 동형 군은 자명한 군이다.
- 리 대수 는 대각합이 0인 반 에르미트 복소 행렬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1. 군론적 성질
특수 유니터리 군의 중심은 다음과 같은 순환군이다.:
중심에 대한 몫군을 '''사영 특수 유니터리 군'''(projective special unitary group영어)이라고 한다.
:
의 중심은 순환군 와 동형이며, 가 차 단위근이고 가 항등 행렬인 대각 행렬 로 구성된다.[3]
3. 2. 리 이론적 성질
SU(n)은 n²-1차원 단순 리 군이며, 계수는 n-1이다. 단순 리 군의 분류에 따른 표기는 An-1이며, 그 딘킨 도표는 다음과 같다.:
SU(n)의 바일 군은 대칭군 Sym(n)이다.
SU(n)은 엄밀히 실수 리 군(보다 일반적인 복소 리 군과 비교)이며, 다양체로서의 차원은 n2 − 1이다. 위상적으로, 콤팩트하며 단일 연결이다.[2] 대수적으로, 이는 단순 리 군이다(즉, 리 대수가 단순하다).[3]
랭크 n − 1의 극대 토러스는 행렬식이 1인 대각 행렬 집합으로 주어진다. SU(n)의 바일 군은 대칭군 Sn이며, 이는 부호 있는 치환 행렬로 표현된다(부호는 행렬식이 1이 되도록 하는 데 필요하다).
SU(n)의 리 대수는 로 표시되며, 정규 교환자를 리 괄호로 사용하여 대각합이 0인 반 에르미트 n × n 복소 행렬의 집합으로 식별할 수 있다.
3. 3. 위상수학적 성질
은 콤팩트 공간이며 연결 공간이자 단일 연결 공간이다.[2]는 3차원 초구 와 위상동형이다.[2]
는 단일 연결 공간인 콤팩트 리 군이다.[10]
3. 4. 다른 군과의 관계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낮은 차수의 특수 유니터리 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예외적 동형'''(exceptional isomorphism영어)이 성립한다.
물리학에서 대칭 깨짐 이론에서 특수 유니터리 군의 부분군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GUT 물리학에서 중요한 의 부분군은 , 에 대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직접곱을 나타내고, 은 원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절댓값이 1인 모든 복소수의 곱셈군이다.
완전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직교 및 심플렉틱 부분군도 있다.
:
의 랭크는 이고 의 랭크는 1이므로, 부분군의 랭크 합이 원래 군의 랭크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 은 다양한 다른 리 군의 부분군이다.
:
또한 다음의 우연적 동형이 있다.
마지막으로 는 의 이중 덮개 군이며, 이는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 2-스피너의 회전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표현론 (Representation Theory)
의 유한 차원 연속 표현들은 영 타블로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 경우, '''정의 표현'''(defining representation영어) 은 차원 표현이며, 그 켤레 역시 차원 표현이다. 또한, 차원 딸림 표현이 항상 존재한다.
의 표현들은 매우 간단하며, 반정수 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를 표현의 '''스핀'''이라고 한다. 표현들의 텐서곱의 분해는 클렙슈-고르단 계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딸림 표현에서, 생성자는 행렬로 표현되며, 그 원소는 구조 상수 자체에 의해 정의된다.
:
SU(3)의 클레브쉬-고르단 계수도 참조.
의 표현론은 잘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표현에 대한 설명은 복소화된 리 대수 의 관점에서 리 대수 표현 또는 SU(3)에 대한 클레브쉬-고르단 계수 기사에서 찾을 수 있다.
5. 응용
SU(n)은 입자물리학의 표준 모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SU(2)는 약전자기력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고, SU(3)은 양자 색역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2]
SU(3)는 강한 상호작용의 색깔 대칭성을 나타내며, 쿼크와 글루온의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SU(2)는 약한 상호작용의 아이소스핀 대칭성을 나타내며, W와 Z 보손의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대통일 이론(GUT)에서는 SU(5), SO(10) 등 더 큰 군을 통해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력을 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Quarks & Leptons: An Introductory Course in Modern Particle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
문서
Hall, 2015, Proposition 13.11
[3]
서적
Classical Groups for Physicists
Wiley-Interscience
[4]
문서
Hall, 2015 Proposition 3.24
[5]
서적
Lie Algebras in Particle Physics: From Isospin to Unified Theories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18-05-04
[6]
서적
Lie Algebras in Particle Physics: From Isospin to Unified Theories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18-05-04
[7]
문서
Hall, 2015 Exercise 1.5
[8]
웹사이트
LieGroups
http://alistairsavag[...]
[9]
문서
Hall, 2015 Proposition 3.24
[10]
문서
Hall, 2015 Proposition 13.11
[11]
문서
Hall, 2015 Section 13.2
[12]
문서
Hall, 2015 Chapter 6
[13]
간행물
Finite Transformations in Various Representations of SU(3)
[13]
간행물
Elementary results for the fundamental representation of SU(3)
[14]
문서
Hall, 2015 Proposition 3.24
[15]
문서
Hall, 2015 Section 3.6
[16]
문서
Hall, 2015 Section 7.7.1
[17]
문서
Hall, 2015 Section 8.10.1
[18]
논문
An explicit fundamental domain for the Picard modular group in two complex dimensions
2005-09
[19]
서적
Lie Groups, Lie Algebras and some of their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0]
간행물
SU(1,1) approach to Stokes parameters and the theory of light polarization
[21]
서적
Topics in Complex Function Theory
Wiley-Interscience
[2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