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브로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브로카는 1824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의사이자 인류학자이다. 뇌의 언어 중추를 연구하여 브로카 영역을 발견하고 언어 능력의 국재화를 제시했다. 그는 인류학 분야에서 인체 측정학을 발전시키고 파리 인류학회를 설립했으며, 다계통 발생설을 주장하며 인종 집단을 구분하는 등 과학적 인종주의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브로카는 뇌출혈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언어 처리와 뇌 기능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신경과학자 - 로제 기유맹
로제 기유맹은 뇌하수체 호르몬 조절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내분비학자이자 신경과학자로, 시상하부 호르몬이 뇌하수체 호르몬 생성을 조절함을 규명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과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의 구조를 밝혀냈으며, 소마토스타틴 발견 및 엔도르핀 분리 연구에도 기여하는 등 신경내분비학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프랑스의 신경과학자 - 장마르탱 샤르코
프랑스의 신경학자이자 해부병리학자인 장마르탱 샤르코는 다발성 경화증 연구, 최면을 이용한 히스테리 연구, 살페트리에르 병원에서의 활동, 유럽 최초의 신경과 진료소 설립 등으로 신경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샤르코병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과 증상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프랑스의 생리학자 - 클로드 베르나르
클로드 베르나르는 프랑스의 생리학자이자 의학자로, 실험 의학의 선구자로서 췌장의 소화 작용, 간의 글리코겐 생성, 혈관 운동계 연구, '내부 환경' 개념 제시 등 현대 생리학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한 『실험 의학 연구 서설』을 저술했지만 생체 해부 활용으로 윤리적 논란이 있다. - 프랑스의 생리학자 - 피에르 장 조르주 카바니스
프랑스의 생리학자, 의사, 철학자인 피에르 장 조르주 카바니스는 생리심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인간 사고가 뇌 기능이라는 유물론적 관점을 제시했고, 프랑스 혁명에 관여하여 관념학을 제창했다.
폴 브로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피에르 폴 브로카 |
출생일 | 1824년 6월 28일 |
출생지 | 생트-포이-라-그랑드, 프랑스 |
사망일 | 1880년 7월 9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연구 분야 | |
분야 | 인류학 해부학 의학 |
알려진 업적 | 브로카 영역 브로카 실어증 브로카 대각선 띠 |
기타 | |
![]() |
2. 생애
폴 브로카는 뛰어난 의사이자 과학자였으며, 동시에 활발한 사회 활동을 펼친 인물이었다.
1858년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German Academy of Sciences Leopoldina) 회원,[16] 1872년 미국 철학 학회(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7] 말년에는 프랑스 상원 종신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기도 했으며, 프랑스와 해외의 많은 학술 기관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8] 1880년 7월 9일 56세의 나이로 뇌출혈로 사망했다.[5] 그는 일생 동안 무신론자였으며 자유주의자로서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18]
2. 1. 출생과 교육
폴 브로카는 1824년 6월 28일 프랑스 보르도 근처 생트푸아라그랑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나폴레옹 휘하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했던 장 피에르 "벤자민" 브로카였고, 어머니는 칼뱅주의 개혁파 목사의 딸인 아네트 토마스였다.[6][7] 브로카는 위그노 출신으로, 고향 학교에서 기초 교육을 받고 16세에 학사 학위를 받았다. 17세에 파리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20세에 졸업했는데, 당시 대부분의 또래들은 의대생으로서 학업을 막 시작하는 시기였다.[8]2. 2. 초기 경력
졸업 후 브로카는 먼저 오피탈 뒤 미디(Hôpital du Midi)에서 비뇨기과 의사이자 피부과 의사인 필립 리코르 밑에서 인턴 과정을 밟았고, 1844년에는 비세트르 병원(Bicêtre Hospital)에서 정신과 의사 프랑수아 뢰레 밑에서 인턴 과정을 수행했다. 1845년에는 저명한 해부학자이자 외과의인 피에르 니콜라스 제르디의 인턴이 되었고, 2년 후에는 그의 조수가 되었다.[8] 1848년 브로카는 파리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해부학 강의를 위한 해부 실습 조교(Prosector)가 되었다. 1849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53년에는 교수(agrégé)가 되어 병원 외과의로 임명되었다. 1867년 의과대학에서 외과 병리학 교수로 선출되었고, 1년 후에는 임상 외과 교수가 되었다. 1868년에는 프랑스 의학 아카데미(Académie de médecine) 회원으로 선출되어 임상 외과학과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수행했다. 그는 또한 피에르 마리 퀴리 대학교 소속 생트 안토안 병원(Hôpital St. Antoine), 피티에 살페트리에르 병원(Pitié-Salpêtrière Hospital), 오텔 데 클리닉(Hôtel des Clinques), 네케르 어린이 병원(Necker-Enfants Malades Hospital)에서도 일했다.[8]1847년 브로카는 파리 해부학회(Society Anatomique de Paris)에 가입했다. 초기 6년 동안 브로카는 가장 생산적인 기여자였다.[9] 가입 두 달 만에 학회지 편집위원이 되었고, 1851년에는 서기, 부회장을 역임했다.[10] 1848년 설립 직후에는 생물학회(Société de Biologie)에도 가입했고,[11] 1865년에는 외과학회(Societe de Chirurgie) 회장이 되었다.[12][13]
2. 3. 자유사상가로서의 활동
1848년, 브로카는 찰스 다윈의 이론에 동조하는 자유사상가 협회를 설립했다. 브로카는 진화 사상 전반에 매우 영향을 받아 "나는 타락한 아담의 자손이기보다는 변이된 유인원이고 싶다."라고 선언하기도 했다.[8][14]이 때문에 그와 교회 사이에 마찰이 생겼고, 교회는 그를 젊은이들을 타락시키는 파괴적인 유물론자로 간주했다. 그는 생애 내내 교회로부터 적대감을 가지고 교회의 권위와 직접적, 간접적으로 수많은 갈등을 겪었다.[8]
2. 4. 결혼과 가족
브로카는 1857년 다른 사람들, 특히 어머니의 압력을 느껴 아델 오귀스틴 루골(Adele Augustine Lugol)과 결혼했다. 그녀는 프로테스탄트 가정 출신으로 저명한 의사 장 기욤 오귀스트 루골(Jean Guillaume Auguste Lugol)의 딸이었다.[15]브로카 부부는 세 자녀를 두었다.[15]
이름 | 출생년도 | 사망년도 |
---|---|---|
잔느 프랑수아즈 폴린(Jeanne Francoise Pauline) | 1858년 | 1935년 |
벤자민 오귀스트(Benjamin Auguste) | 1859년 | 1924년 |
엘리 안드레(Élie André) | 1863년 | 1925년 |
1년 후 브로카의 어머니가 사망했고, 그의 아버지 벤자민은 1877년 사망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파리에서 살았다.[15]
2. 5. 인류학 연구
브로카는 인체측정학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의학 및 고고학적 두개측정학의 현재 방법의 기초가 된 수많은 기구와 데이터 지점을 개발했다. 특히, 미간과 후두융기와 같은 두개골 지점과 두개측정기 및 입체사진기와 같은 기구들이다.[54]브로카는 인류학 연구소에서 두개골과 뼈를 연구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측정값을 인종 집단의 우월성 순위를 매기는 주요 기준으로 사용하려고 시도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그런 의미에서 브로카는 '과학적 인종주의'라고 불리는 부분을 포함하는 신체 인류학 연구의 선구자였다. 그는 1859년에 Société d'Anthropologie de Paris를, 1872년에 ''Revue d'Anthropologie''를 설립했다.[38]
브로카는 처음에 Isidore Geoffroy Saint-Hilaire, Antoine Étienne Reynaud Augustin Serres, Jean Louis Armand de Quatrefages de Bréau의 저서를 통해 인류학을 접하게 되었고, 1850년대 후반부터 그의 평생 관심사가 되었다. 브로카는 인류학을 "전체로 간주되는 인간 집단에 대한 연구"로 정의했다.[39] 다른 과학자들처럼 그는 종교적 경전에 의존하는 것을 거부하고 인간 기원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찾았다.
1857년, 브로카는 토끼와 멧토끼의 종간 번식 결과인 잡종 Leporidae를 제시받았다. 이 잡종 교배는 결과적으로 생긴 잡종이 매우 인기 있는 애완동물이 되었기 때문에 과학적 이유라기보다는 상업적 이유로 이루어졌다. 브로카에게는 서로 다른 동물들이 혼합되어 다산하는 자손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그것들이 같은 종임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었다.[40]
1858년, 브로카는 토끼과에 대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Société de Biologie에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의 핵심 요소는 인종 간의 신체적 차이가 단일 창조의 순간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서로 다른 종이라는 점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함의라고 믿었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이 다음 해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인간 기원에 대한 주제는 이미 과학계에서 널리 논의되었지만, 여전히 정부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올 수 있었다. 그러한 우려 때문에 Pierre Rayer 생물학회 회장은 브로카와 친분이 있는 다른 회원들과 함께 브로카에게 그 주제에 대한 추가 논의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브로카는 동의했지만 논의를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1859년에 Société d'Anthropologie를 설립했다.[41]
브로카는 각 인종 집단의 독특한 지리적 위치가 공통 조상에 대한 일계통 발생설자들의 주장의 주요 문제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다른 인종의 외모가 그들이 살았던 환경의 특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이론에 대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브로카는 유대인의 신체적 특징이 기원전 2500년 이집트 그림에 묘사된 것과 동일하다고 보았는데, 1850년경에는 그 인구가 매우 다른 환경을 가진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보았다. 그는 그의 반대자들이 유사한 장기 비교를 제공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46]

머튼(Morton)은 피험자의 뇌 크기가 지능의 주요 지표라고 믿었던 것과 달리, 브로카는 더 중요한 다른 요소들이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는 직각에 가까울수록 지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돌출악 안면각과 뇌의 길이와 너비 사이의 관계인 두부지수가 포함되는데, 이는 지능과 정비례하며 가장 지능이 높은 유럽 집단은 '장두형'이고 가장 지능이 낮은 흑인 집단은 '단두형'이었다.[55] 그는 가장 중요한 측면은 뇌의 전두엽과 후두엽 사이의 상대적 크기이며, 코카소이드는 흑인보다 전두엽이 더 크다고 생각했다.[55] 브로카는 결국 두개골이 클수록 지능이 높은 것과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여전히 뇌 크기는 사회적 진보, 물질적 안정, 교육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믿었다.[56] 그는 파리인의 두개골 유형에 따른 두개 용량을 비교했다. 그렇게 하면서 그는 평균적으로 가장 오래된 파리인의 두개골이 현대의 부유한 파리인의 두개골보다 작고, 두 개 모두 가난한 파리인의 무덤에서 나온 평균 두개골보다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두개측정학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 외에도, 브로카는 현장 작업 척도와 눈, 피부 및 머리카락 색상을 분류하기 위한 측정 기술을 개발하는 등 인체측정학에 다른 기여를 했으며, 이는 물과 햇빛 손상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60]
2. 6. 말년
폴 브로카는 말년에 프랑스 상원의 종신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기도 했으며, 프랑스와 해외의 많은 학술 기관으로부터 명예 학위를 받았다.[8] 1880년 7월 9일 56세의 나이로 뇌출혈로 사망했다.[5] 그는 일생 동안 무신론자였으며 자유주의자로서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18] 그의 아내는 1914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아들 오귀스트와 안드레는 아버지처럼 의학을 공부했는데, 오귀스트 브로카는 소아 외과 교수가 되어 브로카-페르테스-뱅카르트(Broca-Perthes-Blankart) 수술에 대한 공헌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드레는 의료 광학 교수가 되어 펠랭-브로카 프리즘(Pellin-Broca prism)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3. 연구 업적
폴 브로카는 신경 해부학자로서 대뇌변연계와 후각뇌 이해에 크게 기여했으며, 후각을 동물성의 표현으로 보았다. 그는 생물의 진화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브로카는 공중보건 및 공교육에도 관심을 가졌다. 빈곤층의 공중보건 논의에 참여하여 Assistance Publique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성 교육과 그 교육의 교회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했다. 특히, 여성 교육 관리를 계속하려 했던 로마 가톨릭 올레앙 주교 펠릭스 뒤팽루프(1802년-1878년)에 대해 반대했다.[85]
브로카의 연구는 뇌 기능의 좌우 분화를 이끌었으며, 특히 언어 능력의 국재화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연구를 촉발시켰다.[85]
3. 1. 초기 연구: 뼈와 연골, 암 연구
17세기 이후 대부분의 의학적 발전은 독립적이고 때로는 비밀결사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졌다.[19] 파리 해부학회(Société Anatomique de Paris)는 매주 금요일마다 개최되었으며 해부학자 장 크뤼벨리에(Jean Cruveilhier)가 회장을 맡았고, "프랑스 신경학의 아버지" 장 마르탱 샤르코(Jean-Martin Charcot)가 참여했다. 두 사람 모두 나중에 다발성 경화증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0] 회의에서 회원들은 자신의 과학적 발견에 대한 발표를 하고, 이는 학회 활동의 정기 간행물에 발표되었다.[9]크뤼벨리에와 샤르코처럼 브로카도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파리 해부학회 발표를 했다.[19] 그는 어린이의 뼈가 약하거나 부드러워지는 질환인 구루병이 영양 장애로 인한 골화 방해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22] 골관절염(관절염의 한 형태)에 대한 연구에서 브로카와 아메데 드빌[23]은 손톱과 이빨과 마찬가지로 연골이 인근 혈관에서 영양분을 흡수해야 하는 조직이며, 관절에서 퇴행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24][25] 브로카는 또한 선천성 기형으로 유아의 발이 안쪽으로 회전하는 내반족 장애에 대한 정기적인 발표를 했다. 당시 브로카는 이러한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근육 조직의 퇴행을 보았고,[26] 그 근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브로카의 근육 퇴행 이론은 근이영양증의 병태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27] 해부학자로서 브로카는 의학에 250가지의 별도의 기여를 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28]
브로카는 초기 몇 년 동안 암 연구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의 아내는 알려진 암 가족력이 있었고, 이것이 그의 암의 유전적 원인에 대한 탐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조사에서 그는 일부 암의 유전적 성격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축적하는 동시에 암세포가 혈액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36] 많은 과학자들은 브로카의 유전 가설에 회의적이었으며, 대부분 우연이라고 믿었다. 그는 암의 원인에 대해 두 가지 가설(소인과 감염)을 제시했다. 그는 원인이 두 가지 사이에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런 다음 그는 (1) 소인이 첫 번째 암을 생성하고 (2) 암이 감염을 생성하며 (3) 감염이 이차 다발성 종양, 악액질 및 사망을 생성한다고 가정했다.[37]
브로카의 초기 과학 연구는 뼈와 연골의 조직학을 대상으로 했다.
3. 2. 언어의 국재화: 브로카 영역의 발견

브로카는 뇌의 언어 생성 중추가 좌뇌에 있으며, 그 위치가 전두엽의 배측후방 영역(브로카 영역)이라는 이론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뇌 손상으로 인한 언어 장애(실어증) 환자들의 뇌를 연구하여 이러한 발견에 도달했다.[66]
이 연구는 프란츠 요제프 갈의 골상학에서 유래한 대뇌 국재설 지지자들과 피에르 플루랑스가 이끄는 반대자들 사이의 논쟁에서 시작되었다. 골상학자들은 인간의 정신이 다양한 정신 능력을 가지며, 각각 뇌의 다른 영역에 나타난다고 믿었다. 반면 플루랑스는 신중한 제거술(특정 뇌 영역 제거)을 통해 갈의 가설을 반증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갈의 제자인 장-바티스트 부이야는 기능 국재설(특히 "언어 중추")을 유지하면서도 골상학적 사고는 대부분 거부했다. 1848년 부이야는 뇌 손상 환자 연구를 바탕으로, 다른 전문가들에게 언어 장애가 없는 전두엽 손상 사례를 찾아 자신을 반증하도록 도전했다.[67] 그의 사위 에르네스트 오베르탱(1825-1893)은 이론을 뒷받침하거나 반증할 사례를 찾기 시작해 여러 사례를 발견했다.[66]
브로카의 파리 인류학회는 언어가 정기적으로 논의되는 곳이었으며, 생리적 측면을 다루는 플랫폼이 되었다. 오베르탱 등 뇌 해부학 전문가들이 학회에 합류하면서 기능 국재 논쟁이 주요 주제가 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플루랑스의 주장을 지지했지만, 오베르탱은 새로운 환자들을 제시하며 반박했다. 그러나 국재 문제를 종식시킨 것은 오베르탱이 아닌 브로카였다.
1861년 브로카는 비세트르 병원에서 루이 빅토르 르보르뉴라는 환자를 방문했다. 그는 21년 동안 진행성 언어 상실과 마비를 겪었지만 이해력이나 정신 기능은 정상이였다. 그는 "탄"(프랑스어 ''temps''(시간)처럼 \tɑ̃\ 발음) 외에는 명확하게 말할 수 없어 "탄"이라는 별명을 얻었다.[68][69][66][70] 르보르뉴는 며칠 후 괴저로 사망했고, 브로카는 부검을 통해 좌측 대뇌 반구 전두엽에 병변이 있음을 확인했다. 르보르뉴의 언어 상실과 운동 장애의 진행 과정을 통해 언어 생성에 중요한 뇌 영역이 좌측 전두엽 제3 회전, 즉 측면 구 옆에 위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2][73] 브로카는 르보르뉴 사망 하루 만에 인류학회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74]
이후 두 번째 사례는 언어 기능 국재화에 대한 브로카의 믿음을 확고히 했다. 라자르 렐롱은 비세트르에서 치매 치료를 받던 84세 정원사였다. 그는 자신의 이름, "예", "아니오", "항상", 숫자 "3" 외에는 말하는 능력을 잃었다.[75] 부검 결과, 브로카는 르보르뉴의 뇌와 거의 같은 영역에 병변을 발견했다. 이는 특정 영역이 의미 있는 소리 생성 능력을 조절하며, 손상 시 의사소통 능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69] 브로카는 이후 2년 동안 12건의 부검 증거를 추가로 찾아 관절 언어 국재화를 뒷받침했다.[66][70]

브로카는 1865년 논문 "제3 좌측 전두엽 회전에서의 언어 국재화"에서 12명 환자의 부검 결과를 발표했다. 그의 연구는 다른 이들에게 뇌 영역을 감각 및 운동 기능과 연결하는 부검을 수행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역사는 이 발견을 브로카에게 돌리지만, 프랑스 신경학자 마르크 닥스는 한 세대 전에 유사한 관찰을 했다. 닥스는 1836년 몽펠리에 의사 회의에서 약 40명의 환자와 논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76] 발표 후 곧 사망하여 브로카가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한 후에야 보고되거나 출판되었다.[77] 따라서 좌측 전두엽이 언어 생성에 필수적이라는 닥스와 브로카의 결론은 독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78][77]
르보르뉴와 렐롱의 뇌는 전체적으로 보존되었지만, 브로카는 아래의 손상된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절단하지 않았다. 100년 후, 인지 신경과학자 니나 드롱커스는 자기 공명 영상 기술로 뇌를 재검사하여, 환자들이 브로카가 표면만 연구해서는 알 수 없었던 훨씬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병변은 좌측 전두엽을 넘어 섬 피질 부분과 백질 경로를 포함했다. 이 연구는 동료 심사 논문에 발표되어 인용되었다.[79]
브로카의 실어증 환자 뇌는 피에르와 마리 퀴리 대학교 특별 소장품에서 제한적으로 볼 수 있으며, 이전에는 뒤푸이뜨르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주형 소장품은 델마스-오르필라-루비에르 해부학 박물관에 있다. 브로카는 1861년 ''Société Anatomique 회보''에 르보르뉴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66][70]
브로카 영역이나 좌측 하부 전두엽 인접 영역 손상 환자는 표현성 실어증(브로카 실어증)을 앓는 것으로 분류된다. 언어 출력 장애를 동반하는 이 실어증은 수용성 실어증(베르니케 실어증)과 대조되며, 칼 베르니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베르니케 실어증은 좌측 측두엽의 후방 영역 손상을 특징으로 하며, 언어 이해 장애를 동반한다.[66][70]
3. 3. 인류학 연구: 두개골 측정과 인종주의 논란
브로카는 인류학 연구소에서 두개골과 뼈를 연구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측정값을 인종 집단의 우월성 순위를 매기는 주요 기준으로 사용하려고 시도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그런 의미에서 브로카는 '과학적 인종주의'라고 불리는 부분을 포함하는 신체 인류학 연구의 선구자였다.[38] 그는 두개골 측정기를 포함하여 많은 새로운 유형의 측정 기구와 수치 지수를 개발하여 두개골 인체측정학의 과학을 발전시켰다.[38] 그는 일반 인류학, 신체 인류학, 민족학 및 이 분야의 다른 분야에 대한 논문 약 223편을 발표했다. 그는 1859년에 Société d'Anthropologie de Paris를, 1872년에 ''Revue d'Anthropologie''를 설립했다.브로카는 처음에 Isidore Geoffroy Saint-Hilaire, Antoine Étienne Reynaud Augustin Serres, Jean Louis Armand de Quatrefages de Bréau의 저서를 통해 인류학을 접하게 되었고, 1850년대 후반부터 그의 평생 관심사가 되었다. 브로카는 인류학을 "전체로 간주되는 인간 집단에 대한 연구"로 정의했다.[39] 다른 과학자들처럼 그는 종교적 경전에 의존하는 것을 거부하고 인간 기원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찾았다.
1857년, 브로카는 토끼와 멧토끼의 종간 번식 결과인 잡종 Leporidae를 제시받았다. 이 잡종 교배는 결과적으로 생긴 잡종이 매우 인기 있는 애완동물이 되었기 때문에 과학적 이유라기보다는 상업적 이유로 이루어졌다. 서로 다른 행동을 하는 종들이 번식하고 그들의 잡종 자손들이 서로 번식할 수 있도록 특정한 환경을 조성해야 했다. 브로카에게는 서로 다른 동물들이 혼합되어 다산하는 자손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그것들이 같은 종임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었다.[40]
1858년, 브로카는 토끼과에 대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Société de Biologie에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의 핵심 요소는 인종 간의 신체적 차이가 단일 창조의 순간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서로 다른 종이라는 점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함의라고 믿었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이 다음 해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인간 기원에 대한 주제는 이미 과학계에서 널리 논의되었지만, 여전히 정부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올 수 있었다. 그러한 우려 때문에 Pierre Rayer 생물학회 회장은 브로카와 친분이 있는 다른 회원들과 함께 브로카에게 그 주제에 대한 추가 논의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브로카는 동의했지만 논의를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1859년에 Société d'Anthropologie를 설립했다.[41]
다계통 발생설을 주장한 브로카는 모든 인류가 공통 조상을 가진다는 일계통 발생설 접근 방식을 거부했다. 대신 그는 인종 집단이 서로 다른 기원에서 왔다고 보았다. 양측의 대부분의 지지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각 인종 집단이 '야만'에서 '문명'으로의 진행 과정에서 각자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유럽의 다른 지역 식민화를 야만적인 인구를 문명화하려는 시도로 정당화했다. 그는 1859년 저서 ''호모 속의 잡종 현상에 관하여''에서 인류를 오스트레일리아인, 코카시안, 몽골인, 말레이인, 에티오피아인, 아메리카인과 같은 독립적인 인종 집단으로 구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각 인종 집단을 지리적 위치와 연결된 고유한 종으로 보았다. 이러한 서로 다른 종들은 모두 단일 호모 속에 속했다.[42] 당시 표준에 따라 브로카는 코카시안 인종 집단을 백인으로, 에티오피아 인종 집단을 흑인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그의 저술에서 브로카가 사용한 '인종'이라는 단어는 오늘날 사용되는 것보다 좁은 의미였다. 브로카는 켈트족, 갈리아인, 그리스인, 페르시아인, 아랍인을 코카시안 인종 집단에 속하는 별개의 인종으로 간주했다.[43] 각 집단 내의 인종은 다른 인종 집단과 구별되는 특정한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해부학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브로카는 그의 결론이 ''선험적'' 추론이 아니라 경험적 증거에 근거한다고 강조했다.[44] 그는 각 인종 집단의 독특한 지리적 위치가 공통 조상에 대한 일계통 발생설자들의 주장의 주요 문제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브로카는 또한 다른 인종의 외모가 그들이 살았던 환경의 특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이론에 대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브로카는 유대인의 신체적 특징이 기원전 2500년 이집트 그림에 묘사된 것과 동일하다고 보았는데, 1850년경에는 그 인구가 매우 다른 환경을 가진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보았다. 그는 그의 반대자들이 유사한 장기 비교를 제공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46]
브로카는 인체의 신체적 특징 측정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인 인체측정학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의학 및 고고학적 두개측정학의 현재 방법의 기초가 된 수많은 기구와 데이터 지점을 개발했다. 특히, 미간과 후두융기와 같은 두개골 지점과 두개측정기 및 입체사진기와 같은 기구들이다.[54] 머튼(Morton)은 피험자의 뇌 크기가 지능의 주요 지표라고 믿었던 것과 달리, 브로카는 더 중요한 다른 요소들이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는 직각에 가까울수록 지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돌출악 안면각과 뇌의 길이와 너비 사이의 관계인 두부지수가 포함되는데, 이는 지능과 정비례하며 가장 지능이 높은 유럽 집단은 '장두형'이고 가장 지능이 낮은 흑인 집단은 '단두형'이었다.[55] 그는 가장 중요한 측면은 뇌의 전두엽과 후두엽 사이의 상대적 크기이며, 코카소이드는 흑인보다 전두엽이 더 크다고 생각했다.[55] 브로카는 결국 두개골이 클수록 지능이 높은 것과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여전히 뇌 크기는 사회적 진보, 물질적 안정, 교육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믿었다.[56] 그는 파리인의 두개골 유형에 따른 두개 용량을 비교했다. 그렇게 하면서 그는 평균적으로 가장 오래된 파리인의 두개골이 현대의 부유한 파리인의 두개골보다 작고, 두 개 모두 가난한 파리인의 무덤에서 나온 평균 두개골보다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두개측정학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 외에도, 브로카는 현장 작업 척도와 눈, 피부 및 머리카락 색상을 분류하기 위한 측정 기술을 개발하는 등 인체측정학에 다른 기여를 했으며, 이는 물과 햇빛 손상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60]
3. 4. 진화론 수용
1861년, 브로카는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된 지 2년 후에 『잡종 현상에 관하여(On the Phenomenon of Hybridity)』를 출판했다. 브로카는 종의 다양화에 대한 더 넓은 설명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진화를 받아들였다. "저는 찰스 다윈이 유기체 진화의 진정한 원인을 발견했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중 한 명입니다. 반면에 저는 그의 업적의 위대함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 중 한 명이 아닙니다… 생존 경쟁…은 법칙이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선택은 사실이고, 개체 변이 또한 사실입니다."[61]그는 인류에 적용된 다계통설(polygenism)을 거부하고, 모든 인종이 단일 기원임을 인정했다. 1866년, 턱이 없는 돌출된 네안데르탈인 턱뼈가 발견된 후, 그는 "저는 제가 다윈주의자(Darwinist)가 아니라는 점을 이미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이것을 다윈주의자들에 따르면 인간에서 유인원까지 이어지는 사슬의 첫 번째 고리라고 부르는 것을 주저하지 않습니다…" 라고 썼다.[62] 그는 동물 그룹 간의 일부 차이점은 단일 기원으로부터의 진화를 통해 설명하기에는 너무나도 뚜렷하다고 보았다.
물질의 자발적 진화를 단일 지점과 단일 시점으로 제한할 이유는 없습니다… 저에게는 조직의 중심이 매우 다른 장소와 매우 다른 시기에 나타났을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입니다… 이 다계통적 변형설(polygenic transformism)이 제가 받아들이고 싶은 것입니다… 공통 조상에 대한 충분한 증거로 더 이상 구조적 유사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저의 다윈주의에 대한 반대 의견은 유효하지 않을 것입니다.|영어[63]
더욱 좁은 수준에서도 브로카는 진화가 일부 형질의 존재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한다고 보았다.
다윈의 사고방식을 오랑우탄 (''Satyrus'') 속에 적용해 봅시다… 모든 영장류 중에서 그만이 엄지발가락에 발톱이 없습니다. 왜일까요? ... 다윈주의자들은 어느 날 어떤 피테쿠스가 엄지발가락에 발톱이 없이 태어났고, 그의 후손들이 이러한 변종을 영속시켰다고 답할 것입니다… 이 유인원을… 왕조의 창시자에게 어울리는 ''프로사티루스 1세 (Prosatyrus I)''라고 부릅시다… 즉각적인 유전 법칙에 따라 그의 자손 중 일부는 다른 조상들처럼 모든 발가락에 발톱이 있었지만, 한두 마리는 아버지처럼 첫 번째 발톱이 없었습니다… 자연 선택 덕분에 이러한 특징은 결국 일정해졌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러한 부정적인 특징이… 생존 경쟁에서 그에게 어떤 이점을 주었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영어[64]
궁극적으로 브로카는 서로 다른 종의 기원과 분기 과정을 완전히 설명하려면 진화와 병행하는 과정이 존재해야 한다고 믿었다.[65] 그는 당시 프랑스에서 변이(Transformisme)로 알려진 생물의 진화에 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85]
4. 비판과 유산
폴 브로카는 브로카 영역을 발견하여 언어 처리와 발화에 대한 이해를 혁신적으로 바꾸었으며, 기능 국재화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연구는 베르니케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의 위치를 발견하도록 다른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8]
하지만 브로카는 당시의 과학적 인종주의에 영향을 받아 흑인이 유인원과 유럽인 사이의 중간 형태라고 주장하는 등 생물학적 결정론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는 스티븐 제이 굴드와 같은 학자들에게 비판받았다.[81][82]
브로카는 두개골계측에 사용되는 20개 이상의 측정 도구를 발명하고 측정 절차의 표준화에 기여했으며,[8] 그의 이름은 에펠탑에 새겨진 72명의 이름 중 하나이다.
4. 1. 비판
찰스 다윈은 1868년에 코엔라드 야코프 템민크가 서술한 실론 야계의 꼬리가 없는 돌연변이의 존재를 믿은 폴 브로카를 비판했다.[80]브로카는 영장류와 인간의 비교 해부학에 종사한 최초의 인류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당시 지배적이었던 두개골 측정법에 기반한 지능 척도와 상대적인 전완-상완 길이와 같은 다른 요소들을 비교하면서, 흑인들이 유인원과 유럽인 사이의 중간 형태라고 주장했다.[55] 진화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브로카와 그의 동시대 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할 때 "과학적 인종주의"에 종사했다고 비판했다. 그들의 연구는 생물학적 결정론과 "사회적 및 경제적 차이, 주로 인종, 계급, 성별 간의 차이는 유전적으로 타고난 차이에서 비롯되며,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는 생물학을 정확하게 반영한다"는 "''선험적'' 기대"에 기반했다.[81][82]
4. 2. 유산
브로카 영역의 발견은 언어 처리, 발화 및 이해에 대한 이해를 혁신적으로 바꾸었으며, 이 영역의 손상이 초래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이해 또한 높였다. 브로카는 르보르뉴와 그 이후 12명의 사례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능 국재화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연구는 다른 연구자들이 다양한 다른 기능들의 위치, 특히 베르니케 영역을 발견하도록 이끌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브로카 영역의 기능 장애는 말더듬 및 실어증(구어 실행증)과 같은 다른 언어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해부학적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말더듬이 있는 사람의 경우 브로카 영역의 전두피질(pars opercularis)이 해부학적으로 더 작은 반면 삼각부(pars triangularis)는 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83]
그는 또한 두개골계측에 사용되는 20개 이상의 측정 도구를 발명하고 측정 절차의 표준화에 기여했다.[8]
그의 이름은 에펠탑에 새겨진 72명의 이름 중 하나이다.
5. 주요 저술
- 1849년. https://archive.org/details/BIUSante_TPAR1849x063 ''염증의 전파에 관하여 – 이른바 암종이라고 하는 종양에 대한 몇 가지 제안'' (박사 학위 논문)
- 1856년. https://archive.org/details/desanvrysmeset00broc ''동맥류와 그 치료에 관하여''
- 1861년. "대뇌 국재 원리에 관하여". ''인류학회 회보'' 2: 190–204.
- 1861년. "언어 상실, 만성 연화 및 좌측 전두엽의 부분적 파괴". ''인류학회 회보'' 2: 235–38.
- 1861년. "조음 언어 능력의 위치에 대한 논평, 아페미아(언어 상실) 관찰에 이어서". ''파리 해부학회 회보'' 6: 330–357
- 1861년. "제2 및 제3 전두 회전의 후반부 병변에 의해 발생한 아페미아의 새로운 관찰". ''해부학회 회보'' 36: 398–407.
- 1863년. "대뇌 기능의 국재화. 조음 언어 능력의 위치". ''인류학회 회보'' 4: 200–208.
- 1864년. https://archive.org/details/onphenomenaofhyb00brocuoft ''호모 속의 잡종 현상에 관하여''
- 1865년. https://www.persee.fr/doc/bmsap_0301-8644_1865_num_6_1_9495 "조음 언어 능력의 위치에 관하여" ''인류학회 회보'' 6: 377–393
- 1866년. "조음 언어 능력과 관련된 일반적인 언어 능력에 관하여". ''인류학회 회보'' 제2시리즈 1: 377–82
- 1871년–1878년. ''인류학 회고록'', 3권. (
- 1879년. https://www.persee.fr/doc/bmsap_0301-8644_1879_num_2_1_5212 "치아계의 인류학적 연구에 관한 지침"
참조
[1]
사전
Broca's area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9-08
[2]
사전
Broca's are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Broca's area
Merriam-Webster
2019-09-08
[4]
웹사이트
Broca's are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9-08
[5]
논문
Dr. Paul Broca
1880-08-21
[6]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7]
서적
Encyclopedia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11
[8]
논문
Memoir of Paul Broca
[9]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10]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11]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12]
논문
The History of Race in Anthropology: Paul Broca and the Question of Human Hybridity
Anthropology Senior Theses
[13]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14]
서적
Broca's Brain
Random House
[15]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16]
웹사이트
Mitglieder
http://www.leopoldin[...]
[1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30
[18]
웹사이트
Paul Broca (1824–80)
http://www.sciencemu[...]
sciencemuseum.org.uk
2012-04-12
[19]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20]
논문
The 150th anniversary of the first depiction of the lesions of multiple sclerosis
1988-10
[21]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22]
논문
Memoire sur l'anatomie pathologique du rachitisme.
1852
[23]
논문
Obituary. Dr. Amédée Deville
https://books.google[...]
1879-11-08
[24]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25]
논문
Recherches sur l'arthrite seche et les corps étrangers.
[26]
논문
Recherches sur l'anatomie pathologique des pieds-bots
[27]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28]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29]
서적
(Shiller, 1979의 인용)
[30]
서적
(Shiller, 1979의 인용)
[31]
논문
Sur l'anesthésie chirurgicale hypnotique
[32]
서적
Des anévrysmes ed de leur traitement
Labé et Asselin
[33]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34]
서적
(Schiller, 1979의 인용)
[35]
서적
Curare, Its History, Nature, and Clinical Us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간행물
Contributions of Pierre Paul Broca to Cancer Genetics
Transactions of the Nebraska Academy of Sciences and Affiliated Societies
[37]
서적
Traite des tumeurs
P. Asselin
[38]
논문
Memoir of Paul Broca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논문
On the phenomena of hybridity in the genus homo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Glossorial Note
[50]
서적
Section II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History of Physical Anthropology, an Encyclopedia Volume 1
Taylor and Francis
[55]
서적
[56]
오디오 블로그
This Week in the History of Psychology: Stanley Finger on the trailblazing neurologist, Paul Broca, and his patient, "Tan."
[57]
논문
Does Brain Size Matter?
[58]
논문
Brain volume and intelligence: The moderating role of intelligence measurement quality
https://www.pure.ed.[...]
2017-09-01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Pioneers of Psychology
W.W. Norton & Co.
[67]
서적
[68]
논문
Perte de la parole, ramollissement chronique et destruction partielle du lobe antérieur gauche du cerveau
https://books.google[...]
[69]
뉴스
Identity of Famous 19th-Century Brain Discovered
http://www.livescien[...]
2017-01-24
[70]
논문
Remarks on the Seat of the Faculty of Articulated Language, Following an Observation of Aphemia (Loss of Speech)
http://psychclassics[...]
[71]
웹사이트
History of neuroscience: Paul Broca
https://www.neurosci[...]
2014-06-09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논문
Paul Broca's historic cases: high resolution MR imaging of the brains of Leborgne and Lelong
2007-04-02
[80]
논문
On Temminck's tailless Ceylon Junglefowl, and how Darwin denied their existence
[81]
논문
Morton's ranking of races by cranial capacity: unconscious manipulation of data may be a scientific norm
[82]
서적
The Mismeasure of Man
Norton
[83]
논문
The trajectory of gray matter development in Broca's area is abnormal in people who stutter
2015-03-03
[84]
논문
Dr. Paul Broca
1880-08-21
[85]
논문
Memoir of Paul Broca
[86]
서적
Broca's Brain
Random House
[87]
논문
フランス人類学事情
[88]
서적
Pioneers of Psychology
W.W. Norton & Co.
[89]
웹사이트
Remarks on the Seat of the Faculty of Articulated Language, Following an Observation of Aphemia (Loss of Speech)
http://psychclassics[...]
2001-01-17 # webarchive date
[90]
서적
영어 단어 기억의 비밀
[91]
웹사이트
폴 브로카 [Paul Broca]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