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베강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베강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전선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로, 1918년 6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마지막 공세였다. 카포레토 전투 패배 이후 이탈리아 육군 참모총장이 된 아르만도 디아스는 기동성을 높인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피아베강을 건너 교두보를 확보했으나, 이탈리아군의 반격과 보급 부족으로 인해 결국 퇴각했다. 이 전투의 패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앞당겼으며, 독일의 전략에도 큰 타격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8년 이탈리아 -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1918년 이탈리아군이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 지휘 하에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피아베 강 방어선을 돌파하고 비토리오 베네토를 점령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가속화시키고 이탈리아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1918년 6월 - 벨로 숲 전투
1918년 6월,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로 숲에서 미 해병대가 독일군을 격퇴하여 용맹함을 인정받아 "악마견"이라는 별명을 얻은 이 전투는 미 해병대 역사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있다. - 1918년 6월 - 1918년 6월 8일 일식
1918년 6월 8일 일식은 일본 남부에서 시작하여 태평양, 미국, 바하마를 지나며, 오키나와, 미국 서부 등지에서 개기 일식으로 관측되었고, 사로스 주기 126에 속한다. - 1918년 전투 -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1918년 이탈리아군이 아르만도 디아스 장군 지휘 하에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피아베 강 방어선을 돌파하고 비토리오 베네토를 점령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가속화시키고 이탈리아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1918년 전투 - 탐페레 전투
1918년 핀란드 내전 중 핀란드 노동 운동의 중심지 탐페레에서 벌어진 탐페레 전투는 백군의 포위 공격과 격렬한 시가전 끝에 백군의 승리로 끝났으나 양측과 민간인 모두 큰 피해를 입었고, 전투 후 대량 학살이 자행되었으며, 승전 기념물과 희생자 추모 기념물이 세워졌으나 현재까지도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피아베강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피아베 강 전투 |
일부 | 제1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선 |
날짜 | 1918년 6월 15일 – 6월 23일 |
장소 | 피아베 강, 이탈리아 |
결과 | 이탈리아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이탈리아 왕국 영국 제국 프랑스 공화국 미국 |
교전국 2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아르만도 디아츠 |
지휘관 2 | 아르투르 아르츠 폰 슈트라우센부르크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
병력 규모 | |
병력 1 | 57개 사단: 52개 사단 900,000명 3개 사단 약 40,000명 2개 사단 25,000명 총합: 965,000명 5,650문의 포 1,570문의 박격포 676대의 항공기 |
병력 2 | 58개 사단: 946,000명 6,833문의 포 |
피해 규모 | |
피해 1 | 87,181명: 8,396명 사망 30,603명 부상 48,182명 포로 |
피해 2 | 118,042명: 11,643명 사망 80,852명 부상 25,547명 포로 |
관련 정보 | |
참고 문헌 |
2. 배경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동부 전선이 동맹국의 승리로 끝나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탈리아 전선에 병력을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독일군으로부터 증원 부대를 파견받았다. 카포레토 전투의 승리는 독일군에서 파견된 사령관과 소수 정예 돌격 사단에 의한 침투 전술과 이탈리아군 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의 실책으로 이루어졌다. 이탈리아군은 점령 지역을 잃고 30만 명의 전력을 잃은 채 베네토 지방으로 후퇴해야 했다.
루이지 카도르나 대장은 해임되었고, 아르만도 디아스 대장이 새로운 참모총장으로 발탁되었다. 디아스 장군은 베네토주 서부의 피아베강을 따라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했다. 파올로 보셀리 정권이 사임하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가 새로운 총리로 선출되어 런던 조약을 활용해 연합군에 원군을 요청했다. 프랑스군과 영국군이 이탈리아 전선에 증원군을 보냈으나, 대부분 1918년 3월의 춘계 공세에 대비하여 철수했고, 적은 전력만이 남아 이탈리아는 거의 독자적으로 독일-오스트리아군에 대처해야 했다.
오스트리아 측에서는 아르투어 아르츠 폰 슈트라우스넨부르크 상급 대장이 참모총장이 되었는데, 그는 이탈리아 전선을 조기에 종결짓기를 원했다. 군 사령관으로 강등된 프란츠 콘라트 폰 헤첸도르프 전 참모총장과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장군도 공격에 찬성했지만, 공격 위치에 대해 의견이 갈렸다. 보로예비치는 피아베강을 따라 공격할 것을 주장했고, 콘라트는 다른 곳에서 공격할 것을 주장했다. 두 장군이 견원지간이었던 것도 대립을 심화시켰고, 슈트라우스부르크 참모총장은 두 장군에게 애매한 중재를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오스트리아의 공세는 두 곳에서 전력을 이분하여 수행하게 되었다.
독일군은 공격 시작을 요구했고, 1918년 2월 볼차노에서 작전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 독일군의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은 서부 전선에서 증가하는 미국군 사단이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되는 것을 원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침투 전술을 제대로 훈련받지 못하고, 이전처럼 전 전선을 따라 군대의 잔여 병력을 모두 투입하는 전면 공격을 준비했다.[8]
2. 1. 이탈리아군의 방어 전략
카포레토 전투에서 패배한 후, 아르만도 디아스는 이탈리아군의 방어 전략을 전면적으로 개편했다. 디아스는 패배의 주요 원인이 경직된 지휘 체계와 기동성 부족이라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를 주었다.[8]- 유연한 지휘 체계: 참호전을 폐지하고 소규모 부대도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며, 철수, 반격, 포병 지원 요청 등을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 기동 방어: 고도로 기동적인 방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전에 인지된 요새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 예비대 편성: 13개 사단을 예비대로 편성하고 6,000대의 트럭을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병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3. 전투 경과
디아즈 장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공격 시간을 정확히 예측했다. 1918년 6월 15일 오전 3시, 이탈리아 포병대는 오전 2시 30분부터 적의 참호에 포격을 가해 큰 피해를 입혔다.[8]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혼란 속에서도 계획대로 공격을 강행했다. 보로예비치는 아드리아 해안과 피아베강 중류 지역에서 공격을 개시하여, 폭 약 24.14km, 깊이 약 8.05km의 교두보를 확보했으나, 결국 이탈리아군의 저항에 막혀 퇴각해야 했다.[8] 일본 작가 시모이 하루키치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사방에서 굉음이 들려왔고, 아주 가까웠다. 나는 죽거나 부상당한 많은 사람들을 보았다. 나는 그 이틀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젊은 병사가 부상을 입어 쓰러졌다. 파편 조각이 그의 오른쪽 다리에 박혔고, 다른 조각은 오른쪽 눈 아래, 또 다른 조각은 오른쪽 귀에 박혔다...[9]
며칠 후, 보로예비치는 공격을 재개했지만, 포격으로 파괴된 다리 때문에 보급과 증원에 어려움을 겪었다. 불어난 피아베강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서쪽 제방에 고립시켰고, 이들은 이탈리아군의 쉬운 표적이 되었다. 많은 병사들이 강을 건너려다 익사했다.[10] 6월 19일, 디아즈는 반격하여 보로예비치의 군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
한편, 콘라트는 아시아고 고원에서 비첸차 점령을 목표로 공격을 시작했다(6월 15일).[8] 그의 부대는 약간의 진전을 보였지만, 조베토산과 르메를산에서 스코틀랜드군과 이탈리아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다.[11]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4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 보로예비치는 콘라드의 공격 지속 결정을 비판했다.[8]
보급 부족과 이탈리아군의 반격에 직면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카를 황제의 명령으로 6월 20일 퇴각했다.[8] 6월 23일, 이탈리아군은 피아베강 남쪽 제방의 모든 영토를 되찾았고 전투는 종결되었다.
4. 전투 결과 및 영향
피아베강 전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공세 작전이었다. 이 전투의 실패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붕괴의 길로 들어섰고,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 대비할 힘을 잃게 되었다.[12]
이탈리아군 총사령관 아르만도 디아즈는 연합군, 특히 페르디낭 포슈 장군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인 공격을 감행하지 않았다. 당시 이탈리아 부대가 분산되어 있었고, 강을 건너면 병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며칠 동안은 제한적인 작전만 수행되었다.
피아베강 전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대규모 군사 공세였다. 이 작전의 실패는 군대의 사기와 결속력에 큰 타격을 주었고, 제국 전역에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다.[13][14] 이 전투는 4개월 후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를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또한 이 전투는 독일 제국의 전략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독일은 이탈리아와 별도의 평화를 맺고 서부 전선에 집중하려 했으나, 이 전투의 패배로 인해 이 계획은 좌절되었다.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이탈리아에서 서부 전선의 구제를 확보할 수 있다는 희망을 더 이상 가질 수 없었다"라고 기술했다.[15]
전투 후, 오스트리아군은 산발적인 공격을 반복했을 뿐, 전선은 곧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연합군은 이탈리아의 승리를 기뻐했지만, 아르만도 디아즈 장군은 즉시 추격하는 것을 거절했다. 디아즈 장군은 전투의 피해와 오스트리아군의 방어 태세를 우려하여 신중하게 공격 기회를 엿보기로 결정했다.
한편, 패배한 오스트리아군은 이것이 제1차 세계 대전과 합스부르크 제국 역사에서 마지막 공세가 되었음을 인지했다. 이 패배는 독일군에게 오스트리아군이라는 지원군을 잃게 했고,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의 붕괴를 예고하는 사건이 되었다. 4개월 후,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이탈리아 육군은 피아베 강을 도하한다.
5. 기타
이 전투는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붙인 "하지(夏至) 전투"로도 알려져 있다.[15] 1918년 8월 9일, 다눈치오는 11대의 안살도 비행기로 비엔나 상공 비행을 감행하여 수천 장의 전단을 하늘에서 뿌렸다.
전투 이후 1918년 7월과 8월에 발생한 포격전과 총격전에서, 18세의 미국인 구급차 운전사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7월 8일 부상을 입었다. 헤밍웨이는 오스트리아 박격포 공격으로 의식을 잃었고, 포탄 파편이 그의 하지에 박혔다. 헤밍웨이와 함께 있던 이탈리아 병사 2명은 사망했다. 헤밍웨이의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의 1932년 영화 각색에서, 프레데릭 헨리(게리 쿠퍼)는 이 전투에서 다리에 부상을 입는다.
이 전투는 앤드루 크리바크의 소설 "더 소저른"과 앙드레 애치먼의 소설이자 영화인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에서 언급된다. 영화 속 장면은 전투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를 내려다보며 촬영되었으며, 이 기념비는 판디노시에 위치해 있다. 다만, 영화에서는 피아베 전투에서 17만 명이 사망했다고 언급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2년 6월 예수회 유럽 문화 저널 편집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두 할아버지 중 한 명이 제1차 세계 대전 중 "피아베 강에서의 경험"에 참여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아마도 제1차 또는 제2차 피아베 강 전투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피아베" 지도는 2023년 2월 28일 출시 예정인 FPS 전술 슈팅 게임 이손조 (비디오 게임)에 등장할 예정이다.
오늘날, 이탈리아 대중에게 이 전투를 상기시키는 두 가지 모토가 있다. 부서진 시골집 벽에 낙서처럼 쓰여진 "''E' meglio vivere un giorno da leone che cent'anni da pecora''" ("(사자처럼) 단 하루를 사는 것이 양으로 백 년을 사는 것보다 낫다")와 "''Tutti eroi! O il Piave o tutti accoppati''" ("모두 영웅이 되라! 피아베를 지키거나, 아니면 모두 죽음을 맞이하라")가 산 비아조 디 칼라타의 프라치오네인 파가레 델라 바탈리아의 군사 묘지에 보존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Volume 1
[2]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Volume 1
[3]
서적
Dictionary of the First World War
Pen and Sword
[4]
웹사이트
First World War.com - Primary Documents - G.M. Trevelyan on the Battle of the Piave River, 15-22 June 1918
http://www.firstworl[...]
2017-07-04
[5]
서적
Italy from Liberalism to Fascism, 1870–1925
Taylor & Francis
[6]
서적
Decisive battles: Their influence upon history and civilization
C. Scribner's sons
[7]
서적
The Army of Francis Joseph
Purdue University Press
[8]
서적
[9]
웹사이트
Letter from Harukichi Shimoi
https://tikhanovlibr[...]
2023-09-26
[10]
서적
The Literary Digest History of the World War: Compiled from Original and Contemporary Sources
Funk & Wagnalls Company
[11]
웹사이트
Monti Zovetto Lemerle
https://www.archivio[...]
2024-11-29
[12]
서적
[13]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Piave River, 1918
http://www.firstworl[...]
[14]
서적
History of the World War, Volume 5
Doubleday
[15]
서적
My War Memories Vol.2
https://archive.org/[...]
[16]
웹사이트
Pope Francis in Conversation with the Editors of European Jesuit Journals
https://www.lacivilt[...]
2022-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