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르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된 항구로, 현재 이탈리아의 피우미치노시에 위치해 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에 건설되어,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 육각형 내륙항이 추가되었다. 포르투스는 오스티아 항구의 역할을 대체하며 로마로 유입되는 다양한 상품의 수로 역할을 했다. 중세 시대에는 테베레 강 어귀의 퇴적으로 인해 쇠퇴했지만, 오스티아와 함께 주교구로 유지되었다.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있으며, 피우미치노 공항 및 근교 철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치오주의 유적 - 알바 롱가
    알바 롱가는 고대 이탈리아의 도시로, 로마 신화에 따르면 아스카니우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건국 이전 라틴족의 중심 도시였으나 로마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앙과 베스타 신앙의 중심지였다.
  • 라치오주의 유적 - 오스티아 안티카
    오스티아 안티카는 고대 로마의 항구 도시 유적으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곡물 물류 중심지로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상업 도시로 번성했으나 항구 기능이 약화되며 쇠퇴하여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발굴되어 당시의 건축물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 1세기 설립 - 티베리아스
    티베리아스는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 호수 서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유대교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갈릴리 지역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 1세기 설립 - 호호캄
    호호캄은 기원후 1년부터 15세기 중반까지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 중남부 지역에서 광범위한 관개 시설 농업과 독특한 도기 제작 기술을 가진 문화를 이루었으나, 14세기 중반 이후 쇠퇴하여 오오담 족의 선조가 되었다.
포르투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포르투스
로마자 표기Portus
위치라치오주
유형취락, 항구
시대로마 공화정
로마 제국
문화고대 로마
발굴
고고학자귀도 칼자
시몬 케이
대중 접근
이미지 정보
테베레강의 하구, 육각형 모양의 포르투스 항구 (현재
테베레강의 하구, 육각형 모양의 포르투스 항구 (현재 "라고 트라이아노").

2. 역사

클라우디우스의 최초 항구와 트라야누스 시대 육각형 내항


고대 로마의 본래 항구는 오스티아였다. 클라우디우스는 오스티아 북쪽 4km 지점에 있는 포르투스 지역에 최초 항구를 건설하였다. 이 항구는 바다 쪽으로 돌출된 곡선 모양의 방파제 두 개와, 방파제 사이 중심에 등대를 갖춘 인공섬 등으로 구성되었다. 항구는 북서쪽으로 바다와 바로 연결되었고, 남동쪽 수로를 통해서는 테베레강과 연결되었다.

이 시설의 목적은 테베레강 하류에서 자주 발생하는 남서풍을 막는 데 있었다. 타키투스는 62년에 강풍으로 항구 안에서 수많은 곡물선이 가라앉았다고 언급했다. 네로는 항구에 ‘포르투스 아우구스티’라는 이름을 붙였다.[8]

트라야누스는 103년에 육각형 모양의 내륙항을 추가로 건설하였다. 이 항은 운하를 통해 클라우디우스 항구, 테베레강, 바다와 직접 연결되었다. 새 운하는 ‘포사 트라야나’(Fossa trajana)라고 불렸지만, 운하의 기원은 클라우디우스에게서 비롯되었다. 육각형 내항은 현재까지 남아있으며, 지금은 갈대가 많은 석호이다. 내륙항은 거대한 창고들로 둘러싸여 있었다.[9]

포르투스는 500년 이상 고대 로마의 주요 항구였고, 유리, 도자기, 대리석, 노예 등 아프리카에서 잡혀 콜로세움 경기에 사용된 야생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품의 수입 통로였다.[9] 특히 노예 무역은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2010년에는 포르투스에 ‘로마인들이 지은 가장 큰 운하 중 하나’가 건설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운하는 카르타고알렉산드리아만큼 중요했던 고대 항구 포르투스와 오스티아를 연결했다. 서기 2세기 말부터 5세기와 6세기까지 약 400년간, 폭 90m의 운하가 제국 전역에서 로마로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9]

이러한 시설들 덕분에 포르투스는 로마 항구 운행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포르투스가 오스티아에 이어 주교구가 되었고, 고트 전쟁 시기에는 유일한 항구가 되었다.

포르투스가 버려진 것은 중세시대에 테베레강 오른쪽 어귀가 부분적으로 침적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운송량이 적었던 오스티아가 다시 활성화되었다.

2. 1. 클라우디우스 시기

네로의 세스테르티우스(64년경): 클라우디우스 항구의 배들. 위쪽은 등대, 아래쪽은 테베레강의 돌고래.


고대 로마의 최초 항구는 티베르 강 어귀 티레니아 해에 있는 오스티아였다.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오스티아 북쪽 포르투스(Portus) 지역에 새 항구를 건설했다. 바다로 돌출된 두 개의 긴 곡선형 방파제와 중앙의 인공섬, 등대로 구성되었다. 등대 기초는 칼리굴라오벨리스크를 칼리굴라 서커스의 스피나 장식을 위해 이집트에서 운반할 때 쓴 거대한 오벨리스크 운반선을 채워 만들었다. 항구는 북서쪽으로 바다에 열려 있었고, 남동쪽 수로로 티베르 강과 연결되었다.

주 목적은 강 하류에서 오는 남서풍을 막는 것이었다. 클라우디우스는 기원후 46년 비문에서 로마를 홍수 위험에서 해방시켰다고 주장했지만, 부분적 성공에 그쳤다. 기원후 62년 타키투스는 폭풍우로 많은 곡물 선박이 항구 내에서 침몰했다고 기록했다. 네로는 항구에 "포르투스 아우구스티(Portus Augusti)"라는 이름을 붙였다.[8]

로마에서 포르투스로 가는 새 직선 도로 ''포르투엔시스 가도(Via Portuensis)''는 클라우디우스가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폰테 갈레리아(Ponte Galeria)까지 언덕을 지나 평야를 가로질러 직선으로 뻗어 있었다. 더 오래된 ''캄파나 가도(Via Campana)''는 언덕 기슭을 따라 티베르 강 오른쪽 제방을 따라 이어졌다.

2. 2. 트라야누스 시기

트라야누스 황제는 103년에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건설한 항구 안쪽에 39헥타르 규모의 육각형 모양 항구를 새로 건설했다. 이 항구는 운하를 통해 클라우디우스 항구, 테베레강, 바다와 직접 연결되었다. '포사 트라야나'(Fossa trajana)라고 불린 이 운하는, 사실 클라우디우스 황제 때부터 만들어진 것을 트라야누스 황제가 재정비한 것이다.

새로운 육각형 항구는 현재 갈대가 무성한 석호로 남아있으며, 주변에는 거대한 창고들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 창고들은 뛰어난 벽돌 설치 기술을 보여주며, 당시 포르투스가 로마 제국의 중요한 물류 중심지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포르투스는 500년 이상 고대 로마의 주요 항구로서, 유리, 도자기, 대리석 등 다양한 상품의 수입 통로 역할을 했다.[9] 특히, 아프리카에서 잡혀온 야생 동물들은 콜로세움의 경기ளுக்காக 로마로 보내졌으며, 이 과정에서 노예 무역도 이루어졌다는 점은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9]

2010년에는 포르투스와 오스티아를 연결하는 거대한 운하가 발견되면서, 포르투스가 카르타고알렉산드리아에 버금가는 중요한 항구였음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이 운하는 서기 2세기 말부터 5, 6세기까지 약 400년간 제국 전역에서 로마로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9]

2. 3. 오스티아에 미친 영향

이 시설물들 덕분에 포르투스는 로마의 항구 운행에 대한 주요한 몫을 점유했으며, 오스티아의 중요성이 바로 떨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포르투스가 오스티아에 이어 주교구가 되었고, 고트 전쟁 시기에는 유일한 항구가 되었다.

포르투스가 버려진 것은 중세시대에 테베레강 오른쪽 어귀의 부분적 침적 때문이었으며, 이로 인해 얼마 남지 않은 운송량이 오스티아로 돌아갔다. 항구 서쪽에는 '성 루피나' 대성당'(10세기 건물이지만, 종탑 부분을 제외하고는 현대화되었다)과 중세 때 요새화되었고 다수의 고대 문서들을 담고 있는 주교궁이 있다. 바로 반대편 섬(이솔라 사크라)에는 로마 건물 터에 지어졌고 고풍스러운 중세의 종탑 (13세기?)이 있는 산 이폴리토 교회와 이솔라 사크라 네크로폴리스가 있다. 서쪽으로 3.2km 지점에는 테베레강 오른쪽 어귀 하구에 있는 피우미치노가 있으며, 피우미치노는 로마에서 기차로 서-남서쪽 34km 거리에 있다. 북쪽으로 5km 거리에 양수장이 있으며, 양수장과 마카레세 사이의 저지대는 개척되었다(Bonifica di Maccaresse).

3. 중세 및 현대 도시

포르투스가 버려진 것은 중세시대에 테베레강 오른쪽 어귀가 부분적으로 침적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오스티아가 다시 회복되었다. 항구 서쪽에는 '성 루피나 대성당'이 있는데, 10세기에 지어졌으나 종탑 부분을 제외하고는 현대화되었다. 중세 때 요새화되었고 다수의 고대 문서들을 담고 있는 주교궁도 있다. 바로 반대편 섬(이솔라 사크라)에는 로마 건물 터에 지어진 산 이폴리토 교회와 이솔라 사크라 네크로폴리스가 있는데, 교회에는 고풍스러운 중세의 종탑(13세기?)이 있다. 서쪽으로 3.2km에는 테베레강 오른쪽 어귀 하구에 있는 피우미치노가 있으며, 로마에서 기차를 타고 서-남서쪽으로 34km 거리에 있다. 북쪽으로 5km 거리에는 양수장이 있고, 양수장과 마카레세 사이 저지대는 개척된 상태이다.[7]

고대 포르투스와 중세의 포르토는 서기 4세기에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쌓은 벽을 통해 분리되기 시작했다. 테베레강 바로 맞은편의 오스티아는 반달족사라센의 침입 이후 인구가 점점 줄어들었다. 포르토는 서기 6세기까지 티레니아해의 주요 항구였고, 이후 쇠퇴했지만 오스티아에서 분리된 주교구 지위를 313년부터 유지할 정도로 중요했다. 오스티아와 포르토는 현재까지도 존재하는 7개의 근교 교구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추기경들과 주교 추기경들 같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들이 이곳에 배정되어 다른 대주교총대주교보다도 높은 서열을 지녔다.

포르토 유적은 현재 행정상 피우미치노 지역에 속해있다.[1] 오스티아 안티카 고고학 공원의 일부로서 포르토 유적지는 매주 토요일과 매달 첫 번째 그리고 세 번째 일요일에 9시 30분부터 13시 30분까지 공개되어 있다.

4. 현재 잔해

피우미치노 동쪽 저지대에서 포르투스의 유적은 여전히 뚜렷하게 남아있다.[10] 포르투스의 등대는 주화, 모자이크, 토를로니아 항구 부조와 같은 저부조에 묘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포르투스는 전면에 방파제가 있는 두 개의 방파제로 보호되었고, 등대는 방파제 위에 있었으며 양쪽에 입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07년 시굴갱 조사 결과, 오른쪽 방파제는 낮은 모래 언덕으로 밝혀졌고, 중앙 방파제는 약 170m 길이에 폭 약 135m의 수로 때문에 양쪽 방파제에서 떨어져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10]

왼쪽 입구의 위치는 불확실하지만, 두 개의 입구가 있었다는 것은 주화 및 문헌 증거와 일치하며, 시간이 흘러 왼쪽 입구는 폐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왼쪽 방파제의 전체 범위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지만, 항구의 남서쪽뿐만 아니라 북서쪽 상당 부분도 보호했던 것으로 보인다.[10]

피로 리고리오와 안토니오 라바코가 포르투스의 평면도를 제작했던 16세기에는 많은 다른 건물들의 유적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1868년 발굴이 진행되었지만, 예술품과 유물 회수를 목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로돌포 란차니가 작성한 평면도와 상세 묘사는 좋지 않은 환경에서 이루어졌다.[10]

5. 접근성

피우미치노 국제공항과 로마-리도선의 리도 첸트로역(Lido di Ostia Centro)을 연결하는 COTRAL사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버스는 낮에는 매시간 2대, 새벽과 밤에는 1대씩 운행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orto'' of Claudius and Trajan on Fiumicino municipal website https://web.archive.[...]
[2] 논문
[3] 뉴스 'Biggest canal ever built by Romans' discovered https://www.telegrap[...] London Telegraph 2010-07-11
[4] 웹사이트 Southampton University: Portus project https://www.southamp[...]
[5] 웹사이트 小川熙 :消えたローマの海港都市 オスティア http://www.nttdata-g[...]
[6] 웹사이트 アンジェロ・ペッレグリーノ オスティア:歴史的・考古学的側面(概略) http://pweb.sophia.a[...]
[7] 웹사이트 The ''Porto'' of Claudius and Trajan on Fiumicino municipal website https://web.archive.[...]
[8] 논문
[9] 뉴스 'Biggest canal ever built by Romans' discovered https://www.telegrap[...] London Telegraph 2010-07-11
[10] 웹사이트 Southampton University: Portus project https://www.southam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