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루스는 라틴어 'phallus'에서 유래된 용어로, 음경과 음핵의 발생학적 전구체를 지칭하며, 고대부터 남성성, 다산, 건강 등을 상징하는 조각상이나 예술 작품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인도, 스칸디나비아,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숭배되었으며, 종교, 신화, 민속 신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남성성의 상징으로, 욕망과 성 정체성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현대 사회에서는 건축, 미술, 포르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 용어는 라틴어 ''phallus''에서 차용된 말로, 이는 다시 그리스어 φαλλός|phallosgrc에서 차용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인도유럽조어 어근 *''bʰel''- "팽창하다, 부풀다"에서 파생되었다. 고대 노르드어 (및 아이슬란드어) ''boli'' "황소", 고대 영어 ''bulluc'' "소", 그리스어 φαλλή|phallēgrc "고래"와 비교해 보라.[2]
발생학에서 "팔루스"는 음경과 음핵의 전구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세계 여러 지역, 특히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 유적에서 고대와 현대의 팔루스 조각을 볼 수 있다. 많은 고대 문명에서 팔루스는 남성성과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2005년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된 28,000년 된 호흘레 팔루스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남근상 중 하나이다.[3]
고대부터 현대까지 팔루스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호흘레 팔루스(Hohle phallus)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남근 조각상 중 하나이다.[3] 고대 그리스·로마의 유적에서는 팔루스 조각, 틴티나불룸(tintinnabula)(풍경) 등을 볼 수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남성은 페니스를 소유하지만, 상징적 팔루스는 소유할 수 없다고 보았다.[18] 자크 라캉은 저서 『에크리』의 「팔루스의 의미 작용」에서 팔루스를 '존재하는 것'과 '소유하는 것'의 차이로 설명하며, 성적 차별화는 욕망의 초월적 기표인 팔루스를 "있음"과 "가짐"의 차이로 표현된다고 하였다. 라캉에 따르면 남성은 팔루스를 '소유한다'고 여겨지는 한 남성으로 규정되며, 팔루스를 소유하지 않은 여성은 팔루스로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상징적 팔루스는 본원적인 남성으로 '존재하는 것'과 신의 은총을 소유하는 것과 동등한 '소유하는 것'의 개념이다. 여성이 기표의 영역에서 남성이 원하는 남근이 되면, 남성은 그것을 원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사람이 자신이 가진 것을 욕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성은 다른 여성에게 이끌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성에게 남근을 주는 것은 남성이 가진 것을 빼앗아 그녀의 욕망을 감소시킨다.
음경은 종종 포르노 광고와 피임(콘돔 등) 판매에 사용된다.[20] 도발적인 장난에 자주 사용되었으며 성인 관람객을 위한 공연의 중심 초점이 되기도 했다.[20]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phallus in English
https://web.archive.[...]
2013-08-16
2. 어원
고대 그리스어 φαλλός|phallósel(팔로스)가 라틴어를 거쳐 유래되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인도유럽조어의 어근 bheline(부풀어 오르다, 팽창)이다. 비교 예시로, 고대 노르드어(및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boliis(황소), 고대 영어의 bulluceno(작고 약한 소), 그리스어의 φαλλή|el(고래)가 있다.[23]
3. 생물학
또한 특정 조류의 해부학적으로 (포유류의 음경과는 다른) 남성 성기를 가리키기도 한다.
4. 역사 및 종교
고대 로마에서는 남근 형태의 부적 ''파시눔(fascinum)''이 널리 퍼져 있었다.[5][6] 폼페이 유적에서는 악귀를 쫓는 틴티나불룸(tintinnabula)이라는 청동 풍경이 발견되기도 했다.
힌두교의 시바 신은 링감 형태로 숭배된다. 인도에서 링감의 증거는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야마구치현 나가토시의 마라 관음(麻羅観音일본어)은 현재까지 존재하는 일본의 생식 숭배 사당 중 하나이다.
한국에서도 고대부터 남근 숭배 신앙이 존재했다.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의 기록과 각 지역의 민속 신앙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강원도 삼척시의 해신당 공원에는 남근 조각상이 전시되어 있는데, 이는 어촌 민속과 남근 숭배 신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4. 1. 고대 이집트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전설도 참조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오시리스 숭배에 팔루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시리스의 몸이 14 조각으로 잘려 세트가 이집트 전역에 흩뿌리자 그의 아내 이시스는 그 조각들을 모두 수습했지만, 물고기에게 삼켜진 그의 성기는 찾을 수 없었다. 이시스는 나무로 대체물을 만들었다.
팔루스는 다산의 상징이었으며, 신 민은 종종 이티팔릭, 즉 발기된 성기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4. 2. 고대 그리스·로마
헤르메스는 전통적인 그리스 신화에서 경계와 교환의 신으로, 남근이 달린 헤르마 기둥과 관련하여 남근 숭배 신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묘사에 대한 학술적 합의는 없으며, 헤르메스를 다산의 신으로 간주하는 것은 추측일 뿐이다.[4] 판은 헤르메스의 아들로, 종종 과장되게 발기된 남근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프리아포스는 과장된 남근을 상징으로 하는 그리스 다산의 신이다. 호메로스와 대부분의 기록에 따르면, 아프로디테와 디오니소스의 아들인 그는 가축, 과일 식물, 정원 및 남성 생식기를 보호한다. 그의 이름은 의학 용어 지속 발기증의 어원이 되었다.
고대 로마의 문화에서는 남근 부적 형태의 ''파시눔(fascinum)''이 널리 퍼져 있었다.[5][6] 폼페이 유적에서는 남근을 특징으로 하는 청동 풍경 종 ''(틴티나불룸(tintinnabula))''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종종 여러 개로 만들어져 악마의 눈과 다른 악의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했다. 프리아포스의 조각상도 마찬가지로 정원을 지켰다. 로마 소년들은 정식 성인이 될 때까지 남근 부적이 들어 있는 부적인 ''불라(bulla)''를 착용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시민의 정치적, 성적 성인으로의 진입을 주재하는 리베르(Liber) 신앙은 남근을 포함했다. 남근 신인 무투누스 투투누스는 부부 관계를 장려했다. 신성한 남근은 베스타의 처녀가 보관하고 있던 로마 국가의 안전에 필수적인 물건 중 하나였다. 고대 로마의 성은 때때로 "고대 로마의 성#남근 중심 성"으로 특징지어진다.[7]
4. 3. 고대 인도
힌두교에서 가장 널리 숭배되는 남성 신 중 하나인 시바는 링감 형태로 숭배된다. 인도에서 링감의 증거는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링감은 단순한 남근 도상학이 아니며, 문헌 자료에서도 그렇게 나타나지 않는다. 다양한 종류의 석조 링감이 오늘날까지 인도의 많은 옛 사원과 해외 박물관에서 발견되며, 이는 나중에 양식화된 링감보다 더 명확하게 남근 모양을 띤다. 안드라 프라데시의 유명한 "사람 크기" 구디말람 링감은 높이가 1.5m 정도이며, 광택이 나는 검은색 화강암으로 조각되었으며, 기둥 아래로 조각된 신의 형상이 있는 발기된 남근을 분명하게 나타낸다.[8]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된 시바의 초기 묘사 중 많은 수가 고추가 발기된 모습이며, 쿠샨 제국의 동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서기 11세기까지의 일부 조각상들은 발기된 남근을 가지고 있지만, 점점 더 희귀해지고 있다.
탄트라의 샤이비즘에서 링가는 힌두교 신 시바 숭배에 사용되는 상징적 표지였다. 무칼링가는 힌두 사원의 숭배 중심지에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창조적 에너지의 균형을 나타내는 의미로, 종종 여성 생식기를 본뜬 요니 안에 놓여 있었다. 그것들은 풍요로움에 한정되지 않고, 더 보편적인 창조의 추상적 원리를 언급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4. 4. 고대 스칸디나비아
4. 5. 일본
야마구치현 나가토시에 있는 마라 관음(麻羅観音일본어)은 오늘날에도 존재하는 일본의 여러 생식 숭배 사당 가운데 하나이다. 오사카부 기시와다시의 단지리 마츠리(だんじり祭일본어)[11],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의 가나마라 마츠리, 아이치현 고마키시의 호넨 마츠리(豊年祭일본어, 풍년제)와 같은 축제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는 남근 숭배가 더 널리 퍼져 있었다.
조몬 시대 중기 이후, 동일본을 중심으로 석봉이 제작되어 제사에 사용되었다.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금정신으로서 현대에도 제사 지내지고 있다.
가토 겐치는 도시부를 떠나 농촌부에 들어가면, 애니미즘, 주물 숭배, 남근 숭배의 흔적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27]. 타가타 신사의 기년제, 풍년제, 아츠이케 하치만 신사의 봄의 신사, 와레이 신사, 스기야마 신사 등에서는 남근 숭배가 행해진다고 하였다[28]。
4. 6. 한국
한국에서도 고대부터 남근 숭배 신앙이 존재해왔다.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의 기록과 각 지역의 민속 신앙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강원도 삼척시의 해신당 공원에는 남근 조각상이 전시되어 있으며, 이는 어촌 민속과 남근 숭배 신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4. 7. 기타 지역
남근은 부탄의 그림에서 흔히 묘사된다. 흰색 리본이 끝에 매달린 나무 남근은 악령을 쫓기 위해 종종 집 출입구 위에 걸어 놓는다.[9][10]
할레드 나비 묘지(페르시아어: گورستان خالد نبی, "예언자 할레드의 묘지")는 이란 북동부 골레스탄 주에 있는 묘지이다. 관광객들은 종종 윗부분이 더 두꺼운 원통형 기둥을 남성의 성기 묘사로 인식해왔다. 이로 인해 이슬람교 이전 시대의 다산 숭배에 대한 대중적인 가설이 제기되었다.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에서 ''쿠케르''는 다산을 의인화한 신으로, 때로는 복수 신으로 숭배된다. 불가리아에서는 봄 축제(일종의 카니발)가 민속극 시나리오에 따라 열리는데, 여기서 쿠케르의 역할은 양이나 염소 가죽을 입고 뿔 달린 가면을 쓰고, 커다란 나무 남근을 허리에 두른 남자가 연기한다. 의례 동안 성행위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적 행위가 신성한 결혼의 상징으로 해석되며, 임신한 것처럼 보이는 상징적인 아내는 출산의 고통을 흉내 낸다.[12]
선사 시대 아메리카에서 코코펠리와 이츠암나 (마야의 삭발한 옥수수 신)의 조각상은 종종 남근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40개가 넘는 대형 단일 석상(''Xkeptunich'')이 종말기 고전 마야 유적지에서 기록되었으며, 대부분의 예시는 유카탄의 푸크 지역에서 발견된다.[16] 우슈말은 가장 많은 수집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보호 지붕 아래에 11개의 조각상이 보관되어 있다. 가장 큰 조각상은 알무칠에서 기록되었으며, 높이가 320cm가 넘고, 기둥 밑면의 지름이 44cm였다.[16]
전 세계 많은 지역, 특히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의 유물에서 고대 및 현대의 팔루스(영어: phallus)의 조각을 볼 수 있다. 많은 고대 문명에서 팔루스적 조각은 건강의 상징이었다. 그중에서도 2005년에 홀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되어 조립된 2만 8천 년 전의 이회암 팔루스상인 "홀레 팔루스"가 가장 오래된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24]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의 정령 코코펠리의 조상은 팔루스적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5. 예술
현대 미술에서도 팔루스는 성, 권력, 욕망 등을 표현하는 상징으로 사용된다. 콘스탄틴 브랑쿠시의 "공주 X"는 대표적인 예시이다.[21]
6. 정신분석학
주디스 버틀러는 저서 『젠더 트러블』에서 팔루스와 페니스의 관련성을 지적하며 프로이트와 라캉의 상징적 팔루스론을 논했다. 버틀러에 따르면, 법은 그 자체의 '자연' 개념에 복종할 것을 명령하며, 신체의 이원적·비대칭적 자연화를 통해 정당성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팔루스(페니스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는 자연화된 도구·기호로서 페니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버틀러는 『Bodies that Matter』의 '레즈비언 팔루스'에서 프로이트가 페니스 이외로부터의 팔루스 전이 가능성을 수사적으로 옳다고 주장하는 유추 및 치환을 열거한다면, 그 밖의 많은 것들도 팔루스의 대역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7. 현대적 응용
현대 건축과 현대 미술 작품에는 직접적·간접적으로 팔루스를 표현한 작품이나, 바르셀로나의 아그바르 타워처럼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팔루스로 인식되어 그 이미지가 일반화된 작품이 있다.
참조
[2]
웹사이트
http://www.etymonlin[...]
[3]
뉴스
Ancient phallus unearthed in cav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7-25
[4]
뉴스
The Annual Phallus Festival in Greece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08-12-15
[5]
서적
Commentary on Ovid: Fasti Book 6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Idea of a Town: The Anthropology of Urban Form in Rome, Italy, and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MIT Press
[7]
서적
Imperialism, Power, and Identity: Experiencing the Roman Emp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Elements Of Hindu Iconography
https://archive.org/[...]
Law Printing House, Madras (Chennai)
[9]
서적
State and Statecraft in Old Java: A Study of the Later Mataram Period, 16th to 19th Century
Equinoc Publishing
[10]
서적
Pancasila and the search for identity and modernity in Indonesian society: a cultural and ethical analysis
BRILL
[11]
웹사이트
Danjiri Matsuri Festival
http://farstrider.ne[...]
[12]
서적
Dicţionar de Mitologie Generală
Editura Ştiinţifică şi Enciclopedică
[13]
서적
Heraldry : sources, symbols, and meaning
McGraw-Hill
1976
[14]
논문
Das Churer Missale von 1589
1965
[15]
서적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Van Nostrand Reinhold Co.
1972
[16]
학위논문
An Iconographic and Historic Analysis of Terminal Classic Maya Phallic Imagery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17]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Gale
[18]
서적
Derrida and Lacan: Another Writing
https://www.jstor.or[...]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8
[19]
서적
The Semiotic Self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20]
뉴스
Puppetry of the Penis
http://www.sfgate.co[...]
2002-11-01
[21]
웹사이트
http://www.philamuse[...]
[22]
서적
Bonk: The Curious Coupling of Science and Sex
W. W. Norton and Co, New York (2008)
[23]
웹사이트
http://www.etymonlin[...]
[24]
뉴스
Ancient phallus unearthed in cav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7-25
[25]
웹사이트
Siva mukhalinga
http://huntington.wm[...]
[26]
문서
Ars et Amor: Die Erotik In der Kunst
Wilhelm Heyne Verlag, München
[27]
문서
Dr. Genchi Kato's monumental work on Shinto
1937-04
[28]
서적
A Study of Shinto: The Religion of the Japanese Nation
Routledge
2013-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