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서산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서산장은 청나라 황제의 여름 별궁으로, 정치, 군사, 외교 등 국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이다. 1703년부터 1792년까지 89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베이징 다음가는 제2의 정치 중심지로 불렸다. 피서산장은 궁궐 구역, 자연경관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의 사찰과 황실 정원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강희제, 건륭제, 가경제는 여름 더위를 피하기 위해 이곳에서 머물렀으며, 함풍제는 이곳에서 사망했다.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박지원의 열하일기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더시의 건축물 - 외팔묘
    외팔묘는 건륭제가 티베트와 몽골 민족을 회유하기 위해 건설한 티베트 양식의 사찰과 사당들을 총칭하며, 주요 구성 요소로는 부인사, 보녕사, 보우사, 안원묘, 보락사, 보타종승지묘 등이 있고, 1961년에는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 산악 리조트 - 바기오
    바기오는 필리핀 루손 섬 북부 고산 도시로, 식민 시대에 휴양 도시로 개발되어 하계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코르딜레라 행정구역의 중심지이자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서, 시원한 기후와 자연경관,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축제로 유명하지만 대기 오염과 폐기물 문제도 안고 있다.
  • 산악 리조트 - 이제반
    아르메니아 북동부에 위치한 이제반은 타부시 주의 주도로, 주요 무역로에 위치하여 대상 숙소가 많았으며,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이후 타부시 주의 중심지가 되었고 현재는 와인, 브랜디 공장과 문화 유적지, 국제 오프로드 레이싱 대회 등으로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피서산장
개요
청더 피서 산장
청더 피서 산장
위치솽차오 구, 중국
부분청더 피서 산장과 주변 사묘
좌표40°59′15″N 117°56′15″E
유네스코 ID703
등재 연도1994년
등재 기준(ii), (iv)
명칭
중국어 간체避暑山庄
중국어 번체避暑山莊
병음Bìshǔ Shānzhuāng
웨이드-자일스Pi-shu Shan-chuang
의미더위를 피하는 산장
다른 이름Ligong (이궁, 离宫, 離宮)
의미별궁
만주어Halhūn be jailara gurung
의미더위를 피하는 산장
영어Chengde Mountain Resort
지리
위치허베이 성에서 베이징 시에서 북동쪽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
정보
유형문화유산
중요도
중요 정보정보 중요도 순으로 정렬하고, 중요 정보가 상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십시오.
스타일
위키백과 문서 스타일낮춤말 (해라체)로 작성하십시오.
링크 처리
내부 링크링크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외부 링크설명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URL과 설명 사이에 | (파이프) 문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파일
이미지 파일image_file 키 사용, 값은 파일명 (문자열). 예: image_file: Flag_of_Nauru.svg
음성/사운드 파일sound_file 키 사용, 값은 파일명 (문자열).

2. 역사

청의 황제는 선양(당시 봉천)에 제사를 지내러 갈 때마다 요양과 휴식을 위하여 청더에 머물렀다. 청더는 계절과 날씨가 좋고, 자연이 수려하며, 풍경이 아름다워 황제가 쉴 만한 곳이었다. 청더에는 온천 등도 있었기 때문에 강희제1703년에 청더에 2개의 별궁을 짓기로 결정한다. 이후 옹정제를 거쳐 1741년 건륭제 때 대규모 정비가 이루어져, 1790년에 완성하고, 외팔묘를 궁 밖에 짓기 시작한다. 이곳은 청나라 전기의 황제의 여름 집무지로, 베이징 다음가는 제2의 정치 중심이었다.

청나라 시대의 피서산장 지도


1703년부터 1792년까지 청나라 시대에 걸쳐 89년에 걸쳐 건설된 피서산장은 총면적이 5.6km2에 달하며, 청더시 도시 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궁궐과 행정 및 의식 건물들이 광대한 규모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의 사찰과 황실 정원이 호수, 목초지, 숲이 어우러진 풍경과 조화롭게 어울린다.

강희제, 건륭제, 가경제는 수도 베이징의 여름 더위를 피하기 위해 매년 몇 달씩 이곳에서 보냈으며, 피서산장 남쪽의 궁궐 지역은 베이징의 자금성을 본떠 설계되었다. 피서산장은 앞쪽의 조정과 뒤쪽의 황실 가족 거처인 침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앞쪽의 조정에서는 황제가 고위 관리, 여러 소수 민족 귀족 및 외국 사절을 접견하였다. 가경제1820년, 함풍제1861년 승덕에 머무르는 동안 각각 사망하였다.

피서산장은 청나라 황제가 옛 수도인 봉천(심양)을 왕래할 때 들르는 곳으로 87년에 걸쳐 정비된 별궁이다. 이 별궁의 정비에는 소주한산사 등이 모티브가 되었다. 주변에는 사찰이 둘러싸고 있는데, 이것을 외팔묘라고 한다. 외팔묘에는 포탈라궁을 모델로 건축된 푸터종승지묘(普陀宗乗之廟)가 있으며, 티베트 양식과 중국 양식을 절충한 대표적인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2. 1. 강희제

강희제는 매년 입추 이후 목란위장을 찾아 20여 일에 걸쳐 사냥을 했으며 피서산장으로 돌아와 쉬었다. 산장 정궁의 오문에 걸려있는 '피서산장'이라는 현판은 강희제가 직접 쓴 것이다. 그는 피서산장에서 북방의 소수민족들과 잦은 만남을 가지며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열하행궁과 그 주변에 있는 사당에서는 소수민족의 종교적 의식을 거행하였다. 피서산장은 그가 유약하지 않도록 사냥을 함으로 문과 무의 균형을 유지하는 장소였다.

강희제는 연보지쌍전에서 총 12번의 여름을 보냈다.

2. 2. 건륭제

청나라 건륭제는 1793년 피서산장에서 영국 사절단을 접견했다. 영국 사절단은 톈진, 닝보, 저우산 등의 항구 개항과 광저우 부근 토지 할양을 요구했으나, 건륭제는 이를 모두 거절하였다.[1]

건륭제는 재위 기간 동안 52번의 여름을 피서산장에서 보냈다.[1]

2. 3. 함풍제

제2차 아편 전쟁 때 영-프 연합군이 베이징에 난입하자 함풍제는 피서산장으로 피난을 왔으며, 이듬해 피서산장에서 사망하였다. 이후 권력을 잡은 자희태후는 함풍제 때 시작된 보수 공사를 모두 중지하라고 명하였고, 피서산장 대신에 이화원을 건설하였다.[1] [2]

2. 4. 만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1933년 일본 군대가 이곳에 주둔하고 만주국을 세웠으며, 이곳의 문화재를 약탈해 갔다.[1] 1961년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선정되었으며, 1994년 외팔묘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1]

3. 건축

피서산장의 건축은 중국 강남지방의 훌륭한 정원과 명승을 참고해 지어졌다. 특히 쑤저우의 사자림과 한산사, 항저우의 무릉사와 육화탑, 진강의 금산정, 가흥의 연우루 등을 모방하였다고 전해진다. 내몽골과 대흥안령 등으로부터 소나무를 가져와 건축물에 이용했고, 원내에는 사고전서가 소장되어 있다. 피서산장과 주변 사원의 경치는 자연환경과 건축물의 조화를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로, 현대에까지도 경관 설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피서산장은 궁전 구역과 자연경관 구역(호수, 평원, 산악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에 위치한 100,200m2 규모의 궁전 구역은 청 황제가 기거하면서 행정 사무 및 의식을 치르는 장소였다. 이 구역은 정궁(正宮), 송학재(松鶴齋), 만예송풍(萬叡松風), 동궁(東宮)을 포함한 네 그룹의 건물들로 구성되는데, 건물들은 중국 전통의 간결한 양식으로 지어졌지만 황제의 근엄함도 갖추고 있다. 남동쪽에 위치한 496,000m2 규모의 호수 구역은 중국의 신화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중국 정원 양식에 맞게끔 설계되었다. 이 구역에는 장강 남부 지역과 비슷한 경치를 만들어내는 8개의 호수와 여러 건물이 있다.

북쪽으로 펼쳐진 607,000m2 규모의 평원 구역은 서쪽의 초원과 동쪽의 산림 구역으로 나뉜다. 초원 구역에서는 말 경주가 열렸고, 나머지는 특별한 손님을 모시는 정치적 접대소 역할을 했다. 이곳은 ‘만 그루의 나무가 있는 정원’이라는 뜻의 만수원(萬樹園)으로 불린다. 산림 구역의 서쪽에는 황제의 가장 큰 장서각 중 하나인 문진각(

문진각
)이 있고, 다른 여러 건물들은 풍경 사이사이에 들어서 있다.

북서쪽에 위치한 산악 구역은 400,000m2가 넘는 광대한 부지와 4개의 큰 협곡(정자, 송림, 예서, 송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역에 세워졌던 전당과 정자, 사원, 수도원 가운데 지금은 40여 채의 잔해만이 남아 있다.

피서산장은 강희제와 건륭제가 명명한 72개의 경승지로 가장 유명하다. 호수 주변의 많은 경승지는 중국 남부의 유명한 조경 정원을 본떠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녹련섬(綠蓮島)에 있는 주요 건물인 연우루(煙雨樓)는 저장성 가흥의 남호에 있는 탑을 본떠 지었다. 평지 지역은 몽골 초원의 풍경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숲이 우거진 산과 계곡에는 다양한 건물들이 산재해 있는데, 1751년 건륭제 재위 시절에 건설된 중국에서 가장 높은 탑 중 하나인 높이 70m의 석탑(石塔)이 그 예이다. 이 탑은 팔각형 기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9층에는 화려한 유약 기와로 장식되어 있고, 첨탑에는 금박을 입힌 둥근 첨탑이 얹어져 있다.

3. 1. 외팔묘

피서산장 주변에는 사찰들이 둘러싸고 있는데, 이것을 외팔묘라고 한다. 외팔묘에는 포탈라궁을 모델로 건축된 푸퉈종성즈먀오(普陀宗乗之廟)가 있으며, 티베트 양식과 중국 양식을 절충한 대표적인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4. 한국 문학 속의 피서산장

1780년 조선 정조 4년, 사행단의 총지휘자였던 삼종형(三從兄, 팔촌형) 박명원의 수행 비서역(군관자제 신분)으로 따라나선 연암 박지원은 열하일기를 저술하였다. 전 26권으로 구성된 이 기행문은 조선에서 출발하여 열하행궁(熱河行宮, 현재의 승덕(承德 청더))에 도착, 건륭제를 만나는 과정을 담고 있다.[1]

조선 사신단은 1780년 음력 8월 9일부터 8월 14일까지 6일간 열하(熱河)에 머물렀으며, 이에 대한 박지원의 기록은 열하일기 제6권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에 기록되어 있다.[1]

특히 피서산장에 관한 상세한 기록은 마지막 권인 26권 피서록(避署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연암은 한양을 출발, 압록강을 건너 박천, 의주, 풍성, 요양, 거류하, 북진, 산해관, 옥전, 연경을 거쳐 최종 목적지인 열하(청더)에 이르기까지 장장 4개월에 걸친 빡빡한 일정을 소화하였다.[1]

5. 기후

피서산장은 온대 남부 기후와 온대 북부 기후의 전이대에 위치해 있으며, 온대와 반건조의 대륙성 계절풍 기후를 갖고 있다. 일교차가 크며, 겨울은 춥고 눈이 적게 내린다. 여름에는 소나기가 많아 무더운 기간이 적다. 피서산장은 사계절 여행하기에 적합하지만, 4월부터 10월까지가 가장 좋다.[4]

6. 행사

2018년 여자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는 단지 내 호수의 천연 얼음판에서 열렸다.

참조

[1] 웹사이트 Mountain Resort and its Outlying Temples, Chengde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4-03
[2] 서적 Journal of garden history, Volume 19 Taylor & Francis, University of California
[3]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文化和旅游部 http://www.mcprc.gov[...] 2018-07-05
[4] 웹사이트 承德-气象数据-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2018-07-05
[5] 웹사이트 国务院批转城乡建设环境保护部等部门关于审定第一批国家重点风景名胜区的请示的通知 http://fgcx.bjcourt.[...] 北京法院法規検索 1982-11-08
[6] 웹사이트 承德避暑山庄及周围寺庙景区 https://www.mct.gov.[...] 中华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