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희는 춘추 시대 정나라 목공의 딸로, 이복 오빠와 근친상간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빼어난 미모로 여러 남성과의 관계를 맺었다. 그녀는 진나라 대부 하어숙에게 시집가 아들 하징서를 낳았고, 하어숙 사후 진 영공, 공녕, 의행보와 난교를 즐기다 하징서가 영공을 살해하는 사건의 원인이 되었다. 이후 초나라 장왕에게 끌려갔으나, 무신의 도움으로 진나라로 돌아가 무신과 결혼하여 딸을 낳았다. 하희는 "남편 셋과 아들 하나를 죽이고, 나라 하나를 망하게 했으며, 군주 둘을 망치게 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며, 팜므파탈로 묘사되기도 하고, 강력한 남자들의 희생자였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그녀의 삶은 여러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주림야사》, 소설 《하희 춘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희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소공 (少孔) |
출생 시기 | 기원전 7세기 |
사망 시기 | 기원전 6세기 |
활동 시기 | 춘추 시대 |
성 | 희 (姬) |
씨 | 자 (子) |
이름 | 하희 (夏姬) 소공 (少孔) |
작위 | 부인 |
봉호 | 진 (陳) |
아버지 | 자만 (子蠻) |
남편 | 어숙 공녕 의행부 |
자녀 | 하징서 |
출신 국가 | 정나라 |
생애 | |
주요 사건 | 진 영공과의 사통 공녕, 의행부와의 사통 아들 하징서의 반란 |
관련 인물 | |
가족 관계 | 아버지: 자만 (子蠻) 남편: 어숙, 공녕, 의행부 아들: 하징서 |
관련 인물 | 진 영공 영정 굴오 |
2. 생애
하희는 정나라 목공의 딸로, 여러 기록에서 그 미모와 파란만장한 삶이 전해진다.
어려서부터 이복오빠 공자 만과 근친상간을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관계를 시작하고 3년이 되지 못해 공자 만이 죽었다. 이후 진나라의 대부 하어숙에게 시집을 가 “하희”라고 불리게 되었고, 아들 하징서를 낳았다. 하어숙은 하징서가 12살이 되던 해에 죽고, 하징서는 아버지의 직위를 이어받아 진나라의 사마가 되었다.
40세의 과부가 된 하희는 진나라 영공 및 그의 신하 공녕, 의행보와 함께 난교를 즐겼다. 기원전 599년, 영공과 공녕, 의행부가 하징서를 불러 모욕을 주자, 분노한 하징서는 영공을 활로 쏴 죽였다. 이듬해 초 장왕이 진나라를 침공하여 하징서를 죽이고 하희를 초나라로 끌고 갔다.
장왕은 하희를 탐냈으나 무신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아내를 잃은 다른 신하에게 시집보냈지만, 그 신하도 죽자 하희를 진나라로 돌려보냈다. 이후 제나라 사신으로 가던 무신이 진나라에서 하희를 만나 함께 진나라로 도망쳤다. 장왕은 분노하여 초나라에 있던 무신의 일족을 모두 죽였다. 하희는 무신과 결혼해 딸을 낳았고, 이 딸은 진나라 대부 숙향과 결혼하여 양이아를 낳았다.
유향의 《열녀전》에서는 하희를 "세 번이나 왕후가 되었고, 일곱 번이나 대부의 아내가 되었다. 여러 공작과 후작들이 미혹되어 정신을 잃지 않을 수가 없었다"라고 평했다. 다만, 하희는 실제로 왕후가 된 적은 없다.
2. 1. 초기 생애와 결혼
정나라 목공의 딸로 태어났으며, 이복오빠 공자 만과 근친상간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1][3] 《열녀전》에 따르면, 관계를 시작하고 3년이 되지 못해 공자 만이 죽었다.[2] 이후 진나라의 대부 하어숙에게 시집을 갔고, 이에 “하희”라고 불리게 되었다.[4] 하어숙과의 사이에서 아들 하징서를 낳았다.[5][6] 하어숙은 하징서가 12살이 되던 해에 죽고, 하징서가 하어숙의 직위를 이어받아 진나라의 사마가 되었다.2. 2. 진나라에서의 삶과 영공 시해 사건
기원전 600년, 진나라의 영공은 공녕과 의행보와 함께 과부가 된 하희와 난교를 즐겼다.[7] 영공, 공녕, 의행보는 하희의 속옷을 입고 조정에서 장난을 쳤으며, 이를 본 설야는 영공에게 간언했다. 영공이 이 사실을 공녕과 의행보에게 알리자, 그들은 설야를 죽여달라고 요청했고, 영공이 이를 막지 않아 설야는 살해당했다.[7]기원전 599년, 영공, 공녕, 의행보는 하씨의 집에서 술을 마시던 중 하징서를 불러 그를 놀렸다.[8] 영공이 의행보에게 "하징서는 너를 닮았다"라고 하자, 의행보는 "저의 군주님을 닮았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말에 격분한 하징서는 영공이 외출할 때 마구간에서 활을 쏴 살해했다.[8] 공녕과 의행보는 초로 망명했다.[8]

2. 3. 초나라에서의 삶과 무신과의 도주
초 장왕이 진나라를 침공하여 하징서를 죽이고, 하희는 초나라로 끌려갔다.[9] 장왕은 하희를 첩으로 삼으려 했으나, 대부 무신이 반대하여 뜻을 꺾었다. 이에 아내를 잃은 연윤 양로에게 시집보냈는데, 양로가 필 전투에서 전사하여 그 시신을 수습하지 못했다.[2]이후 제나라 사신으로 가던 무신이 진나라를 지나는 길에 하희를 만나 함께 진나라로 도망갔다. 장왕은 분노하여 초나라에 있던 무신의 일족을 모두 죽였다.[2] 하희는 무신과 결혼해 딸 하나를 낳았고, 이 딸은 진나라 대부 숙향과 결혼하여 양이아를 낳았다.[1]
2. 4. 진나라에서의 삶과 말년
무신과 결혼하여 딸을 낳았고, 이 딸은 진나라 대부 숙향과 결혼하여 양이아를 낳았다.[1] 숙향과 하희의 딸이 결혼하려 했을 때, 숙향의 어머니 숙희(叔姬)는 "하희는 남편 셋과 아들 한 명을 죽이고, 나라 하나를 망하게 했으며, 군주 둘을 망치게 했다"라며 반대했다.[1]3. 평가
하희는 뛰어난 미모를 지녔지만, 여러 남성들과의 관계로 인해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유향의 《열녀전》에서는 하희를 "세 번이나 왕후가 되었고, 일곱 번이나 대부의 아내가 되었다. 여러 공작과 후작들이 미혹되어 정신을 잃지 않을 수가 없었다"라고 묘사하며, 그녀의 매혹적인 아름다움이 여러 공작과 후작들을 타락시켰다고 평가했다.[6] 다만, 하희는 왕후가 된 적은 없다. 《열녀전》에는 하희가 ''열비전''(孽嬖傳, 방탕한 총애) 장에 등장한다.[6]
내협기술중국어(內挾伎術)은 현존하는 이전 자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세 번 왕비가 되었고 일곱 번 아내가 되었다"는 다른 텍스트에서도 뒷받침되지 않으며, 심지어 이 ''열녀전'' 전기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이 전기는 하희를 왕비로 언급하지 않고, 그녀에게 세 명의 남편, 즉 하어숙, 상로, 그리고 무신(巫臣)이 있었다고 말한다.[6]
《시경》에서는 "음란한 하희"라고 노래하며, 그녀의 행동을 비판했다.[13]
반면, 《춘추좌전정의》에서는 "자만과 어숙은 스스로 단명했을 뿐이며, 두 가지 일을 하희의 죄로 삼을 이유는 없다"고 옹호하기도 했다.[14]
야마자키 준이치는 "유향은 이 무신의 복수담을 잘라내고 담을 구성하여, 현자 무신을 초나라의 반역자로 만들지 않고, 치애(痴愛)를 가진 여인의 마성에 결국 비극으로 끌려들어간 불운한 사람으로 그려냈다"고 적으며,[15] 『열녀전』의 기술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 미야자키 마사미츠는 "무신을 하희와 만나게 한 것은 하늘이며, 하늘이 하희의 마음의 청순함을 가엾게 여겼다고밖에 말할 수 없다"[16]라며 동정을 표했다.
올리비아 밀번은 하희를 "파괴적인 아름다움...이 진나라의 멸망을 거의 초래할 뻔했다"고 묘사하며 ''팜므파탈''로 묘사하며 "전통적으로 중국 고대에서 가장 악독한 여성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고 하였다. 반면에, 마이클 나일런은 그녀가 "강력한 남자들의 희생자였고 그녀의 운명은 그녀의 아름다움과 그들의 탐욕에 의해 결정되었다."라고 주장한다.
4. 관련 작품
하희의 삶은 후대에 많은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명나라 말기에는 하희의 삶을 바탕으로 한 에로틱 소설 《주림야사》가 쓰여졌다.[2] 미야기야 마사미츠(宮城谷昌光)의 소설 《하희 춘추》, 코마다 신지(駒田信二)의 소설 《하희 이야기》, 나카지마 아츠시(中島敦)의 소설 《요분록》, 카이온지 쵸고로(海音寺潮五郎)의 소설 《중국 요염전》 등이 있다.
5. 기타 이설
청화간 《계년(繫年)》에는 하희가 "소[공명(孔皿)]"[11]이라는 호칭으로 등장하며, 하징서(夏徴舒)의 어머니가 아니라 아내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초나라 장왕(莊王)이 진나라를 침공했을 때, 신공굴무(申公屈巫, 무신)가 진나라로부터 원군을 얻은 공적에 대한 보답으로 소[공명(孔皿)]은 굴무에게 주어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연윤양로(連尹襄老)가 이를 다투어 빼앗아 갔고, 양로가 하옹(河灉)에서 포로가 되자 양로의 아들 흑요(黑要)가 그녀를 아내로 삼았다. 흑요가 사망하자, 사마자반(司馬子反)과 굴무가 그녀를 다투었지만, 결국 굴무가 그녀를 아내로 맞이했다.[12]
참조
[1]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28年
[2]
서적
春秋左氏伝 成公2年
[3]
서적
春秋左伝注疏 成公2年
[4]
서적
国語 楚語上「蔡声子論楚材晋用」
[5]
서적
史記 陳杞世家
[6]
서적
列女伝 孽嬖伝「陳女夏姫」
[7]
서적
春秋左氏伝 宣公9年
[8]
서적
春秋左氏伝 宣公10年
[9]
서적
春秋左氏伝 宣公11年
[10]
서적
春秋左氏伝 成公7年
[11]
문서
[12]
서적
中国古代史研究の最前線
星海社新書
[13]
서적
詩経 陳風「株林」
[14]
서적
春秋左伝正義 成公2年
[15]
서적
列女伝 歴史を変えた女たち
五月書房
[16]
서적
春秋名臣列伝
文藝春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