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는 16세기 플랑드르의 화가로, 농민들의 삶을 주제로 한 풍속화와 풍경화로 유명하다. 그는 1525년에서 1530년 사이에 태어나 1569년 사망했으며,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예술적 경험을 쌓았다. 안트베르펜에서 활동하며 판화 디자인에도 참여했고, 브뤼셀로 이주하여 가장 유명한 작품들을 제작했다. 브뤼헐은 종교 개혁 시기의 사회적 변화를 작품에 담아냈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네덜란드 속담》, 《농가의 혼례》, 《눈 속의 사냥꾼》 등이 있다. 그는 두 아들, 피터르 브뤼헐 더 younger(영거)와 얀 브뤼헐 더 아우더를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화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 피터르 브뤼헐 - 더 밀 앤 더 크로스 《더 밀 앤 더 크로스》는 피터 브뤼헐의 그림을 바탕으로 16세기 플랑드르 지방의 종교적 박해와 삶을 묘사한 2011년 영화로, 기술적 성취와 시각적 아름다움으로 호평을 받았다.
대 피터르 브뤼헐 - 얀 브뤼헐 더 아우더 얀 브뤼헐 더 아우더는 1568년 브뤼셀에서 태어난 플랑드르 르네상스 화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17세기 초 플랑드르 미술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하고 페테르 파울 루벤스와 함께 17세기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로 평가받는다.
1569년 사망 - 캐서린 케리 캐서린 케리는 윌리엄 캐리와 메리 볼린의 딸이자 엘리자베스 1세의 외사촌으로, 일부 역사가들은 헨리 8세의 사생아로 추정하며,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침실의 수석 여인으로서 여왕의 신임을 받아 궁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프랜시스 놀리스 경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어 그 후손들이 잉글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569년 사망 - 윤원량 조선 시대 문신 윤원량은 파산부원군 윤지임의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오빠로, 중종의 비호 아래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명종 즉위 후 위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손녀 윤씨의 미이라 발견을 통해 문정왕후와의 관계 및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브레다 출신 - 티에스토 티에스토는 1969년 네덜란드 출생으로 1985년부터 DJ 활동을 시작하여 트랜스와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을 선도하며 다수의 앨범을 발매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개막식 공연, 그래미상 수상, "Dance4Life" 재단 활동 등으로 세계적인 DJ이자 음악 프로듀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브레다 출신 - 실비 메이스 실비 메이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모델, 텔레비전 진행자, 배우이며, 독일에서 활동하며 여러 프로그램에 출연했고, 유방암 투병 경험이 있으며, 축구 선수 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와 결혼했으나 이혼했다.
브뤼헐의 생애에 관한 자료는 매우 적으며, 대부분 1604년 카렐 판 만데르의 전기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전기는 일화적인 요소가 많아 정확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브뤼헐 자신은 어떠한 기록도 남기지 않았다.[1]
브뤼헐의 초기 생애, 이탈리아 여행, 안트베르펜 시대, 브뤼셀 시대의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해당 항목, 해당 항목, 해당 항목, 해당 항목을 참조하라.
2. 1. 초기 생애 (1525년경~1551년)
브뤼헐의 출생 연도와 장소는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아 불분명하다. 다만, 1551년 안트베르펜 화가 길드인 성 루카 길드에 "Peeter Brueghels"라는 이름으로 가입한 기록이 있는데, 길드 가입은 통상 21세에서 26세 사이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역산하면 브뤼헐은 1525년에서 1530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7]
로도비코 귀차르디니는 브뤼헐이 브레다에서 태어났다고 기록했지만,[9] 카렐 판 만데르는 자신의 저서 ''화가 열전''에서 브뤼헐이 브레다 근처의 '브뤼헐'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10] 그러나 이 '브뤼헐'이라는 마을이 정확히 어디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1] 판 만데르는 브뤼헐이 농민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는 점을 들어 그가 농민 출신일 것이라고 추정했지만,[12] 현대 학자들은 브뤼헐이 인문주의자들과 교류한, 교육받은 도시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13]
카를 5세의 궁정 화가였던 피터르 쿠케 반 알스트는 브뤼헐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8] 브뤼헐은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피터르 쿠케의 제자로 있었으며,[16] 1550년 9월에서 1551년 10월 사이에는 메헬렌에서 피터르 발텐스와 함께 제단화의 날개를 그리는 작업을 했다.[13] 브뤼헐은 피터르 쿠케의 아내인 마이켄 페르훌스트를 통해 이 일을 얻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마이켄의 가족들은 모두 예술가이거나 예술가와 결혼했으며 메헬렌에 살았다.[17]
1551년 브뤼헐은 성 루카 길드에서 자유로운 장인이 된 직후 이탈리아로 떠났다. 그는 로마를 방문했고, 1552년에는 레조 디 칼라브리아에 도착했는데, 터키의 습격으로 불타는 도시를 그린 그림이 남아있다.[18]시칠리아까지 갔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1553년에는 로마로 돌아왔다. 로마에서 그는 세밀화가 줄리오 클로비오를 만났고, 둘은 공동 작업을 하기도 했다. 이 작품들은 풍경화였지만 남아있지 않다. 다만 클로비오가 제작한 필사본의 여백 세밀화는 브뤼헐의 작품으로 여겨진다.[19]
브뤼헐은 리옹을 거쳐 몽・스니 고개를 넘는 여정에 화가 마르턴 데 포스와 동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1552년, 이탈리아 남부 칼라브리아주까지 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같은 해 터키의 공격으로 불탄 레조 디 칼라브리아의 도시를 그린 소묘에서 알 수 있다. 레조에서 더 나아가 메시나까지 갔다는 것도 그의 판화에서 추측할 수 있다. 브뤼헐의 초기 작품인 《이탈리아풍 회랑이 있는 산의 풍경》(1552년)과 《배경에 산이 있는 계곡》(같은 해)은 남이탈리아에서 그려졌을 가능성이 있다. 《나폴리 만의 해전》의 유화도 남이탈리아 여행을 뒷받침한다.
1553년까지 로마로 돌아온 것으로 보인다. 요리스 후프나헬의 두 점의 에칭에는 "피터르 브뤼헐 그림, 로마, 1553년 (Petrus Bruegel Fecit Romae Ao 1553)"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또한 로마의 "리파 그란데 항구"의 소묘도 남아 있다. 게다가 로마의 계몽가 줄리오 클로비오의 소장품 목록에 "반은 자신이, 반은 피터르 브뤼헐이 그린 세밀화", 기타 브뤼헐의 《바벨탑》, 과슈 수채화 《리옹의 풍경》 등 여러 작품이 기재되어 있는 것도 로마 체류의 증거이다.
1555년부터 1563년까지 브뤼헐은 북유럽의 출판 중심지였던 앤트워프에 살면서, 주로 히에로니무스 코크를 위해 40점 이상의 판화 디자인을 했다. 그의 연대별로 기록된 그림은 1557년부터 시작되었다.[23] 브뤼헐은 직접 판화를 제작하지 않고, 코크의 전문가들이 작업할 수 있도록 드로잉을 제작했다. 1559년부터 그는 이름에서 'h'를 빼고 그림에 '브뤼헐'로 서명했다. 그의 친척들은 "브뢰헬" 또는 "브레우헬"을 계속 사용했다. 그는 도시의 활기찬 르네상스 인문주의 서클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이름 변경은 이를 라틴화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동시에 그는 서명에 사용하던 고딕 블랙레터에서 로마 대문자로 글씨체를 변경했다.[13]
당시 안트베르펜은 아시아로 가는 아프리카 항로, 아메리카로 가는 대서양 항로의 개척 등으로 지중해 연안 도시를 대신하여 대항해의 거점이 되었으며, 비단·향신료를 가져오는 중동, 곡물을 생산하는 발트해, 양모를 생산하는 영국을 잇는 남북 무역에서도 번성하여 유럽에서 성장이 두드러진 도시였다. 예술도 번성하여 1560년에는 360명의 화가가 있었다고 한다(1569년 시점에서 안트베르펜의 인구는 약 89,000명).[24]
브뤼헐은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나 출판업자 크리스토프 플랑탱 등 네덜란드의 저명한 인문학자들과 친교를 맺었다. 1559년부터 그는 고딕체의 "brueghel"에서 로마 대문자 "BRVEGEL"로 바꾸었는데, H를 뺀 것은 인문학자들의 관습에 따라 라틴어적인 표기법을 채택한 것으로 생각된다.
2. 4. 브뤼셀 시대 (1563년~1569년)
1563년 브뤼헐은 피터르 쿠케 반 알스트의 딸 마리아 쿠케와 결혼하고 브뤼셀로 이주했다. 브뤼헐의 주요 작품 대부분은 이 시기에 제작되었다. 마리아와의 사이에서 장남 피터르 브뤼헐, 차남 얀 브뤼헐과 딸 1명을 낳았다.[27]
1567년 8월,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가 파견한 제3대 알바 공작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가 브뤼셀에 입성하여 프로테스탄트(신교도)에 대한 격렬한 탄압을 가했다. 브뤼헐은 이 사태를 목격하게 되었다.
카럴 판 만더르에 따르면, 브뤼헐은 죽기 직전에 아내에게 "지나치게 직설적이고 풍자적인" 소묘를 불태우게 했다고 한다. 만델은 "후회의 마음에서였는지, 아내가 박해받거나 어떤 형태로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인지"라고 기록했다.
1569년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나이로 사망했다. 노트르담 드 라 샤펠 교회( Chapel Church영어)에 매장되었다.[65]
3. 작품
브뤼헐의 유화 작품은 약 40점 정도가 현존하며, 그 외에도 다수의 소묘와 판화가 남아있다. 특히 빈 미술사 박물관에는 12점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네덜란드 총독 에르네스트 폰 외스터라이히와 그의 형인 신성 로마 황제 루돌프 2세가 수집한 합스부르크 가문 컬렉션의 일부였다.[57] 그는 예로니뮈스 코크 출판사를 위해 약 40점의 판화, 동판화, 에칭을 디자인했으며, 현재 약 61점의 드로잉이 그의 진품으로 인정받고 있다.[42]
베들레헴의 인구조사 (1566년), 벨기에 왕립 미술관
3. 1. 주요 작품 경향
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는 농민의 일상과 풍경을 담은 풍속화를 주로 그렸지만, 종교적인 작품도 남겼다. 특히 농민의 삶을 그림의 중심 주제로 삼은 것은 당시 화가들 사이에서 드문 일이었으며, 그는 풍속화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농민 그림은 초기와 후기 스타일로 나뉜다. 초기에는 높은 시점에서 작은 인물들을 많이 그려 넣었고, 후기에는 풍경을 배경으로 몇몇 큰 인물들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28]
그의 작품들은 농사, 사냥, 축제, 춤 등 농촌 생활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사라져 가는 민속 문화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네덜란드 속담''은 당시 격언들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플랑드르 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29] ''어린이 놀이''는 당시 아이들의 다양한 놀이 문화를 보여준다. ''눈 속의 사냥꾼''과 같은 겨울 풍경화는 소빙하기 시대의 혹독한 겨울을 짐작하게 한다. 브뤼헐은 ''농민의 결혼''과 같이 실제 사람들을 모델로 한 그림을 그리기도 했지만, ''사육제와 사순절의 싸움''처럼 탐욕과 같은 인간의 어두운 면을 우화적으로 그린 작품도 있다.
브뤼헐은 ''바울의 개종''과 같이 종교적인 주제를 플랑드르 풍경 속에 담아내기도 했다. 그는 ''눈먼 자가 눈먼 자를 이끌다''에서처럼 장애인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성경 구절을 인용하여 세상의 목표에만 집중하는 인류의 맹목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브뤼헐은 ''사육제와 사순절의 싸움''과 같은 작품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30]
1560년대 이후, 브뤼헐은 몇몇 큰 인물들을 중심으로 그림을 그리는 스타일로 변화했다. 그의 그림은 풍경이 중심이 되고, 인물의 수와 크기는 중간 정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에는 풍경화와 함께 종교적, 우화적 주제를 다룬 작품을 주로 그렸다면, 1562년에는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영향을 받은 환상적인 작품들을 제작했다. "타락한 천사의 추락", "거식증을 앓는 여자", "죽음의 승리" 가 대표적이다.
후기에는 농민들의 일상과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들을 주로 그렸는데, 1565년에 제작된 연작 월력화가 대표적이다. 「어두운 날」(초봄), 「건초 수확」(여름), 「곡물 수확」(가을), 「소 떼의 귀가」(만추), 「눈 속의 사냥꾼」(겨울) 5점이 남아있다.
「농민의 결혼 잔치」(1568년경)와 「농민의 춤」(1568년경[68])은 화면 전경에 크게 인물들이 그려진 구도이며, 우화적 의도가 있다기보다는 전통적인 결혼식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생각된다.
3. 2. 대표작
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는 풍경 요소를 포함한 농민 풍속화와 종교화를 주로 그렸다. 특히 농민 생활을 주제로 한 그림은 당시 회화에서 드문 것으로, 풍속화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크게 두 가지 스타일로 나뉘는데, 초기에는 높은 시점에서 작은 인물들을 균등하게 배치한 그림을 그렸고, 후기에는 큰 인물 몇 명을 풍경 배경에 배치하는 스타일을 보였다.
브뤼헐은 농촌 생활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16세기 삶의 중요한 도상학적 증거를 남겼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속담은 당시의 격언들을 묘사한 것이며, 아이들의 놀이는 젊은이들의 다양한 오락을 보여준다. 눈 속의 사냥꾼과 같은 겨울 풍경화는 소빙하기의 혹독한 겨울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
브뤼헐은 종교적인 주제도 다루었는데, 바울의 개종과 같이 넓은 플랑드르 풍경을 배경으로 한 종교화를 그리기도 했다. 눈먼 자가 눈먼 자를 이끌다는 성경 구절을 묘사하여 인류의 맹목을 상징하는 작품이다.
1560년대 이후 브뤼헐은 몇몇 큰 인물만 보여주는 스타일로 변화했는데, 풍경이 지배적이고 인물 수와 크기는 중간 정도를 유지했다.
다음은 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티베리아스 호수에서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있는 풍경'', 1553, 마르턴 데 보스와 협업, 개인 소장
''나무와 노새가 있는 마을 풍경'', 1526–1569, The Phoebus Foundation''성 마르탱 축제의 포도주'',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2010년 발견)
;판화 및 드로잉
''큰 물고기는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1556; 브뤼헐의 디자인과 그 후의 판화 모두 보유
''학교에 간 당나귀'', 1556, 드로잉, 베를린 국립 박물관
''아펠레스의 중상'', 1565, 드로잉, 대영 박물관, 런던
''화가와 감정가'', 드로잉, c. 1565, 알베르티나, 빈
''나무와 노새가 있는 마을 풍경'', 1526–1569, The Phoebus Foundation
4. 평가
농민들의 삶을 주로 다룬 탓에 "농민 화가"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브뤼헐은 인문주의자들과 교류했던 교양인이었으며, 그의 작품에는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담겨 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속담''은 당시 수십 개의 격언을 묘사하고 있으며,[29] ''어린이 놀이''는 젊은이들이 즐기는 다양한 오락을 보여준다.
브뤼헐의 작품에 나타난 세밀한 묘사는 역사적, 풍속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농민의 결혼''과 같은 그림에서 브뤼헐은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한 사람들을 그렸지만,[30] ''사육제와 사순절의 싸움''에 나오는 사람들은 탐욕이나 폭식의 우화적 인물들이다.[30] 브뤼헐은 또한 ''바울의 개종''과 ''세례자 요한의 설교''와 같이 넓은 플랑드르 풍경을 배경으로 한 종교 장면을 그리기도 했다.
브뤼헐의 작품은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아들 피터르 브뤼헐은 아버지의 작품을 복제하거나 개작하고, 비슷한 맥락의 자신의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아드리안 브라우어와 다비드 빈크보온스 등 다음 세기의 농민 풍속화가들은 브뤼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55]
5. 후손
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는 피터르 브뤼헐 더 younger(영거)와 얀 브뤼헐 더 아우더 두 아들을 두었다. 두 아들 모두 브뤼헐이라는 이름을 유지했다. 마이켄 베르홀스트는 두 아들이 아주 어렸을 때 브뤼헐 더 아우더가 사망했기 때문에 그들을 훈련시켰다.[45][46]
형인 피터르 브뤼헐 더 younger(영거)는 아버지의 화풍과 구성을 솜씨 있게 모방하여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지옥의 브뤼헐'로 불리기도 한다.
얀 브뤼헐 더 아우더는 훨씬 더 독창적이었고, 매우 다재다능했다. 그는 여러 장르에서 플랑드르 바로크 회화와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로의 전환에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종종 다른 주요 예술가들과 협력했는데, 그 중에는 《시각의 알레고리》를 포함한 많은 작품에서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있었다. '꽃의 브뤼헐'로 불리기도 한다.
가족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얀 반 케셀 더 아우더 (얀 브뤼헐 더 아우더의 손자)와 얀 반 케셀 더 younger(영거)가 있다. 다비드 테니에르스 더 younger(영거), 얀 브뤼헐 더 아우더의 사위를 통해 이 가족은 또한 테니에르스 가문의 화가 전체와, 얀-에라스뮈스 퀠리누스가 다비드 테니에르스 더 younger(영거)의 딸인 코르넬리아와 결혼하면서 퀠리누스 가문의 화가 및 조각가와도 관련이 있다.
[1]
문서
Orenstein, 63–64
[2]
백과사전
Bruegel
http://encyclopedia2[...] [3]
웹사이트
Brueghel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8-10
[4]
사전
Bruegel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5]
사전
Brueghel
2019-08-10
[6]
사전
Brueghel
2019-08-10
[7]
문서
Orenstein, 5; Grove
[8]
문서
Orenstein, 5
[9]
문서
"Grove; [http://www.dbnl.org/tekst/mand001schi01_01/mand001schi01_01_0221.php van Mander's Bruegel biography in Dutch]; Wied, 15–18 gives a full English translation. Guicciardini was an Italian who had lived in Antwerp since at least 1542, and probably knew Bruegel, which Van Mander, born in 1648 on the [[Meulebeke|other side of Flanders]], is most unlikely to have done."
[10]
문서
"den welcken is geboren niet wijt van Breda, op een Dorp geheeten Brueghel, welcks naem hy met hem ghedraghen heeft, en zijn naecomelinghen ghelaten."
[11]
문서
'Grove: "none of the three Flemish villages of that name is close to Breda".; Wied, 18, says two of the villages (Groot Bruegel and Cleyn Bruegel) are close to [[Bree, Belgium]], which is "Breda" in Latin, perhaps causing Van Mander confusion. [[Son en Breugel]] still has supporters but is 34 miles from Breda, though just outside [[Eindhoven]] – see [https://rkd.nl/nl/explore/artists/13292 RKD].'
[12]
문서
Orenstein, 57–58; Grove
[13]
문서
Grove
[14]
문서
Wied, 19–20
[15]
문서
Orenstein, 64
[16]
문서
This is according to Van Mander; although there is no documentation and little evident stylistic influence from his future father-in-law, modern scholars generally accept this.
[17]
문서
Orenstein, 5, 7
[18]
문서
Grove; Orenstein, 204 for the drawing
[19]
문서
Orenstein, 5–6; Grove
[20]
문서
Orenstein, 140–142
[21]
문서
Orenstein, 266–267, and following catalogue pages; Grove
[22]
문서
Snyder, 502; Orenstein, 96–97 for one agreed exception; see [http://www.britishmuseum.org/research/collection_online/collection_object_details.aspx?objectId=712020&partId=1 this British Museum page] for another drawing of Roman ruins, perhaps the Colosseum, recently attributed to Bruegel
[23]
문서
Orenstein, 7
[24]
문서
Wied, 9–10
[25]
문서
Van Mander, quoted in Wied, 16; Orenstein, 7; Hagens, 15
[26]
문서
Grove; Orenstein, 8–9
[27]
서적
The World of Bruegel
Time-Life Library of Art
[28]
문서
Franits, 203
[29]
서적
Art History- Fourteenth to Seventeenth Century Art
[30]
서적
Prints & People: A Social History of Printed Pictur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문서
about 1558 has been suggested
[32]
문서
Silver, 39–52; Snyder, 502–510; Harbison, 140–142; Schama, 431–433
[33]
문서
Wood, Chapter 5, especially 275–278
[34]
문서
'Bruegel. The World of Art Library.'
Thames and Hudson
[35]
서적
Bosch and Bruegel
Princeton Univ. Press
[36]
서적
Bosch and Bruegel
Princeton Univ. Press
[37]
서적
The World of Bruegel
Time-Life Library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웹사이트
Metropolitan page
http://www.metmuseum[...]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간행물
De verloving van Pieter Bruegel de Oude. Nieuw licht op de Antwerpse verankering
[46]
웹사이트
Pieter Bruegel, the Elder | Flemish artist
https://www.britanni[...]
2020-08-20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웹사이트
p. 30
http://catdir.loc.go[...] [51]
서적
Princes and Artists, Patronage and Ideology at Four Habsburg Courts 1517–1633
Thames & Hudson
[52]
서적
The Princes Gate Collection
Courtauld Institute Galleries, London
[53]
문서
[54]
웹사이트
Sotheby's: Catalogue note on a good copy
http://www.sothebys.[...]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웹사이트
deredactie.be
http://www.vrtnieuws[...]
Vrtnieuws.net
2009-11-12
[60]
웹사이트
Lobkowicz Fundraiser
https://lobkowiczgal[...]
2020-08-20
[61]
웹사이트
Muzeul National Brukenthal Sibiu
http://www.brukentha[...]
2020-08-20
[62]
서적
View With a Grain of Sand
Houghton Mifflin Harcourt
[63]
서적
Opened Ground: Poems 1966–1996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10-12-22
[64]
웹사이트
ブリューゲル
https://kotobank.jp/[...]
2023-02-05
[65]
서적
ブリュッセル歴史散歩 中世から続くヨーロッパの十字路
日経BP企画
[66]
웹사이트
Description détaillée
http://www.fine-arts[...]
2011-09-03
[67]
논문
Bruegel's "Fall of Icarus": Ovid or Solomon?
Stichting voor Nederlandse Kunsthistorische Publicaties
[68]
서적
中野京子と読み解く 名画の謎 対決篇
文藝春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