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섬은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섬을 의미한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미크로네시아, 솔로몬 제도 등에서 그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현대에는 도시의 확장, 해상 공항 건설, 관광 및 상업 시설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건설 방법은 매립, 부유식 구조물 등 다양하며, 네덜란드의 플레보폴더, 홍콩 국제공항, 카타르의 펄 아일랜드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인공섬 건설은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제법적으로는 영해나 배타적 경제수역을 가질 수 없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건설하여 영유권 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인공섬은 현대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 이집트 문명의 간척된 섬들, 선사 시대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말뚝 기둥(Stilt) 크라노그(crannog), 미크로네시아의 난마돌(Nan Madol) 의식 중심지, 그리고 현재까지도 남아 있는 티티카카 호수의 부유섬 등이 그 예이다.[8] 멕시코시티의 아즈텍 시대 전신인 테노치티틀란(Tenochtitlan)은 테스코코 호수(Lake Texcoco)의 작은 자연섬 위에 세워졌으며, 수많은 인공 친암파(chinampa, chinamitl) 섬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현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인공섬이 건설되고 있다.
2. 역사
솔로몬 제도 말라이타섬의 랑가 랑가 라군(Langa Langa Lagoon)과 라우 라군(Lau Lagoon) 주민들은 암초 위에 후나아푸(Funaafou), 술루푸(Sulufou), 아다에게(Adaege)를 포함한 약 60개의 인공섬을 건설했다.[9][10] 라우 라군 주민들은 말라이타섬 중심부에 사는 사람들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섬을 건설했다.[11][12] 이 섬들은 돌을 하나씩 쌓아 만들어졌으며, 암초 위의 삶은 해안 습지에 서식하는 모기가 없었기 때문에 더 건강했다.[9]
많은 인공섬이 도시 항구에 건설되어 도시로부터 의도적으로 고립된 장소를 제공하거나, 인구 밀집 대도시에서 구할 수 없는 잉여 부동산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전자의 예로는 일본 에도 시대(Edo period)에 나가사키(Nagasaki)만에 유럽 상인들을 위한 폐쇄된 중심지로 만들어진 데지마(Dejima, Deshima)가 있다. 쇄국 시대 동안 네덜란드(Netherlands) 사람들은 나가사키에서 일반적으로 금지되었고, 일본인들은 데지마에서 금지되었다. 마찬가지로, 뉴욕시(New York City) 옆 어퍼 뉴욕 만(Upper New York Bay)에 있는 엘리스 섬(Ellis Island)은 간척으로 크게 확장된 작은 섬이었으며,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미국의 고립된 이민 센터 역할을 했다. 질병이나 기타 문제로 입국이 거부된 사람들은 도시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불법 이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혹을 방지했다. 가장 잘 알려진 인공섬 중 하나는 엑스포 67(Expo 67)을 위해 건설된 몬트리올의 일 노트르담(Île Notre-Dame)이다.
플로리다(Florida)주 마이애미 비치(Miami Beach)의 베네치안 섬(Venetian Islands)은 비스케인 만(Biscayne Bay)에 있으며, 1920년대 플로리다 토지 붐(Florida land boom of the 1920s) 기간에 귀중한 새로운 부동산을 추가했다. 개발업자들이 타고 있던 거품이 터지자, 만은 실패한 프로젝트의 잔해로 얼룩졌다. 붐 타운 개발 회사는 이솔라 디 롤란도(Isola di Lolando)라고 불릴 섬을 위한 해벽을 건설하고 있었지만, 1926년 마이애미 허리케인(1926 Miami Hurricane)과 대공황(Great Depression) 이후 사업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섬 건설 프로젝트는 실패했다. 80년 후 또 다른 개발 붐이 일어났지만, 그 프로젝트의 콘크리트 말뚝은 여전히 남아 있다.
주요 건설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토지 조성의 일환인 경우가 많지만, 대도시 근교에서는 폐기물의 영구적인 처리가 주된 목적인 경우도 있다. 매립 구조의 경우, 설치 위치의 해저가 깊을수록 호안 축조 및 매립에 필요한 건설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매립 후 일정 기간 동안 압밀 현상에 의한 지반 침하, 지진 발생 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에 대한 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 대규모 인공섬으로는, 공업 용지로서 1967년에 매립이 완료된 도쿄도 오타구의 헤이와지마와 쇼와지마, 1967년까지 폐기물 처리장으로 매립되었던 도쿄도 에도가와구의 유메노시마 등이 있다. 효고현 고베시의 포트 아일랜드(완성 당시 세계 최대의 인공섬)와 록코 아일랜드,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후쿠오카 아일랜드 시티는 항만 시설뿐만 아니라, 주택과 공공 시설 등의 도시 시설도 정비하여 "해상 도시"로 만들어졌다.
그 외 자원 개발 등의 측면에서는, 소규모로는 석유·가스의 채굴 플랫폼이나, 교각 등의 기초도 일종의 인공섬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쿄만 아쿠아라인을 위해 만들어진 기사라즈 인공섬(우미호타루 휴게소)가 있다.
몰디브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의한 국토 수몰에 대비하여, 인공섬 "훌마레"를 조성하고 있으며, 완성 후에는 국민의 40%가 이주할 예정이다.[43]
2. 1. 고대 및 중세
인공섬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 이집트 문명의 간척된 섬, 선사 시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크라노그(Crannog), 미크로네시아 난마돌(Nan Madol) 유적 등이 그 예이다.[8] 멕시코시티의 아즈텍 문명 도시 테노치티틀란(Tenochtitlan)은 테스코코 호수(Lake Texcoco)의 작은 자연섬 위에 세워졌으며, 수많은 인공 친암파(chinampa) 섬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솔로몬 제도 말라이타섬의 랑가 랑가 라군(Langa Langa Lagoon)과 라우 라군(Lau Lagoon) 주민들은 암초 위에 여러 인공섬을 건설했다.[9][10] 라우 라군 주민들은 말라이타 중심부에 사는 사람들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암초 위에 섬을 건설했다.[11][12] 이 섬들은 돌을 하나씩 쌓아 만들어졌으며, 암초 위의 삶은 모기가 없어 더 건강했다.[9]
2. 2. 근대
일본 에도 시대(Edo period)에 나가사키(Nagasaki)만에 만들어진 데지마(Dejima, Deshima)는 유럽 상인들을 위한 폐쇄된 중심지였다. 쇄국 시대 동안 네덜란드(Netherlands) 사람들은 나가사키에서 일반적으로 금지되었고, 일본인들은 데지마에서 금지되었다.[8]
뉴욕시(New York City) 옆 어퍼 뉴욕 만(Upper New York Bay)에 있는 엘리스 섬(Ellis Island)은 간척(land reclamation)으로 크게 확장된 작은 섬이었으며,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미국(United States)의 고립된 이민(immigration) 센터 역할을 했다. 질병이나 기타 문제로 입국이 거부된 사람들은 도시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불법 이민(illegal immigration)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혹을 방지했다.
가장 잘 알려진 인공섬 중 하나는 엑스포 67(Expo 67)을 위해 건설된 몬트리올(Montreal)의 일 노트르담(Île Notre-Dame)이다.
플로리다(Florida)주 마이애미 비치(Miami Beach)의 베네치안 섬(Venetian Islands)은 비스케인 만(Biscayne Bay)에 있으며, 1920년대 플로리다 토지 붐(Florida land boom of the 1920s) 기간에 귀중한 새로운 부동산을 추가했다. 개발업자들이 타고 있던 거품이 터지자, 만은 실패한 프로젝트의 잔해로 얼룩졌다. 붐 타운 개발 회사는 이솔라 디 롤란도(Isola di Lolando)라고 불릴 섬을 위한 해벽을 건설하고 있었지만, 1926년 마이애미 허리케인(1926 Miami Hurricane)과 대공황(Great Depression) 이후 사업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섬 건설 프로젝트는 실패했다. 80년 후 또 다른 개발 붐이 일어났지만, 그 프로젝트의 콘크리트 말뚝은 여전히 남아 있다.
3. 현대의 인공섬
1969년 네덜란드의 플레보폴더가 주이더제 계획의 일환으로 완공되었다. 총 면적 970km2로, 간척으로 만들어진 인공섬 중 세계 최대 규모이다. 플레보폴더는 동플레볼란트와 남플레볼란트라는 두 개의 폴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르크와 같은 몇몇 작은 섬들을 포함한 노르트오스트폴더와 함께 네덜란드의 12번째 주인 플레볼란트를 형성한다. 2016년에는 조류와 기타 야생 동물을 위한 보호 구역으로 인공 군도인 마르커 바덴 건설이 시작되었다.[18]
바레인에는 북부 도시(Northern City), 디야르 알 무하라크(Diyar Al Muharraq), 두랏 알 바레인(Durrat Al Bahrain)을 포함한 여러 인공섬이 있다. 페르시아 만에서 '가장 완벽한 진주'라는 이름을 따서 명명된 두랏 알 바레인은 바레인 뭄탈라캇 홀딩 컴퍼니(Bahrain Mumtalakat Holding Company)와 쿠웨이트 금융 하우스 바레인(KFH)이 공동으로 개발한 60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로, 아킨스(Atkins)사가 설계하였다.[16] 약 5km2에 달하는 15개의 대규모 인공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6개의 환초, 5개의 물고기 모양 섬, 2개의 초승달 모양 섬, 그리고 마리나 지역과 관련된 2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콩 국제공항은 1998년에 개항했을 때, 부지의 75%가 기존의 첵랍콕과 람저우 섬에 대한 매립을 통해 조성되었다. 현재 중국은 여러 인공섬 위에 공항을 건설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21제곱킬로미터 규모의 인공섬에 건설 중인 상하이 국제공항 활주로, 다롄 진저우완 국제공항, 샤먼 샹안 국제공항, 싼야 홍탕완 국제공항(벤트리 시스템즈 설계) 등이 있으며, 싼야 홍탕완 국제공항은 28km2 규모의 인공섬에 건설 중이다.[24]
일본에서 대규모 인공섬으로는, 1967년에 공업 용지로 매립이 완료된 도쿄도 오타구의 헤이와지마와 쇼와지마, 1967년까지 폐기물 처리장으로 매립되었던 도쿄도 에도가와구의 유메노시마 등이 있다. 효고현 고베시의 포트 아일랜드(완성 당시 세계 최대의 인공섬)와 록코 아일랜드,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후쿠오카 아일랜드 시티는 항만 시설뿐만 아니라, 주택과 공공 시설 등의 도시 시설도 정비하여 "해상 도시"로 만들어졌다.
그 외 자원 개발 등의 측면에서, 소규모 석유·천연가스 채굴 플랫폼이나, 교각 등의 기초도 일종의 인공섬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쿄만 아쿠아라인을 위해 만들어진 기사라즈 인공섬(우미호타루 휴게소)가 있다.
인공섬의 주요 건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매립 구조의 경우, 설치 위치의 해저가 깊을수록 호안 축조 및 매립에 필요한 건설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매립 후 일정 기간 동안 압밀 현상에 의한 지반 침하, 지진 발생 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에 대한 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인공섬으로는 서울특별시의 서래섬, 세빛섬, 롯데월드의 매직아일랜드, 부산광역시의 부산항, 인천광역시의 송도국제도시, 이어도, 군산시의 금란도, 경상남도의 마산해양신도시 등이 있다. 운하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섬으로는 미륵도와 김포반도가 있지만, 김포반도는 일반적으로 섬으로 불리지 않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대한민국 해양 영토 주권 강화에 기여한다고 평가한다.
3. 2. 일본
일본의 대표적인 인공섬으로는 오키노토리 암초,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만 부근의 후쿠오카 아일랜드시티, 롯코 아일랜드가 있다. 간사이 국제공항, 고베 공항, 주부 국제공항도 인공섬에 속한다.[8]
간사이 국제공항은 1994년에 완전한 인공섬 위에 건설된 최초의 공항이며, 2005년에는 주부 센트레어 국제공항, 2006년에는 신 기타큐슈 공항과 고베 공항이 건설되었다.
3. 3.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는 여러 인공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두바이의 팜 주메이라는 야자수를 형상화한 인공섬으로, 관광 및 주거 시설로 활용된다.[19][20] 이 외에도 야스 섬, 사디야트 섬, 칼리파 항, 알 레임 섬, 알 루루 섬, 알 라하 크릭, 알 후다이리야트 섬, 더 유니버스, 두바이 워터프런트 등이 있다. 팜 제도 (팜 주메이라, 팜 제벨 알리, 데이라 섬)와 두바이 연안의 월드 제도는 레저 및 관광 목적으로 조성되었다.[19][20] 부르즈 알 아랍은 자체 인공섬에 위치해 있다.[21] 더 유니버스, 팜 제벨 알리, 두바이 워터프런트, 팜 데이라 프로젝트는 보류 중이다.
3. 4. 몰디브
몰디브는 경제 개발을 촉진하고 해수면 상승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인공섬을 조성해 왔다. 훌루말레 섬은 말레 지역의 현재와 미래의 주택, 산업 및 상업 개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토지를 조성하기 위해 매립되었다. 공식적인 정착은 2004년 5월 12일에 시작되었다.[8]
3. 5. 카타르
도하(Doha) 북쪽에 있는 더 펄 아일랜드(The Pearl Island)는 주거, 상업, 관광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인공섬이다. 카낫 콰르티에(Qanat Quartier)는 중동의 '가상 베네치아(Venice)'를 목표로 설계되었다. 루사일(Lusail)과 라스 라판 주변의 광활한 지역, 하마드 국제공항(Hamad International Airport) 및 하마드 항(Hamad Port)도 인공섬에 건설되었다. 새로운 도하 국제공항은 22km2 면적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인공섬이다. 13.9km2 면적의 더 펄-카타르(The Pearl-Qatar)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인공섬이며, 2006년 주 계약업체인 DEME 그룹에 의해 건설되었다.[24]
3. 6. 중국
중국은 2015년 중반까지 팔라완 섬 연안 남중국해에 총 2000acre 규모의 인공섬 7개 이상을 건설하는 매립 공사를 진행했다.[22] 스프래틀리 군도 근처 파이어 크로스 환초(Fiery Cross Reef)에 건설된 한 인공섬에는 현재 군사 막사, 감시탑, 그리고 중국 인민해방군 군용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을 만큼 긴 활주로가 있다.[23]
주로 관광 및 상업 프로젝트인 하이난 섬의 오션 플라워 섬(Ocean Flower Island) 프로젝트가 있다.
4. 건설 방법
- 해저에서 호안이 될 구조물을 축조하고, 그 내부를 토사, 폐기물로 매립하는 방법. 일반적인 항만(안벽) 정비 공사와 동일한 방법이다.
- 육상에서 제작된 골조(케이슨)나 기둥(강관 기둥이나 콘크리트 기둥 등)을 해저의 암반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 소규모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 조선소 등에서 부체를 제작하여 해저에 계류한 것(부도 구조).
매립 구조의 경우, 설치 위치의 해저가 깊을수록 호안 축조 및 매립에 필요한 건설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매립 후 일정 기간 동안 압밀 현상에 의한 지반 침하, 지진 발생 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에 대한 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5. 인공섬의 종류
인공섬은 다양한 목적으로 건설되며,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주요 건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법 | 설명 | 특징 |
---|---|---|
해저 매립 방식 | 해저에서 호안이 될 구조물을 축조하고, 그 내부를 토사, 폐기물로 매립 | 일반적인 항만(안벽) 정비 공사와 동일 |
케이슨/기둥 설치 방식 | 육상에서 제작된 골조(케이슨)나 기둥(강관 기둥이나 콘크리트 기둥 등)을 해저 암반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구조물 건설 | 소규모 인공섬에 적합 |
부체 계류 방식 | 조선소 등에서 부체를 제작하여 해저에 계류 (부도 구조) | 부유섬에서 더 자세한 설명 참조 |
매립 구조의 경우, 설치 위치의 해저가 깊을수록 건설 비용이 상승하고, 지반 침하나 지진 발생 시 액상화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일본의 대규모 인공섬으로는 도쿄도 오타구의 헤이와지마, 쇼와지마, 도쿄도 에도가와구의 유메노시마 등이 있다. 효고현 고베시의 포트 아일랜드와 록코 아일랜드,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후쿠오카 아일랜드 시티는 "해상 도시"로 조성되었다.
그 외에도 석유·가스 채굴 플랫폼이나 도쿄만 아쿠아라인의 우미호타루 휴게소와 같은 교각 기초도 인공섬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몰디브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하여 인공섬 "훌마레"를 조성하고 있으며, 완공 후에는 국민의 40%가 이주할 예정이다.[43]
5. 1. 부유섬 (浮島)
호소의 일부에서 자연적으로 부유섬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아키타현 카쿠노다테시의 사쿠사와누마에는 물이끼류로 만들어진 지름 수 m의 부유섬이 있다. 티티카호에는 사람이 거주하는 거대한 부유섬이 있다( 토토라라는 수생식물로 보수하기 때문에 반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부유섬은 인공섬으로서도 유망하게 여겨지고 있다. 1975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개최된 오키나와 국제 해양 박람회에서 메인 회장이 된 100m²의 아쿠아폴리스가 그 한 예이다. 이러한 거대한 부유 구조물을 「메가플로트」라고 부른다.
1995년에는 요코스카 앞바다에서 1000m×120m라는 최대 규모의 메가플로트 실험이 행해졌다. 또한 현재 세계 각지에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의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러시아 등에서는 부유식 원자력발전소가 계획되고 있다.
5. 2. 해상공항
소음 문제로 국제공항 건설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대형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한 인공섬을 조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상에 건설된 인공섬을 이용한 국제공항으로는 영국 자본으로 건설된 홍콩 국제공항 등이 알려져 있다. 홍콩처럼 지리적 제약이 있는 도시 국가나 중동에서는 신규 공항을 개설할 때 해상에 인공섬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다.일본에서는 1975년 나가사키 공항(섬 주변을 매립하여 조성했기 때문에 순수한 인공섬은 아님)을 시작으로, 1994년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에 간사이 국제공항[44]이 개항했다. 2005년에는 아이치 엑스포에 맞춰 아이치현 토코나메시 앞바다에 주부 국제공항(구 나고야 공항에서 국제선 이전)이 개항했고,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앞바다에는 기타큐슈 공항(후쿠오카 공항과 더블 에어포트 제도)이 개항했다.
해상공항은 주택가 소음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국제선 운항을 하는 대형 항공기가 24시간 이착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2차 피해 위험도 상대적으로 낮다.
6. 규모별 주요 인공섬
순위 | 이름 | 면적 (km2) | 위치 | 건설 연도 | 용도 |
---|---|---|---|---|---|
1 | 플레보폴더 | 970 | 플레볼란트주, 네덜란드 | 1968년 | 도시, 농업 |
2 | 홍콩 국제공항 | 20.64 | 홍콩 | 1998년 | 공항, 출입국 관리소 |
3 | 펄 아일랜드 | 13.9 | 도하, 카타르 | 2006년 | 주택 |
4 | 간사이 국제공항 | 10.68[13] | 오사카, 일본 | 1994년 | 공항 |
5 | 포트 아일랜드 | 8.33[14] | 고베, 일본 | 1980년 (1단계) & 2009년 (2단계)[14] | 주택 |
7. 환경 문제
인공섬 건설은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공섬 건설에 필요한 대량의 모래는 준설을 통해 채취되는데, 이는 산호초에 해롭고 해양 생물을 교란시킨다.[25] 모래, 퇴적물, 미세 입자의 증가는 탁한 상태를 만들어 산호초에 필요한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고, 산호 탁도(산호가 더 많은 유기물을 흡수하는 현상)를 유발하며 박테리아 활동(유해 박테리아가 산호에 유입)을 증가시킨다.[26][27]
인공섬 건설은 또한 주변 해역의 수중 지역을 감소시켜 많은 종들의 서식지 파괴 또는 훼손으로 이어진다.[27]
8. 법적 지위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에 따르면 인공섬은 항만 시설로 간주되지 않으며(제11조), 200nmi 이내에 있는 경우 가장 가까운 연안국 관할권 아래에 있게 된다.[28] 인공섬은 자체 영해 또는 배타적경제수역(EEZ)을 가질 수 없으며, 연안국만이 건설을 허가할 수 있다(제60조).[29] 그러나 국가 관할권을 넘어선 공해에서는 어떤 국가라도 인공섬을 건설할 수 있다(제87조).
국제연합해양법협약에서는 “섬”을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제121조 제1항)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인공섬은 국제해양법상 섬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로즈섬 공화국이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과 같이 조성한 땅을 영토로 주장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48]
해상에 있는 인공섬은 영구적인 항만 시설로 간주되지 않으며, 영해의 획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제11조).
연안국은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 또는 대륙붕 내에서 인공섬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배타적 권리를 가진다(제56조 제1항, 제60조, 제80조). 단, 인공섬은 섬의 지위를 갖지 않으며, 그 자체로 영해를 갖지 않는다. 또한 인공섬의 건설로 인해 영해·배타적경제수역·대륙붕의 경계 획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제60조 제8항).
9. 회색지대 전략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국가들이 전략적 및 군사적 목적으로 인공섬을 건설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필리핀과 중국은 남중국해의 영유권 분쟁 해역에서 영토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섬을 건설했다는 보고가 있다.[30]
혼합전은 재래식과 비정규 전술을 결합한 갈등의 형태로 이해된다.[42] 혼합전은 기능하는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사회를 분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면적인 전략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혼합전의 궁극적인 목표는 취약점과 약점을 이용하여 지정학적 및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중국의 회색지대 전술은 주로 평화적인 방식으로 지정학적 위치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주장이 있다. 2014년 크림반도에서 러시아가 사용한 회색지대 전술과는 달리 중국의 접근 방식은 상당히 다르다고 한다. 중국의 목표는 다른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지역 해역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함으로써 국가 안보를 강화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더욱이 중국은 다른 강국으로부터 통제권을 장악하려는 것이 아니라 지역 내에서 우세한 안보 및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려고 하며, 무장하지 않았거나 경무장 선박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주목할 만한데, 이는 치명적인 무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라고 한다.[31]
그러나 중국의 회색지대 전술을 혼합전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일부 견해는 중국이 인공섬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 무력을 사용하여 영토 주장을 확립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한다.[1] 이러한 접근 방식은 양배추 전략이라고 하는데, 이는 경쟁 국가의 접근을 막기 위해 여러 계층의 안보로 분쟁 지역을 포위하여 궁극적으로 그들의 주장을 확고히 하는 것이다.
인공섬 건설에 대한 중국의 동기에 대한 의견 일치는 없지만, 중국이 지역 내에서 권력과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행동은 남중국해 분쟁의 긴장 고조에 기여하고 있다.
9. 1.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
중국은 2015년 중반까지 팔라완 섬 연안 남중국해에 총 2000에이커(약 809만 3,713 m²)에 달하는 인공섬 7개 이상을 건설했다.[22] 스프래틀리 군도 근처 파이어 크로스 환초에 건설된 인공섬에는 군사 막사, 감시탑, 그리고 중국 인민해방군 군용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을 만큼 긴 활주로가 있다.[23]중국의 인공섬 건설은 전략적 목표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31] 중국은 1940년대 카이로 선언과 포츠담 선언에 따라 섬들을 회복하였고, 1947년 9개 점선을 작성하여 남중국해에 대한 권한 범위를 명시했다.[33] 1980년대부터 소규모 군사 기지 건설을 시작으로 인공섬 건설을 시작했다.[34]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은 해양 지역 이용 및 관리를 규율하는 주요 법적 틀이다. 이 협약은 연안국이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경제수역(EEZ), 대륙붕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는 방법을 규정한다.[32] UNCLOS 60조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섬은 EEZ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인공섬은 생성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36] 따라서 중국의 인공섬 건설은 EEZ를 합법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중국은 인공섬 건설, 항해 제한, 지역 군사화를 통해 UNCLOS에서 보장하는 항행의 자유와 상공 비행에 반복적으로 도전해왔다.
스프래틀리 군도는 여러 국가 간의 분쟁 대상이었다. 중국은 역사적 존재와 섬에 대한 건설 활동을 근거로 주장을 뒷받침한다.[40] 국제법에는 어떤 국가도 바다에서 매립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하는 구체적인 규칙은 없다. 그러나 12해리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 국가는 UNCLOS에서 인정하는 권리와 관할권에 부합하는지 고려해야 한다. 인공섬은 주변 500미터 안전 구역을 유지해야 하며 국제 항해를 방해해서는 안 된다.
혼합전은 재래식과 비정규 전술을 결합한 갈등 형태로, 기능하는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사회를 분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중국의 회색지대 전술은 평화적인 방식으로 지정학적 위치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주장이 있다.[31] 그러나 중국이 인공섬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것은 무력을 사용하여 영토 주장을 확립하는 수단이라는 주장도 있다.[1]
인공섬 건설에 대한 중국의 동기에 대한 의견 일치는 없지만, 중국이 지역 내에서 권력과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행동은 남중국해 분쟁의 긴장 고조에 기여하고 있다.
국제연합해양법협약에서는 “섬”을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로 정의한다(제121조 제1항). 따라서 인공섬은 국제해양법상 섬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영토로 주장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48]
9. 2. 기타 국가
러시아도 전략적 및 군사적 목적으로 북극에 인공섬을 건설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0] 이러한 보고들은 지속적인 정치적, 외교적 논쟁의 대상이다.10. 갤러리
참조
[1]
논문
A Study of Artificial Islands
https://www.cppr.in/[...]
2020
[2]
웹사이트
South China Sea Tension on Fire: China's Recent Moves on Building Artificial Islands in Troubled Waters and their Implications on Maritime Law
https://www.marsafel[...]
2023-05-18
[3]
웹사이트
Artificial islands older than Stonehenge stump scientists
https://www.national[...]
2023-05-18
[4]
서적
Government and Public Policy in the Pacific Islands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23-05-18
[5]
뉴스
René-Levasseur: The World's Second Largest Island in a Lake?
http://www.geocurren[...]
2018-08-29
[6]
뉴스
ESA satellite images Manicouagan Crater
https://www.upi.com/[...]
2018-08-29
[7]
웹사이트
Can we make artificial islands?
https://www.ncesc.co[...]
2024-05-27
[8]
서적
The Stor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2016-03-24
[9]
서적
South Pacific Handbook
Moon South Pacific
[10]
웹사이트
Historical Photographs of Malaita
http://www.uq.edu.au[...]
University of Queensland
2014-05-20
[11]
웹사이트
Sea Tenure and Its Transformation in the Lau of North Malaita, Solomon Island
http://ir.kagoshima-[...]
South Pacific Study Vol. 12, No. 1, 1991
2014-05-22
[12]
논문
The ecological aspect of Lau (Solomon Islands) ethnoichthyology
http://www.jps.auckl[...]
87 (4) Journal of the Polynesian Society
[13]
웹사이트
関西空港の概要
http://www.mlit.go.j[...]
2017-11-07
[14]
웹사이트
神戸市:海空陸の総合ターミナル 港湾施設
https://www.city.kob[...]
2021-08-14
[15]
웹사이트
oglobo.globo.com/rio/concurso-de-fotos-revela-as-belezas-da-ilha-do-fundao-10707822
http://www.luxhabita[...]
O Globo
2016-01-25
[16]
웹사이트
Durrat Resort Management
https://drm.bh/ourRe[...]
[17]
뉴스
Top 10 Bahrain mega-projects
https://www.construc[...]
2009-09-09
[18]
웹사이트
Marker Wadden, the manmade Dutch archipelago where wild birds reign supreme
http://www.theguardi[...]
2020-07-08
[19]
웹사이트
7+ Amazing Facts About Dubai's Palm Islands
https://interestinge[...]
2020-07-08
[20]
웹사이트
Not the end of The World: the return of Dubai's ultimate folly
http://www.theguardi[...]
2020-07-08
[21]
웹사이트
[Image] Burj Al Arab
http://forum.world-m[...]
[22]
웹사이트
China proceeds with building artificial islands on reefs claimed by Philippines
https://www.theguard[...]
2016-03-24
[23]
웹사이트
Exclusive: China warns U.S. spy plane
http://www.cnn.com/2[...]
2016-03-24
[24]
뉴스
Sanya New Airport Reclamation Project Wins "Be Inspired" Special Recognition Award for 2017 - Tropical Hainan
http://www.tropicalh[...]
2017-12-13
[25]
뉴스
Dubai's artificial islands have high environmental cost
https://news.mongaba[...]
2020-05-05
[26]
논문
Eroding diversity away: Impacts of a tetrapod breakwater on a subtropical coral reef
2020
[27]
논문
Rapid Morphological Changes Caused by Intensive Coastal Development in Longkou Bay, China
https://bioone.org/j[...]
2019-01-03
[28]
웹사이트
UNCLOS and Agreement on Part XI - Preamble and frame index
https://www.un.org/d[...]
2016-03-24
[29]
웹사이트
Article 60. Artificial islands, installations and structure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PREAMBLE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2017-03-17
[30]
웹사이트
Gray Zones in a Blue Arctic: Grappling with China's Growing Influence
https://warontherock[...]
2023-05-28
[31]
서적
Maritime gray zone operations: challenges and countermeasures in the Indo-Pacific
Taylor & Francis Group
[3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https://treaties.un.[...]
2023-05-18
[33]
논문
The Nine-Dash Line in the South China Sea: History, Status, and Implications
https://www.cambridg[...]
2013-01
[34]
논문
Building empires litorally in the South China Sea: artificial islands and contesting definitions of imperialism
https://link.springe[...]
2022-08
[35]
논문
The Spratly Islands dispute : a political analysis
http://dx.doi.org/10[...]
The University of Hong Kong Libraries
1997
[36]
논문
Article 305 - Signature (V)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Commentary 1982 Online
http://dx.doi.org/10[...]
2023-05-20
[37]
논문
PART II - Territorial Sea and Contiguous Zone (II)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Commentary 1982 Online
http://dx.doi.org/10[...]
2023-05-20
[38]
웹사이트
The Legal Challenge of China's Island Building
https://amti.csis.or[...]
2023-05-20
[39]
웹사이트
South China Sea Tension on Fire: China's Recent Moves on Building Artificial Islands in Troubled Waters and their Implications on Maritime Law
https://www.marsafel[...]
2023-05-20
[40]
뉴스
Reclamation marks
https://www.economis[...]
2023-05-20
[41]
웹사이트
Reclamation in the South China Sea: Legal Loopholes, Practical Impacts
https://amti.csis.or[...]
2023-05-20
[42]
서적
Maritime Gray Zone Operations
http://dx.doi.org/10[...]
2022-08-30
[43]
웹사이트
海に飲み込まれる国 モルディブ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1-11-11
[44]
웹사이트
関西空港の概要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17-11-07
[45]
웹사이트
関西空港の概要
https://www.mlit.go.[...]
2017-11-07
[46]
웹사이트
Presenting Properties in Excess of Five Million Dirhams by LUXHABITAT | Luxury homes and properties in UAE
http://www.luxhabita[...]
Luxhabitat
2012-07-15
[47]
웹사이트
oglobo.globo.com/rio/concurso-de-fotos-revela-as-belezas-da-ilha-do-fundao-10707822
http://www.luxhabita[...]
O Globo
2016-01-25
[48]
웹사이트
世界地図を更新し続ける中国の巨大浚渫船
https://www.technolo[...]
MIT Tech Review
2019-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