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완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완섬은 필리핀의 섬으로, 열대 우림과 산맥으로 덮여 있으며,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강 국립공원과 투바타하 암초 해양공원이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칼라미안 제도와 엘니도 등의 관광 명소,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 그리고 보르네오와 관련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민족의 이주와 스페인, 미국, 일본의 지배를 거쳤으며, 현재는 농업, 어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최근에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의 최전선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라완주의 섬 - 망시 제도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에 위치한 섬으로, 어업과 교역이 주요 산업이며, 과거 미국의 주권과 영국의 행정 관할을 거쳐 필리핀에 행정권이 이양되었고, 현재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팔라완주의 섬 - 스프래틀리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는 남중국해에 위치하여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중요한 해상 교통로에 위치해 여러 국가 간 영유권 분쟁이 지속되는 지역으로, 인공섬 건설과 군사화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관심과 외교적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 필리핀의 섬 - 탈 화산
필리핀 루손섬 바탕가스주에 있는 탈 화산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 이동대 간의 섭입 작용으로 형성된 활화산으로, 거대한 칼데라 내에 탈 호수와 화산섬이 있으며 잦은 화산 활동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 필리핀의 섬 - 네그로스섬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있는 섬으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크며, 서쪽에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가, 동쪽에는 네그로스오리엔탈주가 위치하고, 설탕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팔라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팔라완 |
![]() | |
위치 | 동남아시아 |
군도 | 필리핀 제도 |
수역 | 남중국해 술루해 |
총 섬 수 | 알 수 없음 |
주요 섬 | 알 수 없음 |
면적 | 12,188.6 km2 |
순위 | 64위 |
길이 | 425 km |
너비 | 40 km |
해안선 길이 | 1,354.1 km |
최고봉 | 만타링가한 산 |
높이 | 2,086 m |
국가 정보 | |
국가 | 필리핀 |
지역 | 미마로파 |
지방 | 팔라완 주 |
시/읍/면 | 아보를란 바타라사 브룩스 포인트 두마란 엘니도 나라 푸에르토 프린세사 케손 리살 록사스 산 비센테 소프로니오 에스파뇰라 타이타이 |
수도 및 최대 도시 | 푸에르토 프린세사 |
최대 도시 인구 | 307,079명 |
인구 | 994,101명 (2020년 기준) |
인구 밀도 | 81.6 명/km2 |
민족 그룹 | 알 수 없음 |
2. 지리
필리핀에서 5번째로 큰 섬인 팔라완섬은 북서쪽으로 남중국해, 남동쪽으로 술루해를 접하며, 길이 약 397km, 너비 평균 약 40km의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다. 면적은 약 11,785km2이다. 열대 우림으로 덮인 높은 산맥이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부 만탈링가잔 산(해발 2,086m)이 최고봉이다. 이외에도 가퉁 산(1788m), 빅토리아 봉우리(1726m) 등이 주요 산봉우리이다.[2]
"필리핀 최후의 개척지"라고도 불릴 정도로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어 생태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강 국립공원과 투바타하 암초 해양공원은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유네스코는 팔라완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하였다.[28]
섬 전체가 산맥을 이루고 있으며, 카가얀실로는 섬의 동쪽에 멀리 떨어져 있고, 두마란 섬과 더 멀리 떨어진 쿠요 제도는 북동쪽에, 리나파칸과 부수앙가 섬은 북북동쪽에 인접해 있다. 칼라얀 시는 팔라완 서쪽에, 발라박 시는 섬 서쪽 가장자리의 남쪽에 위치한다.
2. 1. 지질
팔라완의 지질은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팔라완 북동부의 지각은 유라시아 판의 대륙 지각 동남쪽 가장자리에서 유래했다. 이곳은 남중국해의 개방과 함께 남쪽으로 표류한 소대륙의 노출된 부분이다.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 중 일부는 팔라완 북동부에서 발견된다(페름기-석탄기 시대).[7] 팔라완 남서부에는 주로 오피올라이트 물질(해양 지각과 맨틀에서 융기된 암석)이 노출되어 있다. 이 3400만 년 된(최신 에오세-초기 올리고세) 오피올라이트는 압입뿐만 아니라 더 오래된 백악기 오피올라이트 및 퇴적층 위에도 오버러스트된 것으로 보인다.[7] 남서부의 "해양성" 오피올라이트에서 북동부의 "대륙성" 암석으로의 전환은 울루간 만과 사방 지역 주변의 팔라완 중앙 지역에서 발생한다. 울루간 만과 사방 해변의 남쪽 해안에는 팔라완 오피올라이트가 대륙에서 파생된 쇄설성 암석("사방 오버러스트") 위에 압입되었음을 보여주는 여러 노출부가 있다.[8]팔라완 해구는 남중국해의 팔라완 북쪽 해안에 인접한 깊은 수역이다.[9] 팔라완 해구는 오피올라이트 오버러스트 시트의 무게로 인해 대륙 지각이 아래로 구부러져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북쪽인 말람파야 사운드 지역과 엘니도 지역까지 가면 더 오래된(트라이아스기-쥐라기) 심해 처트와 석회암을 찾을 수 있다. 석회암은 웅장한 카르스트 지형을 형성한다. 이 지층은 소대륙("북팔라완 블록")의 일부이지만 대륙 지각에 인접한 심해 암석이다. 이들은 중생대에 안데스형 섭입대가 동남아시아에 존재했을 때 중국 대륙 지각에 부착되었다.
팔라완 중앙(클레오파트라의 바늘 지역)과 팔라완 북부(마운트 카포아스 또는 카포아스 지역)의 암석에 젊은 화강암체(진짜 화강암에서 화강섬록암까지)가 관입해 있다. 카포아스 관입은 마이오세 시대이다(지르콘과 모나자이트 U-Pb 연대 측정 결과 1300만~1500만 년).[10] 팔라완 북부의 타타이 지역에는 젊은 현무암질 콘데 산이 젊은 마그마 활동의 또 다른 징후이다. 화강암 마그마 활동과 현무암 마그마 활동은 모두 남중국해 주변의 많은 지역에 영향을 미친 광범위한 남중국해 확장 후 마그마 활동으로 확인된 것의 표현이다.[11]
구조적으로 팔라완은 칼라미안 제도와 함께 민도로에서 필리핀 이동대와 충돌하는 순다 판의 북동쪽 연장으로 간주된다.
2. 2. 주변 섬
남북으로 길게 뻗은 팔라완섬 주변에는 수많은 작은 섬들이 있다. 섬의 북서쪽에는 부수앙가섬, 쿠리온섬, 코론섬 등으로 구성된 칼라미안 제도가 있는데, 필리핀에서도 손꼽히는 좋은 어장이며,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의 침몰선이 많아 다이빙 명소이자 고급 리조트로 알려져 있다.섬 북부의 도시 엘니도는 높고 깎아지른 듯한 대리석으로 된 수십 개의 섬 경관과 아름다운 백사장으로 유명하며, 주변 리조트 섬으로 출발하는 항구이기도 하다. 이 리조트들은 섬 하나를 하나의 리조트가 독점하는 호화로운 구조이며 은둔적인 리조트를 추구하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다. 두란간섬은 팔라완섬의 서쪽에 접해 있으며, 발라바크섬은 남단에 접하고 보르네오섬과는 발라바크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다.
3. 생태
열대 우림과 울창한 숲으로 덮인 높은 산악 지대가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부의 만탈링가한 산(해발 2086m)이 최고봉이다. 유네스코의 "팔라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28], "'''필리핀 최후의 프론티어'''" 등으로 불리는 비경으로,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어 생태 관광의 대상이 되고 있다.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 강 국립 공원과 투바타하 암초 해양 공원이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필리핀의 대부분 지역과는 달리, 팔라완은 생물지리학적으로 순다랜드에 속하며, 보르네오에서 발견되는 것과 관련된 동식물군을 가지고 있다.[12][13]
남북으로 긴 팔라완 섬 주변에는 무수한 작은 섬들이 있다. 섬의 북서쪽에는 부수앙가 섬, 클라리온 섬, 코론 섬 등으로 구성된 칼라미안 제도(Calamian)가 있으며, 필리핀 굴지의 양호한 어장으로서, 다이빙 명소(주변은 태평양 전쟁 중 일본군의 침몰 선박이 많다) 및 고급 리조트로 알려져 있다.
섬 북부의 마을인 엘니도는, 높이 솟아 있는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수십 개의 섬들의 경관과 아름다운 백사장 해변으로 유명하며, 주변에 산재한 리조트 아일랜드로의 발착항이기도 하다. 이러한 리조트는 섬 하나를 하나의 리조트 시설이 독점하는 호화로운 구조로, 은신처 같은 리조트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
그 외, 두란간 섬은 팔라완 섬의 서쪽 끝에 접해 있으며, 발라바크 섬은 남쪽 끝에 접해 보르네오 섬과는 발라바크 해협으로 구분되어 있다.
4. 역사
팔라완섬은 필리핀의 "마지막 국경"으로 불리며, 20세기 초까지 해안 지대를 제외하고는 팔라완인, 타구바누아인, 바타쿠인 등 원주민들이 화전 농업(바타쿠인은 사냥 등)을 하며 살아가던 곳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사야 제도 등 필리핀 중부 지역에서 소작농, 농장 노동자, 어민 등이 농지 개척, 풍부한 어장, 광산 및 벌목 작업을 위해 대규모로 이주해 왔다. 그 결과 1990년에 팔라완섬 인구는 40만 명으로 급증했다. 민다나오섬 서부 무슬림(모로인) 분리주의자들의 내전을 피해 이슬람교도들도 이주해 왔다. 이러한 급속한 인구 증가는 토지 소유자와 무토지자 간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비사야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지만, 원주민의 생활과 섬 환경 간의 마찰을 야기하기도 했다.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보르네오섬에서 필리핀 제도로 섬을 따라 항해하며 이주하는 말레이계 민족들이 팔라완섬에 자주 기항했고, 중국과 말레이 상인들도 교역을 위해 이곳을 찾았다. 섬 곳곳의 동굴 등에서는 중국제 도자기가 발견되기도 한다. 12세기에는 말레이인들이 이주하여 생강, 코코넛, 설탕, 바나나, 고구마, 쌀 등을 재배하고, 돼지와 닭을 기르며 농업, 어업, 수렵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16세기 스페인인들이 도래한 후, 북쪽의 칼라미안 제도가 먼저 필리핀 식민지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7세기 초에는 스페인 선교사들이 쿠요 제도 등 주변 섬들과 팔라완 본섬 북부의 타이타이에도 파견되었지만, 현지 무슬림 공동체의 저항에 부딪혔다. 18세기까지 스페인인들은 타이타이 등에 교회를 짓고, 모로족의 공격에 대비해 군대를 주둔시켰다. 1749년 브루나이 술탄국은 팔라완 남부를 스페인에 할양했다.
초기 팔라완 지역(당시 파라과)은 북부 타이타이에 주도를 둔 칼라미안 주만으로 통치되었지만, 이후 타이타이를 주도로 북부를 지배하는 카스티야 주, 푸에르토프린세사를 주도로 남부를 지배하는 아스투리아스 주, 프린시페 알폰소를 주도로 본섬 남단의 바라바크 제도 주로 분할되었다.
1898년 필리핀 독립 혁명으로 스페인의 지배가 끝나고 미국의 지배가 시작되었다. 1903년 주의 경계가 변경되어 팔라완 주로 재편되었고, 푸에르토프린세사가 주도가 되었다. 미국은 학교 건설, 농업 혁신, 주민 집주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은 팔라완섬을 점령했지만, 1944년경부터 연합군의 공세로 곤경에 처했다. 1944년 12월 14일 일본군은 푸에르토 프린세사에 있던 150명 정도의 포로를 참호에 가두고 휘발유를 뿌려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 11명 정도가 탈출에 성공했으며, 이 사건은 2005년 영화 '더 그레이트 레이드'의 오프닝 장면으로 사용되었다.[26]
1975년 12월 하순 열대 저기압이 팔라완섬을 덮쳐 루손섬 남부와 함께 250명 이상의 사망자와 행방불명자가 발생했다.[31]
전쟁 이후, 필리핀 중부에서 온 이주민들에 의해 팔라완섬은 개척되었고, 인구가 급증했으며, 서양인들을 위한 리조트도 많이 건설되었다. 2001년 5월 아부 사야프로 추정되는 무장 단체에 의해 도스 파르마스 리조트에서 20명이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하여 미군의 지원을 받은 대규모 구출 작전이 수행되었고, 이후 팔라완섬의 경비는 강화되었다.
2013년 4월 불법 포획된 동물들을 실은 어선이 팔라완섬 해안의 산호 환초에 좌초되기도 했다.[25]
2014년 5월 필리핀군 참모총장 에마누엘 T. 바우티스타는 오이스터 만이 미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해군 기지로 개발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26]
200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남중국해 영유권(구단선) 주장 강화로 팔라완섬은 영유권 분쟁의 최전선이 되었다. 2022년 11월 22일 미국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가 팔라완섬을 방문했고, 이에 중국 언론은 강하게 비난했다.[32]
4. 1. 선사 시대
팔라완섬 뉴 이바자이 마을 근처 일리 동굴에서 다른 동물 뼈와 석기 도구와 함께 호랑이의 지골 두 개와 다른 지골 조각이 발견되었다. 다른 동물 화석은 필리핀 긴꼬리원숭이, 사슴, 팔라완 멧돼지, 작은 포유류, 도마뱀, 뱀, 거북이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석기 도구와 뼈에서 나타난 절단 자국, 불을 사용한 증거로 보아 초기 인류가 뼈를 축적한 것으로 보인다.[13] 약 12,000년에서 9,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호랑이 아(亞)화석의 상태는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른 화석들과 달랐다. 호랑이 아화석은 풍화로 인해 피질골에 종방향의 골절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후에 빛과 공기에 노출되었음을 시사한다. 호랑이의 신체 부위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부적으로 사용되었으므로, 호랑이 송곳니와 마찬가지로 다른 곳에서 수입되었을 수 있다. 송곳니는 민다나오 부투안에서 10~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암방안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보르네오와 팔라완의 근접성을 고려할 때 호랑이가 초기 홀로세 이전 보르네오에서 팔라완으로 이주했을 가능성도 있다.[14][15]폰 덴 드리에슈의 연구를 바탕으로, [16] 어금니를 제외한 부속 골격 요소의 모든 해부학적 특징을 측정하여 가까운 관계를 가진 분류군을 구별하고 연령에 따른 형태 변화를 확인했다. 단, 돼지와 사슴은 제외했다. 일리 동굴에서 발견된 사슴의 두개골과 하악골 요소, 치아를 필리핀 사슴(''Cervus mariannus''), 칼라미안 사슴(''Axis calamianensis''), 비사얀 얼룩 사슴(''Cervus alfredi'')의 표본과 비교하여, 화석에서 두 개의 사슴 분류군, 즉 ''Axis''와 ''Cervus''를 확인했다.[17] 돼지의 잔해는 멧돼지(''Sus scrofa'')와 팔라완 멧돼지(''Sus ahoenobarbus'')와 비교했다. 멧돼지는 후기 홀로세 동안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섬으로 가축으로 수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20][21][22]
일리 동굴의 후기 플라이스토세와 초기 홀로세 및 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 전반에 걸쳐 사슴 골격의 요소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다가, 후기 홀로세에 이르러 점차 감소하여 사라진다. 사후 골격 요소와 치아에서 관찰된 현저한 크기 변화를 통해 '큰' 분류군과 '작은' 분류군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17] 개별 화석 치아와 하악 치열의 근위-원위 및 설순 측정을 필리핀과 기타 동남아시아 섬에 서식하는 현존 사슴 분류군과 비교한 결과, 칼라미안 사슴이 작은 분류군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보인다. 칼라미안 사슴은 쿨리온과 부수앙가 섬의 숲 가장자리와 열린 초원 서식지에 서식하는데, 플라이스토세 동안에는 대(大)팔라완의 육괴의 일부였지만, 현재 팔라완 자체에는 없다.[23] 팔라완 화석에서 발견된 '큰' 사슴 분류군과 관련하여, 루손의 필리핀 사슴이 치아 생체 계측 비교를 통해 가장 가깝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자와 속 ''Cervus'' 또는 ''Rusa''의 현존하는 구성원, 특히 필리핀 사슴(''C. mariannus'') 및 얼룩 사슴(''C. alfredi'') 사이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필리핀 사슴은 분포 지역에 따라 상당한 변이를 보이며, 민다나오 섬의 개체군은 루손의 개체군보다 작다. 따라서 루손 사슴과 고고학적 자료 간의 중복은 우연의 일치일 수 있으며, 화석은 팔라완에서 발생했던 다른 Cervus 종에 속했을 수 있으며 분류학적 분류는 해결되지 않았다.[24] 팔라완 지역에서는 ''Cervus'' 속의 구성원이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다.[17]
4. 2. 식민지 이전 시대
12세기에 말레이인들이 팔라완섬에 이주하기 시작했다. 족장의 지휘 아래 이주민들은 생강, 코코넛, 설탕, 바나나, 고구마, 쌀 등을 재배하고, 돼지와 닭을 길렀다. 이들은 농업, 어업, 수렵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31]4. 3. 스페인 식민지 시대
16세기 스페인인들이 도래한 후, 우선 북단의 칼라미안 제도(Calamian Islands)가 필리핀 식민지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7세기 초에는 스페인인들이 쿠요 제도 등 주변 섬들과 팔라वान 본섬 북부의 타이타이(Taytay)에도 선교사를 보냈지만, 현지의 무슬림 공동체의 저항에 부딪혔다. 18세기까지 스페인인들은 타이타이 등의 마을에 교회를 짓고, 모로족의 공격에 대비해 군대로 방어했다. 1749년, 브루나이 술탄국은 팔라완 남부를 스페인에 할양했다.초기에 팔라완 지역(당시는 파라과(Paragua)라고도 불렸다)은 북부의 타이타이에 주도를 둔 칼라미안 주(Calamian)만으로 지배했지만, 후에 세 부분으로 분할되었다. 타이타이를 주도로 하여 북부를 지배하는 카스티야 주(Castilla), 푸에르토프린세사(Puerto Princesa)를 주도로 하여 남부를 지배하는 아스투리아스 주(Asturias), 프린시페 알폰소(Principe Alfonso)를 주도로 하는 본섬 남단의 바라바크 제도 주(Balabac)였다.
4. 4. 미국 식민지 시대
1898년 필리핀 독립 혁명으로 스페인 지배가 끝나고 미국에 의한 지배가 시작되었다. 1903년 주의 경계가 변경되어 팔라완 주로 재편되었고, 푸에르토프린세사가 주도가 되었다. 미국 지배하에서는 학교 건설, 농업 혁신, 주민 집주 등의 정책이 시행되었다.4. 5.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12월 14일, 일본군은 연합군 상륙에 대비하여 푸에르토 프린세사에 있던 150명 정도의 포로를 참호에 넣고 휘발유를 뿌려 불태웠다. 참호를 탈출하여 야산으로 도망치려던 포로들은 사살되었지만, 11명 정도는 탈출에 성공했다. 이 사건은 2005년 영화 '더 그레이트 레이드(The Great Raid)'의 오프닝 장면으로 사용되었다.[2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은 팔라완섬을 점령했으나, 1944년경부터 연합군의 공세로 인해 많은 군함과 수송선이 격침되는 등 곤경에 처했다.4. 6. 독립 이후
1975년 12월 하순, 열대 저기압이 팔라완섬을 덮쳐 큰 피해를 입혔다. 이 피해는 루손섬 남부에도 미쳐, 사망자와 행방불명자가 250명 이상 발생했다.[31]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필리핀 중부에서 온 이주민들이 팔라완섬을 개척하면서 인구가 크게 증가했고, 서양인들을 위한 리조트도 많이 건설되었다. 2001년 5월에는 아부 사야프로 추정되는 무장 단체에 의해 푸에르토 프린세사 교외의 혼다 만에 있는 도스 파르마스 리조트에서 20명이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미군의 지원을 받은 대규모 구출 작전이 수행되었다. 이 사건 이후, 팔라완섬의 경비는 강화되었고, 유사한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2013년 4월에는 불법 포획된 동물들을 실은 어선이 팔라완섬 해안의 산호 환초에 좌초되기도 했다.[25]
2014년 5월, 필리핀군 참모총장 에마누엘 T. 바우티스타는 오이스터 만이 미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해군 기지로 개발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26]
200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남중국해에 대한 영유권(구단선) 주장을 강화하면서 팔라완섬은 영유권 분쟁의 최전선이 되었다. 2022년 11월 22일, 필리핀을 방문 중이던 미국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가 팔라완섬을 방문했고, 이에 중국 언론은 강하게 비난했다.[32]
5. 주민
팔라완섬은 20세기 초까지 해안 지대를 제외하고 남쪽부터 팔라완족, 타그바누아족, 바탁족과 같은 선주민이 거주하며, 화전농업(바탁족은 수렵 등)을 영위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후, 팔라완섬에는 필리핀 중부 비사야 제도 등에서 소작농, 플랜테이션에서 일하는 농원 노동자, 어민 등이 농지 개척·풍부한 어장·광산 노동·벌채 작업을 찾아 대량으로 이주해 왔고, 대전 직후 5만 명 정도였던 인구는 1990년에는 40만 명으로 급증했다. 또한 민다나오섬 서부에서 무슬림(모로족) 분리주의자들의 내전을 피해 무슬림도 이주했다.[1]
이러한 급속한 이주는 인구 과밀로 토지를 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와의 대립이 심각한 비사야 지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기도 했지만, 선주민의 생활과 섬의 환경 간의 마찰도 일으키고 있다.[1]
6. 언어
팔라완 주민의 50% 이상이 타갈로그어를 사용한다. 섬의 고유 언어는 쿠요논어(26.27%)와 팔라와노어(4.0%)이다.[27] 키나라야어도 팔라완에서 사용되며, 주민의 19%가 사용한다.[27] 다양한 민족 집단(남부 타갈로그, 일로칸디아, 중부 루손, 파나이)의 팔라완으로의 대규모 이주 전에는 쿠요논어가 아구타이넨, 카가야넨, 타그바누아, 팔라완 등 팔라완 원주민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용어였다.[27] 1990년대와 새천년이 다가오면서 쿠요논어 사용이 갑자기 줄어들었고, 현재 다수가 사용하는 타갈로그어가 이를 대체했다.[27] 이 때문에 팔라완은 남부 타갈로그의 일부가 되었다.[27] 타갈로그어는 바탕가스 및 민도로와의 지리적 접촉과 섬의 바탕가스 출신 주민들로 인해 일반적으로 바탕가스 타갈로그어 방언으로 사용될 수 있다.[27] 술루 술탄국의 점령 기간 동안 팔라완 남부에서는 타우수그어가 소수 이슬람화된 민족 집단, 즉 몰보그, 타우수그(비원주민 민족 집단), 무슬림 팔라완, 이주민 바자오 사이에서 공용어였다.[27] 19세기에 쿠요논어가 타우수그어를 공용어로 대체했다.[27] 많은 지역 무슬림과 물물교환 상인들은 사바 말레이어도 구사할 수 있다.[27]
푸에르토 프린세사의 젊은 층(20~39세)은 영어를 주로 사용한다.[27] 팔라완주의 다른 지역에서는 소수가 영어를 사용한다.[27]
7. 산업
팔라완섬의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이다. 리조트와 관련된 관광 산업(유럽인, 특히 독일인에게 인기가 있다)과 실리콘 광업도 발달했다. 임업은 중요한 산업이었으나, 1992년부터 보호를 위해 금지되고 있다.[29] 2001년 민다나오섬 등을 거점으로 하는 과격파 아부 사야프가 팔라완섬에서 관광객을 납치하는 사건이 일어나 관광 산업에 타격을 주었다. 광업은 21세기에 들어서도 활발하며, 2011년에만 니켈 등의 채굴을 목적으로 429건의 광산 개발 신청이 이루어졌다.[30]
8. 국제 관계
1975년 12월 하순, 열대 저기압이 섬을 덮쳐 루손섬 남부와 함께 사망자·행방불명자 250명 이상을 기록했다.[31]
2001년 5월에는 아부 사야프로 추정되는 집단에 의해, 푸에르토 프린세사 교외의 혼다 만에 있는 도스 파르마스 리조트에서 20명이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미군에 지원된 대규모 구출 작전이 수행되었다. 이 사건 후, 팔라완섬의 경비는 엄중해졌고, 같은 종류의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한 남중국해의 영유권(구단선) 논쟁이 활발해지면서 팔라완섬은 영유권 분쟁의 최전선이 되었다. 2022년 11월 22일, 필리핀을 방문 중인 미국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가 팔라완섬을 방문했다. 중국 언론은 부통령의 방문을 강력하게 비난했다.[32]
참조
[1]
웹사이트
Islands of Philippines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7-02-28
[2]
웹사이트
Palawan: Physical Feature
http://www.palawan.g[...]
Provincial Government of Palawan
2017-03-01
[3]
문서
Sulu Sea
http://www.eoearth.o[...]
[4]
뉴스
The Grim Reality Behind the Philippines' Economic Growth
https://www.theatlan[...]
2017-02-27
[5]
웹사이트
Palawan, the Philippines: The Most Beautiful Island in the World
http://www.cntravele[...]
Conde Nast Traveller
2016-01-16
[6]
웹사이트
Destinations Rated: Islands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Geographic]]
[7]
논문
Rapid conversion of an oceanic spreading center to a subduction zone inferred from high-precision geochronology
2016-11-07
[8]
문서
High pressure and temperature subophiolitic kyanite garnet amphibolites generated during initiation of mid-Tertiary subduction, Palawan, Philippines
[9]
문서
South China Sea
http://www.eoearth.o[...]
[10]
문서
Age and geochemistry of an 'anorogenic' crustal melt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I-type granites
[11]
논문
Geochemistry and geochronology of late Cenozoic basalts of southeast Asia
1981
[12]
웹사이트
What is Sundaland?
http://www.saturnia.[...]
2010-06-11
[13]
논문
The first evidence for the past presence of the tiger Panthera tigris (L.) on the island of Palawan, Philippines: extinction in an island population
[14]
서적
Evolution of Island Mammals: Adaptation and Extinction of Placental Mammals on Islands
John Wiley & Sons
2011
[15]
서적
Climate Change and Human Responses: A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
Springer
2017
[16]
논문
A Guide to the Measurement of Animal Bones from Archaeological Sites
https://www.scribd.c[...]
Harvard University
[17]
논문
Palaeozoology of Palawan Island, Philippines
Elsevier
2011-03-15
[18]
논문
Worldwide Phylogeography of wild boar reveals multiple centers of pig domestication
[19]
논문
Phylogeny and ancient DNA of Sus provides insight into Neolithic expansion in Island Southeast Asia and Oceania
[20]
논문
The pigs of Island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new evidence for taxonomic status and human-mediated dispersal
http://dro.dur.ac.uk[...]
[21]
논문
New insights into pig taxonomy, domestication and human dispersal in Island Southeast Asia: molar shape analysis of Sus remains from Niah Caves, Sarawak
https://www.research[...]
[22]
논문
A 4,000 year old introduction of domestic pigs into the Philippine archipelago: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routes of human migration into through Island Southeast Asia and Wallacea
https://www.research[...]
[23]
논문
A synopsis of the mammalian fauna of the Philippine Islands
https://www.research[...]
[24]
논문
Morphometrical relationships between South-east Asian deer (Cervidae, tribe Cervini):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https://www.research[...]
[25]
뉴스
Poachers' boat hits coral reef
https://www.newshub.[...]
2013-04-17
[26]
뉴스
Philippines Offer US A Nearby Naval Base Amid Chinese Moves
http://www.businessi[...]
Reuters
2014-05-15
[27]
웹사이트
Lowland Cultural Group of the Tagalogs
https://ncca.gov.ph/[...]
2020-10-04
[28]
웹사이트
Palawan Biosphere Reserve, Philippines
https://en.unesco.or[...]
2018-10-01
[29]
웹사이트
囚われ人 パラワン島観光客21人誘拐事件 (2012)
https://movies.yahoo[...]
Yahoo!Japan 映画
2021-03-05
[30]
웹사이트
フィリピンのニッケル鉱山開発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グリゼルダ・マヨアンダ氏の報告 PARC主催セミナーより
https://www.chosyu-j[...]
長周新聞
2021-03-05
[31]
뉴스
死者・行方不明者250人に 比国の豪雨禍
朝日新聞
1976-01-14
[32]
웹사이트
南シナ海最前線パラワン島を訪問したハリス米副大統領…中国に警告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2-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