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양읍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속한 읍으로, 고려 시대에는 하주로 불리다가 하양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대구부에 이속되기도 했다. 1914년 하양군 읍내면, 북면, 마양면이 통합되어 하양면이 되었고, 1973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16개의 법정리를 관할하며, 경산시문화회관, 하양역, 대구가톨릭대학교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하양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해태아이스, GS칼텍스 대구물류센터 등 산업 시설이 있으며, 메가박스 경산하양점, 삽살개, 하주 종택, 환성사 등 문화재 및 관광 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산시의 행정 구역 - 용성면
용성면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면으로, 1914년 자인군 상동면, 하동면, 청도군 일위면 일부가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면사무소는 한국전쟁 중 소실 후 당리리로 이전하여 현재 면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해 있다. - 경산시의 행정 구역 - 진량읍
진량읍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읍으로, 과거 하양군과 자인군에 속했던 지역이 1914년 진량면으로 통합된 후 1997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25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경상북도의 읍·면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경상북도의 읍·면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 1973년 설치 - 성남시
성남시는 1973년 시로 승격되어 분당, 판교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급증한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로, 광주산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구시가지와 신도시 생활권으로 나뉘고 IT산업 중심의 판교테크노밸리를 통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인다. - 1973년 설치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하양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한글 표기 | 하양읍 |
한자 표기 | 河陽邑 |
로마자 표기 | Hayang-eup |
한글 | 하양읍 |
한자 | 河陽邑 |
Revised Romanization | Hayang-eup |
McCune–Reischauer | Hayang-ŭp |
지도 정보 | |
행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도 | 경상북도 |
시 | 경산시 |
하위 행정 구역 | 16 법정리, 34 행정리, 315 반 |
면적 | |
총 면적 | 48.61 km² |
인구 | |
인구 (2015년 5월 기준) | 27,236명 |
인구 (2022년 3월) | 28,262명 |
세대 (2009년 7월 조사) | 10,396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하양읍 |
홈페이지 | 하양읍 행정복지센터 |
2. 연혁
고려 초 '''하주'''(河州)라고 불렸다. 1018년(현종 9년) '''하양'''으로 개칭하고 현(縣)이 되었으며, 뒤에 경주에 속했다. 1600년(조선 선조 34년) 대구부에 이속되었다.
조선 숙종 때 다시 현이 되어 한사동(翰沙洞)에 관아를 세웠다. 1742년 금락리(琴樂里)로 옮기고 화성현(花珹縣)이라 불렀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하양군'''이 되었다.
1914년 읍내면, 북면, 마양면을 통합하여 경산군에 편입되어 '''하양면'''이 되었다.[2] 1973년 읍으로 승격하여 '''하양읍'''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이 되었다.
2. 1. 명칭 변화
- 고려 초에는 '''하주'''(河州)라 하였다.
- 1018년(현종 9년)에 '''하양'''으로 개칭하고, 현(縣)이 되었으며 뒤에 경주에 속한다.
- 1600년(조선 선조 34년)에 대구부에 이속.
- 조선 숙종 때에 다시 현으로 되어 한사동(翰沙洞) 관아를 세움.
- 1742년에 금락리(琴樂里)로 옮기고 화성현(花珹縣)이라 부르게 된다.
- 1895년(조선 고종 32년)에 '''하양군'''이 되었다.
- 1914년에 읍내면, 북면, 마양면을 통합하여 경산군에 편입되어 '''하양면'''이 되었다.[2]
- 1973년에 읍으로 승격하여, '''하양읍'''이 되었다.
- 1995년 1월 1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2. 2. 1914년 행정구역 개편
1914년 읍내면, 북면, 마양면을 통합하여 경산군에 편입되어 '''하양면'''이 되었다.[2]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는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하양군 읍내면 금상동/금하동, 하곡동, 서상동/서하동/도리동, 동상동/동중동/동남동/서중동/석촌동, 서사동/사면동, 양지동 | 하양면 금락동, 대곡동, 도리동, 동서동, 서사동, 양지동 |
하양군 마양면 남동동/남서동, 대조동, 부상동/호상동, 은주동/임호동, 숙상동/숙하동, 신상동/환소동 | 하양면 남하동, 대조동, 부호동, 은호동, 청천동, 환상동 |
하양군 북면 교동동/교서동, 대동동/무학동, 사기동, 한사동 | 하양면 교동, 대학동, 사기동, 한사동 |
하양읍은 16개의 법정리(里)로 구성되어 있다.[1] 각 법정리와 그에 대응하는 행정리는 다음과 같다.
3. 행정 구역
법정리 한자명 행정리 비고 금락리 琴樂里 금락1리, 금락2리, 금락3리, 금락4리, 금락5리, 금락6리, 금락7리, 금락8리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동서리 東西里 동서1리, 동서2리, 동서3리, 동서4리, 동서5리 도리리 島里里 도리리 서사리 西沙里 서사리 양지리 陽地里 양지리 사기리 沙器里 사기리 대곡리 大谷里 대곡1리, 대곡2리 교리 校里 교리 한사리 翰斯里 한사리 대학리 大鶴里 대학리 부호리 釜湖里 부호1리, 부호2리 은호리 隱湖里 은호1리, 은호2리 남하리 南河里 남하1리, 남하2리 청천리 淸泉里 청천리 환상리 環上里 환상1리, 환상2리, 환상3리 대조리 大鳥里 대조1리, 대조2리
4. 주요 시설
하양읍에는 경산시립도서관, 경산시문화회관, KT 하양지점, 하양새마을금고, NH농협 하양지점, iM뱅크 하양지점, 하양농업협동조합, 하양신용협동조합, KB국민은행 하양지점, 화성새마을금고, 하양성당, 하양역, 부호역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4. 1.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4. 2. 교통
5. 주거
하양읍에는 동서개발 하양역 동서프라임 36.5, 제일건설 경산 하양지구 A7블록 등의 아파트가 있으며, 모두 입주 미정이다.
5. 1. 아파트
- 동서개발 하양역 동서프라임 36.5: 입주미정.
- 제일건설 경산 하양지구 A7블록: 입주미정.
6. 교육
하양읍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가 모두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1][2]
6. 1. 초등학교
6. 2. 중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부속 무학중학교
- 하양여자중학교
6. 3. 고등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부속 무학고등학교
- 하양여자고등학교
6. 4. 대학교
7. 산업
7. 1. 제조업
7. 2. 문화시설
8. 문화재 및 관광
9.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visions of Gyeongsan
http://gbgs.go.kr/gs[...]
Gyeongsan City
2015-06-19
[2]
문서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