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와이 음악은 하와이 원주민의 전통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고대 폴리네시아 음악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18세기까지 리듬 중심의 음악이 주를 이루었으며, 훌라 춤과 함께 발전했다. 19세기에는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서양 음악이 유입되었고, 우쿨렐레, 하와이안 기타 등 새로운 악기가 등장했다. 20세기에는 하와이 음악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 재즈, 록 등 다양한 장르와 융합되었으며, 하와이 르네상스를 통해 전통 음악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현재 하와이에는 다양한 음악 축제와 공연 시설이 있으며, 호놀룰루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비롯한 여러 음악 기관과 슬랙키 기타, 우쿨렐레 등 하와이 악기 제조업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주의 음악 - 알로하 오에
알로하 오에는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작사, 작곡한 하와이의 대표적인 노래로, 자연과 사랑, 이별의 정서를 담은 하와이어 가사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으며 대중 문화 매체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 하와이주의 음악 - Music of Hawaii
Music of Hawaii는 빙 크로스비, 해리 오웬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하와이 음악 8곡과 빙 크로스비의 하와이 노래 2곡을 모아 1938년 데카 레코드에서 발매한 5장짜리 78rpm 음반 세트이다.
하와이 음악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태평양 |
국가 | 미국 |
주 | 하와이 주 |
문화적 중요성 | 하와이 문화의 핵심 요소 |
음악적 특징 | 하와이 고유의 멜로디, 리듬, 악기 사용 |
역사 | |
기원 | 폴리네시아인들의 이주와 함께 시작 |
전통 음악 | 고유한 의식과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 |
서양 음악의 영향 | 19세기 이후 서양 악기와 음악 스타일 유입 |
현대 음악 | 전통 음악과 서양 음악 요소의 결합 |
악기 | |
주요 악기 | 우쿨렐레 기타 슬랙키 기타 하와이 스틸 기타 이푸 (타악기) 오헤 하노 이후 (피리) 칼라우 (타악기) 푸일리 (타악기) 울리울리 (타악기) |
장르 | |
주요 장르 | 훌라 음악 차임 음악 카이마나 히라 파니올로 음악 하파 하올레 음악 자이브 |
주요 음악 단체 | |
단체 | 호놀룰루 교향악단 로열 하와이언 밴드 마우이 공연 예술 아카데미 |
음악 관련 조직 | |
조직 | 하와이 녹음 예술 아카데미 하와이 음악 어워드 |
축제 | |
축제 | 메리 모나크 페스티벌 |
2. 고대 하와이 음악
고대 하와이 음악은 5세기부터 18세기 후반 쿡 선장이 하와이를 발견하기 이전까지 이어진 하와이 원주민의 전통 음악이다. 하와이 원주민은 폴리네시아족의 일원으로, 타히티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쿡 선장이 하와이를 발견한 1778년까지, 하와이에서는 주로 대나무, 호리병박, 돌 등을 리듬 악기로 사용한 '리듬 음악'이 주를 이루었다. 기타 앤드 류트 워크샵, 카마카 우쿨렐레와 같이 하와이 음악 전통에 맞는 특별한 음악 스타일과 악기를 지원하는 많은 사업체들이 설립되었다.
고대 하와이의 춤이 따르는 음악인 '메레 훌라(Mele Hula)'는 현대 훌라의 기원이 된다.
2. 1. 특징
하와이 음악은 폴리네시아 음악, 특히 타히티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주로 리듬 중심의 음악이며, 대나무, 호리병박, 돌 등 자연물을 이용한 다양한 타악기가 사용되었다. 주요 악기로는 이푸(Ipu, 호리병박 타악기), 우리우리(ʻUliʻuli, 깃털 장식 호리병박 악기), 푸일리(Pūʻili, 대나무 타악기), 이리이리(ʻIliʻili, 돌 캐스터네츠) 등이 있다.[47] 3현 현악기인 우케케(ʻUkēkē)가 존재했으나, 타히티에는 그 흔적이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47]하와이 민속 음악에는 여러 종류의 멜레(찬트)와 훌라를 위한 음악이 포함된다. 전통 하와이 음악과 춤은 찬사, 족보 및 신화 전달, 게임, 축제 등 실용적인 기능을 가졌다.[2]
하와이에는 기타 앤드 류트 워크샵, 카마카 우쿨렐레와 같이 하와이 음악 전통에 맞는 특별한 음악 스타일과 악기를 지원하는 많은 사업체들이 설립되었다.
2. 2. 훌라의 기원
훌라는 '춤추다'라는 뜻이다. 고대 하와이 음악 중 춤이 따르는 음악인 '메레 훌라'(Mele Hula)가 현대 훌라의 시초이다.
하와이의 전통춤인 훌라는 폴리네시아계 원주민의 전승과 신화를 바탕으로 11세기경에 노래와 춤이 창작되었다. 초기의 훌라는 왕족과 족장에게만 전해졌으며, 의식 때 추는 신성한 춤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카메하메하 1세에 의해 カプ가 폐지되면서 그 신성함은 부정되기 시작했다.[45] 더 나아가 프로테스탄티즘이 전파되면서 피부 노출이 금지되고, 무무 착용이 권장되면서 전통춤으로서의 기반이 무너지고 고대 전통춤으로서의 훌라는 사라졌다.
3. 19세기의 하와이 음악
19세기는 하와이 역사와 음악에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다. 1820년 이후 선교사들이 하와이에 와서 음악 이론, 멜로디, 하모니 등을 가르쳤고, 많은 찬송가가 하와이어로 번역되어 크리스트교를 믿는 주민들에게 불렸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멜로디나 찬송가의 멜로디를 차용한 곡 <마카라푸아> 등이 연주되고 있다. 그러나 훌라는 금지되어 50년가량 공개적으로는 자취를 감추었다.
1879년 이후 하와이로 이주해 온 포르투갈 사람들은 우쿨렐레를 만들었고, 1893년에는 조셉 케쿠쿠가 하와이언 기타의 슬랙 키 주법을 창안했다.[1] 헨리 버거가 왕실 전속 로열 하와이언 밴드의 지휘자로 부임하면서 근대 하와이 음악의 모태가 형성되었다.
칼라카우아 왕은 하와이 문화를 장려하고 우쿨렐레와 스틸 기타와 같은 새로운 악기를 도입하는 것을 권장했다. 그의 뒤를 이은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역시 "알로하 오에"와 같이 현재까지도 인기 있는 여러 곡을 작곡했다. 이 시기에 하와이 음악은 유럽 악기에서 파생된 악기를 사용하는 "새롭고 독특한" 스타일로 발전했다. 로열 하와이안 밴드와 같은 브라스 밴드는 하와이 노래뿐만 아니라 인기 있는 행진곡과 레그타임도 연주했다.
1895년부터 1915년까지 하와이 음악 댄스 밴드의 수요가 점차 증가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현악 5중주단이었다. 레그타임 음악의 영향을 받았고, 가사는 보통 영어로 되어 있었다. 영어와 하와이어를 섞거나, 아예 영어로만 된 이런 유형의 하와이 음악을 하파 하올레(직역하면 반은 백인이라는 뜻) 음악이라고 한다. 1903년, 앨버트 "소니" 쿠냐는 "나의 와이키키 인어"를 작곡했는데, 이는 아마도 최초의 인기 하파 하올레 노래로 추정된다.
1920년대에는 모아나 호텔과 로열 하와이안 호텔의 공연자들이 독특한 하와이 스타일의 재즈를 발전시켰다.[20]
3. 1. 서양 음악의 영향
1820년 이후 개신교 선교사들이 하와이에 음악 이론, 멜로디, 하모니 등을 가르치면서 서양 음악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선교사들은 많은 찬송가를 하와이어로 번역하여 보급했고, 이는 하와이 주민들 사이에서 기독교 음악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찬송가의 멜로디를 차용한 곡들이 연주되고 있다. 그러나 훌라 춤은 금지되어 약 50년간 공개적으로는 자취를 감추었다.[1]1879년 이후 포르투갈 이주민들이 우쿨렐레의 전신인 브라기냐(Braguinha)를 하와이에 도입했다.[1] 1893년에는 하와이 원주민 조셉 케쿠쿠가 하와이언 기타의 슬랙 키 주법을 창안했다.[1]


독일인 헨리 버거가 왕실 전속 로열 하와이안 밴드의 지휘자로 부임하면서 근대 하와이 음악의 기초가 형성되었다.[1] 그는 하와이 민속 음악에 대한 많은 자료를 기록했지만, 독일 음악의 영향을 받아 하와이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
칼라카우아 왕은 1880년대와 1890년대에 하와이 문화를 장려하고 우쿨렐레와 스틸 기타와 같은 새로운 악기를 도입하는 것을 권장했다. 그의 뒤를 이은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역시 다작의 작곡가였으며, "알로하 오에"와 같이 현재까지도 인기 있는 여러 곡을 작곡했다.[18]
3. 2. 훌라의 변화
19세기 초,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훌라는 금지되었고, 50년가량 공개적으로 모습을 감췄다.[45] 그러나 1880년대 칼라카우아 왕은 훌라 부흥을 시도했고, 서양 음악 요소를 융합하여 오늘날 전승되는 '모던 훌라'의 기반을 마련했다.초기 훌라는 왕족과 족장에게만 전해졌고 의식 때 추는 신성한 춤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카메하메하 1세에 의해 カプ 폐지가 진행되면서 신성함이 부정되기 시작했다.[45]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으로 피부 노출이 금지되고 무무 착용이 권장되면서 전통 춤으로서의 기반이 무너져, 고대 전통 춤으로서의 훌라는 사라지게 되었다.
4. 현대의 하와이 음악
20세기 초, 하와이 원주민들은 소규모 밴드를 구성하여 미국을 순회 공연하기 시작했다. 1912년 브로드웨이 쇼 ''파라다이스의 새(Bird of Paradise)''는 많은 미국인들에게 하와이 음악을 소개했고, 191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파나마-태평양 만국 박람회가 뒤를 이었다. 1년 후, 하와이 원주민 음악 녹음은 다른 모든 미국 음악 장르의 판매량을 넘어섰다.[21]
하와이 음악의 인기는 블루스와 컨트리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컨트리 음악에서도 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베니 나와히와 같은 음악가들은 재즈를 스틸 기타, 우쿨렐레, 만돌린 음악에 통합하기 시작했고, 칼라마 사중창단은 그룹식 팔세토(falsetto) 창법을 선보였다.
솔 호오피이(Sol Hoʻopiʻi)는 하와이 음악과 재즈, 웨스턴 스윙, 컨트리 음악을 모두 연주했고 페달 스틸 기타를 개발했다. 그의 녹음은 대중 컨트리 음악의 내슈빌 사운드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 라니 맥킨타이어(Lani McIntire)는 지미 로저스와 빙 크로스비와의 녹음을 통해 하와이 기타 사운드를 미국 대중 음악에 접목시켰다.
1920년대와 30년대에 하와이 음악은 현지 관광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대부분의 호텔과 관광지는 어떤 형태로든 음악을 통합했다. 가장 초기이자 가장 인기 있는 음악 공연 중 하나는 코닥이 후원한 ''코닥 훌라 쇼(Kodak Hula Show)''였는데, 관광객들은 코닥 필름을 구입하여 무용수와 음악가들의 사진을 찍었다.[1] 이 쇼는 1937년부터 2002년까지 진행되었다. 와이키키 레코드(Waikiki Records)는 코닥 훌라 쇼의 음악을 담은 여러 장의 바이닐 LP를 풀 컬러 사진과 함께 발매했다.[22]
20세기 전반기에 호놀룰루 해변에서 수영과 서핑을 즐기던 젊은 남성들은 와이키키 비치보이(Waikiki Beachboys)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들의 파티는 하와이 전역과 해외에서 유명해졌다. 그들 대부분은 해변에 앉아 하루 종일 우쿨렐레를 연주했고, 결국 관광객을 즐겁게 하기 위해 호텔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영어 가사가 있는 인기 하와이 음악(하파 하올레)은 좁은 의미로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래는 우쿨렐레 또는 스틸 기타에 맞춰 부른다. 때때로 스틸 스트링 기타가 반주를 맡는다. 멜로디는 종종 완전 4도 또는 8도와 같은 간격 도약을 특징으로 한다. 팔세토(falsetto) 보컬은 이러한 도약에 적합하며 하와이 노래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처럼 마이크로톤(microtones)의 사용도 일반적이다. 리듬은 대부분 2박자이다. 하와이 음악에 고유한 음계는 독특한 느낌을 불어넣어 하와이 음계라는 적절한 이름으로 불린다.
1930년대에 앰프 증폭이 고안되어 하와이언 기타의 음량 문제가 해결되자 솔 호오피이(Sol Hoʻopiʻi)와 같은 스타가 배출되었고, 조니 노블(Johnny Noble), 해리 오언스(Harry Owens) 같은 작곡가들이 잇달아 히트송을 발표하여 제1기의 황금시대가 탄생하였다. 오언스의 <스위트 레이라니(Sweet Leilani)>는 <와이키키 결혼(Waikiki Wedding)>에 삽입되어 1937년도 아카데미 음악 주제가상을 받았고, 이후 오늘날까지 1200만 장의 음반이 팔리는 대히트를 하였다. 레이 키니(Ray Kinney), 조지 카이나파우(George Kainapau) 같은 가수는 지금도 활약하고 있다.
1915년 파나마-태평양 만국 박람회는 미국 본토 컨트리 음악 아티스트들에게 하와이 스틸 기타를 소개했고, 1930년대까지 컨트리 스타인 훗 기브슨(Hoot Gibson)과 지미 데이비스(Jimmy Davis)는 하와이 음악가들과 함께 레코드를 제작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중 하와이에 주둔한 수천 명의 미국 군인 유입은 인기 있는 스윙 리듬과 컨트리 사운드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다. 1930년대 이후 미국 본토에서 인기를 얻었던 웨스턴 스윙 스타일은 스틸 기타를 핵심 요소로 사용했으므로 자연스러운 발전이었다. 1945년부터 호놀룰루의 벨 레코드사(Bell Record Company)는 웨스턴 스윙 밴드인 피들링 샘과 그의 하와이언 버커루스(Fiddling Sam and his Hawaiian Buckaroos)의 일련의 음반 발매로 이러한 수요에 대응했다. 1945년부터 1950년 사이에 벨 레코드사는 하와이언 버커루스의 약 40개의 음반을 발매했는데, 여기에는 스퀘어 댄스 음악 세트도 포함되어 있었다.
4. 1. 하와이 음악의 세계화
191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파나마-태평양 만국 박람회를 통해 하와이 음악이 미국 본토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1] 1930년대에는 앰프 증폭 기술이 발전하면서 솔 호오피이(Sol Hoʻopiʻi)와 같은 하와이안 기타 연주 스타들이 등장했다. 또한, 조니 노블(Johnny Noble), 해리 오언스(Harry Owens)와 같은 작곡가들이 히트곡을 발표하며 하와이 음악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오언스의 <스위트 레이라니(Sweet Leilani)>는 영화 <와이키키 결혼(Waikiki Wedding)>에 삽입되어 1937년 아카데미 음악 주제가상을 수상했고, 이후 1200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21]이 시기에는 레이 키니(Ray Kinney), 조지 카이나파우(George Kainapau)와 같은 가수들이 활약했다. 1935년부터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 '하와이 콜스(Hawaii Calls)'는 줄스 아 시(Jules Ah See), 알프레드 아파카(Alfred Apaka), 하우나니 카하레와이(Haunani Kahalewai)와 같은 스타들을 배출하며 하와이 음악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21] 할 아로마(Hal Aloma)는 하와이 출신 연주자로, 많은 레코드를 발매하며 인기를 얻었다.
4. 2. 하와이 르네상스
하와이 르네상스는 하와이 원주민들 사이에서 하와이 음악, 특히 슬랙키 기타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난 시기이다. 개비 파히누이(Gabby Pahinui)와 같은 오랜 경력의 연주자들은 이 시기에 자신의 경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1] 1947년부터 녹음을 시작한 파히누이는 라이 쿠더(Ry Cooder)가 그와 그의 가족과 함께 연주한 세션이 주요 본토 레이블에서 ''The Gabby Pahinui Hawaiian Band, Vol. 1''로 발매되면서 마침내 미국 전역의 주류 관객들에게 다가갈 수 있었다. 파히누이는 슬랙키, 레게, 컨트리, 록 등 다양한 스타일을 혼합하여 연주하는 많은 추종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보다 전통적인 연주자로는 리랜드 "아타" 아이작스, 소니 칠링워스(Sonny Chillingworth), 레이 케인(Ray Kane), 레너드 콴(Leonard Kwan), 레드워드 카아파나(Ledward Ka`apana), 데니스 파바오(Dennis Pavao)가 있고, 케올라 비머(Keola Beamer)와 피터 문은 보다 절충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에머슨 형제는 1920년대 스타일의 빈티지 악기로 솔 호오피이(Sol Hoʻopiʻi)의 고전적인 사운드를 되살렸다. 조지 카나헬레(George Kanahele)의 하와이 국립 음악 재단은 특히 1972년 대규모 콘서트 이후 슬랙키와 다른 형태의 하와이 음악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1]
돈 호(Don Ho) (1930-2007)는 20세기 후반 가장 널리 알려진 하와이 연예인이었다. 그는 "전통적인" 하와이 음악을 연주하지 않았지만, 미국 본토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하와이 문화의 비공식적인 대사가 되었다. 호의 스타일은 종종 전통적인 하와이 요소와 1950년대와 1960년대 스타일의 크루너 음악을 이지 리스닝적인 감각으로 결합했다.
로열 가너(Loyal Garner)는 자신의 베가스 스타일 라운지 공연과 녹음한 노래에서도 하와이 요소를 받아들였다. 마이라 잉글리시(Myra English)는 1963년 빌 맥의 "Drinking Champagne"을 녹음한 후 "샴페인 레이디"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 곡은 하와이에서 그녀의 시그니처 곡이 되어 국내외에서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4. 3. 다양한 장르의 발전
하와이는 전통 음악 외에도 록, 팝, 힙합, 소울, 레게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을 배출했다. 특히, 자와이안(Jawaiian)은 하와이식 레게 음악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현지 음악계를 주도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돈 호(Don Ho) (1930-2007)는 호놀룰루의 작은 카카아코(Kaka'ako) 지역 출신으로, 20세기 후반 가장 널리 알려진 하와이 연예인이었다. 그는 전통적인 하와이 음악보다는 하와이 문화의 비공식적인 대사로서, 전통적인 하와이 요소와 1950년대와 1960년대 스타일의 크루너 음악을 이지 리스닝적인 감각으로 결합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로열 가너(Loyal Garner)는 자신의 베가스 스타일 라운지 공연과 노래에 하와이 요소를 접목했다. 마이라 잉글리시(Myra English)는 1963년 빌 맥의 "Drinking Champagne"을 녹음한 후 "샴페인 레이디"로 알려졌으며, 이 곡은 하와이에서 그녀의 대표곡이 되어 국내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5. 일본의 하와이안 음악
일본에 하와이 음악이 전파된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메이지 중기 이후 일본인들의 하와이 이민과 무역 증가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3년(쇼와 8년) 호놀룰루 출신 일본계 2세 버키 시라카타(バッキー白片)가 일본에 왔다. 이후 일본의 대표적인 하와이안 가수 및 음악가로는 버키 시라카타, 하이다 유키히코(灰田有紀彦), 하이다 카츠히코(灰田勝彦), 포스 미야자키(ポス宮崎), 야마구치 긴지(山口銀次), 오하시 세츠오(大橋節夫), 와다 히로시와 마히나스타즈(和田弘とマヒナスターズ), 대니 이이다와 파라다이스 킹(ダニー飯田とパラダイス・キング), 베티 이나다(ベティ稲田), 에셀 나카다(エセル中田), 미나미 카오루(南かおる), 하마 레이코(浜れい子), 히노 테루코(日野てる子) 등이 있었다.[46]
5. 1. 버키 시라카타와 아로하 하와이안즈
1933년(쇼와 8년) 호놀룰루 출신의 일본계 2세 버키 시라카타(バッキー白片)가 일본에 와서 하와이 음악을 보급했다.[46] 그는 1939년(쇼와 14년) 일본청년관에서 제1회 아로하 하와이안즈 발표회를 개최했고, 이후 일본에 귀화하여 버키 시라카타와 아로하 하와이안즈(バッキー白片とアロハ・ハワイアンズ)를 결성, 하와이 음악 보급에 힘썼다.[46]5. 2. 전후 하와이 음악 붐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군을 통해 하와이 음악이 유입되면서 일본에서 하와이 음악 붐이 일어났다. 전시 중 적성 음악으로 탄압받았던 재즈, 컨트리 음악, 하와이 음악을 다루는 많은 음악가와 밴드가 등장했다.[46] 버키 시라카타(バッキー白片), 하이다 유키히코(灰田有紀彦), 하이다 카츠히코(灰田勝彦), 오하시 세츠오(大橋節夫), 와다 히로시와 마히나스타즈(和田弘とマヒナスターズ) 등 많은 일본 음악가들이 하와이 음악을 연주했다.[46]6. 한국의 하와이안 음악
일제강점기, 억압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자유와 낭만을 꿈꾸던 한국인들에게 하와이 음악은 큰 위안을 주었다. 하와이의 아름다운 자연과 이국적인 분위기를 담은 노래들은 한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19세기 말부터 한국인들이 하와이로 이민을 가면서 하와이 음악과 문화를 접하게 되었고, 1903년에 시작된 공식적인 하와이 이민으로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며 하와이 음악을 경험하고 고국으로 돌아와 하와이 음악을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16]
1915년부터 1930년까지 주류 청중들은 하와이 음악에 점점 더 매료되었지만, '하와이식'으로 판매되는 노래들은 실제 하와이 음악의 주변적인 측면만을 가지고 있었다.[17] 해방 이후 금호동, 안정애, 황금심 등 많은 가수들이 하와이안 풍의 노래를 불렀으며, 현인의 신라의 달밤은 하와이안 풍 멜로디와 한국적인 정서가 어우러져 큰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에는 기타리스트 김희갑이 하와이안 기타 연주를 선보였다.[17]
6. 1. 하와이 이민과 음악 교류
19세기 말부터 한국인들이 하와이로 이민을 가면서 하와이 음악과 문화를 접하게 되었다. 특히 1903년에 시작된 공식적인 하와이 이민으로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게 되었다.[16] 이들은 하와이 음악을 경험하고 고국으로 돌아와 하와이 음악을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16]6. 2. 일제강점기 하와이 음악의 인기
일제강점기에 하와이 음악은 억압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자유와 낭만을 꿈꾸는 한국인들에게 큰 위안을 주었다. 하와이의 아름다운 자연과 이국적인 분위기를 담은 노래들은 한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1915년부터 1930년까지 주류 청중들은 하와이 음악에 점점 더 매료되었지만, 이때쯤에는 '하와이식'으로 판매되는 노래들은 실제 하와이 음악의 주변적인 측면만을 가지고 있었다.[17]6. 3. 해방 이후의 하와이안 음악
해방 이후에도 하와이안 음악은 한국 대중음악의 한 장르로 꾸준히 사랑받았다. 금호동, 안정애, 황금심 등 많은 가수들이 하와이안 풍의 노래를 불렀으며, 특히 현인의 신라의 달밤은 하와이안 풍 멜로디와 한국적인 정서가 어우러져 큰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에는 기타리스트 김희갑이 하와이안 기타 연주를 선보이며 하와이안 음악의 명맥을 이어갔다.[17]7. 하와이의 음악 축제 및 시설
하와이에는 메리 모나크 훌라 축제를 비롯하여 빅 아일랜드 슬랙 키 기타 축제, 스틸 기타 협회 축제, 개비 파히누이/아타 아이작스 슬랙 키 축제 등 다양한 음악 축제가 열린다.[1] 알로하 위크(4월)와 몰로카이 음악 축제(노동절 무렵)도 인기 있는 행사이다.[1]
힐로 하와이대학교 공연 예술 센터, 카우아이 커뮤니티 칼리지 공연 예술 센터, 닐 S. 블레이스델 센터, 와이키키 쉘, 하와이 극장 등 다양한 공연 시설이 하와이에 위치한다.[7][8][9][10][11]
7. 1. 주요 음악 축제
메리 모나크 훌라 축제는 전 세계의 훌라 그룹들이 참가하는 축제이다.[1] 빅 아일랜드 슬랙 키 기타 축제, 스틸 기타 협회 축제, 개비 파히누이/아타 아이작스 슬랙 키 축제는 슬랙 키 및 스틸 기타 연주를 위한 축제들이다.[1]4월의 알로하 위크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며, 노동절 무렵에 열리는 몰로카이 음악 축제도 마찬가지다.[1]
7. 2. 주요 음악 공연 시설
힐로 하와이대학교(University of Hawaii at Hilo) 공연 예술 센터는 600석 규모로, 빅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공연장이다.[7][8] 카우아이 커뮤니티 칼리지 공연 예술 센터(Kauai Community College Performing Arts Center)는 카우아이에 있는 560석 규모의 공연장이자 문화 전시 센터이다.[9] 호놀룰루에는 닐 S. 블레이스델 센터(Neal S. Blaisdell Center)의 경기장, 콘서트홀, 전시홀이 있는데, 이 세 곳은 주에서 가장 큰 공연장 중 세 곳이다.[10] 와이키키 쉘은 주로 콘서트와 오락 목적으로 사용되는 야외 극장으로, 수년간 많은 지역 및 국제 아티스트들이 이곳 무대에 섰다. 카피올라니 공원에 있는 독특한 야외 극장이며 2,400명을 수용할 수 있고 잔디밭에는 최대 6,000명까지 더 수용할 수 있다.[11] 하와이 극장(Hawaii Theatre)은 호놀룰루 시내에 있는 공연장이다.[11]8. 하와이의 음악 기관 및 산업
하와이는 다양한 음악 기관 및 관련 산업의 본거지이다. 호놀룰루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하와이 오페라 극장 외에도, 슬랙키 기타 초기 제조업체이자 지지자였던 기타 앤드 류트 워크샵(Guitar and Lute Workshop), 우쿨렐레 주요 제조업체인 카마카 우쿨렐레(Kamaka Ukulele) 등이 있다.
8. 1. 주요 음악 기관
호놀룰루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1900년에 설립되었으며, 로키 산맥 서쪽에서 가장 오래된 오케스트라이다.[43] 하와이 오페라 극장은 호놀룰루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력하는 오페라단이다.[43]8. 2. 주요 음악 산업체
다음은 하와이의 주요 음악 산업체이다.- 기타 앤드 류트 워크샵(Guitar and Lute Workshop): 슬랙키 기타의 초기 제조업체이자 지지자였다.
- 카마카 우쿨렐레(Kamaka Ukulele): 하와이 음악 공연을 위한 우쿨렐레의 주요 제조업체이다.
참조
[1]
서적
Unterberger
[2]
서적
Manuel
[3]
웹사이트
HAWAII INTERNATIONAL JAZZ FESTIVAL
https://archive.toda[...]
2007-03-03
[4]
뉴스
Jazz fest on hold with death of founder
http://the.honolulua[...]
Black Press Group Ltd
2007-04-20
[5]
웹사이트
The 3rd Annual Pacific Rim Jazz Festival
http://www.pacificri[...]
[6]
웹사이트
2012 Mānoa Jazz & Heritage Festival
http://www.outreach.[...]
[7]
웹사이트
UH Hilo Performing Arts Center
http://artscenter.uh[...]
[8]
웹사이트
Hawaii - Big Island - Entertainment
http://www.alternati[...]
2011-12-28
[9]
웹사이트
Hawaii - Kauai - Entertainment
http://www.alternati[...]
2009-02-25
[10]
웹사이트
Neal Blaisdell Center
http://www.blaisdell[...]
[11]
웹사이트
Honolulu Theatres & Auditoriums
http://www.honolulu.[...]
2010-11-13
[12]
웹사이트
Hawaii - Lanai - Entertainment
http://www.alternati[...]
2010-03-11
[13]
웹사이트
Lanai Theatre and Playhouse in Lanai City, HI
http://cinematreasur[...]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onolulu Symphony
http://www.honolulus[...]
[15]
웹사이트
O'ahu Choral Society
http://www.oahuchora[...]
Oahuchoral.com
[16]
서적
Footsteps in the Dark: The Hidden Histories of Popular Music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7]
서적
Hawaiian Music and Musicians
[18]
서적
Hawaiian Music and Musicians
[19]
뉴스
Tau Moe, 95; Performed Hawaiian Music for Many World Leaders
https://www.latimes.[...]
2004-07-05
[2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awaii International Jazz Festival
https://wayback.arch[...]
2006-01-19
[21]
웹사이트
How the Hawaiian Steel Guitar Changed American Music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Institution
2019-04-25
[22]
서적
Designed for hi-fi living : the vinyl LP in midcentury America
MIT Press
[23]
웹사이트
Johnny Cash in a grass skirt: the Hawaiian roots of country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About Song Contest
https://www.himeni.c[...]
[25]
웹사이트
Song Contest 2023
https://www.ksbe.edu[...]
Kamehameha Schools Kapālama
[26]
웹사이트
Song Contest 2023
https://www.ksbe.edu[...]
Kamehameha Schools Kapālama
[27]
간행물
Sudden Rush: "Na Mele Paleoleo" (Hawaiian Rap) as Liberatory Discourse
https://www.jstor.or[...]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1
[28]
웹사이트
Bruddah Waltah: The Father of Hawaiian Reggae
https://keolamagazin[...]
2014-01-02
[29]
뉴스
'02 not the year Jawaiian dies, but look out
http://starbulletin.[...]
[30]
웹사이트
Scotty Moore - Honolulu Stadium - Honolulu, HI
http://www.scottymoo[...]
[31]
웹사이트
Scotty Moore - Bloch Arena And The USS Arizona Memorial
http://www.scottymoo[...]
[32]
웹사이트
Honolulu International Center, Honolulu, HI, USA Concert Setlists {{!}} setlist.fm
https://www.setlist.[...]
[33]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Diamond Head Crater Festivals, Hawaii's own 'Woodstock'
http://www.hawaiimag[...]
2016-04-20
[3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Hawaiian Ukulele with Master Luthier Joe Souza of Kanileʻa Ukulele at Habilitat
https://www.youtube.[...]
Habilitat Hawaii
2012-06-26
[35]
뉴스
Here's where the story of the ukulele actually begins
https://www.youtube.[...]
2024-04-02
[36]
웹사이트
How ukulele is made - production process, manufacture, making, history, used, parts, product, machine, History
http://www.madehow.c[...]
2017-04-24
[37]
웹사이트
Fun Facts - The Ukulele
http://luaukalamaku.[...]
Luaukalamaku.com
2015-10-26
[38]
서적
Little Known Tales in Hawaii History
Stagecoach Publishing
2004
[39]
Youtube
The History of the Hawaiian Ukulele with Master Luthier Joe Souza of Kanileʻa Ukulele at Habilitat
https://www.youtube.[...]
Habilitat Hawaii
2012-06-26
[40]
서적
Arts and Crafts of Hawaiʻi
Bishop Museum Press
2003
[41]
웹사이트
Ohe hano ihu
http://www.rangapae.[...]
2008-05-24
[42]
웹사이트
http://www.to-hawaii[...]
[43]
문서
Manuel
[44]
문서
Unterberger
[45]
문서
中嶋
[46]
웹사이트
昔のハワイアン
http://www9.plala.or[...]
[47]
문서
타히티의 북동쪽 약 1600km에 있는 마르키 즈군도에도 우테테가 있으나, 이것은 1현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