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 (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치는 다양한 구기 종목의 경기가 열리는 장소를 의미하며, 축구, 야구, 농구 등 각 종목의 특성에 맞는 규격과 형태를 갖춘다. 국제 축구 연맹(FIFA)과 같은 기구에서 정한 규격에 따라, 축구 경기장은 직사각형 형태에 잔디 또는 인조 잔디를 사용하며, 야구장은 다이아몬드 형태, 농구 코트는 직사각형 형태를 띤다. 또한, 육상 경기장은 트랙과 필드로 구성되며, 세계 육상 연맹(World Athletics)의 규정을 따른다. 대한민국에는 국제 규격의 육상 경기장들이 존재하며, 다목적 경기장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시설 - 경기장
경기장은 스포츠 및 이벤트를 위한 시설로, 종목별 전용 경기장과 다목적 경기장이 있으며, 관중석 유무에 따라 스타디움이나 돔으로 불리기도 하고, 다양한 종목에 특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종목 경기에 활용되기도 한다. - 스포츠 시설 - 헬스클럽
헬스클럽은 개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운동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공간 외에도 수영장, 그룹 운동 수업, 사우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유럽에서 시작되어 한국에서 사업화된 대중적인 운동 공간이다. - 스포츠 용어 - 무관중 경기
무관중 경기는 질서 유지, 선수 보호, 징계, 안전 확보, 감염병 확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중 없이 치르는 스포츠 경기를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었고, 선수 경기력에 영향과 구단 수입 감소를 야기하지만 공공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스포츠 용어 - 퇴장
퇴장은 스포츠 경기에서 심각한 반칙 등으로 인해 선수나 코칭 스태프가 경기에서 제외되는 징계이며, 종목별로 레드카드, 옐로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전 정지 등의 추가 징계가 부과될 수 있다.
피치 (필드) | |
---|---|
경기장 정보 | |
정의 | |
종류 | 스포츠 경기가 열리는 표면 |
설명 | 경기장 또는 경기장 내 특정 구역 다양한 스포츠에 사용됨 인공 또는 천연 재료로 만들어짐 |
종류별 특징 | |
잔디 피치 | 축구, 럭비, 야구 등에 사용 천연 잔디 또는 인조 잔디 |
단단한 코트 | 테니스, 농구, 배구 등에 사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목재 등으로 만들어짐 |
아이스 링크 | 아이스하키, 피겨 스케이팅 등에 사용 얼음 표면 |
흙 트랙 | 육상 경기, 경마 등에 사용 흙 또는 점토로 만들어짐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필드 코트 링크 트랙 |
2. 종목별 경기장
각 스포츠 종목은 고유한 특성에 맞는 경기장 구조와 규격을 가지고 있다. 주요 스포츠 종목별 경기장 규격은 다음과 같다.
스포츠 | 관리 기관 | 형태 | 필드 길이 | 전체 길이 | 너비 | 전체 너비 | 깊이/높이 | 표면 |
---|---|---|---|---|---|---|---|---|
바스크 펠로타 (자이알라이) | FIPV | 직사각형 육면체 | 54미터 | - | 10미터 | - | 10미터 | |
볼링 | IBF | 직사각형 | 약 1915.64cm | - | 약 104.14cm | - | - | 나무 또는 합성 재료 |
피구 | WDA | 직사각형 | 17미터 | - | 8미터 | - | - | |
세팍타크로 | ISTAF | 직사각형 | 약 13.41m | - | 약 6.10m | - | - | |
수영 | ||||||||
수영 (올림픽) | World Aquatics | 직사각형 육면체 | 50미터 | - | 25미터 | - | 2-3미터 | |
수영 (쇼트 코스) | 직사각형 육면체 | 25미터 | - | 20미터 | - | 2-2.5미터 | ||
수구 | 직사각형 육면체 | 25미터 | - | 20미터 | - | 1.8미터 | ||
농구 | ||||||||
농구 | FIBA | 직사각형 | 28미터 | - | 15미터 | - | - | |
농구 (3x3) | 직사각형 | 11미터 | - | 15미터 | - | - | ||
농구 | NBA | 직사각형 | 약 28.65m | - | 약 15.24m | - | - | |
배트 앤 볼 스포츠 | ||||||||
야구 | MLB | 다이아몬드 | - | - | - | - | - | 잔디[2][3] |
야구5 | WBSC | 정사각형 | 21미터 | - | 21미터 | - | - | |
소프트볼[4] | WBSC | 원형 사분면 | - | - | - | - | - | |
크리켓 | ICC | 타원형 | - | - | - | - | - | |
실내 크리켓 | WICF | 직사각형 | 30미터 | - | 12미터 | - | - | |
페사팔로 | - | 불규칙 육각형 | - | - | - | - | - | |
부울 | ||||||||
보체 | BISFed | 직사각형 | 12.5미터 | - | 6미터 | - | - | 광택 처리된 콘크리트, 나무, 천연 또는 합성 고무 |
보체 볼로 | WPBF | 직사각형 | 27.5미터 | - | 2.5-4미터 | - | - | |
페탕크 | 직사각형 | 15미터 | - | 4미터 | - | - | ||
라파 | 직사각형 | 6.5미터 | - | 4-4.5미터 | - | - | 천연 지면 또는 합성 재료 | |
격투 스포츠 | ||||||||
아마추어 레슬링 | UWW | 원형 | 9미터 | - | 9미터 | - | - | |
펜싱 | FIE | 직사각형 | 14미터 | 17–18미터 | 1.5미터 | - | - | |
킥복싱 (링) | WAKO | 직사각형 육면체 | 5.2미터 | - | 5.2미터 | - | 1.32m | 펠트, 고무 |
종합 격투기 | UFC[5] | 팔각형 | 약 9.14m | - | 약 9.14m | - | 약 175.26cm | |
태권도 | WT | 팔각형 | 8미터 | - | 8미터 | - | - | |
사이클 | ||||||||
사이클 볼 (국제) | UCI | 직사각형 | 14미터 | - | 11미터 | - | - | 나무, 마루, 칩보드, 삼중 접합판, 합성 |
축구 종목 | ||||||||
비치사커 | FIFA | 직사각형 | 35–37미터 | - | 26–28미터 | - | - | 모래 |
풋살 (국제) | 직사각형 | 38-42미터 | - | 20-25미터 | - | - | 나무, 인조 | |
캐나다식 축구 | 풋볼 캐나다 | 직사각형 | 약 100.58m | 약 137.16m | 약 59.44m | - | - | 잔디, 인조 |
호주식 축구 (프로) | AFL 위원회 | 타원형 | 135-185미터 | - | 110-155미터 | - | - | 잔디 |
게일식 축구 | GAA | 직사각형 | 130–145미터 | - | 80–90미터 | - | - | 잔디 |
하키 | ||||||||
밴디 | FIB | 직사각형 | 100-110미터 | - | 60-65미터 | - | - | 얼음 |
아이스 하키 | IIHF | 둥근 직사각형 | 61미터 | - | 30미터 | - | - | 얼음 |
아이스 하키 | NHL | 둥근 직사각형 | 약 60.96m | - | 약 25.91m | - | - | 얼음 |
인라인 하키 | World Skate | 둥근 직사각형 | - | - | - | - | - | 스포츠 타일, 나무, 아스팔트 또는 시멘트 |
수중 하키 | CMAS | 직사각형 육면체 | 21-25미터 | - | 12-15미터 | - | 2-3.65미터 | |
아이스 스피드 스케이팅 |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SU | 경기장[7] | 60미터 | - | 30미터 | - | - | 얼음 |
롱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SU | 경기장 | 178미터 | - | 66미터 | - | - | 얼음 |
카바디 | ||||||||
카바디 (표준)[8] | - | 직사각형 | 13미터 | - | 10미터 | - | - | |
카바디 (원형 스타일)[9] | - | 원형 | 44미터 | - | 44미터 | - | - | |
코코 | ||||||||
코코 | - | 직사각형 | 27미터 | 30미터 | 16미터 | 19미터 | - | |
코코 (얼티메이트 코코)[10] | - | 직사각형 | 22미터 | 26미터 | 16미터 | 20미터 | - | |
라크로스 | ||||||||
필드 라크로스 (남자) | 월드 라크로스 | 직사각형 | 110미터 | - | 60미터 | - | - | |
여자 라크로스 | 월드 라크로스 | 직사각형 | 100미터 | - | 50-60미터 | - | - | |
박스 라크로스 | 월드 라크로스 | 둥근 직사각형 | 55-61미터 | - | 24-28미터 | - | - | 인조 잔디, 콘크리트 |
라크로스 식스 | 월드 라크로스 | 직사각형 | 70미터 | - | 36미터 | - | - | |
폴로 | ||||||||
폴로 | FIP | 직사각형 | - | - | - | - | - | 잔디 |
스노우 폴로 | FIP | 직사각형 | - | - | - | - | - | 눈 |
라켓 스포츠 | ||||||||
배드민턴 (단식) | BWF | 직사각형 | 약 13.41m | 17.4미터 | 약 5.18m | 8.18미터 | - | |
배드민턴 (복식) | BWF | 직사각형 | 약 13.41m | 17.4미터 | 약 6.10m | 9.1미터 | - | |
파델 | FIP | 직사각형 육면체 | 20미터 | - | 10미터 | - | 4미터 | |
스쿼시 (단식) | WSF | 직사각형 육면체 | 9.75미터 | - | 6.40미터 | - | 4.57미터 | |
스쿼시 (복식) | WSF | 직사각형 육면체 | 9.75미터 | - | 8.42미터 | - | 4.57미터 | |
테니스 (단식) | ITF | 직사각형 | 약 23.77m | 37미터 | 약 8.23m | 18미터 | - | 점토, 잔디, 하드 |
테니스 (복식) | ITF | 직사각형 | 약 23.77m | 37미터 | 약 10.97m | 18미터 | - | 점토, 잔디, 하드 |
촉볼 | ||||||||
촉볼 | FITB | 직사각형 | 27미터 | - | 17미터 | - | - | |
비치 촉볼 | FITB | 직사각형 | 21-23미터 | - | 11-13 m | - | - | 모래 |
육상 | ||||||||
육상 (실내) | World Athletics | 경기장 | 90.03미터 | - | 45.78미터 | - | - | |
육상 (야외) | World Athletics | 경기장 | 176.91미터 | - | 92.52미터 | - | - | |
얼티밋 | ||||||||
얼티밋 | WFDF | 직사각형 | 64미터 | 100미터 | 37미터 | - | - | |
비치 얼티밋 | WFDF | 직사각형 | - | - | - | - | - | 모래 |
배구 | ||||||||
배구 | FIVB | 직사각형 | 18미터 | 24-31 m | 9미터 | 15-19미터 | - | 나무, 합성 |
비치 발리볼 | 직사각형 | 16미터 | 20-28m | 8미터 | 18-20미터 | - | 모래 | |
스노 발리볼 | 직사각형 | 16미터 | 22미터 | 8미터 | 14미터 | - | 눈 |
2. 1. 구기 종목
구기 종목은 공을 사용하여 경기를 하는 스포츠를 말한다. 구기 종목마다 경기장의 모양, 크기, 표면 등이 다르다.

축구, 야구, 농구 외에도 다양한 구기 종목들이 있으며, 각 종목별 경기장 규격은 다음과 같다.
스포츠 | 관리 기관 | 형태 | 필드 길이 | 전체 길이 | 너비 | 전체 너비 | 깊이/높이 | 표면 |
---|---|---|---|---|---|---|---|---|
바스크 펠로타 (자이알라이) | FIPV | 직사각형 육면체 | 54미터 | - | 10미터 | - | 10미터 | |
볼링 | IBF | 직사각형 | 약 1915.64cm | - | 약 104.14cm | - | - | 나무 또는 합성 재료 |
피구 | WDA | 직사각형 | 17미터 | - | 8미터 | - | - | |
세팍타크로 | ISTAF | 직사각형 | 약 13.41m | - | 약 6.10m | - | - | |
수영 | ||||||||
수영 (올림픽) | World Aquatics | 직사각형 육면체 | 50미터 | - | 25미터 | - | 2-3미터 | |
수영 (쇼트 코스) | 직사각형 육면체 | 25미터 | - | 20미터 | - | 2-2.5미터 | ||
수구 | 직사각형 육면체 | 25미터 | - | 20미터 | - | 1.8미터 | ||
배트 앤 볼 스포츠 | ||||||||
야구5 | WBSC | 정사각형 | 21미터 | - | 21미터 | - | - | |
소프트볼[4] | WBSC | 원형 사분면 | 약 67.06m | - | 약 67.06m | - | - | |
크리켓 | ICC | 타원형 | 약 118.87m | - | 약 118.87m | - | - | |
실내 크리켓 | WICF | 직사각형 | 30미터 | - | 12미터 | - | - | |
페사팔로 | - | 불규칙 육각형 | 약 96.01m | - | 약 42.06m | - | - | |
부울 | ||||||||
보체 | BISFed | 직사각형 | 12.5미터 | - | 6미터 | - | - | 광택 처리된 콘크리트, 나무, 천연 또는 합성 고무 |
보체 볼로 | WPBF | 직사각형 | 27.5미터 | - | 2.5-4미터 | - | - | |
페탕크 | 직사각형 | 15미터 | - | 4미터 | - | - | ||
라파 | 직사각형 | 6.5미터 | - | 4-4.5미터 | - | - | 천연 지면 또는 합성 재료 | |
격투 스포츠 | ||||||||
아마추어 레슬링 | UWW | 원형 | 9미터 | - | 9미터 | - | - | |
펜싱 | FIE | 직사각형 | 14미터 | 17–18미터 | 1.5미터 | - | - | |
킥복싱 (링) | WAKO | 직사각형 육면체 | 5.2미터 | - | 5.2미터 | - | 1.32미터 | 펠트, 고무 |
종합 격투기 | UFC[5] | 팔각형 | 약 9.14m | - | 약 9.14m | - | 약 175.26cm | |
태권도 | WT | 팔각형 | 8미터 | - | 8미터 | - | - | |
사이클 | ||||||||
사이클 볼 (국제) | UCI | 직사각형 | 14미터 | - | 11미터 | - | - | 나무, 마루, 칩보드, 삼중 접합판, 합성 |
축구 종목 | ||||||||
비치사커 | FIFA | 직사각형 | 35–37미터 | - | 26–28미터 | - | - | 모래 |
풋살 (국제) | 직사각형 | 38-42미터 | - | 20-25미터 | - | - | 나무, 인조 | |
캐나다식 축구 | 풋볼 캐나다 | 직사각형 | 약 100.58m | 약 137.16m | 약 59.44m | - | - | 잔디, 인조 |
호주식 축구 (프로) | AFL 위원회 | 타원형 | 135-185미터 | - | 110-155미터 | - | - | 잔디 |
게일식 축구 | GAA | 직사각형 | 130–145미터 | - | 80–90미터 | - | - | 잔디 |
하키 | ||||||||
밴디 | FIB | 직사각형 | 100-110미터 | - | 60-65미터 | - | - | 얼음 |
아이스 하키 | IIHF | 둥근 직사각형 | 61미터 | - | 30미터 | - | - | 얼음 |
아이스 하키 | NHL | 둥근 직사각형 | 약 60.96m | - | 약 25.91m | - | - | 얼음 |
인라인 하키 | World Skate | 둥근 직사각형 | 약 39.93m | - | 약 20.12m | - | - | 스포츠 타일, 나무, 아스팔트 또는 시멘트 |
수중 하키 | CMAS | 직사각형 육면체 | 21-25미터 | - | 12-15미터 | - | 2-3.65미터 | |
아이스 스피드 스케이팅 |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SU | 경기장[7] | 60미터 | - | 30미터 | - | - | 얼음 |
롱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ISU | 경기장 | 178미터 | - | 66미터 | - | - | 얼음 |
카바디 | ||||||||
카바디 (표준)[8] | - | 직사각형 | 13미터 | - | 10미터 | - | - | |
카바디 (원형 스타일)[9] | - | 원형 | 44미터 | - | 44미터 | - | - | |
코코 | ||||||||
코코 | - | 직사각형 | 27미터 | 30미터 | 16미터 | 19미터 | - | |
코코 (얼티메이트 코코)[10] | - | 직사각형 | 22미터 | 26미터 | 16미터 | 20미터 | - | |
라크로스 | ||||||||
필드 라크로스 (남자) | 월드 라크로스 | 직사각형 | 110미터 | - | 60미터 | - | - | |
여자 라크로스 | 월드 라크로스 | 직사각형 | 100미터 | - | 50-60미터 | - | - | |
박스 라크로스 | 월드 라크로스 | 둥근 직사각형 | 55-61미터 | - | 24-28미터 | - | - | 인조 잔디, 콘크리트 |
라크로스 식스 | 월드 라크로스 | 직사각형 | 70미터 | - | 36미터 | - | - | |
폴로 | ||||||||
폴로 | FIP | 직사각형 | 약 228.60m | - | 약 146.30m | - | - | 잔디 |
스노우 폴로 | FIP | 직사각형 | 약 155.45m | - | 약 73.15m | - | - | 눈 |
라켓 스포츠 | ||||||||
배드민턴 (단식) | BWF | 직사각형 | 약 13.41m | 17.4미터 | 약 5.18m | 8.18미터 | - | |
배드민턴 (복식) | BWF | 직사각형 | 약 13.41m | 17.4미터 | 약 6.10m | 9.1미터 | - | |
파델 | FIP | 직사각형 육면체 | 20미터 | - | 10미터 | - | 4미터 | |
스쿼시 (단식) | WSF | 직사각형 육면체 | 9.75미터 | - | 6.40미터 | - | 4.57미터 | |
스쿼시 (복식) | WSF | 직사각형 육면체 | 9.75미터 | - | 8.42미터 | - | 4.57미터 | |
테니스 (단식) | ITF | 직사각형 | 약 23.77m | 37미터 | 약 8.23m | 18미터 | - | 점토, 잔디, 하드 |
테니스 (복식) | ITF | 직사각형 | 약 23.77m | 37미터 | 약 10.97m | 18미터 | - | 점토, 잔디, 하드 |
촉볼 | ||||||||
촉볼 | FITB | 직사각형 | 27미터 | - | 17미터 | - | - | |
비치 촉볼 | FITB | 직사각형 | 21-23미터 | - | 11-13 m | - | - | 모래 |
육상 | ||||||||
육상 (실내) | World Athletics | 경기장 | 90.03미터 | - | 45.78미터 | - | - | |
육상 (야외) | World Athletics | 경기장 | 176.91미터 | - | 92.52미터 | - | - | |
얼티밋 | ||||||||
얼티밋 | WFDF | 직사각형 | 64미터 | 100미터 | 37미터 | - | - | |
비치 얼티밋 | WFDF | 직사각형 | 약 44.81m | 약 74.98m | 약 24.69m | - | - | 모래 |
2. 1. 1. 축구
국제 축구 연맹(FIFA)에서 정한 국제 경기 축구 경기장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1]항목 | 규격 |
---|---|
형태 | 직사각형 |
길이 | 100m ~ 110m (약 100.58m ~ 약 109.73m) |
너비 | 64m ~ 75m (약 64.01m ~ 약 73.15m) |
표면 | 잔디 또는 인조 잔디 |
대한축구협회 경기규칙에 따르면, 터치 라인은 반드시 골 라인보다 길어야 하며, 모든 라인은 폭이 12cm를 넘지 않아야 한다. 국제경기는 다음 규정을 따른다.[1]
- 길이: 최소 100m ~ 최대 110m
- 너비: 최소 64m ~ 최대 75m
대한민국의 주요 축구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2. 1. 2. 야구
야구에서 사용되는 필드는 다이아몬드 형태이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규정에 따르면 이다.[2] 전체 너비는 이다.[3] 야구 필드의 표면은 잔디로 되어 있다.2. 1. 3. 농구
농구 코트는 직사각형이며, 국제 농구 연맹(FIBA)과 전미 농구 협회(NBA) 규격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FIBA 규격은 길이 28미터, 너비 15미터이고, NBA 규격은 길이 약 28.65m, 너비 약 15.24m이다. 3x3 농구 코트는 길이 11미터, 너비 15미터로, 일반 농구 코트의 절반 크기이다.
2. 1. 4. 기타 구기 종목
스포츠 | 관리 기관 | 형태 | 필드 길이 | 전체 길이 | 너비 | 전체 너비 | 깊이/높이 | 표면 |
---|---|---|---|---|---|---|---|---|
미식축구 | IFAF | 직사각형 | 약 91.44m | 약 109.73m | 약 48.77m | - | - | 잔디, 인조 |
플래그 풋볼[6] (표준) | IFAF | 직사각형 | 약 45.72m | 약 64.01m | 약 22.86m | - | - | 견고한, 모래 |
실내 미식축구 | - | 둥근 직사각형 | 약 45.72m | 약 60.35m | 약 25.60m | - | - | 인조 |
럭비 유니온 | 월드 럭비 | 직사각형 | 94-100미터 | 106-144미터 | 68-70미터 | - | - | 잔디, 모래, 점토, 눈, 인조 |
럭비 리그 | IRL | 직사각형 | 100미터 | 112-122미터 | 68미터 | - | - | 잔디 |
필드 하키 | FIH | 직사각형 | 약 91.44m | - | 약 54.86m | - | - | - |
실내 하키 | FIH | 직사각형 | 36-44미터 | - | 18-22미터 | - | - | - |
배구 | FIVB | 직사각형 | 18미터 | 24-31 m | 9미터 | 15-19미터 | - | 나무, 합성 |
비치 발리볼 | FIVB | 직사각형 | 16미터 | 20-28m | 8미터 | 18-20미터 | - | 모래 |
스노 발리볼 | FIVB | 직사각형 | 16미터 | 22미터 | 8미터 | 14미터 | - | 눈 |
핸드볼 | IHF | 직사각형 | 40미터 | - | 20미터 | - | - | - |
비치 핸드볼 | IHF | 직사각형 | 27미터 | - | 12미터 | - | - | 모래 |
2. 2. 투기 종목
투기 종목은 두 선수가 맞붙어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다양한 투기 종목이 있으며, 각 종목마다 고유한 경기장 형태와 규격을 가지고 있다.스포츠 | 관리 기관 | 형태 | 필드 길이 | 전체 길이 | 너비 | 전체 너비 | 깊이/높이 | 표면 |
---|---|---|---|---|---|---|---|---|
바스크 펠로타 (자이알라이) | FIPV | 직사각형 육면체 | 54미터 | - | 10미터 | - | 10미터 | |
볼링 | IBF | 직사각형 | 약 1915.64cm | 약 104.14cm | 나무 또는 합성 재료 | |||
피구 | WDA | 직사각형 | 17미터 | - | 8미터 | - | - | |
카바디 (표준)[8] | 직사각형 | 13미터 | - | 10미터 | - | - | ||
카바디 (원형 스타일)[9] | 원형 | 44미터 | - | 44미터 | - | - | ||
아마추어 레슬링 | UWW | 원형 | 9m | - | 9m | - | - | |
펜싱 | FIE | 직사각형 | 14미터 | 17–18미터 | 1.5미터 | - | - | |
킥복싱 (링) | WAKO | 직사각형 육면체 | 5.2미터 | - | 5.2미터 | - | 1.32m | 펠트, 고무 |
종합 격투기 | UFC[5] | 팔각형 | 약 9.14m | - | 약 9.14m | - | 약 175.26cm | |
태권도 | WT | 팔각형 | 8미터 | - | 8미터 | - | - |
레슬링, 태권도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2. 2. 1. 레슬링
유나이티드 월드 레슬링(UWW)에서 관리하는 아마추어 레슬링 경기장은 원형이며, 지름은 9m이다.[1]관리 기관 | 형태 | 지름 |
---|---|---|
유나이티드 월드 레슬링(UWW) | 원형 | 9m |
2. 2. 2. 태권도
WT에서 주관하는 태권도 경기는 팔각형 모양의 경기장에서 진행된다. 경기장의 크기는 가로 세로 8미터이다.[5]2. 2. 3. 기타 투기 종목
격투 스포츠는 두 명의 선수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로 겨루는 스포츠를 말한다. 주요 격투 스포츠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스포츠 | 관리 기관 | 형태 | 필드 길이 | 전체 길이 | 너비 | 전체 너비 | 깊이/높이 | 표면 |
---|---|---|---|---|---|---|---|---|
아마추어 레슬링 | UWW | 원형 | 9미터 | - | 9미터 | - | - | |
펜싱 | FIE | 직사각형 | 14미터 | 17–18미터 | 1.5미터 | - | - | |
킥복싱 (링) | WAKO | 직사각형 육면체 | 5.2미터 | - | 5.2미터 | - | 1.32m | 펠트, 고무 |
종합 격투기 | UFC[5] | 팔각형 | 약 9.14m | - | 약 9.14m | - | 약 175.26cm | |
태권도 | WT | 팔각형 | 8미터 | - | 8미터 | - | - |
2. 3. 육상
육상 경기장은 세계 육상 연맹이 제시하는 "TRACK AND FIELD FACILITIES MANUAL"의 규정을 따른다.[11] 경기가 이루어지는 부분은 크게 '트랙'과 '필드'로 나뉜다.육상 경기장은 일반적으로 남북 방향으로 건설되며, 남북축에서 동서 방향으로 22.5도 미만 기울어져야 한다.[12]
2. 3. 1. 트랙
경기가 행해지는 부분은 주회 주로인 "트랙"과, 도약이나 투척 등의 경기를 하는 "필드"로 나뉜다.[11] 세계 육상 연맹이 제시하는 "TRACK AND FIELD FACILITIES MANUAL"의 규정이 준용된다.[11] 단거리 달리기, 계주, 허들 경기, 장애물 경주 등이 트랙에서 열린다.표준적인 트랙의 길이는 400m이다.[13] 트랙은 평행하는 두 개의 직선 주로와, 이것들을 잇는 반지름이 같은 두 개의 곡선 주로로 구성된다.[13] 트랙 안쪽은 연석(높이 최저 50mm, 폭 최저 50mm, 색상은 가능한 한 흰색)으로 구분되어 있다.[13]
과거에는 안투카 등이 포장재로 사용되었지만,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에서 폴리우레탄 전천후 트랙이 채택된 이후[15][16] 폴리우레탄, 고무 칩 우레탄, 합성 고무 포장재 등이 일반화되었다.[17] 포장 색상은 대부분 벽돌색이지만, 파란색 트랙을 가진 경기장도 늘고 있다.[18]
최소한 1개의 곡선 주로를 포함하는 레이스에서는, 왼손이 안쪽이 되도록(시계 반대 방향) 주회한다.[13] 레인 넘버는 왼손 쪽을 레인 1로 하여 순서대로 붙인다.[13]
; 레인
1레인의 폭은 1m220이다. 제1종 및 제2종 육상 경기장에서는 8 레인 또는 9 레인을 설치하며, 직선 주로의 길이를 115m 이상으로 해야 한다.[14] 400m까지의 레이스에서 각 경기자는 폭 50mm의 흰색 라인으로 구분된, 오른쪽 라인 폭을 포함한 최대 폭 1m220(±10mm)의 레인을 달려야 한다.(세퍼레이트 코스)[13] 800m 경주 등은 출발부터 일정 거리는 세퍼레이트 코스이며, 그 후에는 오픈 코스가 된다.
; 출발선, 결승선
출발선 및 결승선은 폭 50mm의 흰색 라인이다.[13] 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레이스의 경우, 결승선에서의 거리가 모든 경기자가 같아지도록 출발선은 굽어 있다.[13] 레인 번호는 달리는 방향을 향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붙인다.[13]
; 장애물 경주 설비(수호 등)
제1종 및 제2종 육상 경기장에서는 장애물 경주 설비가 필요하다.[14] 장애물 경주의 수호는 레인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설치된다.[11] 국립 경기장에서는 수호가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19]
2. 3. 2. 필드
경기가 행해지는 부분은 주회 주로인 "트랙"과, 도약이나 투척 등의 경기를 행하는 "필드"로 나뉜다.[11]도약 경기나 투척 경기가 행해지는 부분. 트랙 안쪽을 인필드, 바깥쪽을 아웃필드라고 부른다. 인필드를 축구 경기나 럭비 경기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기장도 많다.
필드는 제1곡주로 측의 반원 부분인 '''A존'''과 제2곡주로 측의 반원 부분인 '''B존'''으로 나뉜다.[11]
; 도약장
- 높이뛰기를 하는 장소는 A존, B존 중 어느 한 쪽에 3곳 이상, 어느 한 존에서 동시에 2면 경기를 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11] 높이뛰기의 도움닫기는 부채꼴 모양이다.
- 멀리뛰기 및 세단뛰기의 도움닫기 주로와 모래밭이 설치되지만, 제1종 및 제2종 공인 육상 경기장의 기본 사양에서는 "멀리뛰기, 세단뛰기의 도움닫기 주로와 모래밭은, 메인 스탠드 측 또는 백 스탠드 측(인필드여도 좋다)에 6곳 이상 설치한다."라고 되어 있다.[11] 실제로는 멀리뛰기·세단뛰기의 도움닫기 주로와 모래밭은 아웃필드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들을 인필드에 설치해 버리면, 인필드 내의 면적이 제한되어, 축구나 럭비의 피치 규격에 맞지 않게 되어, 사실상 육상 경기 전용 경기장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 장대높이뛰기의 도움닫기 주로와 폴을 꽂기 위한 박스가 설치된다(제1종 및 제2종 육상 경기장에서 설치 수 기준이 다르다).[11]
; 투척장
- 포환던지기는 A존, B존 중 어느 한 쪽에 부채꼴 모양의 투척 에리어를 설치하고, 서클을 1곳 이상 설치한다.[11]
- 원반던지기와 해머던지기의 서클은 겸용형이어도 좋지만, 제1종 및 제2종 육상 경기장에서는 2곳 설치할 필요가 있다.[11] 포환던지기 서클과의 겸용은 인정되지 않는다.[11]
- 창던지기의 도움닫기 주로의 말단은, 창이 구조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11] 창던지기의 도움닫기는 직선으로 36.5m나 되는데다가, 창의 비거리가 100m 가까이 되기 때문에, 트랙의 곡선부를 횡단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2. 3. 3. 기타 시설
주어진 소스에는 '피치 (필드)' 문서의 '기타 시설' 섹션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소스에는 육상 경기장의 기본 사양, 트랙과 필드에 대한 간략한 설명, 경기장 방위에 대한 규정 등이 언급되어 있지만, 요약에서 제시된 장애물 경주 설비, 보조 경기장, 훈련 시설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2. 4. 기타 종목
크리켓, 사이클, 아이스하키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들은 축구, 야구 외에 다른 형태의 경기장을 사용한다.스포츠 | 관리 기관 | 형태 | 필드 길이 | 전체 길이 | 너비 | 전체 너비 | 표면 |
---|---|---|---|---|---|---|---|
크리켓 | ICC | 타원형 | 약 118.87m~약 164.59m | - | 약 118.87m~약 164.59m | - | - |
실내 크리켓 | WICF | 직사각형 | 30m | - | 12m | - | - |
사이클 볼 (국제) | UCI | 직사각형 | 14m | - | 11m | - | 나무, 마루, 칩보드, 삼중 접합판, 합성 |
필드 하키 | FIH | 직사각형 | 약 91.44m | - | 약 54.86m | - | - |
실내 하키 | 직사각형 | 36m~44m | - | 18m~22m | - | - | |
아이스 하키 | IIHF | 둥근 직사각형 | 61m | - | 30m | - | 얼음 |
아이스 하키 | NHL | 둥근 직사각형 | 약 60.96m | - | 약 25.91m | - | 얼음 |
인라인 하키 | World Skate | 둥근 직사각형 | 약 39.93m~약 60.05m | - | 약 20.12m~약 29.87m | - | 스포츠 타일, 나무, 아스팔트 또는 시멘트 |
농구, 배구, 패들 테니스 등 라켓 스포츠를 포함하여 10가지 이상의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다목적 스포츠 공간이다. 보통 실외에 설치되며, 1970년대 Sport Court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하지만 '스포츠 코트'라는 명칭은 Connor Sport Court International, LLC의 상표이므로, 일반적으로는 '''게임 코트'''라고 불린다.
대한민국에서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공인 경기장을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일본 육상 경기 연맹의 경기장 공인 기준을 참고할 수 있는데, 1종부터 4종까지 다양하며 과거에는 5종 경기장도 있었으나 현재는 4종에 통합되거나 사실상 부활했다. 각 등급에 따라 개최 가능한 대회와 시설 기준이 다르다. 경기장 공인은 운영자 신청, 실측 조사, 위원회 심사, 공인 여부 결정 순으로 진행되며 유효 기간은 5년이다. 경기장 개보수 시 재검정이 필요하며, 요건 미충족 또는 미갱신 시 공인이 취소된다. 공인료는 상위 등급일수록 높아, 상위 등급 요건을 갖추고도 하위 등급으로 공인받는 경우도 있다.
3. 다목적 경기장
게임 코트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바닥 위에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격자형 모듈식 폴리프로필렌(또는 유사한) 스포츠 표면을 덮어 만든다. 대부분의 게임 코트에는 농구 골대, 라켓 스포츠, 배구 및 배드민턴용 네트, 야간 경기용 조명, 펜스, 공 가두기 네트, 하키/축구 골대, 다양한 스포츠 라인, 연습용 장비 등이 설치된다.
게임 코트 표면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위에서 경기하는 것보다 안전하며, 부상 위험을 줄여준다. 오래된 운동 코트를 덮기 위해 서스펜디드 운동 코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표면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적합한 마찰력을 제공하며,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격 흡수 기능도 갖추고 있다.
가족이나 단체의 필요에 따라 맞춤 설계가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약 15.24m 크기의 일반적인 게임 코트에는 농구 골대 주변에 키와 3점 라인이 배치되고, 긴 쪽을 따라 쇼트 코트 테니스 또는 피클볼 라인(배구나 배드민턴에도 사용 가능)이 겹쳐져 있는 경우가 많다.
4. 대한민국 경기장 현황
4. 1. 국제 규격 경기장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의 공인을 받은 경기장은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 대회 등 IAAF 주최·관할 대회에 필요한 1종과 국제 초청 대회에 필수적인 2종으로 나뉜다.
일본 육상 경기 연맹 공인을 받은 육상 경기장은 제1종부터 제4종까지 구분된다. 과거에는 제5종 경기장도 있었지만, 2007년에 폐지되어 제4종에 통합되었다가 2022년부터 "제4종·L 공인 경기장"이 신설되어 사실상 부활했다.[20][21][22] 자전거 경기장이 병설된 육상 경기장은 "제○종·을 공인 경기장"으로 표기하며, 2011년부터 각 경기장 종별로 개최 가능한 경기 대회 규정이 개정되었다.[23]
주요 항목별 규격은 다음과 같다.
경기장 운영자가 공인 신청을 하면 일본 육상 경기 연맹은 검정원, 기술 임원을 파견하여 실측 조사를 하고, 시설 용구 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공인 여부를 결정한다. 공인 유효 기간은 각 종별 모두 5년[37][38]이지만, 경기장 개보수를 하면 재검정이 필요하다. 공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소유자·관리자가 유효 기간 만료 전에 공인 갱신을 하지 않으면 공인이 취소된다.
공인료는 상위 종별일수록 비싸며, 제1종은 신규 공인 880000JPY, 계속 공인 440000JPY(2024년 현재)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제1종이나 제2종 요건을 충족해도 금액이나 필요성 때문에 하위 종별로 공인을 받는 시설도 있다.
4. 2. 지역별 경기장
일본 육상 경기 연맹은 경기장 시설과 운영 능력을 기준으로 제1종부터 제4종까지 공인 등급을 부여한다. 과거에는 제5종 경기장도 있었으나, 2007년에 폐지되어 제4종에 통합되었다가 2022년부터 "제4종·L 공인 경기장"으로 부활했다.[20][21][22] 각 등급별로 개최 가능한 대회와 시설 기준에 차이가 있으며, 2011년부터 규정이 개정되었다.[23] 경기장에 자전거 경기장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제○종·을 공인 경기장"으로 표기한다.다음 표는 각 등급별 주요 규격을 나타낸다.[24]
일본 육상 경기 연맹은 경기장 운영자 신청을 받아 검정원과 기술 임원을 파견하여 실측 조사를 하고, 시설 용구 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공인 여부를 결정한다. 공인 유효 기간은 5년[37][38]이며, 경기장 개보수 시 재검정이 필요하다. 공인 요건 미달, 소유자·관리자 기간 만료 전 갱신 미실시의 경우 공인이 취소된다.
공인료는 상위 등급일수록 높다. 제1종은 신규 공인 880000JPY, 계속 공인 440000JPY(2024년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1종이나 제2종 요건을 충족해도 비용이나 필요성 때문에 하위 등급으로 공인받는 시설도 있다.
참조
[1]
서적
Economic Justice in an Unfair World: Toward a Level Playing Fie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12-16
[2]
웹사이트
OFFICIAL BASEBALL RULES - 2023 Edition
https://img.mlbstati[...]
[3]
문서
The width is the distance between foul poles... the Twins’ field width (473.9 ft) and the Braves’ field width (470.2 ft) i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ckies’ and Yankees’ field widths (492.9 ft and 446.9 ft, respectively) is very significant.
http://web.mit.edu/~[...]
[4]
웹사이트
Official rules of Softball - Fast pitch
https://static.wbsc.[...]
[5]
웹사이트
The Octagon {{!}} UFC
https://www.ufc.com/[...]
2024-11-21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Flag Football - Rules 2023
https://americanfoot[...]
[7]
웹사이트
Stadium
https://mathworld.wo[...]
2024-11-21
[8]
웹사이트
Kabaddi: Origin, rules and the Pro Kabaddi League
https://khelnow.com/[...]
2021-09-27
[9]
웹사이트
Standard style and circle style - the two variants of Kabaddi
https://www.sportsad[...]
2021-10-07
[10]
웹사이트
rules-season1.pdf
https://drive.google[...]
2022-08-14
[11]
웹사이트
第1種・第2種公認陸上競技場の基本仕様
https://www.jaaf.or.[...]
公益財団法人日本陸上競技連盟
2023-08-26
[12]
웹사이트
新国立競技場整備事業 業務水準要求書
https://www.jpnsport[...]
日本スポーツ振興センター
2023-08-26
[13]
웹사이트
競技規則・第2部 トラック競技
https://www.jaaf.or.[...]
公益財団法人日本陸上競技連盟
2023-08-26
[14]
웹사이트
公認陸上競技場および長距離競走路ならびに競歩路規程
https://www.jaaf.or.[...]
公益財団法人日本陸上競技連盟
2023-08-26
[15]
웹사이트
68個の新記録、東京五輪を支えた夜の保守作業
https://xtech.nikkei[...]
日経BP
2019-06-06
[16]
문서
タータントラック
[17]
웹사이트
記録の出やすさを確保しつつ、筋肉への負担を軽減
https://xtech.nikkei[...]
日経BP
2019-06-06
[18]
웹사이트
陸上競技のタータントラックって何?ブルータータンや高速タータンとは?
https://spojoba.com/[...]
スポジョバ
2023-08-26
[19]
간행물
女子 3000 m 障害における水濠障害と通常障害の通過スピード分析
https://www.jaaf.or.[...]
公益財団法人日本陸上競技連盟
2020
[20]
문서
陸上競技場と道路コース - 日本陸上競技連盟ハンドブック
https://www.jaaf.or.[...]
[21]
문서
公認陸上競技場および長距離競走路ならびに競歩路規程
https://www.jaaf.or.[...]
[22]
문서
第1・2種公認競技場の基本仕様
https://www.jaaf.or.[...]
[23]
문서
「屋外体育施設のルール」2011年の規則変更点について
http://www.jp-taiiku[...]
[24]
문서
第1種公認競技場には、管理者をおくことが望ましい。
[25]
문서
2022年より追加
[26]
문서
これらには対抗競技会・記録会のほか、旧第5種競技場相当に当たる学校内競技会やクラブ対抗競技会が含まれる。
[27]
문서
1レーンの幅は1m220、または1m250とする
[28]
문서
尚、[[国際陸上競技連盟]]の"IAAF Track and Field Facilities Manual 2008 Edition 2.2.1.1 Layout of the 400m Standard Track"によれば、[[IAAFコンチネンタルカップ]](World Cup in Athletics)に使用する競技場は9レーン必須となっている。また、同マニュアルの当該箇所には「外側のレーンの走者が有利になりすぎるため、曲走路の上限は9レーンとする」旨の記載がある。
[29]
문서
[[2010年]]の規約改正で、第1種公認競技場として認定する場合、補助競技場のトラックも全天候型舗装で、かつ第3種公認以上の規模を充足する物を設置することが義務付けられるようになった
[30]
문서
厚別公園競技場(改修工事)が完成しました! -IAAFのCLASS2に公認申請中です(札幌市陸上競技連盟)
http://www.h2.dion.n[...]
[31]
문서
第1種公認競技場に関しては付帯設備として投てき場を別途設置し、それを公認することも可
[32]
문서
芝生席を含む。少なくともメインスタンドは屋根を敷設し、7000人以上収容の座席を設置すること
[33]
문서
芝生席を含む。少なくともメインスタンドは1000人以上収容程度の座席を設置すること。かつ、屋根を敷設することが望ましい
[34]
문서
ただし、天然芝に人工芝を埋め込んだもの([[ハイブリッド芝]])を使用する場合は混入率5%以下とする
[35]
문서
滋賀県内の既存陸上競技場(滋賀県議会)
http://www.shigaken-[...]
[36]
문서
施設の規模・機能について(栃木県)
http://www.pref.toch[...]
[37]
문서
公認陸上競技場および長距離競走路ならびに競歩路規程
https://www.jaaf.or.[...]
[38]
문서
第5種があった時代はその競技場に対する更新期間は3年だった
[39]
웹사이트
陸連時報2023年7月号
https://www.jaaf.or.[...]
日本陸上競技連盟
2024-03-09
[40]
웹사이트
公認陸上競技場・競走路・競歩路
https://www.jaaf.or.[...]
2020-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