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랄드 1세 하르파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랄드 1세 하르파그리는 '아름다운 머리카락'을 뜻하는 별칭을 가진 노르웨이의 첫 번째 왕으로, 베스트폴의 잉글링 가문 출신이며, 스웨덴 왕가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 그는 노르웨이 통일을 이룬 인물로 묘사되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동시대 자료 부족과 사가 기록의 신뢰성 문제가 제기된다. 하랄 1세는 여러 사가에 등장하며, '흐라픈스말'과 '글림드라파'와 같은 스칼드 시에 언급되기도 한다. 대중문화에서 하랄 1세는 노르웨이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윙글링가 - 할프단 스바르티
    할프단 스바르티는 9세기 노르웨이 서부의 유력한 인물로, 왕국 분할 후 세력을 확장하여 아그데르 정복, 오슬로 피오르 장악, 스바네키 일족과의 결혼 동맹 강화, 라우마리케 정복, 헤드마르크 영유권 주장, 하랄 1세 출산, 빙굴마르 전투 승리 후 왕이 되었으나 란스피오르덴 호수에서 익사했다.
  • 933년 사망 - 이사원
    이사원은 오대십국시대 후당의 황제로, 사타족 출신으로 이극용의 양자가 되어 후당 건국에 공헌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내정 안정에 힘썼으나 군부 세력 억제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933년 사망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트리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트리폰은 로마노스 1세의 약속 거부로 인해 사임하고 수도원으로 은퇴하여 933년에 사망했으며,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 노르드인 - 바랑기아인
    바랑기아인은 스칸디나비아 출신 용병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동유럽과 비잔티움 제국 등지에서 무역 및 군사 활동을 했으며, 키예프 루스 형성과 비잔티움 제국 바랑기아 친위대 구성에 기여했다.
  • 노르드인 - 레이프 에이릭손
    레이프 에이릭손은 아이슬란드 출신의 노르드인 탐험가이자 그린란드 족장으로, 북미 빈란드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으로 여겨지며, 헬룰란드, 마르크란드를 거쳐 빈란드에 이르는 항해를 통해 북아메리카를 탐험했고, 그의 탐험 기록은 사가에 남아있으며, 스칸디나비아계 미국인들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랄드 1세 하르파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플라테이야르보크의 하랄드 하르파그리 삽화
플라테이야르보크에 묘사된 하랄드 하르파그리 (왼쪽)
이름하랄드 하르파그리
기타 이름
현대 아이슬란드어:
출생기원전 850년경 (추정)
출생 장소송의 레이캉에르
사망기원전 932년경 (추정)
사망 장소로갈란 주, 노르웨이
매장지하우게순의 하랄스하우겐
종교고대 노르드 신앙
통치
칭호노르웨이 국왕
재위 기간872년 – 930년 (추정)
계승자에이리크 블로됙스
가문
왕조홀파르
아버지할프단 스바르티
어머니라근힐드 시구르드스도테르
배우자라근힐드 에이리크스도테르
오사 호콘스도테르
스네프리트 스바사도티르
자녀구토름 하랄손
할프단 하랄손 검은색
알로프 아르보트 하랄스도티르
비요른 파르만
올라프 하랄손 게이르스타달프
할프단 롱-레그
호콘 1세
에이리크 블로됙스

2. 명칭 (미발왕, {{lang|non|hárfagri}})

하랄 1세의 별칭인 hárfagrinon는 고대 노르드어로 '아름다운 머리카락'을 의미한다.[3] 영어로는 'fair-hair(ed)'(금발)로 번역되기도 하지만,[5][6] 이는 '금발'을 의미하는 영어의 'fair-haired'와 달리, 고대 노르드어로는 'beautiful-haired'(아름다운 머리카락)을 뜻한다.[7][8] 그래서 일부 번역가들은 hárfagrinon를 'the fine-haired'(고운 머리카락의)[8], 'fine-hair'(고운 머리카락)[9][10], 또는 'handsome-hair'(잘생긴 머리카락)로 번역하기도 한다.[11]

'''미발왕'''('''Hårfagre''')[49]이라고도 불리는 하랄 1세에 대한 전설은 다음과 같다. 하랄은 노르웨이 서부의 한 소왕의 딸에게 구혼했지만, "온 나라의 왕과만 결혼할 수 있다"며 거절당했다. 이에 그는 노르웨이 전역을 정복할 때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겠다고 맹세했고, 처음에는 "부스스한 머리[50]의 하랄"로 불렸다. 노르웨이 통일 후 머리를 정리하면서 "미발"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3. 역사적 배경 및 논쟁

19세기와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역사가들은 후대의 아이슬란드 사가에 기록된 하랄 1세에 대한 이야기를 대체로 수용했다. 그러나 피터 소여는 1976년에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고,[12] 2000년 전후 수십 년 동안 하랄 1세가 존재하지 않았거나, 적어도 사가에 묘사된 모습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시사하는 수정주의적 연구가 잇따랐다.[13][14][15][16][17][18]

이에 대한 주요 주장은 다음과 같다.


  • 후대의 사가에서 하랄 1세에 대해 주장하는 내용은 동시대 자료의 뒷받침을 받지 못한다. 동시대에 가까운 자료에서 기록된 최초의 노르웨이 왕은 하랄 블루투스(985/986년경 사망)이며, 그는 옐링 석비에서 덴마크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의 왕이라고 주장된다. 오테르가 알프레드 대왕의 궁정에 (약 890년) 제공한 9세기 말 노르웨이에 대한 설명과 1075년에 쓰여진 브레멘의 아담의 역사에는 해당 시대에 노르웨이 왕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사가에서는 하랄 1세의 아들로, 어느 정도 역사적 인물과 일치하는 에리크 블로도엑스가 등장하지만, 이러한 계보적 연결을 뒷받침하는 독립적인 증거는 없다.[19]
  • 하랄 1세가 다양한 아이슬란드 사가에 등장하지만, 이 중 독립적인 자료는 거의 없다. 이 모든 사가들이 하랄에 대한 최초의 아이슬란드 산문 기록인 아리 소르길손의 ''Íslendingabók''에서 시작된 공유된 텍스트 전통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12세기 초에 쓰여진 이 책은 하랄의 추정 사망 시점으로부터 250년 이상 지난 시점에 쓰여졌다.[21]
  • 사가 증거는 두 편의 스칼드 시 ''Haraldskvæði''(일명 ''Hrafnsmál'')[22] 및 ''Glymdrápa''[23]보다 앞설 수 있는데, 이 시들은 토르비외른 호른클로피 또는 (첫 번째 시의 경우) 요돌프 오브 흐비니르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사가에 따르면 하랄 1세에 관한 것이다. 13세기의 왕의 사가에만 보존되어 있지만, 10세기부터 구전되었을 수 있다(사가의 주장대로). 첫 번째 시는 하랄이라는 왕의 궁정 생활을 묘사하고, 그가 덴마크 출신 아내를 맞이했으며, 하프스피오르드에서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언급한다. 두 번째 시는 하랄이라는 왕이 승리한 일련의 전투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이 시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이 시가 전달되는 사가에 나오는 이야기와 일치하지 않으며, 사가 자체는 그의 배경과 생애의 세부 사항에 대해 종종 의견이 다르다.[24] 한편, ''Haraldskvæði''의 가장 신뢰할 만한 필사본은 시의 주인공을 하랄 하르파그리가 아닌 하랄 하르드난손이라고 부르며,[22] ''Glymdrápa''는 어떠한 수식어도 제공하지 않는다. 모든 시에서 제시하는 것은 하랄(하르드난손)이라는 왕이 한때 존재했다는 것이다.[21]
  • 아이슬란드 사가 전통과는 독립적이고 (부분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그리고 대부분 사가보다 앞선 영국 제도의 자료는, 고대 노르드어 이름 ''Haraldr inn hárfagri''에 해당하는 이름을 가진 왕을 증언한다. 그러나 그들은 이 이름을 확실하게 증명된 하랄 3세 시구르손(1066년 사망, 현대 영어로 하랄 하르드라다로 알려짐)에게 사용한다. 이러한 자료에는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필사본 D('Harold Harfagera', 1066년)와 관련 역사서인 오데릭 비탈리스('Harafagh', 1066년 사건 관련), 우스터의 존('Harvagra', 1066년 및 1098년),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Gesta regum Anglorum'', 'Harvagre', 1066년 관련), 마리아누스 스코투스 오브 마인츠('Arbach', 1082/1083년 사망) 및 그루피드 압 시난의 '생애'('Haraldum Harfagyr', 12세기 후반, 이는 이 이름을 가진 두 명의 다른 왕을 지칭할 수 있음) 등이 포함된다.[25][16][26][27]


하랄의 역사성에 대한 학계의 합의는 현재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뉜다. 한 입장은 하랄 하르파그리에 대한 중세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의 역사 기록이, 아마도 하랄 3세 시구르손의 별칭이 모든 노르웨이의 허구의 초기 왕에게 이전된 기원 신화의 일부라고 주장한다.[18][28] 스베리르 야콥손은 아이슬란드가 압도적인 노르웨이 군주로부터 도망친 사람들로 정착되었다는 생각은 실제로 노르웨이의 지배를 받게 된 13세기 초 아이슬란드의 불안감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하랄 하르파그리에 대한 전설이 노르웨이 왕들이 당시 장자 상속 사상을 부계 장자 상속의 오래된 관습보다 더 장려하면서, 그들의 조상이 국가의 최초 왕이라고 여겨지는 사람으로부터의 직계 상속을 통해 노르웨이에 대한 권리를 가졌다고 주장할 수 있도록 12세기에 발전했다고 제안했다.[29]

제시된 한 가지 가능성은 하랄 하르파그리가 베스트란을 통치했던, "하르파그리"라고도 알려진 역사적 왕 하랄을 기반으로 했다는 것이다. 이 하랄의 전설은 이후 중세 전통의 인물로 성장했다. 클라우스 크라그 및 한스 야콥 오르닝과 같이 스칼드 시의 초기 연대를 인정하는 역사가들은 사가 기록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하랄의 존재를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2015년 한스 야콥 오르닝은 당시 최근의 고고학 및 크라그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랄이 중세 아이슬란드 역사가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하랄과 연관시키고 9세기에 권력의 중심지였던 소그네에 기반을 두었다고 주장했다. (언어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진정한 9세기 작품으로 간주하는) 스칼드 시에서 언급된 영지는 그 사이에 약 하루 거리의 편리한 영지 네트워크와 일치하는데, 이는 노르웨이 전체가 아닌 베스트란을 통치하는 왕에게 이상적일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노르웨이의 역사''와 일치할 수 있다. 하랄이 얄(jarls)과 종속 왕을 통해 다른 지역을 통제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이용 가능한 고고학으로는 이를 증명하기 어렵다.[30]

4. 사가 기록

하랄 1세는 여러 사가에서 언급되는데, 그 중 일부는 더 오래된 스칼드 시를 인용한다.


  • '''흐라픈스말(Hrafnsmál, 까마귀의 노래):''' '하랄드스콰에디'(Haraldskvæði, 하랄드의 시)라고도 불리며, 토르비에른 호른클로피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단편적인 스칼드 시이다. 하프스피오르드의 전투를 묘사하고 있으며, 하랄드를 잉글링으로 묘사하지만, '미발왕'이라는 별명 대신 이전 별명인 Lufanon를 사용한다.
  • '''글림드라파(Glymdrápa):''' 토르비외른 호른클로피가 하랄 1세의 다양한 전투 승리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센디비트르(Sendibitr):''' 여성 시인 요룬 스칼드마에르(Jórunn skáldmær)의 작품으로, 하랄 1세와 그의 아들 할프단 사이의 갈등을 다룬다.
  • '''이슬렌딩가보크(Íslendingabók):''' 12세기 초 작품으로, 하랄 1세 시대에 아이슬란드가 정착되었다고 언급하며, 하랄 1세를 아이슬란드 및 노르드 정착의 주요 원인으로 묘사한다.
  • '''기타 사가:''' Ágrip af Nóregskonungasögumis, Historia Norwegiæla, Fagrskinnais, Heimskringlais, Egils sagais, Grettis sagais, Saga of Ragnar Lodbrokis, Ragnarssona þáttris, Flóamanna sagais, Vatnsdæla sagais, Orkneyinga sagais, Flateyjarbókis 등 다양한 사가에서 하랄 1세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하랄 1세는 미발왕(Hårfagrenon)이라고도 불리는데, 게이다라는 소왕의 딸에게 구혼했지만 거절당한 후, 노르웨이 통일을 이룰 때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고, 통일 이후에 머리를 정리하면서 "미발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49] 또한, 하랄 1세의 친위대 일부는 베르세르크였다는 전설도 전해진다.[51]

4. 1. 흐라픈스말 ({{lang|non|Hrafnsmál}})

Hrafnsmálnon (까마귀의 노래)은 '하랄드스콰에디'(Haraldskvæði, 하랄드의 시)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9세기의 스칼드 시인 토르비에른 호른클로피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단편적인 스칼드 시이다. 시의 완전한 사본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의 시 판본은 단편들을 모아놓은 것을 기반으로 한다. 부분들의 연대 측정과 운율이 일치하지만, 각각 다른 작품일 수도 있다. 학계에서는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시의 일부는 스노리가 《헤임스크링글라》에서 하프스피오르드의 전투에 대한 서술의 출처로 인용했으며, 다른 부분은 《파그르스킨나》에서 하랄드에 대한 정보로 인용되었다. 두 경우 모두 호른클로피를 작가로 명시하고 있다.[32]

Hrafnsmálnon은 대체로 이름이 없는 발키리와 까마귀 사이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두 사람은 하랄 1세의 삶과 무훈에 대해 논한다. 이 시는 하랄드를 잉글링으로 묘사하지만, 그의 유명한 별명인 ''hárfagri''(공정한 머리카락)를 사용하지 않고, 널리 언급되는 그의 이전 별명인 Lufanon를 사용한다. 시의 대부분은 하랄드가 부유한 욛베와 하클랑에 맞서 싸운 하프스피오르드의 전투를 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는 《헤임스크링글라》에서 하랄드의 왕비이자 에이리크 블로도르스의 어머니로 묘사되는 라그닐드, 그리고 사가 전통에서 하랄드에게 귀속되는 울프헤드나르 전사들을 언급한다.

4. 2. 글림드라파 ({{lang|non|Glymdrápa}})

Glymdrápanon는 토르비외른 호른클로피가 하랄 1세의 다양한 전투 승리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스칼드 시이다. Hrafnsmálnon과 마찬가지로 9세기 말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연대 측정은 어렵다.[34]

4. 3. 센디비트르 ({{lang|non|Sendibitr}})

Sendibitrnon는 여성 시인 요룬 스칼드마에르(Jórunn skáldmær)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짧은 시이다. 하랄 1세와 그의 아들 할프단 사이의 갈등을 다루며, 10세기 말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4. 4. 이슬렌딩가보크 ({{lang|is|Íslendingabók}})

Íslendingabókis은 12세기 초에 쓰여진 것으로, 하랄 1세 시대에 아이슬란드가 정착되었다고 언급한다. 이 문서는 하랄 1세를 아이슬란드 및 노르드 정착의 주요 원인으로 묘사하고 있다.

4. 5. 기타 사가

Skarðsárbókis, Ágrip af Nóregskonungasögumis, Historia Norwegiæla, Fagrskinnais, Heimskringlais, Egils sagais, Grettis sagais, Saga of Ragnar Lodbrokis, Ragnarssona þáttris, Flóamanna sagais, Vatnsdæla sagais, Orkneyinga sagais, Flateyjarbókis 등 다양한 사가에서 하랄 1세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 '''Ágrip af Nóregskonungasögumis (노르웨이 왕들의 사본):''' 1190년경 작성. 하랄 1세가 20세에 노르웨이 전체를 통일한 최초의 왕이라고 기록. 하랄 1세가 스킬링(Scylding) 가문 출신이라고 묘사하는 "Oddmjóris"라는 시를 인용. 10년 동안의 전쟁을 통해 노르웨이를 정복했으며, 20명의 자녀 중 에이리크 블로됙스와 호콘만이 왕이 되었다고 기록. 에이리크는 장남, 호콘은 막내로 묘사.
  • '''Heimskringlais (헤임스크링글라)''': 1230년경 저술. 하랄의 생애에 대한 가장 상세한 자료. 하랄드는 아버지 검은 할프단 구드로다르손 사후 베스트폴의 여러 왕국의 주권자가 됨. 노르웨이의 통일 과정은 호르달란드의 에이리크 왕의 딸 게이다의 거절에서 시작. 게이다는 "그가 노르웨이 전체의 왕이 되기 전에는" 결혼하지 않겠다고 하여, 하랄드는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빗지 않겠다는 맹세를 함. 866년, 여러 소왕국을 정복하기 시작. 872년, 하프르스피오르에서 대승을 거두고 온 나라의 왕이 됨.
  • '''Egils sagais (에길의 사가)''': 13세기 작품. ''헤임스크링글라''와 대체로 비슷하나, 하랄드와 그의 가족에 대한 묘사가 훨씬 부정적. 하랄드는 대부분 경솔하게 Haraldr lúfanon라고 불림. 하랄드가 노르웨이를 정복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노르웨이 사람들이 하랄드에 의해 무거운 세금과 압제에 시달렸다고 묘사.
  • '''Grettis sagais (그레티의 사가)''': 하랄 1세의 노르웨이 정복에 대한 묘사. 그레티의 증조부 오눈드 우드푸트는 하프스피요르드 전투 이후 노르웨이에서 도망친 사람들 중 한 명.
  • '''Saga of Ragnar Lodbrokis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사가)''': 13세기 작품. 제18장에서 하랄 1세가 시구르드 하르트의 증손자라고 언급.
  • '''Ragnarssona þáttris (라그나르손의 이야기)''': 14세기 작품. 하랄드의 어머니 쪽 가계를 자세히 설명. 하랄드의 어머니는 라그닐드 시구르스도테르로, 시구르드의 증손녀.
  • '''Flóamanna sagais (플로아마나 사가)''': 14세기 작품.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가''에 나오는 하랄 1세의 계보를 반복.
  • '''Vatnsdæla sagais (바트스다엘라 사가)''': 하랄드 1세의 노르웨이 정복에 대한 묘사.
  • '''Orkneyinga sagais (오르크네이가 사가)''': 13세기 초 작품. 하랄 1세 및 뢰그발드 뫼레야를이 노르웨이 정복 이후 해안을 습격하는 바이킹 난민들을 섬에서 몰아내기 위한 원정에 대해 자세히 묘사.
  • '''Flateyjarbókis (플라테이아르보크)''': 14세기 작품. "Haralds þáttr hárfagrais"라는 문학 작품이 실려 있음. 하랄드가 16세에 왕위에 오른 것으로 묘사.


사가 자료에 따르면 하랄드 통치의 후반기는 그의 많은 아들들의 갈등으로 혼란스러웠다. 여러 사가 기록에 따라 아들의 수는 11명에서 20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하랄 1세는 '''미발왕'''('''Hårfagrenon''')이라고도 불리는데[49], 이에 대한 전설은 다음과 같다. 하랄은 한 소왕의 딸에게 구혼했지만 거절당했고, 노르웨이 전토 정복을 결의하여 실현할 때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다. 통일 후 머리를 정리하고 "미발"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하랄 1세의 친위대 일부는 베르세르크였다는 전설도 있다.[51]

5. 대중문화 속 하랄 1세

하랄 1세는 19세기 노르웨이 민족주의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각되었는데, 스웨덴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투쟁에서 '노르웨이가 독립 국가가 되는 건국의 이야기를 전파하는 영웅적 서사 인물'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42] 1872년에는 하랄 1세의 묘소로 추정되는 하랄스하우겐의 고대 무덤에 국가 기념비가 세워졌다.

하랄드샤우겐에 있는 하랄드를 기리는 1872년 기념비.


하랄스하우겐 기념비(2018년 6월)


오늘날 하랄 1세는 현대 기념물과 테마파크(오벨리스크, 탑, 조각상, 고대 가옥/마을 '재건')가 건설되고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리는 여러 고고학 유적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하우게순과 그 지역의 관광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44]

하랄 1세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분야작품명비고
소설페어헤어 (노르웨이의 바이킹 왕 #1)올레 오슬리와 토니 바케조르드 저, 2022년 출간 예정
드라마바이킹 시즌 4-6 (2016-2020)페테르 프란첸이 하랄 파인헤어 역 연기
영화까마귀가 날 때 (1984)악당 바이킹 토르두르와 에이리쿠르는 하랄드의 노르웨이 정복으로 인해 피난 온 사람들
영화노스맨: 바이킹 사가 (2014)주요 등장인물들이 노르웨이에서 도망치는 이유로 하랄이 잠시 언급
영화노스맨 (2022)퓔니르는 하랄드에 의해 추방당했다고 언급
음악레벨리온의 앨범 아이슬란드의 사가하랄 페어헤어에게 헌정하는 곡 수록
음악리브스 아이즈의 앨범 왕의 왕하랄드와 그의 정복에 관한 내용
게임크루세이더 킹즈 II, 크루세이더 킹즈 III867년 시작 시점에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
게임유비소프트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게임마운트 앤 블레이드: 워밴드의 바이킹 정복 확장팩하랄(하랄 하프단손으로 등장)은 노르베거(노르웨이)의 지도자로 등장
만화빈란드 사가노르웨이를 폭압적으로 통일한 인물로 언급


참조

[1] 서적 Early state formation in Scandinavia https://www.jstor.or[...]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09
[2] 서적 Between History and Myth: Stories of Harald Fairhair and the Founding of the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
[3] 문서 A Concise Dictionary of Old Icelandic Clarendon 1910
[4] 문서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57
[5] 문서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57
[6] 문서 A Concise Dictionary of Old Icelandic Clarendon 1910
[7] 논문 Old Norse Nicknames https://conservancy.[...] University of Minnesota 2015
[8] 간행물 Norse Historical Traditions and Historia Gruffud vab Kenan: Magnus Berfoettr and Haraldr Harfagri Boydell 1996
[9] 간행물 Fact and Fiction in the Icelandic Sagas 2007
[10] 간행물 Hair Today, Gone Tomorrow: Hair Loss, the Tonsure, and Masculinity in Medieval Iceland https://www.jstor.or[...] 2013
[11] 서적 I Am from Iceland: A Memoir Lulu 2010
[12] 간행물 Harald Fairhair and the British Isles 1976
[13] 간행물 Norge som odel i Harald Hårfagres ætt. Et møte med en gjenganger 1989
[14] 서적 Brunaǫld, haugsǫld, kirkjuǫld: Untersuchungen zu den archäologisch uberprufbaren Aussagen in der Heimskringla des Snorri Sturluson Lang 1996
[15] 간행물 Norse Historical Traditions and Historia Gruffud vab Kenan: Magnus Berfoettr and Haraldr Harfagri Boydell 1996
[16] 서적 Kings' Sagas and Norwegian History: Problems and Perspectives Brill 2011
[17] 간행물 Yfirstéttarmenning eða þjóðmenning? Um þjóðsögur og heimildargildi í íslenskum miðaldaritum 2002
[18] 간행물 A Foundation Myth of Iceland: Reflections on the tradition of Haraldr hárfagri http://hdl.handle.ne[...] 2011
[19] 간행물 Eric Bloodaxe – axed? The Mystery of the Last Viking King of York 2004
[20] 논문 King Æthelstan in the English, Continental and Scandinavian Traditions of the Tenth to the Thirteenth Centuries http://etheses.white[...] University of Leeds 2014
[21] 웹사이트 Var Haraldur hárfagri bara uppspuni Snorra Sturlusonar? https://www.visindav[...] 2006-09-25
[22] 간행물 Þorbjǫrn hornklofi, Haraldskvæði (Hrafnsmál) http://skaldic.abdn.[...] Brepols 2012
[23] 간행물 Þorbjǫrn hornklofi, Glymdrápa http://skaldic.abdn.[...] Brepols 2012
[24] 웹사이트 Harald 1 Hårfagre http://snl.no/.nbl_b[...] 2012-09-03
[25] 간행물 Norse Historical Traditions and Historia Gruffud vab Kenan: Magnus Berfoettr and Haraldr Harfagri Boydell 1996
[26] 간행물 The Early Kings of Norway, the Issue of Agnatic Succession, and the Settlement of Iceland https://www.research[...] 2016
[27] 서적 Vits Griffini Filii Conani: The Medieval Latin Life of Gruffydd ap Cynan University of Wales Press 2005
[28] 간행물 Constructing a Past to Suit the Present: Sturla Þórðarson on Conflicts and Alliances with King Haraldr hárfagri Brepols 2014
[29] 간행물 The Early Kings of Norway, the Issue of Agnatic Succession, and the Settlement of Iceland https://www.research[...] 2016
[30] 웹사이트 Harald Hårfagre – en vestlandskonge https://www.norgeshi[...] 2021-02-28
[31] 웹사이트 Harald Hårfagre fra Vestfold? https://www.norgeshi[...] 2021-02-28
[32] 문서 Glymdrápa 1998
[33] 서적 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 de Gruyter 1964-1967
[34] 간행물 Introduction to Jórunn skáldmær, Sendibítr Brepols 2012
[35] 간행물 Nicknames and Narratives in the Sagas http://journals.lub.[...] 1993
[36] 간행물 Harald Fairhair and the British Isles R. Boyer (ed.) Les Vikings et leurs civilisation, Paris 1976
[37] 웹사이트 Heimskringla, by Snorri Sturluson http://koti.kontu.la[...] 2010-04-06
[38] 웹사이트 Heimskringla, The Chronicle of the Kings of Norway http://www.gutenberg[...]
[39] 서적 Vikingtid og rikssamling: 800–1130
[40] 웹사이트 Ålov Årbot (Haraldsdotter) (Ólöf árbót) http://lind.no/nor/i[...] Det Norske Samlaget 2016-05-25
[41] 서적 Heimskringla: History of the Kings of Norway https://books.google[...] Univ of Texas Press 1964
[42] 논문 'Branding local heritage and popularising a remote past: The example of Haugesund in Western Norway' http://revistas.jasa[...]
[43] 서적 All the King's Women: Polygyny and Politics in Europe, 900–1250 Brill, Boston
[44] 논문 'Branding local heritage and popularising a remote past: The example of Haugesund in Western Norway' http://revistas.jasa[...]
[45] 논문 'Branding local heritage and popularising a remote past: The example of Haugesund in Western Norway' http://revistas.jasa[...]
[46] 문서 下津、p. 376
[47] 문서 百瀬 他、p. 48、付録p. 66
[48] 문서 武田、p. 22
[49] 서적 アイスランド・グリーンランド・北極を知るための65章 明石書店
[50] 문서 ほうはつ。伸び放題でぼさぼさの髪のこと。
[51]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一) 北欧文化通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