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워 트래블링 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는 1960년대 후반 결성된 일본의 사이키델릭 록 밴드이다. 초기에는 더 플라워즈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지미 헨드릭스 등의 곡을 커버하고 엔카풍의 음악을 시도했으나, 1969년 멤버 교체를 통해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로 재편되었다. 1970년 캐나다에서 라이브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였고, 미국 애틀랜틱 레코드와 계약하여 앨범 『Satori』를 발매, 캐나다 차트에 진입하는 등 해외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동양적인 선율과 영어 가사를 결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1973년 해체 후 2007년 재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갔으나, 보컬 조 야마나카의 사망으로 2011년 다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도어스
1965년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록 밴드 도어스는 짐 모리슨, 레이 만자렉, 로비 크리거, 존 덴스모어로 구성되어 사이키델릭 록과 하드 록을 선도하며 "Light My Fire" 등의 히트곡과 실험적인 사운드로 록 음악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197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프리 (밴드)
프리는 폴 로저스의 보컬과 폴 코소프의 기타 연주를 중심으로 1968년부터 1973년까지 활동하며 "All Right Now"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영국의 록 밴드이며, 블루스와 소울에 기반한 사운드로 초기 하드 록 형성에 기여했다. - 사이키델릭 록 밴드 - ROVO
ROVO는 1995년 결성된 일본의 스페이스 록 밴드로, 크라우트 록 영향을 받은 트랜스 음악 스타일, 긴 연주 시간, 트윈 드럼과 전기 바이올린 연주가 특징이며, 다양한 페스티벌 참가 및 자체 페스티벌 개최 등 활발한 활동과 라이브 공연에서 강렬한 에너지를 보여주는 밴드이다. - 사이키델릭 록 밴드 - 보어덤스
보어덤스는 야마타카 아이가 1986년 결성한 일본 노이즈 록 밴드로,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V∞redoms라는 이름으로 대규모 드럼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 일본의 하드 록 밴드 - TOKIO
TOKIO는 1989년 결성된 일본의 밴드로, 1994년 데뷔하여 음악 활동을 이어오다 2021년 자회사를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일본의 하드 록 밴드 - D (밴드)
D는 2003년 결성된 일본의 비주얼계 밴드로, 2024년 3월 활동 중단을 발표했으며, 2008년 메이저 데뷔 후 다양한 활동을 펼치다 2023년 20주년을 기념하며 활동 휴지를 발표했다.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FTB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 유야 우치다 & 더 플라워즈 |
결성지 | 도쿄, 일본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헤비 메탈 프로그레시브 록 애시드 록 |
활동 기간 | 1967년 – 1973년 2007년 – 2011년 |
레이블 | 폴리도르 애틀랜틱 GRT 워너 포니캐니언 |
웹사이트 | flowertravellingband.com |
이전 구성원 | 조지 "조지" 와다 우치다 유야 (사망) 레미 아소 가쓰히코 고바야시 스스무 오쿠 겐 하시모토 히로시 지바 겐토 나카무라 야마나카 조 (사망) 이시마 히데키 고바야시 준 시노하라 노부히코 |
2. 결성 배경 및 초기 활동 (더 플라워즈)
우치다 유야는 유럽 여행 중 사이키델릭 문화의 폭발을 경험하고 런던에서 지미 헨드릭스의 공연을 보았다. 일본에 돌아온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딴 밴드 '더 플라워즈'를 결성했고 1968년 중반부터 공연을 시작했다. 여러 가지 싸이키델릭 무대를 연출했지만, 춤추기 어려운 음악을 한다며 공연장에서 불만을 듣기도 했다.[4]
우치다는 일본에 비슷한 사운드를 소개하고 싶어 다양한 그룹 사운드 뮤지션들과 남성 보컬 치바 히로시, 여성 보컬 아소 레미를 영입하여 "플라워즈"를 결성했다. 1968년에는 지미 헨드릭스, 크림, 제퍼슨 에어플레인,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곡들을 커버하고, 오리지널 곡을 포함한 앨범 ''Challenge!''를 발매했다. 앨범 커버에는 각 멤버들이 나체로 포즈를 취한 사진이 실려 일본 언론에 화제를 불러일으켰다.[4]
이후 멤버들의 미국행 등으로 해산된다.[5]
2. 1. 더 플라워즈의 음악
더 플라워즈는 자작곡 외에도 지미 헨드릭스, 크림 등 서구 록 밴드의 곡을 커버하며 사이키델릭 사운드를 구현하려 노력했다. 당시 일본에서는 구하기 힘들었던 페달 이펙터를 사용하는 등, 시대를 앞서간 음악적 시도를 보여주었다.[12] 그러나 엔카풍의 곡조가 섞여 있는 등, 완벽한 사이키델릭 록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점도 있었다.3.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로의 재편
우치다 유야와 더 플라워즈는 멤버 교체를 거쳐 1970년 2월, 4인조 밴드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로 재편되었다. 새로운 멤버는 조 야마나카(보컬), 이시마 히데키(기타), 코즈키 준(현 고바야시 준, 베이스), 와다 조지(드럼)였다. 우치다 유야는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밴드는 일본 컬럼비아에서 히노 테루마사 퀸텟과 싱글 "Crash"를 발표한 후, 10월에 일본 포노그램에서 앨범 《Anywhere》를 발표했다.
1972년 3월 귀국 후, 시노하라 노부히코가 키보드 서포트 멤버로 밴드에 참여했다.[14] 전국 순회 콘서트를 열었고, 1973년 1월 롤링 스톤스의 일본 공연 오프닝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믹 재거의 비자 문제로 내한이 취소되어 큰 기회를 놓쳤다.[5][14] 1973년 2월, 앨범 《Make Up》을 발표했고, 같은 해 4월, 교토 마루야마 공원 음악당에서 열린 콘서트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14]
해산 후, 이시마와 시노하라는 신 육문전의 전 멤버들과 트랜잠을 결성했고, 다른 멤버들은 솔로로 음악 활동을 계속했다. 코즈키 준은 후에 캐나다에서 사업가로 전향했다.[14]
3. 1. 해외 진출과 성공
1970년 오사카 만국 박람회에 출연하던 중 캐나다 록 밴드 라이트하우스와 알게 되었고, 그들의 초청으로 캐나다로 건너갔다. 현지에서 라이브 활동을 하며 평가를 높였고, 미국의 애틀랜틱 레코드와 계약했다. 1971년 4월, 앨범 《SATORI》를 미국과 캐나다에서 발매했고(일본에서는 워너 파이오니아에서 발매), 이 앨범과 싱글로 발매된 "SATORI Part 2"는 캐나다 차트에 진입했다.[14] 또한, 라이트하우스, ELP, 닥터 존 등과 같은 뮤지션들과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4. 음악 스타일 및 특징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는 서구의 사이키델릭 록, 하드 록 사운드를 기반으로 일본 및 동양의 전통 음악 요소를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우치다 유야의 제안으로 전곡을 영어 가사로 노래하면서도 동양적인 선율을 사용하여, 당시 일본 내에서 벌어졌던 '일본어 록 논쟁'에 대한 밴드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조 야마나카의 하이톤 보컬과 이시마 히데키의 슬라이드 기타 연주가 돋보였다.
1977년에는 히타치의 텔레비전 광고 음악으로 채택되어 다시 주목을 받았다. 데이비드 보위는 이들을 높이 평가하여 활동 거점을 뉴욕으로 옮길 것을 권유했지만, 이미 밴드의 해산이 결정되어 무산되었다.
일본의 헤비 메탈 밴드 Outrage는 1988년 앨범 『Black Clouds』에서 〈Slowly But Surely〉(『Make Up』 수록곡)를 커버했다. 2000년에는 UNITED, 더 서프 코스터즈 등에 의한 트리뷰트 앨범이 발매되었다.[15] 2002년에는 미이케 다카시 감독의 영화에 『SATORI』가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되었다.[16]
영국의 뮤지션 줄리안 코프는 2007년 저서 『재프록 샘플러』에서,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를 일본 록앤롤 밴드의 최고봉으로 꼽았다.
4. 1. SATORI
1970년 세계 박람회에서 캐나다 밴드인 라잇하우스와 친해져 애틀랜틱 레코드와 계약해 북미에서 앨범 《Satori》를 발매했다. 싱글은 캐나다 차트에 진입했다.[17] 이들은 라잇하우스, ELP, 닥터 존 등과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우치다 유야의 제안으로 전곡이 영어 가사로 되어있지만 동양적 선율도 가지고 있는 독자성을 가진 밴드였다. 당시 일본에서는 록을 영어로 할 것인가 일본어로 할 것인가라는 논쟁이 있었는데 우치다는 영어로 결론을 내렸다. 야마나카의 고음과 이시마의 슬라이드 기타가 어우러진 《Satori》는 높은 수준의 연주력으로 세계에 알려졌다.
미이케 다카시의 영화 《実録・安藤昇侠道伝 烈火》에 《Satiori》가 사용되었다.[18]
5. 해체와 재결성
1973년 1월, 롤링 스톤스의 일본 공연 오프닝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내한이 무산되면서 큰 기회를 놓치게 되었다.[14] 1973년 2월, 앨범 『Make Up』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 4월, 교토 마루야마 공원 음악당에서 열린 콘서트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14]
해산 후, 이시마 히데키와 시노하라 노부히코는 신 육문전의 전 멤버들과 함께 트랜잠을 결성했고, 다른 멤버들은 솔로로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코즈키 준은 이후 캐나다에서 사업가로 전향했다.[14]
2007년 11월 25일, 원년 멤버들을 중심으로 재결성되었으며, 2008년에는 새 앨범 발매와 콘서트 활동을 재개했다. 이번 재결성에서는 시노하라 노부히코가 다시 정식 멤버로 영입되었다.
후지 록 페스티벌08에 참가했고, 2008년 9월에는 앨범 『We are here』가 발매되었으며, 전국 7개 지역에서 앨범 투어를 진행했다.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2008년 11월에는 뉴욕 공연, 12월에는 캐나다 공연을 가졌다.
6. 한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가 한국 대중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7. 구성원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는 여러 차례 멤버 교체를 겪었다. 밴드의 구성원과 활동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역할 | 활동 기간 |
---|---|---|
우치다 유야 | 타악기, 백 보컬, 프로듀서 | 1967년 ~ 1973년 (2019년 사망) |
조 야마나카 | 보컬, 하모니카 | 1969년 11월 ~ 1973년 12월, 2007년 7월 ~ 2011년 (사망) |
이시마 히데키 | 기타, 시타르 | 1969년 11월 ~ 1973년 12월 |
이시마 히데키 | 시타라 | 2007년 7월 ~ 2011년 |
고즈키 준 | 베이스 기타 | 1969년 11월 ~ 1973년 12월, 2007년 7월 ~ 2011년 |
와다 조지 | 드럼 | 1967년 ~ 1973년 12월, 2007년 7월 ~ 2011년 |
시노하라 노부히코 | 키보드 | 2007년 7월 ~ 2011년 |
아소 레미 | 보컬, 기타 | 1967년 ~ 1969년 |
고바야시 카츠히코 | 기타 | 1967년 ~ 1969년 |
오쿠 스스무 | 기타, 백 보컬 | 1967년 ~ 1969년 |
하시모토 켄 | 베이스 | 1967년 ~ 1969년 |
지바 히로시 | 보컬 | 1967년 ~ 1968년 |
나카무라 겐토 | 보컬 | 1968년 ~ 1969년 |
7. 1. 더 플라워즈 (1967-1969)
우치다 유야는 1960년대 중반 존 레논을 만나기 위해 영국을 방문한 후 일본으로 돌아와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 밴드를 시작했다. 그는 그곳에서 크림, 지미 헨드릭스 등 여러 신진 아티스트들을 소개받았다. 우치다는 일본에도 비슷한 사운드를 소개하고 싶어 다양한 그룹 사운드 뮤지션들과 남성 보컬 치바 히로시, 여성 보컬 아소 레미를 영입하여 "플라워즈"를 결성했다.[4]1968년에는 지미 헨드릭스, 크림, 제퍼슨 에어플레인,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곡들을 커버하고, 오리지널 곡을 포함한 앨범 ''Challenge!''를 발매했다. 앨범 커버에는 각 멤버들이 나체로 포즈를 취한 사진이 실려 일본 언론에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1969년, 앨범 발매 후 아소 레미와 기타리스트 코바야시 카츠히코는 미국으로 이주했다.
플라워즈 (1967-1969) 멤버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역할 |
---|---|
우치다 유야 | 프로듀서, 보컬 |
아소 레미 | 보컬, 기타 |
코바야시 카츠히코 | 기타 |
오쿠 스스무 | 기타, 백 보컬 |
하시모토 켄 | 베이스 |
와다 조지 | 드럼 |
치바 히로시 | 보컬 |
나카무라 켄토 | 보컬 |
7. 2.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 (1969-1973, 2007-2011)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는 1969년 11월부터 1973년 12월까지, 그리고 2007년 7월부터 2011년까지 활동한 일본의 록 밴드이다. 다음은 밴드의 주요 멤버와 활동 기간을 정리한 표이다.멤버 | 역할 | 활동 기간 |
---|---|---|
조 야마나카 | 보컬, 하모니카 | 1969년 11월 ~ 1973년 12월, 2007년 7월 ~ 2011년 (사망) |
이시마 히데키 | 기타, 시타르 | 1969년 11월 ~ 1973년 12월 |
이시마 히데키 | 시타라 | 2007년 7월 ~ 2011년 |
고즈키 준 | 베이스 기타 | 1969년 11월 ~ 1973년 12월, 2007년 7월 ~ 2011년 |
와다 조지 | 드럼 | 1967년 ~ 1973년 12월, 2007년 7월 ~ 2011년 |
시노하라 노부히코 | 키보드 | 2007년 7월 ~ 2011년 |
시노하라 노부히코는 1972년에 키보드 연주자로 밴드에 합류했으며, 2007년 재결성 때 정식 멤버가 되었다.[1]
8. 음반 목록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는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주요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969년 7월 - 우치다 유야와 더 플라워즈, 「Challenge!」 (내수용)
- 1970년 10월 21일 - 『Anywhere』
- 1971년 4월 25일 - 『SATORI』
- 1972년 2월 10일 - 『Made In Japan』
- 1973년 2월 25일 - 『Make Up』
- 1975년 10월 - 『The Times』
- 2008년 9월 - 『We are here』
더 플라워즈와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의 자세한 음반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1. 더 플라워즈
더 플라워즈는 1969년에 데뷔 앨범 《Challenge!》를 발매했고, 같은 해 "Last Chance" b/w "Flower Boy", "Flower Boy" b/w "Last Chance",[12] "Fantastic Girl" b/w "Yogiri no Trumpet" 싱글을 발매했다. 이치야나기 토시의 멀티미디어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다양한 아티스트가 참여한 《요코오 타다노리의 작품에서 오페라》(Opera from the Works of Tadanori Yokoo)(1969)와 여러 아티스트가 참여한 라이브 앨범 《록큰롤 잼 '70》(Rock 'n' Roll Jam '70)(1970)에도 참여했다. 《록큰롤 잼 '70》에서 플라워스는 "All Is Loneliness", "Piece of My Heart", "You Shook Me", "Kozmic Blues", "How Many More Times"를 연주했다.8. 2.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는 다음과 같은 음반과 싱글을 발매했다.종류 | 음반명 | 발매일 | 비고 |
---|---|---|---|
정규 음반 | Anywhere | 1970년 |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의 첫 번째 음반. |
정규 음반 | Satori | 1971년 | 첫 번째 오리지널 정규 음반. |
정규 음반 | Made in Japan | 1972년 | 두 번째 오리지널 정규 음반. |
정규 음반 | Make Up | 1973년 | 라이브와 스튜디오 녹음으로 구성된 더블 앨범. 시노하라 노부히코가 참여. |
정규 음반 | We Are Here | 2008년 | 우치다 유야 없이 재결성 후 첫 번째 음반. |
싱글 | "Crash" b/w "Dhoop" | 1970년 | 트럼펫 연주자 히노 테루마사와 함께한 싱글.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 명의의 첫 번째 녹음. |
싱글 | "Map" b/w "Machine Gun Kelly" | 1971년 | 조 마마와 함께한 스플릿 싱글. |
싱글 | "Satori Pt. 1" | 1971년 | 캐나다 전용 싱글. (캐나다 28위[13]) |
컴필레이션 | Satori | 1971년 | 캐나다 전용 컴필레이션 앨범. |
컴필레이션 | The Times | 1975년 | 베스트 앨범. |
비디오 | Resurrection | 2008년 | DVD. |
기타 | Kirikyogen | 1970년 | 카와치 쿠니의 앨범. 야마나카와 이시마만 참여했지만 플라워 트래블링 밴드와 공동 명의로 표기되기도 함. |
싱글 | KAMIKAZE/천국과 지옥 Heaven and hell | 워너 파이오니아/ATLANTIC, P-1100A | |
싱글 | Make Up/SHADOWS OF LOST DAYS | 1973년 | 워너 파이오니아/ATLANTIC, P-169A |
싱글 | Woman Shadows of Lost Days 우먼·잃어버린 날들의 그림자/SATORI Part2 | 1973년 | 워너 파이오니아/ATLANTIC, P-1407A |
참조
[1]
웹사이트
Made in Japan - The Flower Travellin' Band - Songs, Reviews, Credits
https://www.allmusic[...]
2019-03-18
[2]
웹사이트
フラワー・トラヴェリン・バンド / SATORI [SHM-CD]
http://artist.cdjour[...]
artist.cdjournal.com
2014-11-06
[3]
웹사이트
CROCODILE _SCHEDULE
http://www.crocodile[...]
2014-11-06
[4]
웹사이트
Yuya Uchida Discography
http://uchidayuya.co[...]
2011-11-02
[5]
웹사이트
We just stopped, took a break. It turned out to be for 36 years!
http://www.jrawk.com[...]
2016-02-03
[6]
간행물
From the Music Capit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71-07-17
[7]
웹사이트
First I had the idea, nobody cared. They said 'you're crazy!'
http://jrawk.com/Con[...]
2011-11-02
[8]
웹사이트
Sex, drugs and sitars
http://www.japantime[...]
2016-02-02
[9]
웹사이트
Popular singer Joe Yamanaka dies at 64
http://english.kyodo[...]
2011-11-02
[10]
웹사이트
歌手で俳優の内田裕也さん(79)が死去
https://news.tv-asah[...]
2019-03-17
[11]
웹사이트
内田裕也が79歳で死去
https://natalie.mu/m[...]
2019-03-19
[12]
웹사이트
Yuya Uchida Discography
http://intnl.uchiday[...]
2011-09-08
[13]
웹사이트
RPM Top 100 Singles - July 10, 1971
http://www.collectio[...]
[14]
문서
AERA
2008-07-14
[15]
뉴스
毎日新聞
2000-10-10
[16]
웹사이트
Flower Travellin' Band
http://www.japrocksa[...]
2011-08-27
[17]
문서
AERA
2008-07-14
[18]
웹인용
Flower Travellin' Band
http://www.japrocksa[...]
2011-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