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샤오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샤오퉁(1910–2005)은 중국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이며, 중국 민족 문제 연구에 기여했다. 옌칭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칭화 대학교에서 연구원 과정을 수료했으며,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에서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에게 사회인류학을 배우고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30년대 후반부터 중국 윈난 대학과 칭화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경력을 쌓았고, 1940년대에는 중국 민주 동맹에 가입하여 애국 운동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앙민족학원 부원장, 중국 사회 과학원 민족 연구소 부소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학 부흥에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향토 중국』, 『강촌 경제』 등이 있으며, 중화민족다원일체화구조론을 제시했다. 그는 국제 응용 인류학회 말리노프스키 상, 왕립 인류학 연구소 헉슬리 훈장 등을 수상했으며, 중국 농촌 경제 개발 연구 및 관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인류학자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중국의 인류학자 - 리지 (인류학자)
리 지는 중국과 대만의 고고학 및 인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학자로서, 안양 인근 인쉬에서 중국 최초의 현대 고고학적 발굴을 이끌며 갑골문 등 중요한 유물을 발견하여 상 왕조의 역사적 진정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 중국의 사회학자 - 우원짜오
우원짜오는 중국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로, 칭화대학교 졸업 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옌징대학교 사회학과 주임, 법학원 원장 등을 지냈고 중일 전쟁 이후 일본 정부 조사위원으로 활동, 중국 공산당 집권 후에는 "우파"로 지목되기도 했다. - 중국의 사회학자 - 판광단
판광단은 중국의 사회학자, 우생학자, 교육자, 심리학 연구자이자 민주적 정치인으로서, 우생학 사상 대중화에 기여하고 가족 구조와 인종 개선에 대한 견해를 밝혔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박해를 받았다가 사후 명예 회복되었다. - 옌징 대학 동문 - 빙신
빙신은 셰 완잉이라는 본명을 가진 중국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아동 문학에 대한 기여로 독자적인 스타일을 창시했고 타고르와 지브란의 작품을 중국에 소개했다. - 옌징 대학 동문 - 위안자류
위안자류는 중국 태생의 미국인 물리학자이자 교육자로, 중화민국 초대 총통 위안스카이의 손자이며 실험물리학자 우젠슝의 남편으로, 미국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 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고 대만의 싱크로트론 방사선 연구 센터 설립을 지원했다.
페이샤오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费孝通 (간체) |
로마자 표기 | Fèi Xiàotōng (병음) |
직업 | |
직업 | 인류학자, 사회학자 |
정치 경력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임기 시작: 1988년 4월 8일 임기 종료: 1998년 3월 16일 주석: 완리, 차오스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 임기 시작: 1983년 6월 17일 임기 종료: 1988년 4월 10일 주석: 덩잉차오 |
중국민주동맹 주석 | 임기 시작: 1987년 1월 임기 종료: 1996년 11월 전임: 추투난 후임: 딩시순 |
개인 정보 | |
출생 | 1910년 11월 2일, 청나라 장쑤성 쑤저우시 우장구 |
사망 | 2005년 4월 24일, 중국, 베이징 |
국적 | 중국 |
소속 정당 | 중국민주동맹 |
업적 | |
주요 업적 | 중국 사회학 및 인류학 연구 발전 기여 |
2. 초기 생애
费孝通중국어은 1910년 11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우장구에서 태어났다. 당시 중국은 정치적 혼란과 극심한 빈곤을 겪고 있었다. 그는 비교적 유복한 지식인 가문 출신이다. 아버지 费朴安|페이푸안중국어은 중국 고전을 공부하여 생원 시험에 합격했으며, 일본 유학 후 중학교를 설립한 교육자였다. 어머니 杨纫兰|양런란중국어은 기독교 신자로, 관리의 딸이자 당시 여성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페이샤오퉁이 다녔던 유치원을 직접 설립하기도 했다. 외삼촌 중에는 정치가 양첸리(홍콩 감독 양쉬안의 아버지), 건축가 양시리우(S. J. Young), 중국계 미국인 애니메이터 사이 영, 기업가 양시런 등이 있다.[2]
페이샤오퉁은 옌칭 대학교와 칭화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인류학을 공부한 뒤, 영국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LSE)에서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지도를 받아 1938년 런던 대학교에서 사회인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논문은 중국 농촌 사회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강촌경제』(Peasant Life in Chinaeng)로 출판되었다.
페이샤오퉁은 1933년 옌칭 대학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35년에는 칭화 대학 대학원에서 사회인류학 연구 과정을 수료했다. 1936년 영국으로 유학하여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LSE)에서 사회인류학을 공부했으며, 저명한 인류학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지도를 받았다. 1938년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강촌 경제』(Peasant Life in China영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어 중국 농촌 사회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1938년 박사 학위 취득 후 중국으로 돌아와 윈난 대학 사회학과에서 교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윈난 대학과 옌칭 대학이 공동으로 설립한 사회학 연구실의 책임자를 맡았다. 1940년에는 윈난 대학 사회학과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3. 학문적 경력
1938년 귀국 후 윈난 대학 교수를 시작으로 칭화 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앙민족학원 부원장, 중국 사회 과학원의 민족 연구소 부소장 및 사회학 연구소 소장,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 등을 역임하며 중국의 사회학 및 인류학 분야 재건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79년에는 중국 사회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학계를 이끌었다.
그는 학문적 업적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국제 응용 인류학회 말리노프스키상, 영국 왕립 인류학회 헉슬리 훈장 등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 베이징에서 향년 95세로 타계했다.
'''학력 및 주요 경력'''연도 내용 1933년 옌칭 대학교 졸업 (사회학 학사) 1935년 칭화 대학교 연구원 수료 (사회학인류학계) 1936년 영국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LSE)에서 사회인류학 수학 (지도교수: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1938년 영국 런던 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 (논문: 『강촌 경제』) 1938년 윈난 대학 사회학과 교수, 윈난 대학-옌칭 대학 공동 사회학 연구실 총괄 1940년 윈난 대학 사회학 교수 1945년 시난 연합 대학 교수, 칭화 대학 교수 및 부교무장 1951년 중앙 민족 방문단 중남 방문단 대리 단장 겸 광시 분단 단장 1952년 중앙민족학원 부원장, 중국 사회 과학원 철학 사회 과학부 위원 1957년 중앙민족학원 인류학 교수 1978년 중국 사회 과학원 민족 연구소 부소장 1979년 중국 사회학회 회장 1980년 중국 사회 과학원 사회학 연구소 소장 1982년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 중국 사회 과학원 사회학소 명예 소장 1985년 베이징 대학 사회학 연구소 소장
'''수상 내역'''연도 상 이름 수여 기관/장소 1980년 국제 응용 인류학회 말리노프스키상 미국 덴버 1981년 영국 왕립 인류학회 헉슬리 훈장 영국 런던 1982년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명예 원사 영국 런던 1988년 대영 백과사전 상 미국 뉴욕 1993년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학술 연구상) 일본 후쿠오카 1994년 막사이사이상 (지역사회 지도 부문) 필리핀
3. 1. 초기 연구 활동
페이샤오퉁은 중국 최고의 사회학 프로그램을 갖춘 베이핑의 선교 재단 옌칭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그는 이곳에서 시카고 대학교 사회학자 로버트 E. 파크의 한 학기 방문 강의를 통해 큰 영향을 받았다. 이후 인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인근 칭화 대학교로 진학하여 판광단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백계 러시아인 학자 S. M. 시로코고로프로부터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익혔다.
페이의 첫 현장 연구는 남쪽 광시 성의 험준한 산악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연구는 페이가 호랑이를 잡기 위해 설치된 덫에 걸려 다리를 심하게 다치고, 도움을 구하러 나섰던 그의 젊은 아내 王同惠|왕퉁후이중국어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중단되었다.[3]
3. 2. 기능주의 인류학
1936년부터 1938년까지 페이는 선구적인 인류학자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밑에서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말리노프스키와 A.R. 래드클리프-브라운(Alfred Reginald Radcliffe-Brown)에게서 페이는 공동체의 다양한 부분들이 기능적으로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구성원들이 문화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집중하는 법을 배웠다. 그는 기능주의적 접근법을 통합한 조사 방법을 고안했다.[1] 페이는 1938년에 중국 카이셴궁(開弦弓|카이셴궁중국어) 마을에서 이전에 수행한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했으며, 이를 '중국의 농촌 생활'(Peasant Life in China, 1939)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페이샤오퉁은 중국 사회 관계가 자기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친밀도가 점차 감소하는 개인적 관계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한다는 개념을 제시하며 인류학에 기여했다. 다만 그의 연구는 중국인의 행동 양식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역사적 차이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구자이자 교육자로서 페이는 일반적인 경향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었기에 이러한 단순화는 어느 정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물론 이것이 중국 사회와 문화 연구에 특정 편견을 더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당시 중요한 저서로 평가받는 '중국의 신사'(China's Gentry)는 페이가 직접 진행한 현장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편집되어 1953년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미국의 대학에서 중국 관련 강의의 필수 교재가 되기도 했다. '중국의 신사'가 미국에서 편집되고 출판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페이가 칭화대학교 재직 시절 시카고 대학교의 인류학자 로버트 레드필드와 그의 아내 마가렛 파크 레드필드와 맺었던 인연이 있었다.[1]
3. 3. 중국 사회 관계 연구
(이 외 『지나의 농민 생활』 이치키 료 역, 교재사 1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