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평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평론은 예술 작품에 대한 가치 평가를 의미하며, 그리스어 '나눈다'에서 유래했다. 객관적 비평과 주관적 비평으로 크게 나뉘며, 객관적 비평에는 재단 비평과 귀납적 비평이, 주관적 비평에는 인상 비평과 감상 비평 등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바탕으로 한 재단적 객관 비평이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19세기에는 텐의 과학적 비평이 등장했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인상 비평이 나타났고, 이는 아널드의 감상 비평으로 이어졌다. 현대에는 뉴 크리티시즘과 역사 비평, 비판이론, 비판적 법학, 포스트모더니즘 등 다양한 비평 사조가 존재한다. H. L. 멘켄은 비평이 정통성에 치우쳐 판단하는 경향을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평 - 평론가
    평론가는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를 분석하고 가치 판단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으로, 온라인 평론 활성화 시대에 질적,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비평 - 이 만화가 대단하다!
    《이 만화가 대단하다!》는 타카라지마사에서 발행하는 만화 가이드북 시리즈로, 다양한 분야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순위를 결정하고 작품 리뷰, 만화가 인터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8년에는 TV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평론
기본 정보
정의어떤 것의 장점과 단점을 판단하는 행위
관련 개념비판적 사고
유형건설적 비판
긍정적 비판
부정적 비판
피드백과의 관계
피드백 개입 효과피드백 개입이 반드시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 수 있음
학습자의 참여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함
학습 환경피드백은 학습 환경에 영향을 미침
교사의 믿음교사의 피드백에 대한 믿음이 학습에 영향을 미침
감정적 측면
비판과 감정비판은 긍정적 및 부정적 감정과 관련됨
어원
어원"kritikos" (판단하다, 식별하다)에서 유래
유래중세 프랑스어: "critique"
라틴어: "criticus"
그리스어: "kritikos"
기타
문화어론평
영어Review
벽돌 던지기 (비판의 은유)벽돌을 던지다

2. 비평의 종류

비평은 크게 객관적 비평과 주관적 비평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재단비평과 귀납적 비평, 인상비평과 감상비평 등을 포함한다.[18]

최근에는 예술가의 의도와 표현 기교에 중점을 두는 미국의 뉴크리티시즘과 정치·사회적인 역사비평이 성행하고 있다.[18]

이 외에도 권력 구조를 비판하는 비판이론,[13] 정치적 논증과 법적 논증의 구분을 비판하는 비판적 법학,[14] 법치주의 및 삼권 분립을 비판하는 비판적 법학[15], 합리론과 객관적 실재를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16] 등이 있다.

기자이자 작가인 H. L. 멘켄은 "비평이란 설교학의 한 갈래에 불과하다. 그들은 예술 작품을 명료성과 진실성으로, 사상의 힘과 매력으로, 예술가의 기술적 기교로, 그의 독창성과 예술적 용기로 판단하지 않고, 단순하고 오로지 그의 정통성으로만 판단한다."고 주장했다.[17]

2. 1. 객관적 비평

비평은 본래 그리스어의 '나눈다'에서 유래하며, 예술 감상자가 작가에 대해서 내리는 가치 평가를 말한다. 크게 나누면 객관적 비평과 주관적 비평이 있으며, 객관적 비평에는 재단 비평과 귀납적 비평이 있다.[18]
재단 비평아리스토텔레스의 Περὶ ποιητικῆς|페리 포이에티케스grc(시학)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 비평으로, 정해진 규칙과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이다.[18]
귀납적 비평은 19세기에 이폴리트 텐이 과학 발전을 바탕으로 주장한 과학적 비평으로, 인종, 환경, 시대를 3원칙으로 한다.[18]

2. 2. 주관적 비평

비평은 본래 그리스어의 '나눈다'에서 유래하며, 예술 감상자가 작가에 대해서 내리는 가치 평가를 말한다. 주관적 비평에는 인상비평과 감상비평 등이 있다.[18]

인상비평은 19세기 후반부터 프랑스에서 일어난 비평 방식으로, 순수한 직감과 인상에 비평의 기준을 둔다. 아나톨 프랑스, 르메트르, 생트 뵈브가 대표적이다.

감상비평은 작가의 창작 체험을 추체험(追體驗)하려고 하는 아널드의 비평 방식이다.[18]

3. 현대 비평

19세기 후반부터 프랑스에서는 순수한 직감(直感)과 인상(印象)에 비평의 기준을 두는 인상비평이 아나톨 프랑스, 쥘 르메트르를 거쳐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는 다시 작가의 창작 체험을 추체험(追體驗)하려는 매슈 아널드의 감상비평을 낳았다.[18]

최근에는 예술가의 의도와 표현 기교에 중점을 두는 미국의 뉴 크리티시즘과 정치·사회적인 역사 비평이 성행하고 있다.[18] 비판이론은 권력 구조를 비판한다.[13] 비판적 법학은 정치적 논증과 법적 논증의 구분(Personal is political|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영어)[14], 법치주의 및 삼권 분립을 비판한다.[15] 포스트모더니즘합리론과 객관적 실재를 비판한다.[16]

4. 비평에 대한 비판

기자이자 작가인 H. L. 멘켄은 "비평이란 설교학의 한 갈래에 불과하다. 그들은 예술 작품을 명료성과 진실성으로, 사상의 힘과 매력으로, 예술가의 기술적 기교로, 그의 독창성과 예술적 용기로 판단하지 않고, 단순하고 오로지 그의 정통성으로만 판단한다."고 주장했다.[17]

5. 한국 사회와 비평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비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정치, 사회, 문화적 이슈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비판이론은 권력 구조를 비판한다.[13] 비판적 법학은 정치적 논증과 법적 논증의 구분(Personal is political|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영어)[14], 법치주의 및 삼권 분립을 비판한다.[15] 포스트모더니즘합리론과 객관적 실재를 비판한다.[16] 언론, 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비평 활동에 참여하며, 사회적 공론장을 형성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riticism https://dictionary.c[...] Cambridge Dictionary
[2] 웹사이트 Criticism https://www.oxfordre[...] Oxford Dictionary
[3] 논문 Deconstructing constructive criticism: The nature of academic emotions associated with constructive,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http://dx.doi.org/10[...] 2016-07-00
[4] 논문 Supporting Learners' Agentic Engagement With Feedback: A Systematic Review and a Taxonomy of Recipience Processes https://doi.org/10.1[...] 2017-01-02
[5] 논문 Focus on Formative Feedback https://journals.sag[...] 2008-03-01
[6] 논문 The effects of feedback interventions on performance: A historical review, a meta-analysis, and a preliminary feedback intervention theory. http://dx.doi.org/10[...] 1996-03-00
[7] 서적 The Power of Feedback http://dx.doi.org/10[...] 2014-06-27
[8] 논문 Teacher beliefs about feedback within an assessment for learning environment: Endorsement of improved learning over student well-being http://dx.doi.org/10[...] 2012-10-00
[9] 서적 Postmodern criticism: postmodern critique https://books.google[...] David Wood 1990
[10] 웹사이트 Shashi Tharoor's Word Of The Week: Brickbat https://www.hindusta[...] 2021-04-16
[11] 웹사이트 brickbat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22-02-10
[12] 웹사이트 Common Errors in English Usage: criticism https://brians.wsu.e[...] 2016-05-31
[13] 웹사이트 Critical theory https://www.britanni[...] 2022-11-28
[14] 논문 Taking rights cynically: a review of critical legal studies https://doi.org/10.1[...] 1989
[15] 논문 The rule of law and the critical legal studies movement https://heinonline.o[...] 1986
[16] 서적 Adult Education and the Postmodern Challen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Routledge 2004
[17] 웹사이트 Criticism of Criticism of Criticism http://bactra.org/Me[...] 2022-10-25
[18] 웹사이트 비평 https://ko.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