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아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아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다산과 풍요의 신이다. 디오니소스, 아프로디테, 헤르메스 등 다양한 신들의 아들로 묘사되며, 과일과 거대한 음경을 속성으로 갖는다. 프리아포스는 람프사쿠스에서 숭배가 시작되어 그리스와 로마로 퍼졌으며, 정원과 집의 수호신, 상인과 항해자의 보호신으로 여겨졌다. 그의 모습은 영구적인 발기 상태의 거대한 남근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의학 용어 '음경 지속 발기증'과 벌레의 일종인 '프리아풀리다'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오니소스의 자식 - 오이노피온
오이노피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디오니소스와 아리아드네의 아들이자 키오스 섬의 지배자로, 오리온과의 갈등과 술 제조법 발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무덤이 키오스 섬에 있다고 전해진다. - 남근 상징 - 팔루스
팔루스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음경과 음핵의 발생학적 전구체를 지칭하며, 고대부터 남성성, 다산 등을 상징하는 조각상이나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었고, 종교, 신화, 정신분석학, 현대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남근 상징 - 가지 이모지
가지 이모지는 유니코드에 등재된 이모티콘으로, 남성 성기를 은유하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되어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일부 플랫폼에서 사용 규제를 시행하기도 한다. - 풍양신 - 바알
바알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된 폭풍, 다산, 풍요를 관장하는 신으로, 히브리 성경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상징한다. - 풍양신 - 야크샤
야크샤는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신적 존재로, 도시나 구역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남성형은 야크샤, 여성형은 야크시 또는 야크시니로 불리고 재보의 신 쿠베라의 권속으로 여겨지며, 불교에서는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중의 하나이다.
| 프리아포스 | |
|---|---|
| 신화 속 정보 | |
| 역할 | 비옥, 채소, 자연, 가축, 과일, 양봉, 성, 생식기, 남성성, 정원의 신 |
| 상징 | 당나귀, 꽃, 과일, 채소, 물고기, 벌 |
| 부모 | 디오니소스와 아프로디테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디오니소스와 키오네 제우스와 아프로디테 판 |
| 형제자매 | 카리테스 에로스 헤르마프로디토스 휘메나이오스 판 사티로스 |
| 일반 정보 | |
| 그리스어 | Πρίαπος |
| 로마자 표기 | Priāpos |
| 이미지 | |
![]() | |
2. 신화
프리아포스의 출생에 대해서는 디오니소스와 아프로디테 또는 님프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제우스 또는 아도니스와 아프로디테[36],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37]。 일설에 따르면, 헤라의 질투로 인해 거대한 음경을 가진 모습으로 태어났다고도 한다[38]。 어머니에게 버려진 후 양치기들에게 발견되어 길러졌으며[39], 디오니소스의 수행자가 되기도 했다[37]。
프리아포스를 상징하는 속성은 과일과 거대한 음경이다。
2. 1. 다른 신들과의 관계
프리아포스의 부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프로디테와 디오니소스의 아들이라는 설이지만,[2][36] 디오니소스와 님프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신들이 그의 부모로 거론된다.| 아버지 | 어머니 |
|---|---|
| 디오니소스 | 아프로디테[2][36] 또는 님프 |
| 디오니소스 | 키오네[3] |
| 헤르메스 | 아프로디테[37] (또는 헤르메스가 프리아포스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음[4]) |
| 제우스 | 아프로디테[5][38] |
| 판 | 아프로디테[5] |
| 아도니스 | 아프로디테[36] |
프리아포스의 탄생과 관련하여 헤라의 저주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 전설에 따르면, 헤라는 파리스의 심판에서 파리스가 자신보다 아프로디테를 더 아름답다고 선택한 것에 앙심을 품고, 아프로디테가 임신한 프리아포스에게 추한 외모, 성교 불능(발기 부전), 사악한 마음을 갖도록 저주했다고 한다.[6] 다른 이야기에서는 헤라가 프리아포스를 저주한 이유가 그가 자신의 남편인 제우스의 아들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7][38] 이 설에서는 헤라가 임신한 아프로디테의 배를 만져 거대한 음경을 가진 모습으로 태어나게 했다고 한다.[38]
다른 신들은 그의 추한 모습 때문에 그가 올림포스 산에서 함께 사는 것을 원치 않았고, 결국 프리아포스는 땅으로 던져져 언덕에 버려졌다. 다행히 그는 양치기들에게 발견되어 길러졌으며,[39] 디오니소스의 수행자가 되기도 했다.[37]
프리아포스는 성적인 능력에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판이나 사티로스처럼 다산과 성장을 상징하는 정령들과 어울렸다. 그의 끊임없이 발기된 거대한 성기는 그의 왕성한 정욕을 상징하는 특징이 되었다. 오비디우스는 프리아포스가 여신 헤스티아를 범하려다 당나귀의 울음소리 때문에 실패한 일화를 전한다. 당나귀 소리에 놀라 발기가 풀리고 헤스티아마저 깨어나 버린 것이다.[8] 이 사건 이후 프리아포스는 당나귀를 몹시 미워하게 되었고, 자신에게 제물로 바쳐지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고 한다.[9] 또 다른 신화에서는 그가 님프 로티스를 뒤쫓았는데, 신들이 그녀를 불쌍히 여겨 연꽃으로 변신시켜 주었다고 한다.[10]
오르페우스 찬가에서는 프리아포스라는 이름이 태초의 신 프로토고노스에게 바쳐진 찬가에서 에로스 파네스를 가리키는 칭호로 사용되기도 했다.[11] 또한 디오니소스에게 바쳐진 찬가에서는 디오니소스가 프로토고노스와 비슷한 별칭을 부여받고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는데,[12][13] 이를 통해 디오니소스는 다산의 신 프리아포스의 아버지이자 원초적인 프리아포스의 모습 그 자체로 간주되기도 했다.
2. 2. 기타 작품
''프리아페이아'' 모음집 외에도, 프리아포스는 라틴 문학의 에로틱하거나 신화적인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었다.오비디우스의 시 ''축제일''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진다.[14] 님프 로티스가 잔치에서 술에 취해 잠들자 프리아포스는 그녀에게 다가갈 기회를 엿보았다. 그가 살금살금 다가가 로티스를 덮치려던 순간, 실레노스의 당나귀가 큰 소리로 울어 잠든 이들을 깨웠다. 잠에서 깬 로티스는 프리아포스를 밀쳐냈고, 결국 연꽃나무로 변신하여 위기에서 벗어났다. 프리아포스는 자신의 일을 방해한 당나귀에게 분노하여 거대한 남근으로 때려 죽였다. 이 이야기의 다른 판본에서는 로티스 대신 처녀 여신 헤스티아가 등장하는데, 그녀는 다른 올림포스 신들의 도움으로 나무로 변신하지 않고 위기에서 벗어난다.[15] 오비디우스는 이 일화를 통해 헤르메스의 후손들이 프리아포스를 숭배했던 헬레스폰트의 도시 람사쿠스에서 당나귀를 프리아포스에게 제물로 바치는 이유를 설명했다.[16]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디오니소스로부터 사람처럼 말하는 능력을 얻은 당나귀가 프리아포스에게 누가 더 큰 남근을 가졌는지 겨루자고 제안했다. 프리아포스가 이 대결에서 승리하자, 디오니소스는 패배한 당나귀를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17][18][19]
3. 숭배와 속성


프리아포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4세기 크세나르쿠스가 쓴 희극 ''프리아포스''이다. 원래 소아시아 람프사쿠스의 그리스 식민지 주민들이 숭배했던 풍요의 신으로, 그의 신앙은 알렉산더 대왕의 원정을 계기로 그리스 본토를 거쳐 기원전 3세기경 이탈리아까지 퍼져나갔다.[20][36]
프리아포스는 주로 과일과 거대한 음경을 속성으로 가진다. 그의 탄생 설화는 다양한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디오니소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라는 설이다. 다른 설로는 제우스 또는 아도니스와 아프로디테[36],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의 아들이라는 이야기도 있다.[37] 제우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라는 설에서는, 헤라의 질투로 인해 임신한 아프로디테의 배에 손을 대어 프리아포스가 거대한 음경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한다.[38] 어머니에게 버려진 후 양치기들에게 발견되어 길러졌으며[39], 디오니소스의 수행자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37]
루키아노스는 ''춤에 관하여''에서 비티니아에서는 프리아포스를 전쟁의 신으로 여겼으며, 어린 아레스에게 "먼저 춤을 가르치고, 그 다음에 전쟁을 가르쳤다"고 기록했다고 카를 케레니는 언급했다.[21] 아르노비우스 역시 헬레스폰토스 근처 지역에서 프리아포스가 중요하게 여겨졌음을 알고 있었다.[22] 파우사니아스는 람프사쿠스에서의 숭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염소와 양이 풀을 뜯거나 벌이 떼를 지어 있는 곳에서 이 신을 숭배한다. 그러나 람프사쿠스 사람들은 다른 어떤 신보다도 그를 더 존경하며, 그를 디오니소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라고 부른다.[23]
그리스로 전파된 후에는 포도원이나 정원의 수호신으로 여겨졌으며, 풍요로운 결실을 질투하는 자들의 사악한 시선을 막아준다고 믿어졌다.[36] 또한 양치기의 수호신[36], 뱃사람, 어부 등 행운이 필요한 사람들의 보호자로 여겨졌으며, 그의 존재 자체가 악마의 눈을 막는다고 믿어졌다.[25] 그의 신상은 종종 음경 그 자체의 형태로 만들어지기도 했다.[40] 소아시아의 "고향" 지역 밖에서 프리아포스는 도시 사람들에게는 다소 우스꽝스러운 존재로 여겨졌지만, 시골에서는 수호신으로서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리아포스는 체계적인 숭배 조직을 갖추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주로 정원이나 집에서 개인적으로 숭배되었다. 하지만 그에게 봉헌된 사원이 있었다는 증언도 있다. 제물로는 당나귀가 바쳐졌지만, 과일, 꽃, 채소, 생선 같은 농산물도 흔하게 바쳐졌다.[20]
후기 고대 시대에 그의 숭배는 노골적인 성적 숭배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되었다.[24] 고대 로마에서도 "프리아푸스"(Priapusla)라는 이름으로 숭배되었으나, 그의 이름은 종종 음경의 은유로 사용되거나 모욕적인 말로 쓰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칼리굴라 황제는 부하 카시우스 카에레아를 "프리아푸스"라고 부르며 모욕했다고 전해진다.
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기독교가 확산된 이후에도 프리아포스는 건강과 다산의 상징으로 계속 언급되었다. 13세기 라너코스트 연대기에는 소의 질병을 막기 위해 평신도 시토회 수사가 프리아포스 조각상(simulacrum Priapi statuerela)을 세웠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6] 1980년대에는 D. F. 캐시디가 남근 숭배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 교회인 성 프리아포스 교회를 설립하기도 했다.[27][28]
3. 1. 상인 항해의 수호신
프리아포스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상인 항해자들의 수호신으로서 보호자이자 항해 보조자 역할을 했다.[29] 최근 발견된 난파선 유물들은 당시 항해자들이 배에 액막이용으로 싣고 다녔던 물품들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토기로 만든 남근, 나무로 만든 프리아포스 조각상, 군용 램에서 나온 청동 칼집 등이 포함된다. 또한 위험한 항로나 선원들을 위한 특정 상륙 지역에는 나무로 만든 프리아포스 표지판이 세워지기도 했다. 이러한 증거들은 프리아포스의 역할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광범위했음을 시사한다.[29]오비디우스의 ''축제일''(Fasti|파스티la)에는 프리아포스가 요정 로티스와 베스타를 강간하려다 실패한 이야기가 나오며, 도시 환경에서는 다소 가볍게 다루어지기도 했지만[29], 그의 보호자적 성격은 고대에 남근에 부여되었던 중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남근은 다산과 정원 보호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29] 고대 그리스에서는 남근이 마치 동물처럼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남자의 생각이나 통제와는 별개로 움직인다고 여겨졌다.[31] 또한 남근은 여러 문화권에서 "소유와 영토 표시"의 의미와도 연관되었는데, 이는 프리아포스가 항해의 신으로서 맡은 역할과도 연결된다.[29]
4. 묘사

프리아포스의 가장 두드러진 상징적 특징은 그의 음경 지속 발기증(영구적으로 발기된 음경)이다. 이는 프리아포스 숭배가 발전하면서 기존의 남근 숭배 신들을 흡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는 주로 거대한 발기된 남근을 가진 기형의 난쟁이 같은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그의 조각상을 정원에 세우는 것이 흔했다. 아테네에서는 프리아포스를 종종 경계의 신인 헤르메스와 동일시하여, 날개 달린 헬멧과 샌들을 신고 거대한 남근을 가진 혼성적인 모습으로 그리기도 했다.[10]
프리아포스는 또한 오른손에 낫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는데, 이는 도둑을 위협하고 거세와 관련이 있는 도구로 여겨졌다.[32][33] 호라티우스는 그의 글 ''사티라이(Saturae)'' 1.8.1–7에서 프리아포스 조각상이 도둑과 새들을 쫓는 역할을 한다고 묘사했다.[34] 그는 프리아포스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 Olim truncus eram ficulnus, inutile lignum,||과거에 나는 무화과 나무의 줄기, 쓸모없는 나무 조각이었지.la
> cum faber, incertus scamnum faceretne Priapum,||목수가 벤치를 만들지, 프리아포스를 만들지 망설이다가la
> maluit esse deum. deus inde ego, furum aviumque||신을 만들기로 결정했지. 그래서 나는 신이 되었지, 도둑과 새들에게la
> maxima formido; nam fures dextra coercet||가장 큰 공포의 대상이 되었지. 나의 오른손은 도둑을 막아내고,la
> obscenoque ruber porrectus ab inguine palus;||내 음란한 사타구니에서 붉게 뻗어 나온 말뚝도 그러하지.la
> ast importunes volucres in vertice harundo||하지만 끈질긴 새들에게는 머리 위에 고정된 갈대가la
> terret fixa vetatque novis considere in hortis.||그들을 위협하고 새로운 정원에 앉는 것을 금하지.la
프리아포스 신전을 장식하기 위해 쓰인 것으로 보이는 다수의 에피그램이 ''프리아페이아''라는 작품집에 모아져 있다. 이 시들에서 프리아포스는 종종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는 도둑들에게 성적인 폭력을 가하겠다고 위협한다.[35]
> Percidere, puer, moneo; futuere, puella;||소년에게는, 내가 경고하건대, 강간을 당할 것이고, 소녀에게는, 관계를 가질 것이며;la
> barbatum furem tertia poena manet.||세 번째 벌은 수염 난 도둑을 기다린다.la
> Femina si furtum faciet mihi virve puerve,||만약 여자든, 남자든, 소년이든 나에게서 훔치면,la
> haec cunnum, caput hic praebeat, ille nates.||첫 번째는 그녀의 자궁을, 두 번째는 그의 머리를, 세 번째는 그의 엉덩이를 제공하라.la
> per medios ibit pueros mediasque puellas||나의 남근은 소년들과 소녀들 한가운데를 통과할 것이고,la
> mentula; barbatis non-nisi summa petet.||수염 난 남자들에게는 오직 정상만 노릴 것이다.la
로마 시대에 그려진 프리아포스의 그림도 여러 점 남아있다.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는 폼페이의 베티의 집에서 발견된 프레스코화로, 프리아포스가 자신의 거대한 남근과 동전이 가득 든 자루의 무게를 저울로 재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또한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굴된 고대 로마의 스낵 바 유적에서는 바 뒤편에 프리아포스 그림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는 고객들에게 행운을 가져다주는 상징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
프리아포스의 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디오니소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이지만, 님프가 어머니라는 설도 있다. 그 외에도 제우스 또는 아도니스와 아프로디테[36], 혹은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존재한다.[37] 제우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라는 설에서는, 제우스의 아내 헤라가 아프로디테의 임신을 질투하여 그녀의 배에 손을 대는 저주를 내렸고, 그 결과 프리아포스가 거대한 음경을 가진 모습으로 태어났다고 한다.[38] 어머니 아프로디테에게 버려진 후에는 양치기들에게 발견되어 길러졌으며[39], 디오니소스의 수행자 중 한 명이 되었다고도 한다.[37]
프리아포스의 속성으로는 과일과 거대한 음경이 꼽힌다.
4. 1. 의학 용어
음경 지속 발기증이라는 의학 용어는 프리아포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는 해당 신의 지속적으로 발기된 음경을 가리킨다.4. 2. 자연사
- 프리아풀리다(Priapulida)로 알려진 벌레 모양의 해양 굴착 동물군은 프리아포스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 숲 속의 곰보버섯인 ''개고리버섯''은 그 남근 모양 때문에 프리아포스의 로마식 이름 Mutunus Tutunus|무투누스 투투누스lat에서 이름을 따왔다.
참조
[1]
웹사이트
Priapus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2014-09-24
[2]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3]
문서
Scholia on Theocritus
[4]
서적
Gods of the Greeks
1951
[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
문서
An elaboration on a scholium on Apollonius of Rhodes' Argonautica
[7]
웹사이트
Priapus
http://www.cs.uky.ed[...]
Suda On Line
2014-08-10
[8]
서적
Fasti
[9]
서적
Who's Who in Classical Mythology
Routledge
2002
[10]
서적
Bloomsbury Dictionary of Myth
1996
[11]
웹사이트
Orphic Hymn to Protogonos (Theoi.com)
https://www.theoi.co[...]
[12]
웹사이트
Orphic Hymn to Dionysus (Theoi.com)
https://www.theoi.co[...]
[13]
서적
Orpheus and Greek Religion - A Study of the Orphic Movement
Princeton
[14]
서적
Fasti
[15]
서적
Fasti
https://www.poetryin[...]
[16]
서적
Fabulae
[17]
서적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18]
서적
Studies in Hellenistic Judaism
https://books.google[...]
Brill
1996
[19]
서적
Constellation Myths: With Aratus's 'Phaenome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0]
서적
Priap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1]
서적
Gods of the Greeks
1951
[22]
문서
Seven Books against the Heathen
http://www.intratext[...]
[23]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4]
서적
Classical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5]
문서
Priapus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26]
서적
Roman and European Mytholog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27]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Gale
1996
[28]
간행물
St. Priapus Church: The Organized Religion
The Advocate (LGBT magazine)
1983-09
[29]
논문
A terracotta phallus from Pisa Ship E: more evidence for the Priapus deity as protector of Greek and Roman navigato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autical Archaeology
2002
[30]
논문
Sexual Comedy in Ovid's Fasti: Sources and Motivation
Harvard Studies in Classical Philology
1983
[31]
논문
Riding the Phallus for Dionysus: Iconology, Ritual, and Gender-Role De/Construction
Phoenix
1997
[32]
서적
The History of Childhood
1976
[33]
서적
Homo Necans: The Anthropology of Ancient Greek Ritual and Myth
1983
[34]
문서
The Source for Priapus in Cowley’s Ode “To The Royal Society” (1667)
https://kclpure.kcl.[...]
2016
[35]
서적
Roman Homosexuality: Ideologies of Masculinity in Classical Antiqu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99
[36]
서적
高津 (1960)
[37]
서적
グラント&ヘイゼル (1988)
[38]
기타
Suidas s.v. Priapos
[39]
서적
ギリシア神話
[40]
서적
神の事典
[41]
기타
Scholia on Theocritus
[42]
서적
Gods of the Greeks
1951
[43]
서적
Priap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베티우스의 집]], 현관, 프리아포스가 저울에 [[음경]]을 올려놓고 있는 모습](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