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기욤 메나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기욤 메나조는 1744년 런던에서 태어난 프랑스 화가이다. 그는 장바티스트앙리 데에, 조제프마리 비엥, 프랑수아 부셰에게 사사받았으며, 1766년 로마 대상을 수상하며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유학했다. 1777년 예술 아카데미에 의해 역사 화가로 인정받았으며, 1787년부터 1793년까지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 이사직을 역임했다. 메나조는 웅장한 양식의 프랑스 회화를 추구했으며, 1816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토미리스가 키루스의 머리를 피가 담긴 그릇에 담그는 모습', '폴릭세나가 헤큐바에게 작별을 고하는 모습'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화가 - 페테르 파울 루벤스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플랑드르의 바로크 미술 거장으로, 종교화, 역사화, 초상화, 풍경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역동적이고 풍부한 색채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풍만한 여성의 육체 묘사로 유명하고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다. - 역사화가 - 라파엘로 산치오
라파엘로 산치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건축가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와 함께 르네상스 3대 거장으로 꼽히며, 바티칸 궁전의 서명실 벽화, 《아테네 학당》, 《갈라테아의 승리》, 《시스티나의 성모》 등의 작품을 남겼다. - 바로크 화가 - 이아생트 리고
이아생트 리고는 1659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루이 14세 시대에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부르봉 왕가의 초상화를 주로 그렸으며, 대표작으로는 루이 14세의 초상화가 있고 작품은 루브르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바로크 화가 - 디에고 벨라스케스
디에고 벨라스케스는 바로크 시대 스페인을 대표하는 화가로, 펠리페 4세의 궁정 화가로서 왕족과 귀족의 초상화를 제작하며 《라스 메니나스》,《브레다의 항복》과 같은 걸작을 남겨 스페인 궁정 예술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사실적인 묘사와 빛의 효과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하는 독자적인 화풍으로 후대 미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로마 대상 수상자 - 쥘 마스네
쥘 마스네는 《마농》, 《베르테르》, 《타이스》와 같은 서정적이고 감각적인 오페라로 유명한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중요한 작곡가이자 파리 음악원 교수로서 귀스타브 샤르팡티에, 레이날도 한 등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으며, 그의 작품은 프랑스 오페라 레퍼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로마 대상 수상자 - 샤를 구노
샤를 구노는 낭만적이고 선율적인 오페라와 종교 음악에 기여한 프랑스 작곡가로, 특히 오페라 《파우스트》와 《아베 마리아》로 대중적인 사랑을 받았다.
프랑수아기욤 메나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프랑수아기욤 메나조 |
원어 이름 | François-Guillaume Ménageot |
출생일 | 1744년 7월 9일 |
출생지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런던 |
사망일 | 1816년 10월 4일 |
사망지 | 프랑스 제1제국 파리 |
국적 | 프랑스 |
성별 | 남성 |
종교 | 로마 가톨릭 |
직업 및 사조 | |
학력 및 경력 | |
스승 | 장바티스트앙리 데에 장마리 비앵 프랑수아 부셰 |
가족 관계 | |
수상 및 훈장 | |
수상 | 로마 대상(1766) |
훈장 |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 훈장(1809) |
작품 활동 | |
대표작 | 키루스의 머리를 피 그릇에 담그는 토미리스 여왕 |
기타 정보 |
2. 생애
프랑수아기욤 메나조는 1744년 런던에서 미술상인이자 드니 디드로의 재정 담당자인 오귀스탱 메나조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바티스트앙리 데에에게 처음으로 그림을 배웠으며 이후 조제프마리 비엥과 프랑수아 부셰에게 사사했다. 초기 작품에서는 부셰의 스타일과 따뜻하고 밝은 색채를 사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766년에 <키루스의 머리를 피 그릇에 담그는 토미리스 여왕>으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를 계기로 1769년부터 1774년까지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1787년부터 1793년까지 루이장프랑수아 라그레네의 후임으로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 이사직을 맡으면서 화가 활동을 했다.
1777년 예술 아카데미는 메나조를 역사 화가로 인정했다. 그는 살롱에서 "폴릭세나가 헤큐바에게 작별을 고하는 장면" (샤르트르 샤르트르 미술관)을 전시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의 입학 작품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는 학습"(1780)과 1781년 "프랑수아 1세의 품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앙부아즈, 호텔 드 빌)도 호평을 받았다. 그와 다른 화가들은 프랑스 회화를 웅장한 양식으로 되돌렸으며, 수평적인 구도, 조각적인 드레이퍼리, 차가운 색채를 사용하고, 더욱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배경으로 삼았다.
이후에도 계속 작품 활동을 하다가 1816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프랑수아기욤 메나조는 1744년 런던에서 미술상인이자 드니 디드로의 재정 담당자인 오귀스탱 메나조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바티스트앙리 데에에게 처음으로 그림을 배웠으며 이후 조제프마리 비엥과 프랑수아 부셰에게 사사했다. 초기 작품에서는 부셰의 스타일과 따뜻하고 밝은 색채를 사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766년에 <키루스의 머리를 피 그릇에 담그는 토미리스 여왕>으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를 계기로 1769년부터 1774년까지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2. 2. 로마 유학
장바티스트앙리 데에에게 처음으로 그림을 배웠으며 이후 장마리 비앵과 프랑수아 부셰에게 사사했다. 1766년에 <키루스의 머리를 피 그릇에 담그는 토미리스 여왕>으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를 계기로 이탈리아에 머물렀다. 1769년부터 1774년까지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2. 3. 프랑스에서의 활동
프랑수아기욤 메나조는 1744년 런던에서 미술상인이자 드니 디드로의 재정 담당자인 오귀스탱 메나조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바티스트앙리 데에에게 처음으로 그림을 배웠으며 이후 장마리 비앵과 프랑수아 부셰에게 사사했다. 초기 작품에서는 부셰의 스타일과 따뜻하고 밝은 색채를 사용했다.1766년에 <키루스의 머리를 피 그릇에 담그는 토미리스 여왕>으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를 계기로 이탈리아에 머물렀다. 1769년부터 1774년까지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1777년 예술 아카데미는 메나조를 역사 화가로 인정했다. 그는 살롱에서 "폴릭세나가 헤큐바에게 작별을 고하는 장면"을 전시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의 입학 작품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는 학습"(1780)과 1781년 "프랑수아 1세의 품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 호평을 받았다. 메나조를 포함한 여러 화가들은 프랑스 회화를 웅장한 양식으로 되돌렸으며, 수평적인 구도, 조각적인 드레이퍼리, 차가운 색채를 사용하고, 더욱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배경으로 삼았다.
1787년부터 1793년까지는 루이장프랑수아 라그레네의 후임으로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 이사직을 맡으면서 화가 활동을 했다. 이후에도 계속 작품 활동을 하다가 1816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3. 주요 작품
- ''토미리스가 키루스의 머리를 피가 담긴 그릇에 담그는 모습''(1766; 파리,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데 보자르)
- ''폴릭세나가 헤큐바에게 작별을 고하는 모습''(1777; 샤르트르, 보자르 미술관)
- ''예루살렘의 역병''(1779; 두에, 생 피에르 대학)
- ''세월의 흐름에 저항하는 학습''(1780; 파리,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데 보자르)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죽음, 프랑수아 1세의 품 안에서''(1781; 앙부아즈, 시청)
- ''아스티아낙스가 안드로마케의 품에서 떼어지는 모습''(1783, 앙제, 보자르 미술관)
- ''클레오파트라, 안토니우스에게 마지막 경의를 표하다''(1785; 앙제, 보자르 미술관)
- ''스키피오의 절제''(1787; 지돌호비체 박물관)
- ''멜레아게르, 그의 가족에게 간청을 받다''(1789; 파리, 루브르 박물관)
- ''목자들의 경배'', 빌뇌브 쉬르 윤느 교회
- ''목자들의 경배'', 생 튱스타슈 교회
- ''휴식을 취하는 헤라클레스''
- ''1806년 1월 13일 뮌헨 레지덴츠에서 A [https://www.hdbg.eu/koenigreich/index.php/ereignisse/index/herrscher_id/3/id/23 아우구스테 아말리에 폰 바이에른]과 외젠 드 보아르네의 결혼''
- ''툴리아, 아버지의 시체를 밟고 전차를 몰다''
3. 1. 대표작
- ''토미리스가 키루스의 머리를 피가 담긴 그릇에 담그는 모습''(1766; 파리,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데 보자르)
- ''폴릭세나가 헤큐바에게 작별을 고하는 모습''(1777; 샤르트르, 보자르 미술관)
- ''예루살렘의 역병''(1779; 두에, 생 피에르 대학)
- ''세월의 흐름에 저항하는 학습''(1780; 파리,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데 보자르)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죽음, 프랑수아 1세의 품 안에서''(1781; 앙부아즈, 시청)
- ''아스티아낙스가 안드로마케의 품에서 떼어지는 모습''(1783, 앙제, 보자르 미술관)
- ''클레오파트라, 안토니우스에게 마지막 경의를 표하다''(1785; 앙제, 보자르 미술관)
- ''스키피오의 절제''(1787; 지돌호비체 박물관)
- ''멜레아게르, 그의 가족에게 간청을 받다''(1789; 파리, 루브르 박물관)
- ''목자들의 경배'', 빌뇌브 쉬르 윤느 교회
- ''목자들의 경배'', 생 튱스타슈 교회
- ''휴식을 취하는 헤라클레스''
- ''1806년 1월 13일 뮌헨 레지덴츠에서 A [https://www.hdbg.eu/koenigreich/index.php/ereignisse/index/herrscher_id/3/id/23 아우구스테 아말리에 폰 바이에른]과 외젠 드 보아르네의 결혼''
- ''툴리아, 아버지의 시체를 밟고 전차를 몰다''
4. 화풍 및 영향
5.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