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 아이슬란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 아이슬란드어는 '하이 노르웨이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극단적인 언어 순수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언어 운동이다. 라틴어, 영어, 덴마크어에서 차용된 단어를 배제하고, 외국어의 고유명사도 아이슬란드어로 번역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92년 요세프 브레크만스가 시작했으며, 유즈넷 홍보, 웹사이트 개설 등을 통해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슬란드어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아이슬란드어 -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는 아이슬란드어의 고유성을 지키고 외국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 차원의 규제와 지원, 새로운 단어 창조 및 옛 단어 부활 등을 통해 아이슬란드인의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고 모든 지식을 아이슬란드어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언어 순수주의 - 언어 되살리기
언어 되살리기는 소멸 위기에 놓인 언어를 보존하고 활성화하여 언어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노력이다. - 언어 순수주의 -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는 아이슬란드어의 고유성을 지키고 외국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 차원의 규제와 지원, 새로운 단어 창조 및 옛 단어 부활 등을 통해 아이슬란드인의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고 모든 지식을 아이슬란드어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하이 아이슬란드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하이 아이슬란드어 |
다른 이름 | 높은 아이슬란드어 |
유형 | 인공어 |
목표 | 아이슬란드어의 보수적인 형태 유지 |
창시자 | 페튀르 소르스테인손 Jozef Braekmans |
영향 받은 언어 | 아이슬란드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미등록 |
추가 정보 | |
특징 | 아이슬란드어의 고어적인 특징을 유지하고 새로운 단어를 창조함. |
사용 목적 | 아이슬란드어의 순수성을 보존하고 언어 발전을 장려함. |
2. 명칭
'하이 아이슬란드어(Háfrónska)'라는 명칭은 새 노르웨이어의 보수적인 형태인 '하이 노르웨이어(Høgnorsk)'에서 유래했다. 'Há'는 '높은'을 의미하며, 'frónska'는 스노리 에다에 나오는 'frón'(토지)에서 따온 것으로 아이슬란드를 의미한다. 2003년 11월 3일 이전에는 단순히 'frónska' 또는 'Hyper-Icelandic'이라고 불렸다.
1992년 요세프 브레크만스가 하이 아이슬란드어 대체 작업을 시작했다.[1] 1998년 유즈넷을 이용한 홍보를 실시했다.[2] 2000년 관련 웹사이트 "Nýyrðasmiðja Málþvottahús"를 개설했다. 2005년 관련 웹사이트 "Háfrónska málhreyfingin"을 개설하고, 레이캬비크의 페튀르 토르스테인손이 운동에 참여했다.
하이 아이슬란드어는 극단적인 언어 순수주의(málgjörhreinsun)를 특징으로 한다. 라틴어, 영어, 특히 덴마크어에서 차용한 단어를 제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덴마크어와 아이슬란드어는 같은 계통의 언어이기 때문에 어느 수준까지 어떻게 배제할 것인가 하는 점에서 논란이 있다. 차용어 배제는 외국어의 고유 명사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국의 국명은 조선(朝鮮)이란 한자의 뜻을 풀어(고요한 아침의 나라) Árróarland라고 번역한다.
1999년 DV 신문이 브레크만스와의 인터뷰를 게재했다.[1] 2005년 Stöð 2 채널에서 짧은 코너로 소개되었다.[2] Rás 2 라디오에서 단어 퀴즈로 가끔 소개된다.
[1]
웹사이트
Hafronska -- High Icelandic Language Center
https://archive.is/2[...]
2007-05-14
3. 역사
4. 언어 순수주의
고(高)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외래어를 철저하게 아이슬란드어의 고유어로 표현하는 순화주의(málgjörhreinsun)가 제창되고 있으며, 고유 명사도 번역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히로시마라는 단어는 "Breiðeyjarhöfn"[1] 또는 "Stórhólmur"[2]로 표기된다.
5. 언론 보도
참조
[2]
웹사이트
Hafronska -- High Icelandic Language Center
https://web.archive.[...]
2006-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