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자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자네는 1859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다. 장-마르탱 샤르코의 지도 아래 연구를 시작하여, 히스테리 환자의 정신 상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소르본 대학교 심리학 강사, 콜레주 드 프랑스 실험 및 비교 심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프랑스 학사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트라우마와 해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리"와 "잠재의식"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마음의 발달 모델을 제시하며 심층 심리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면술사 - 프란츠 안톤 메스머
프란츠 안톤 메스머는 동물 자력이라는 이론을 통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한 독일의 의사로, 그의 이론은 메스머리즘을 낳고 훗날 최면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최면술사 - 밀턴 에릭슨
밀턴 에릭슨은 난독증과 소아마비 등 신체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에릭소니언 최면 기법을 개발하여 심리 치료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하버드 대학교 사람 - 제프리 엡스타인
1953년생 미국 금융가이자 성범죄자인 제프리 엡스타인은 미성년자 성매매 및 성폭행 혐의로 여러 차례 수사를 받았고, 2019년 유사 혐의로 체포 후 구치소에서 사망하여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하버드 대학교 사람 - 이탈로 칼비노
이탈로 칼비노는 쿠바 출생 이탈리아 작가이자 저널리스트로, 파르티잔 및 공산당 활동 후 우화, 판타지, 메타픽션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들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심리학자 - 귀스타브 르 봉
귀스타브 르봉은 프랑스의 다방면 저술가로, 특히 『군중 심리』를 통해 사회심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 프랑스의 심리학자 - 가브리엘 타르드
프랑스의 사회학자 가브리엘 타르드는 범죄의 모방성에 주목한 범죄학, 사회학에 기여한 모방의 법칙, 집단 심리 등에 대한 통찰로 후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재평가되고 있다.
피에르 자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피에르 마리 펠릭스 자네 |
출생 | 1859년 5월 30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 | 1947년 2월 24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학문 분야 | |
분야 | 심리학, 철학, 정신 의학 |
소속 | 살페트리에르 병원 콜레주 드 프랑스 |
학력 | |
모교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
박사 지도교수 | 가브리엘 세이유 |
업적 | |
주요 업적 | 해리성 장애 연구 |
기타 | |
영향 |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융 알프레드 아들러 |
2. 생애
자네는 장-마르탱 샤르코의 지도 아래 파리의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병원 심리학 연구소에서 공부했다.[2] 1889년 철학 논문과 1892년 의학 논문인 ''히스테리 환자의 정신 상태''를 발표했고, 1893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1898년 소르본 대학교 심리학 강사로 임명되었다.[5] 1901년 프랑스 심리학회를 창설했고,[4] 1902년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실험 및 비교 심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36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1913년부터 프랑스 학사원 회원이었다.[6] 20세기 전반기 프랑스 심리학의 중심 인물이었다.[6] 1932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7] 193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8] 1940년 미국 철학회 국제 회원이 되었다.[9]
1887년에 심리적 외상의 의미로 trauma|트라우마el라는 용어를 만들어 트라우마 기억의 감각, 지각, 감정, 재연 행동(reenactment) 등을 연구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보다 먼저 무의식을 발견했다고도 하며, 카를 융에게도 강의하여 영향을 주었다. 1947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59년 파리 뤽상부르 궁전 공원 근처 마담가 46번지에서 태어났다. 폴 자네의 조카이며, 동생으로 쥘 자네가 있다. 생트 바르브 데 샹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15세에 우울증을 앓았고, 이후 투병했다. 1878년에 바칼로레아(대학 입학 자격 시험)에 합격, 1880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881년 과학 계열의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을 취득하고 1882년에 철학 교수 자격 시험에 합격(2위)했다. 장-마르탱 샤르코 밑에서 최면 요법 연구에 종사했으며,해리에 대해 연구했다. 1887년에 심리적 외상의 의미로 trauma|트라우마el라는 술어를 만들어 트라우마 기억의 감각, 지각, 감정, 재연 행동(reenactment) 등을 연구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보다 먼저 무의식을 발견했다고도 하며, 카를 융에게도 강의하여 영향을 주었다.장-마르탱 샤르코의 지도 아래 파리의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병원 심리학 연구소에서 공부했다.[2] 1889년 철학 논문과 1892년 의학 논문인 ''히스테리 환자의 정신 상태''를 발표했다. 1893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2. 2. 학문적 경력
자네는 장-마르탱 샤르코의 지도 아래 파리의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병원 심리학 연구소에서 공부했다.[2] 1889년 철학 논문과 1892년 의학 논문인 ''히스테리 환자의 정신 상태''에서 연구 결과를 처음 발표했다. 이듬해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1898년 소르본 대학교 심리학 강사로 임명되었다.[5] 1901년 프랑스 심리학회를 창설했고,[4] 1년 후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실험 및 비교 심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36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1913년부터 프랑스 학사원 회원이었다.[6] 20세기 전반기 프랑스 심리학의 중심 인물이었다.[6] 1932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7] 193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8] 1940년 미국 철학회 국제 회원이 되었다.[9]
3. 이론
자네는 에너지, 효율성 및 사회적 역량 수준의 관점에서 마음의 모델을 개발했으며, 이는 ''강박증과 정신쇠약증''(1903) 및 ''고뇌에서 희열로''(1926) 등의 출판물에 제시되었다.[13] 인격의 사회적 측면 구성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이 모델은 조지 허버트 미드의 사회적 행동주의와 비교되었으며,[14] 이는 라캉이 "자네는 박해 감정이 사회적 행동의 현상학적 순간으로 갖는 의미를 훌륭하게 보여주었다"라고 초기에 칭찬한 이유를 설명한다.[15]
3. 1. 트라우마와 해리
자네는 피험자의 과거 사건과 현재의 트라우마 사이의 연관성을 최초로 주장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해리"[10]와 "잠재의식"[11]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그는 환자와 최면술사 사이의 "자기적 열정" 또는 "라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후 전이 현상에 대한 설명을 예견했다.[12]3. 2. 마음의 발달 모델
자네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조직적 수준의 아홉 가지 "경향성"의 계층 구조로 마음의 발달 모델을 확립했다.[16]그는 "반사적" 수준에서 "초보적 지적" 수준으로 상승하는 네 가지 "하위 경향성", 언어와 사회적 세계를 포함하는 두 가지 "중간 경향성", 그리고 "합리적-작업적" 세계의 일, 그리고 "실험적이고 진보적인 경향성"의 세 가지 "상위 경향성"을 상세히 설명했다.[17]
자네에 따르면, 신경증은 통합 실패 또는 이전 경향으로의 퇴행으로 볼 수 있으며,[18] 그는 잠재의식을 "더 높은 수준의 행위 속에서 열등한 형태를 유지해 온 행위"로 정의했다.[19] 자네는 또한 환자와의 연구 및 대화 과정에서 ''고정관념''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여기서 잠재의식은 모든 히스테리 현상의 근본으로 여겨진다.[20] 그것은 그가 ''두 번째 상태''라고 부른 두 번째 성격 상태의 핵을 구성한다.[20]
4. 심층 심리학에 미친 영향
윌리엄 제임스는 1890년 에세이 《숨겨진 자아》에서 자네가 하브르 병원에서 관찰한 "히스테리적인 몽유병" 환자에 대해 언급했다.[21][22] 제임스는 자동증의 다양한 측면과 환자들의 명백한 다중 인격("두 자아")에 주목하며, "우리의 각자 안에서 마음이 별개의 의식으로 분열되는 정도는 문제이다."라고 말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초기 요제프 브로이어와 함께 한 작업에서 "히스테리 현상에 대한 이론은 P. 자네가 처음 제시하고 브로이어와 내가 발전시켰다"고 인정했다.[24] 그러나 1913년 런던 의학 컨퍼런스에서 자네는 정신분석의 많은 용어들이 단순히 재명명된 오래된 개념일 뿐이며, 자신의 "심리 분석"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보다 앞섰다고 주장했다. 이는 프로이트 추종자들의 격렬한 비난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프로이트는 자네에 대한 태도를 냉담하게 바꿨다.
카를 융은 1902년 파리에서 자네와 함께 공부했으며[32] 그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융은 콤플렉스를 자네의 '잠재 의식적 고정 관념'(idée fixe subconsciente)과 동일시했다.[33] 또한 융은 정신을 "불확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은, 콤플렉스 또는 단편적인 인격의 수로 구성된다"[34]는 관점을 가졌는데, 이는 자네가 《심리적 자동증》에서 언급한 "동시적인 심리적 존재"를 기반으로 한다.[35]
알프레드 아들러는 자네의 '불완전감(Sentiment d'incomplétude)'에서 자신의 열등감 콤플렉스 개념을 공개적으로 파생시켰으며,[37] 두 사람은 저술에서 이 문제에 대해 서로의 연구를 인용했다.[38]
4. 1.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는 1890년 에세이 《숨겨진 자아》에서[21] 자네의 1889년 문학 박사 학위 논문 《심리적 자동성》에 자세히 설명된, 자네가 하브르 병원에서 관찰한 "히스테리적인 몽유병" 환자에 대해 언급했다.[22] 제임스는 자동증의 다양한 측면과 "트랜스, 잠재 의식 상태" 또는 알코올성 진전 섬망을 다양하게 보이는 환자들의 명백한 다중 인격("두 자아")에 주목했다. 제임스는 이러한 현상에 매료된 듯 "우리의 각자 안에서 마음이 별개의 의식으로 분열되는 정도는 문제이다. P. 자네는 그것이 비정상적인 약점, 따라서 통합하거나 조정하는 힘의 결함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라고 말했다.4. 2. 지그문트 프로이트
초기에는 프로이트가 자네에게 빚을 졌음을 인정했다. 요제프 브로이어와 함께 한 작업에서 "히스테리 현상에 대한 이론은 P. 자네가 처음 제시하고 브로이어와 내가 발전시켰다"고 썼다.[24] 그는 "우리는 마음의 분열과 인격의 해리를 우리의 입장의 중심으로 삼았을 때 그의 예를 따랐다"고 언급하면서도, "우리 견해와 자네의 견해의 차이점"을 분명히 지적했다.[25] 1911년 신경증 환자의 현실로부터의 철수에 관해 "피에르 자네의 관찰도 이를 놓치지 않았다. 그는 '현실 기능의 상실'에 대해 말했다"고 언급했고,[26] 1930년까지 프로이트는 문명에 관한 그의 저술에서 자네의 표현인 "심리적 빈곤"을 인용했다.[27]그러나 1913년 런던에서 열린 의학 컨퍼런스에서 자네는 정신분석에 대한 보고서에서 정신분석의 많은 새로운 용어들이 단순히 재명명된 오래된 개념일 뿐이며, 심지어 그의 "심리 분석"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보다 앞섰다고 주장했다. 이는 프로이트 추종자들의 격렬한 비난을 불러일으켰고, 그 이후 프로이트는 자네에 대한 태도를 냉담하게 바꿨다. 1915-16년 강의에서 프로이트는 "오랫동안 나는 신경증 증상을 조명한 것에 대해 자네에게 매우 큰 공로를 인정하려 했었다. 왜냐하면 그는 그것들을 환자를 지배하는 ''무의식적 관념''의 표현으로 보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프로이트가 보기에 1913년에 그가 물러선 이후, 그는 "내 생각에 그는 불필요하게 많은 공로를 잃었다"고 말했다.[28]
표절 혐의는 특히 프로이트에게 큰 상처를 주었다. 1925년 자서전에서 그는 자네의 아이디어를 표절했다는 것을 단호히 부인했으며,[29] 1937년까지 그는 "프랑스 작가들이 내가 그의 강의를 듣고 그의 아이디어를 훔쳤다는 소문을 퍼뜨렸을 때, 그는 한 마디로 그런 말을 끝낼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네와의 만남을 거부했다.[30]
균형 잡힌 판단은 실제로 출판된 자네의 아이디어가 프로이트의 출발점의 일부를 형성했지만, 프로이트가 이후 자신의 방식으로 이를 실질적으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31]
4. 3. 카를 융
카를 융은 1902년 파리에서 자네와 함께 공부했으며[32] 그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융은 콤플렉스를 자네의 '잠재 의식적 고정 관념'(idée fixe subconsciente)과 동일시했다.[33]융은 정신을 "불확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은, 콤플렉스 또는 단편적인 인격의 수로 구성된다"[34]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자네가 저서 《심리적 자동증》에서 언급한 "동시적인 심리적 존재"를 기반으로 한다.[35]
융은 "히스테리 증상에 대한 더 깊고 정확한 지식에 대한 자네의 공로"를 언급하며, 무의식을 탐구하는 데 있어 "자네, 플루르누아, 프로이트 등의 업적"에 대해 이야기했다.[36]
4. 4. 알프레드 아들러
알프레드 아들러는 자네의 '불완전감(Sentiment d'incomplétude)'에서 자신의 열등감 콤플렉스 개념을 공개적으로 파생시켰으며,[37] 두 사람은 저술에서 이 문제에 대해 서로의 연구를 인용했다.[38]5. 주요 저서
- L'Automatisme psychologique|심리 자동 현상프랑스어 (1889년)
- Contribution à l'étude des accidents mentaux chez les hystériques|히스테리 환자에서의 정신 장애 연구에의 기여프랑스어 (1893년)
- Névroses et idées fixes|신경증과 고정 관념프랑스어 (1898년)
- Les Obsessions et la psychasthénie|강박 관념과 정신 쇠약프랑스어 (1903년)
- Les Névroses|신경증프랑스어 (1909년)
- Les médications psychologiques|심리학적 의료프랑스어 (1919년)
- La médecine psychologique|심리학적 의학프랑스어 (1923년)
- De l'angoisse à l'extase|불안에서 황홀경으로프랑스어 (제1권 1926년, 제2권 1928년)
- Les stades de l'évolution psychologique|심리 발달의 제 단계프랑스어 (1926년)
- La pensée intérieure et ses troubles|내적 사고와 그 장애프랑스어 (1927년)
- L'évolution de la mémoire et la notion du temps|기억의 진화와 시간 관념프랑스어 (1928년)
- L'évolution psychologique de la personnalité|인격의 심리 발달프랑스어 (1929년)
- La force et la faiblesse psychologique|심리적 강함과 약함프랑스어 (1932년)
- L'Amour et la haine|사랑과 증오프랑스어 (1932년)
- Les débuts de l'intelligence|지성의 시작프랑스어 (1935년)
- L'intelligence avant le langage|말 이전에 있는 지성프랑스어 (1936년)
5. 1. 한국어 번역서
- La médecine psychologique|심리학적 의학프랑스어 (송명희 역, 미술문화, 1982)
- De l'Angoisse à l'extase. Études sur les croyances et les sentiments|사례 마들렌 ― 고뇌에서 황홀경으로프랑스어 (송명희 역, 미술문화, 2007)
- Les sentiments dans le délire de persécution|피해 망상 ― 그 배경의 제 감정프랑스어 (송명희 역, 미술문화, 2010)
- Cinq observations qui présentent la 'dissociation'|해리의 병력프랑스어 (송명희 역, 미술문화, 2011)
- L'automatisme psychologique|심리학적 자동증 ― 인간 행동의 하위 형식에 관한 실험 심리학 시론프랑스어 (송명희 역, 미술문화, 2013)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Mind'
[2]
서적
Concepts: A Critical Approach
BRILL
[3]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Psychotherapy, Volume 1: From Ancient Origins to the Mid 20th Century
Taylor & Francis
[4]
서적
Pathfinders in International Psychology
IAP
[5]
서적
Monomania: The Flight from Everyday Life in Literature and Art
Cornell University Press
[6]
서적
Jacques Lacan
[7]
웹사이트
Pierre Marie Felix Janet
https://www.amacad.o[...]
2023-05-01
[8]
웹사이트
Pierre Janet
http://www.nasonline[...]
2023-05-01
[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01
[10]
서적
'Hypnotism, history of'
[11]
서적
The Discovery of the Unconscious
[12]
서적
Freud: A Life for Our Time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Écrits: A Selection'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Fits and Starts: A Genealogy of Hysteria in Modern Fr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The Hidden Self
http://digital.libra[...]
Scribner's Magazine Vol. 7 Issue 3
2014-03-30
[22]
서적
De l'Automatisme Psychologique
https://archive.org/[...]
2014-03-31
[23]
서적
[24]
서적
On Metapsychology
[25]
서적
Five Lectures on Psycho-Analysis
[26]
서적
Metapsychology
[27]
서적
Civilization, Society and Religion
[28]
서적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29]
서적
An Autobiographical Study
WW Norton and Company
[30]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Narcissism: A New Theory
[35]
서적
[36]
서적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1993
[37]
문서
[38]
서적
Inferiority Feeling in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2000
[3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