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페이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페이어군은 폰페이어, 모킬어, 핀지랩어, 사푸아피크어, 나티케세어 등을 포함하는 언어군이다. 이 언어군은 추크어군과 유사한 관계를 가지지만, 겹자음의 첫 요소가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으로 변하는 비음 대체와 같은 독자적인 혁신 사항을 보인다. 폰페이어어의 음운은 오세아니아조어와 미크로네시아조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겹자음은 비음-장애음 연쇄로 실현되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크폰페이어군 - 추크어군
추크어군은 미크로네시아 추크 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다양한 언어들이 복잡한 친족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운론적으로 오세아니아조어에서 유래한 특징을 보인다.
폰페이어군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폰페이어군 |
다른 이름 | 폰페이어어군 |
사용 지역 | 미크로네시아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오세아니아어군 |
하위 어군 | 미크로네시아어군 |
하위 어군 |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
하위 어군 | 추크폰페이어군 |
Glotto 코드 | pona1248 |
Glottolog 참조 | Ponapeic |
2. 구성 언어
폰페이어군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8][2]
- 모킬어
- 핀지랩어
- 폰페이어
- 사푸아피크어
- 나티케세어
2. 1. 주요 언어
- 모킬어
- 핀지랩어
- 폰페이어
- 사푸아피크어[8]
- 나티케세어[2]
2. 2. 기타 언어
- 모킬어
- 핀지랩어
- 폰페이어
- 사푸아피크어[8]
- 나티케세어[2]
3. 혁신 사항
폰페이어군은 밀접하게 관련된 추크어군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혁신 사항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비음 치환으로, 자음의 연음(gemination)에서 첫 번째 요소가 동소(homorganic) 비음 자음이 되는 것이다.[3]
3. 1. 비음 대체
폰페이어군은 친연 관계가 가까운 추크어군과 구별되는 독자적으로 발달한 혁신 사항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비음 대체로, 겹자음의 첫 요소가 조음 위치가 같은 비음이 되는 것이다.[9] 이러한 변화의 예시로는 추크폰페이조어 */kkaŋ/ '날카롭다'가 모킬어에서는 iŋkɔŋ|/iŋkɔŋ/mic이지만 추크어에서는 kken|/kken/chk이 된 것이 있다.[10]4. 음운론
오세아니아조어 | *mp | *mp,ŋp | *p | *m | *m,ŋm | *k | *ŋk | *ŋ | *y | *w | *t | *s,nj | *ns,j | *j | *nt,nd | *d,R | *l | *n | *ɲ | |
---|---|---|---|---|---|---|---|---|---|---|---|---|---|---|---|---|---|---|---|---|
미크로네시아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x | *ŋ | *y | *w | *t | *T | *s | *S | *Z | *c | *r | *l | *n | *ɲ |
추크폰페이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r3 | *ŋ | *y | *w | *t | *j | *t | *t | ∅ | *c | *r | *l | *n | *ɲ |
폰페이조어 | *p1 | *pʷ | *p, ∅2 | *m | *mʷ | *k | *∅,r3 | *ŋ | *y | *w | *j,∅1{_i,u,e4} | *j | *t̻ | *t̻ | ∅ | *c | *r | *l | *n | *∅,n{고모음 V_} |
5. 재구된 어휘
폰페이조어 | 한국어 해석 | 오늘날의 대응형 |
---|---|---|
*cana-k,cana-ko | 걸다, 걸리다 | 폰페이어, 모킬어 |
*palia | 모레 | 폰페이어, 모킬어 |
*payipayi | 성게 | 폰페이어, 모킬어 |
*wara | 목 | 폰페이어 그의 목, 모킬어 |
참조
[1]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2]
웹사이트
Ngatikese
http://www.endangere[...]
2015-02-11
[3]
저널
The Evolution of Ponapeic Nasal Substitution
1993
[4]
저널
The Evolution of Ponapeic Nasal Substitution
1993
[5]
저널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1
2003
[6]
저널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2
2003
[7]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8]
웹인용
Ngatikese
http://www.endangere[...]
2015-02-11
[9]
저널
The Evolution of Ponapeic Nasal Substitution
1993
[10]
저널
The Evolution of Ponapeic Nasal Substitution
1993
[11]
저널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1
2003
[12]
저널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2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