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 쉬들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 쉬들란은 노르웨이 출신의 경제학자로, 2004년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노르웨이 경제경영대학원에서 이론 경제학을 전공하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기 순환, 통화 및 재정 정책, 노동 경제학이며, 경제 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와 실물경기변동이론을 제시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로 재직하며 총합 경제 및 금융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댈러스, 클리블랜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등에서 연구 협력자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경제학자 - 랑나르 프리슈
랑나르 프리슈는 경제학에 수학적 방법론을 도입한 노르웨이 경제학자로, 경제학의 양자화를 주장하고 수리통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6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고 나치 점령기 저항 운동에 참여하는 등 계량경제학 발전에 기여했다. - 노르웨이의 경제학자 - 트뤼그베 호벨모
트뤼그베 호벨모는 계량경제학의 확률 이론적 기초를 명확히 하고 동시적 경제 구조를 분석한 공로로 198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노르웨이 경제학자이자 계량경제학자이다. - 노르웨이의 노벨상 수상자 - 욘 포세
욘 포세는 미니멀한 문체와 침묵을 활용해 인간의 불안과 고독을 탐구하는 노르웨이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202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입센의 재림"이라 불린다. - 노르웨이의 노벨상 수상자 - 랑나르 프리슈
랑나르 프리슈는 경제학에 수학적 방법론을 도입한 노르웨이 경제학자로, 경제학의 양자화를 주장하고 수리통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6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고 나치 점령기 저항 운동에 참여하는 등 계량경제학 발전에 기여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교수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교수 - 레다 코스미데스
레다 코스미데스는 미국의 인지 심리학자이자 진화 심리학 연구자로서 사회적 교환, 속임수 탐지, 위험 감수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로 재직하며 존 투비와 함께 진화 심리학 센터를 공동 설립했다.
핀 쉬들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핀 얼링 쉬들란 |
출생일 | 1943년 12월 1일 |
출생지 | 오울가르 (스타방에르 근처), Gjesdal, 노르웨이 |
국적 | 노르웨이 |
학력 | |
학사 | 노르웨이 경제대학교 |
박사 | 카네기 멜런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분산된 거시 경제 계획 |
박사 학위 논문 URL | 분산된 거시 경제 계획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75년 |
경력 | |
대학교 | 노르웨이 경제대학교 카네기 멜런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
직업 | 경제학자 |
학문 분야 | |
분야 | 거시 경제학, 정치 경제학 |
학문적 조언자 | 에드워드 C. 프레스콧 데이비드 캐스 |
영향 | 로버트 S. 캐플란 |
기여 | 실물 경기 변동 이론 경제 정책의 시간 일관성 |
수상 | |
수상 | 노벨 경제학상 (2004년) |
2. 생애
핀 쉬들란은 1943년 노르웨이 남서부 로갈란주예렌의 농업 지역 야스달 세이란 자영 농장에서 6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노르웨이 경제경영대학원(Norges Handelshøyskole, NHH)에서 이론 경제학을 전공하여 1968년 이학사 학위를, 1973년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분산화된 거시 경제 계획"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노르웨이 경제경영대학원으로 돌아와 조교수로, 1977년부터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 테퍼 경영대학원에서 경제학 부교수와 교수로 재직했다. 2004년7월 1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의 경제학 교수가 되었으며, 같은 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노르웨이 경제경영대학원 객원 교수, 댈러스, 미니애폴리스,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연구 자문도 맡았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쉬들란은 노르웨이 남서부 로갈란주의 예스달에 위치한 예렌 농업 지역의 가족 농장에서 6남매 중 장남으로 자랐다. 그는 자유로운 환경에서 자랐으며, 부모님은 자녀에게 많은 제약을 가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핀 쉬들란은 친구의 밍크 농장에서 부기를 하면서 청년기에 수학과 경제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이론 경제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된 쉬들란은 1968년 노르웨이 경제대학(NHH)에서 이학사 학위를, 1973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분산된 거시 경제 계획''이며, 지도교수는 에드워드 C. 프레스콧이었다.[5]
연도 | 내용 |
---|---|
1943년 | 노르웨이 남서부 로갈란주 예렌의 농업 지역에 있는 예스달의 세이란 자영 농장에서 태어났다. 6남매 중 장남. |
1968년 | 노르웨이 경제경영대학원(Norges Handelshøyskole, NHH)에서 이론 경제학 이학사 학위 취득. |
1973년 |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 (박사 논문 "분산화된 거시 경제 계획"). |
2. 2. 학문적 경력
Finn Erling Kydland영어는 1968년 노르웨이 경제경영대학원(NHH)에서 이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1973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분산화된 거시 경제 계획"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 박사 학위 취득 후 NHH로 돌아가 조교수로 재직했다.[7][8] 1977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로 다시 이주하여 부교수를 거쳐 교수로 재직했다.[6] 2004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UCSB)의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UCSB에 총합 경제 및 금융 연구소(LAEF)를 설립했다.[7][8]댈러스 연방준비은행,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연구 협력자,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IC² 연구소 연구원, NHH 겸임 교수, 후버 연구소 및 아르헨티나 토르쿠아토 디 텔라 대학교 방문 학자 등 다양한 기관에서 활동했다.
2. 3. 개인사
쉬들란은 1968년 리브 켈레볼드와 결혼하여 에이리크, 욘 마르틴, 카밀라, 카리 등 4명의 자녀를 두었다.[9] 현재 그는 토냐 스쿨러와 재혼했다.[9] 그의 두 번째 부인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에서 알츠하이머병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신경과학자이다.[9]3. 주요 연구 업적
핀 쉬들란은 경제학 및 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연구했으며, 경기 순환, 금융 정책, 재정 정책, 노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국제 거시 경제학의 수수께끼 중 하나인 바커스-키호-키들랜드 역설을 제시하기도 했다.[6]
2004년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동태적 거시 경제학에 대한 공헌, 특히 경제 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 지적과 실물 경기 변동 이론의 개척을 인정받은 결과였다.[7][8]
키들랜드의 주요 업적은 실물 경기 변동 이론 창시이다. 1982년 키들랜드와 프레스콧은 "Time to build and aggregate fluctuations(건설 기간과 총량 변동)" 논문을 통해 1 부문 최적 성장 모델을 기반으로, 경제에 가해지는 실물적 충격에 따른 경기 변동과 경제 주체의 반응을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다.
실물 경기 변동 이론은 화폐적 요인보다 실물적인 측면을 중시하며 경기 변동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키들랜드 등이 사용한 캘리브레이션 수치 시뮬레이션 기법은 1990년대 초부터 케인스 학파 논문에서도 유사하게 사용되면서, 현실 수치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분석 기법은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3. 1. 경제 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1977년에 함께 발표한 논문 "Rules rather than Discretion: The Inconsistency of Optimal Plans"에서, 핀 쉬들란은 정부가 장기적인 최적 계획을 수립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여 결국 원래 계획을 따르지 못하게 되는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를 경제 정책 결정 과정에서 지적했다.[6] 이 연구는 중앙은행의 독립성, 명확한 규칙에 기반한 정책 결정 등 제도적 장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후 통화 및 재정 정책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7][8]3. 2. 실물경기변동이론 (Real Business Cycle Theory)
1982년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함께 발표한 논문 "Time to Build and Aggregate Fluctuations"에서, 핀 쉬들란은 기술 변화와 같은 실물적 요인이 경기 변동의 주요 원인이라는 실물 경기 변동 이론을 제시했다.[6] 이 이론은 경기 변동을 생산성 변화에 대한 경제 주체들의 합리적인 반응으로 설명하며, 통화량이나 재정 정책과 같은 전통적인 거시경제 변수들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실물경기변동이론은 경제학계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이후 거시경제 모형 구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태적 확률 일반균형(DSGE) 모형의 발전으로 이어졌다.3. 3. 기타 연구
핀 쉬들란은 바커스-키호-키들랜드 역설과 같은 국제 거시경제학의 수수께끼를 제시했다.[6] 키들랜드(Kydland영어)는 경제학 및 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연구했으며, 경기 순환, 금융 정책, 재정 정책, 그리고 노동 경제학에도 강한 관심을 보였다.[7][8]4. 한국과의 관계
핀 쉬들란의 전문 분야는 경제학과 정치경제학이다. 그의 주요 강의 및 관심 분야는 경기 순환, 통화 및 재정 정책, 노동 경제학이다.[6]
5.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
2004년 | 노벨 경제학상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공동 수상) |
1992년 | 계량경제학회 회원 |
1982년~1983년 | 후버 연구소 존 스타우퍼 국립 연구원 펠로우 |
1973년 | 카네기 멜론 대학교 알렉산더 헨더슨 상 |
(연도 미상) |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 |
2017년 | 국제 상업 회의소 오슬로 평화를 위한 비즈니스 상 |
6. 저서
제목 | 공동 저자 | 학술지 | 출판 연도 |
---|---|---|---|
Endogenous Money, Inflation, and Welfare영어 | 에스펜 헨릭슨 | Review of Economic Dynamics | 2010년 4월 |
Monetary Policy, Taxes, and the Business Cycle영어 | 윌리엄 개빈, M. 파코 |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 2007년 9월 |
The Welfare Cost of Inflation in the Presence of Inside Money영어 | 스콧 프리먼, 에스펜 헨릭슨 | D.E. 알티그 & E. 노살 편집, Monteary Policy in Low-Inflation Economies영어 | 2006년 |
Quantitative Aggregate Theory영어 | American Economic Review | 2006년 | |
Home Production Meets Time to Build영어 | 폴 고메, 피터 루퍼트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2001년 |
Monetary Aggregate and Output영어 | 스콧 프리먼 | American Economic Review | 2000년 |
Endogenous Money Supply and the Business Cycle영어 | 윌리엄 개빈 | Review of Economic Dynamics | 1999년 |
The Gold Standard as a Rule: An Essay in Exploration영어 | M. 보르도 |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 1995년 |
Dynamics of the Trade Balance and the Terms of Trade: The J-Curve?영어 | D. 백커스, P. 케호 | American Economic Review | 1994년 |
Intertemporal Preferences and Labor Supply영어 | V. 호츠, G. 세들라첵 | Econometrica | 1988년 |
Time to Build and Aggregate Fluctuations영어 | E. 프레스콧 | Econometrica | 1982년 |
Rules rather than discretion: The inconsistency of optimal plans영어 | E. 프레스콧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1977년 |
7. 취미
핀 쉬들란은 스포츠를 좋아하여, 특히 축구를 즐겨 했다. 축구 경기 관전에도 종종 발걸음을 했으며,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의 서포터였다. 또한 마라톤에도 출전하여 참가한 대회를 완주했다.
그 외에도 핀 쉬들란은 음악, 특히 블루스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두카티 오토바이를 애차로 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Macroeconomics from Keynes to Lucas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UCSB Economics | Giving
http://www.econ.ucsb[...]
2013-04-29
[3]
웹사이트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04 - Finn E. Kydland
https://www.nobelpri[...]
2018-03-28
[4]
서적
Economics for the Curious: Inside the Minds of 12 Nobel Laureat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12-30
[5]
Google books
Nobel Faces
[6]
뉴스
The Cost of Health
http://www.news.ucsb[...]
2018-03-28
[7]
웹사이트
LAEF
http://www.laef.ucsb[...]
[8]
웹사이트
Faculty - Finn Kydland
https://econ.ucsb.ed[...]
2018-03-28
[9]
웹사이트
What makes good policy?
https://www.ubs.com/[...]
2024-10-13
[10]
웹사이트
Gruppe 7: Samfunnsfag (herunder sosiologi, statsvitenskap og økonomi)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09-10-26
[11]
뉴스
ICC applauds 2018 Business for Peace Award winners - ICC -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https://iccwbo.org/m[...]
2018-03-20
[12]
서적
A History of Macroeconomics from Keynes to Lucas and Beyond
https://archive.org/[...]
[1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econ.ucsb[...]
2013-04-29
[14]
웹인용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04 - Finn E. Kydland
https://www.nobelpri[...]
2018-03-28
[15]
구글 도서
Nobel Faces
[16]
뉴스 인용
The Cost of Health
http://www.news.ucsb[...]
2018-03-28
[17]
URL
http://www.laef.ucsb[...]
[18]
웹인용
Faculty - Finn Kydland
https://econ.ucsb.ed[...]
2018-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