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이샤오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샤오퉁(1910–2005)은 중국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이며, 중국 민족 문제 연구에 기여했다. 옌칭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칭화 대학교에서 연구원 과정을 수료했으며,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에서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에게 사회인류학을 배우고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30년대 후반부터 중국 윈난 대학과 칭화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경력을 쌓았고, 1940년대에는 중국 민주 동맹에 가입하여 애국 운동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앙민족학원 부원장, 중국 사회 과학원 민족 연구소 부소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학 부흥에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향토 중국』, 『강촌 경제』 등이 있으며, 중화민족다원일체화구조론을 제시했다. 그는 국제 응용 인류학회 말리노프스키 상, 왕립 인류학 연구소 헉슬리 훈장 등을 수상했으며, 중국 농촌 경제 개발 연구 및 관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인류학자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중국의 인류학자 - 리지 (인류학자)
    리 지는 중국과 대만의 고고학 및 인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학자로서, 안양 인근 인쉬에서 중국 최초의 현대 고고학적 발굴을 이끌며 갑골문 등 중요한 유물을 발견하여 상 왕조의 역사적 진정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 중국의 사회학자 - 우원짜오
    우원짜오는 중국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로, 칭화대학교 졸업 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옌징대학교 사회학과 주임, 법학원 원장 등을 지냈고 중일 전쟁 이후 일본 정부 조사위원으로 활동, 중국 공산당 집권 후에는 "우파"로 지목되기도 했다.
  • 중국의 사회학자 - 판광단
    판광단은 중국의 사회학자, 우생학자, 교육자, 심리학 연구자이자 민주적 정치인으로서, 우생학 사상 대중화에 기여하고 가족 구조와 인종 개선에 대한 견해를 밝혔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박해를 받았다가 사후 명예 회복되었다.
  • 옌징 대학 동문 - 빙신
    빙신은 셰 완잉이라는 본명을 가진 중국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아동 문학에 대한 기여로 독자적인 스타일을 창시했고 타고르와 지브란의 작품을 중국에 소개했다.
  • 옌징 대학 동문 - 위안자류
    위안자류는 중국 태생의 미국인 물리학자이자 교육자로, 중화민국 초대 총통 위안스카이의 손자이며 실험물리학자 우젠슝의 남편으로, 미국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 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고 대만의 싱크로트론 방사선 연구 센터 설립을 지원했다.
페이샤오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费孝通 (간체)
로마자 표기Fèi Xiàotōng (병음)
직업
직업인류학자, 사회학자
정치 경력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임기 시작: 1988년 4월 8일
임기 종료: 1998년 3월 16일
주석: 완리, 차오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임기 시작: 1983년 6월 17일
임기 종료: 1988년 4월 10일
주석: 덩잉차오
중국민주동맹 주석임기 시작: 1987년 1월
임기 종료: 1996년 11월
전임: 추투난
후임: 딩시순
개인 정보
출생1910년 11월 2일, 청나라 장쑤성 쑤저우시 우장구
사망2005년 4월 24일, 중국, 베이징
국적중국
소속 정당중국민주동맹
업적
주요 업적중국 사회학 및 인류학 연구 발전 기여

2. 초기 생애

费孝通중국어1910년 11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우장구에서 태어났다. 당시 중국은 정치적 혼란과 극심한 빈곤을 겪고 있었다. 그는 비교적 유복한 지식인 가문 출신이다. 아버지 费朴安|페이푸안중국어은 중국 고전을 공부하여 생원 시험에 합격했으며, 일본 유학 후 중학교를 설립한 교육자였다. 어머니 杨纫兰|양런란중국어은 기독교 신자로, 관리의 딸이자 당시 여성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페이샤오퉁이 다녔던 유치원을 직접 설립하기도 했다. 외삼촌 중에는 정치가 양첸리(홍콩 감독 양쉬안의 아버지), 건축가 양시리우(S. J. Young), 중국계 미국인 애니메이터 사이 영, 기업가 양시런 등이 있다.[2]

페이샤오퉁은 1933년 옌칭 대학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35년에는 칭화 대학 대학원에서 사회인류학 연구 과정을 수료했다. 1936년 영국으로 유학하여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LSE)에서 사회인류학을 공부했으며, 저명한 인류학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지도를 받았다. 1938년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강촌 경제』(Peasant Life in China영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어 중국 농촌 사회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1938년 박사 학위 취득 후 중국으로 돌아와 윈난 대학 사회학과에서 교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윈난 대학과 옌칭 대학이 공동으로 설립한 사회학 연구실의 책임자를 맡았다. 1940년에는 윈난 대학 사회학과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3. 학문적 경력

페이샤오퉁은 옌칭 대학교와 칭화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인류학을 공부한 뒤, 영국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LSE)에서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지도를 받아 1938년 런던 대학교에서 사회인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논문은 중국 농촌 사회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강촌경제』(Peasant Life in Chinaeng)로 출판되었다.

1938년 귀국 후 윈난 대학 교수를 시작으로 칭화 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앙민족학원 부원장, 중국 사회 과학원의 민족 연구소 부소장 및 사회학 연구소 소장,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 등을 역임하며 중국의 사회학 및 인류학 분야 재건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79년에는 중국 사회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학계를 이끌었다.

그는 학문적 업적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국제 응용 인류학회 말리노프스키상, 영국 왕립 인류학회 헉슬리 훈장 등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 베이징에서 향년 95세로 타계했다.

'''학력 및 주요 경력'''

연도내용
1933년옌칭 대학교 졸업 (사회학 학사)
1935년칭화 대학교 연구원 수료 (사회학인류학계)
1936년영국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LSE)에서 사회인류학 수학 (지도교수: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1938년영국 런던 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 (논문: 『강촌 경제』)
1938년윈난 대학 사회학과 교수, 윈난 대학-옌칭 대학 공동 사회학 연구실 총괄
1940년윈난 대학 사회학 교수
1945년시난 연합 대학 교수, 칭화 대학 교수 및 부교무장
1951년중앙 민족 방문단 중남 방문단 대리 단장 겸 광시 분단 단장
1952년중앙민족학원 부원장, 중국 사회 과학원 철학 사회 과학부 위원
1957년중앙민족학원 인류학 교수
1978년중국 사회 과학원 민족 연구소 부소장
1979년중국 사회학회 회장
1980년중국 사회 과학원 사회학 연구소 소장
1982년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 중국 사회 과학원 사회학소 명예 소장
1985년베이징 대학 사회학 연구소 소장



'''수상 내역'''

연도상 이름수여 기관/장소
1980년국제 응용 인류학회 말리노프스키상미국 덴버
1981년영국 왕립 인류학회 헉슬리 훈장영국 런던
1982년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명예 원사영국 런던
1988년대영 백과사전 상미국 뉴욕
1993년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학술 연구상)일본 후쿠오카
1994년막사이사이상 (지역사회 지도 부문)필리핀


3. 1. 초기 연구 활동

옌칭 대학교 시절의 페이샤오퉁


페이샤오퉁은 중국 최고의 사회학 프로그램을 갖춘 베이핑의 선교 재단 옌칭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그는 이곳에서 시카고 대학교 사회학자 로버트 E. 파크의 한 학기 방문 강의를 통해 큰 영향을 받았다. 이후 인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인근 칭화 대학교로 진학하여 판광단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백계 러시아인 학자 S. M. 시로코고로프로부터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익혔다.

페이의 첫 현장 연구는 남쪽 광시 성의 험준한 산악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연구는 페이가 호랑이를 잡기 위해 설치된 덫에 걸려 다리를 심하게 다치고, 도움을 구하러 나섰던 그의 젊은 아내 王同惠|왕퉁후이중국어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중단되었다.[3]

3. 2. 기능주의 인류학

1936년부터 1938년까지 페이는 선구적인 인류학자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밑에서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말리노프스키와 A.R. 래드클리프-브라운(Alfred Reginald Radcliffe-Brown)에게서 페이는 공동체의 다양한 부분들이 기능적으로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구성원들이 문화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집중하는 법을 배웠다. 그는 기능주의적 접근법을 통합한 조사 방법을 고안했다.[1] 페이는 1938년에 중국 카이셴궁(開弦弓|카이셴궁중국어) 마을에서 이전에 수행한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했으며, 이를 '중국의 농촌 생활'(Peasant Life in China, 1939)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페이샤오퉁은 중국 사회 관계가 자기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친밀도가 점차 감소하는 개인적 관계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한다는 개념을 제시하며 인류학에 기여했다. 다만 그의 연구는 중국인의 행동 양식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역사적 차이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구자이자 교육자로서 페이는 일반적인 경향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었기에 이러한 단순화는 어느 정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물론 이것이 중국 사회와 문화 연구에 특정 편견을 더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당시 중요한 저서로 평가받는 '중국의 신사'(China's Gentry)는 페이가 직접 진행한 현장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편집되어 1953년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미국의 대학에서 중국 관련 강의의 필수 교재가 되기도 했다. '중국의 신사'가 미국에서 편집되고 출판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페이가 칭화대학교 재직 시절 시카고 대학교의 인류학자 로버트 레드필드와 그의 아내 마가렛 파크 레드필드와 맺었던 인연이 있었다.[1]

3. 3. 중국 사회 관계 연구

(이 외 『지나의 농민 생활』 이치키 료 역, 교재사 1939)


4.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활동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페이샤오퉁은 새로운 국가 건설 과정에 참여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1951년에는 중앙 민족 방문단의 부단장 격으로 활동했으며[1], 1952년에는 중앙민족학원 부원장과 중국 사회 과학원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반우파 운동이 시작되면서 사회학이 비판받고 폐지되자, 페이샤오퉁 역시 정치적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 이어진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더욱 극심한 고초를 겪으며 학문 활동이 완전히 중단되었다.[4][5]

문화 대혁명 이후 1970년대 말에 복권되면서 페이샤오퉁은 중국 사회학인류학의 재건을 이끄는 핵심적인 역할을 다시 맡게 되었다. 1978년 중국 사회 과학원 민족 연구소 부소장을 시작으로, 1979년에는 중국 사회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고, 1980년에는 중국 사회 과학원 사회학 연구소 소장(1982년부터 명예 소장)을 역임했다. 또한 1982년부터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로 강단에 섰으며, 1985년에는 동 대학 사회학 연구소 소장을 맡았다.

이 시기 그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활발히 활동했다. 1980년 미국 덴버에서 국제 응용 인류학회로부터 말리노프스키상을 받았고, 1981년 런던에서는 영국 왕립 인류학회로부터 헉슬리 훈장을 수상했다. 1988년에는 중화민족다원일체격국(中華民族的多元一體格局|중화민족적다원일체격국zho) 이론을 발표하여 중국의 민족 문제에 대한 중요한 학문적 기여를 했다.[6] 이후 1993년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1994년 막사이사이상 등 다수의 국제적인 상을 수상하며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2005년 베이징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그는 중국 사회과학 발전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4. 1. 1950년대와 1960년대: 정치적 격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페이샤오퉁은 국가의 지식인 사회와 이념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점차 정치적 직책도 늘어났다. 1951년에는 베이징의 중앙민족학원(현재 중국민족대학교) 부원장이 되었고, 1954년에는 민족사무위원회 위원 자격으로 제1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 참석했다.[1]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회학은 "부르주아 가짜 과학"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페이샤오퉁은 더 이상 강의를 할 수 없었고, 출판 활동도 크게 줄어들었다. 1956년부터 1957년까지 이어진 백화 제방 운동 시기에 잠시 자유로운 분위기가 조성되자, 그는 조심스럽게 사회학의 부활 필요성을 제기하며 다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반우파 운동이 시작되면서 정치적 분위기는 급격히 경색되었다. 1957년, 페이샤오퉁은 여러 집회에 끌려 나가 "인민에 대한 죄"를 고백하도록 강요받았다.[4] 동료 학자들이 쓴 글을 포함하여 수백 편의 글이 그를 비난했으며, 일부는 악의적으로 사실을 왜곡하기도 했다.[5]

결국 페이샤오퉁은 이단자로 낙인찍혀 온갖 굴욕과 고립을 겪어야 했으며, 강의, 연구, 출판 활동이 모두 금지되었다. 그는 훗날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어야 할 23년이라는 시간이 속절없이 흘러가 낭비되었다고 회고했다. 특히 문화 대혁명이 절정에 달했을 때는 홍위병에게 신체적 폭력을 당하고 화장실 청소를 강요받는 등 극심한 고초를 겪으며 자살까지 생각하기도 했다.[4]

4. 2. 1970년대와 1980년대: 사회학의 부흥

1970년대에 국제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페이샤오퉁은 외국 방문객들을 맞이하기 시작했고, 마오쩌둥 사망 후에는 중국 사회학 부흥을 이끌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는 다시 미국을 방문했으며, 이후 미국의 사회과학자들이 중국을 방문하여 새로운 중국 사회학자들을 양성하는 과제를 돕도록 주선했다. 1980년, 그는 공식적으로 복권되었으며, 사인방문화대혁명의 책임이 있는 인물들에 대한 텔레비전 재판의 심판관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페이샤오퉁과 모리스 블로크 교수, 1986년


복권 이후 그의 삶은 중요한 정치적 직책을 맡고 정책 입안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공공 지식인으로서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특히 1980년대에 농촌 산업을 정부가 육성하도록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중국 전역 수억 명 농촌 주민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90년대에는 그의 이름이 언론에 자주 오르내렸고 텔레비전에도 자주 등장했다. 그는 중국 전역을 여행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호주 등 해외 여러 나라를 방문했다. 이 시기 응용인류학회의 맬리노우스키 상, 왕립 인류학 연구소의 헉슬리 기념 메달, 홍콩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등 다수의 국제적인 상과 명예 학위를 받았다. 또한 30년간 금지되었던 중국 내 사회학과 인류학의 재건을 추진하고 이끌며, 학자 양성과 교육 자료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페이샤오퉁은 중국 역사 속의 민족 집단에 대한 이론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루이스 헨리 모건의 단계적 발전 진화론의 영향을 받았다. 대표적으로 1988년 홍콩에서 열린 그의 테너 강연 "중화 민족의 구성에서의 다원성과 통일성"(中華民族的多元一體格局|중화민족적다원일체격국중국어)이 있다. 이 강연에서 페이는 화하족이 진나라 시대에 이르러 진정한 민족 집단인 한족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한족은 안정적인 농업 사회를 기반으로 강족과 같은 중국 북부 변경 지역의 유목 민족들을 끌어들이고 동화시키는 "구심력을 가진 핵"이 되었다고 주장했다.[6]

4. 3. 중화민족다원일체화구조론

1988년, "중화민족 다양일체화 구조(中华民族多元一体格局zho)"를 발표했다. 이는 중국에 거주하는 여러 민족은 수천 년의 역사를 거쳐 형성된 일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7], 현재 중국 민족 정책의 기본 노선을 이룬다고 여겨진다.[8]

4. 4. 1990년대와 2000년대: 회고와 신중함

1980년대 이후 페이샤오퉁은 '제2의 인생'을 맞이하며 작가로서 왕성하게 활동했다. 이 시기 그의 과거 저작들이 거의 모두 재출간되었고, 새로운 책과 기사도 다수 발표했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출간된 15권 분량의 "저작집"은 절반 이상이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쓴 새로운 글들로 채워졌다.

그의 저술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중국의 근대화 성공을 위해 사회학인류학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으며, 자신의 농촌 현장 연구 경험과 스승들에 대한 회고를 남겼다. 농촌 산업화, 소도시 문제, 소수 민족, 개발 중인 변경 지역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했다. 또한 지식인들의 역할을 옹호하고, 해외 여행 경험을 공유했으며, 영어 서적을 번역하기도 했다. 시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시기 저작들에서는 이전과 다른 '정치적 신중함'이 두드러졌다. 과거 정치적 탄압을 경험했던 페이샤오퉁은 남은 생애 동안 학문 활동에 집중하며 더 이상 정치적 논란에 휘말리지 않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05년 4월 24일 베이징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망 당시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였으며, 1980년대부터 그가 가르치고 지도했던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에는 그의 추모비가 세워졌다.

5. 주요 업적 및 수상

페이샤오퉁은 중국 사회학과 인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국제적으로도 그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그의 연구, 특히 농촌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은 후대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 / 명예 직위수여 기관/장소비고
1980년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상국제 응용 인류학 협회 (미국 덴버)협회 회원으로도 등재됨
1981년헉슬리 기념 메달 (훈장)대영 및 아일랜드 왕립 인류학 연구소 (영국 런던)
1982년명예 원사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영국 런던)
1988년대영 백과사전 상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미국 뉴욕)
1993년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후쿠오카시 (일본)원문 출처에는 미국 및 아시아 문화상으로도 표기됨
1994년라몬 막사이사이상 (커뮤니티 리더십 부문)라몬 막사이사이상 재단 (필리핀)



또한 홍콩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마카오 대학교에서 명예 사회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저서 중 『향토 중국』과 『강촌 경제』(Peasant Life in Chinaeng)는 중국의 경제,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외에도 다수의 중요한 저작을 남겼으며, 이는 『페이샤오퉁 문집』 등에 수록되어 있다.

6. 정치 경력

페이샤오퉁은 중국 농촌 경제 개발 연구 및 관리에 상당한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사망 전까지 여러 정치 직책을 맡았다. 이 직책들은 대부분 명예직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를 "정치적으로 활동적"이라고 평가했다.

주요 정치 경력은 다음과 같다.

직책내용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제6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제7, 8기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 기본법 초안위원회 부주석
중국민주동맹 중앙위원회 명예 주석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통일전선의 일원인 소수 정당
국무원 전문가국 부국장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부주임
민주동맹 중앙위원회 주석



또한, 1945년에는 중국 민주 동맹에 참가하여 애국 운동에 투신했으며, 1951년에는 중앙 민족 방문단 중남 방문단 대리 단장 겸 광시 분단 단장으로 활동했다.

7. 사망

2005년 4월 24일 베이징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망 당시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 교수였으며, 1980년대부터 그가 가르치고 지도했던 베이징 대학 사회학과에는 추모비가 세워졌다.

8. 저서

저서는 다수 있으며, 특히 『향토 중국』과 『강촌 경제』(''Peasant Life in China'')는 중국 경제 사회 및 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필독서로 꼽힌다. 다른 주요 저작들은 『페이샤오퉁 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 주요 저서 ===

연도원제 (영어/중국어)번역 제목 / 설명
1939년Peasant Life in China: A Field Study of Country Life in the Yangtze Valley강촌 경제 (번역 제목).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서문. 런던: G. 라우트리지 & 뉴욕: 더튼. 일본어 번역본 등 다수 재판됨.
1943년녹촌 농전
1945년Earthbound China: A Study of Rural Economy in Yunnan페이샤오퉁과 장즈이 공저.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45년'Chinas Gentry: Essays on Rural-Urban Relations''중국 신사.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53년 출판).
1946년內地的農村|네이디 더 농춘zho내지 농촌. 상하이: 셩후오.
1947년生育制度|성위 즈두zho생육 제도. 상하이: 상우.
1948년鄉土中國|샹투 중궈zho향토 중국. 상하이: 관차. (From the Soil: The Foundations of Chinese Society,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92년 영역)
1948년鄉土重建|샹투 충젠zho향토 재건. 상하이: 관차.
1981년Toward a Peoples Anthropology
1983년Chinese Village Close-up
1983년사회학에 종사한 50년
1985년소성진 사기
1985년페이샤오퉁 사회학 논문집
1985년페이샤오퉁 사회학 문집
1986년Small Towns in China: Functions, Problems & Prospects페이샤오퉁 외 공저. 베이징: 신세계 출판사.
1986년소성진 기타 기록
1987년변구 개발과 사회 조사
1988년페이샤오퉁 민족 연구 문집
1989년行行重行行|싱싱 충 싱싱zho행행중행행. 닝샤 인민 출판사 (1992년 출판).
1999년费孝通文集|페이샤오퉁 원지zho페이샤오퉁 문집 (전 15권). 베이징: 춘옌 출판사.



=== 일본어 번역 ===

연도원제번역자출판 정보
1939년지나의 농민 생활 : 양자강 유역에 있어서의 전원 생활의 실태 조사셈바 야스오, 시오야 야스오생활사 소 14 (Peasant Life in China 완역)
1939년지나의 농민 생활이치키 료교재사
1985년생육 제도 중국의 가족과 사회요코야마 히로코도쿄 대학 출판회
1985년중국 농촌의 세밀화 어느 마을의 기록고지마 신지 외겐분 출판·겐분 선서
1988년강남 농촌의 공업화 "소성진" 건설의 기록오오사토 히로아키·나미키 요시히사겐분 출판·겐분 선서
2019년향토 중국니시자와 하루히코풍향사 아시아 북스
2021년향토 중국·향토 재건제갈위동도쿄 대학 출판회
2021년페이샤오퉁 학술 논집 술회와 재고량하이옌·장칭·천쉐·장저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Republica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同里骄杨 (in Chinese) http://www.wujiangto[...]
[3] 웹사이트 “人天无据,灵会难期”:费孝通与王同惠 http://vip.book.sina[...] Sina 2009-03-31
[4] 문서 citation?
[5] 문서 by whom?
[6] 서적 Muslim Chinese: Ethnic Nationalism in the people's Republic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7] 뉴스 【キーワードで読む沸騰中国】ウイグルも「中華民族」? https://web.archive.[...] 2014-05-06
[8] 웹사이트 中国の民族理論とその政策的実践の文化人類学的検証 http://www.cneas.toh[...] 東北大学東北アジア研究センター 2014-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