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예수교장로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예수교장로회는 개혁신학을 바탕으로 2012년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설립된 교단이다. 한국 교회의 세속화와 혼합 종교화를 극복하고 역사적 정통 신앙을 수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산하 교육기관으로 한국장로회신학교를 운영하며, 2017년 교단명칭을 변경하고, 비영리 법인 인가를 받았다. 또한, 공동체 목회세미나 개최, 신학교육자상 시상, 교단 명칭 상표권 획득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로교 단체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장로교 단체 - 한국기독교장로회
    한국기독교장로회는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립된 개신교 장로교 교단으로, 신학적 견해 차이로 분립되어 진보적인 신학 노선을 따르며 사회 참여에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2012년 설립된 단체 - 안사루
    안사루는 보코하람에서 분리된 알카에다 추종 이슬람 무장 조직으로, 외국인 납치와 공격을 감행하며 나이지리아 북부를 근거지로 활동한다.
  • 2012년 설립된 단체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한국예수교장로회
기본 정보
한국예수교장로회 (구: 한국정통장로교회)
한국예수교장로회 (구: 한국정통장로교회)
일반 정보
한글한국예수교장로회
한자韓国예수教長老会
로마자 표기Hanguk Yesugyo Jangrohoe Chonghoe
영어 명칭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2. 역사

에딘버그 대학교에 있는 존 헛치슨(John Hutchison)의 작품인 존 녹스 동상


한국예수교장로회는 2012년 1월 17일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2015년 9월 5일 한국장로회신학교 제2대 교장으로 이천우 목사가 취임하였다. 2016년에는 한국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식이 있었고, 교단 주최로 "공동체 목회 세미나"가 고신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2017년 교단 명칭을 "한국정통장로교회"에서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하였고, 제1회 목사 임직이 있었다. 2018년 1월 17일 제3대 교단장 및 한국장로회신학교 제3대 교장으로 고영윤 목사가 취임하였으며, 1월 19일에는 한국예수교장로회(OPCK)와 개혁교회국제연합(IURC) 공동으로 「2018 한국신학교육자상」을 시상하였다.[3][4] 2018년 4월 30일에는 '한국예수교장로회' 교단 명칭이 대한민국 특허청의 상표권을 획득하였다.[5]

2. 1. 설립 배경

한국예수교장로회는 2012년 1월 17일에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출범하였다. 한국 교회의 급격한 세속화와 혼합 종교화를 극복하고, 역사적 정통 신앙의 수호와 개혁신학을 모토로 하였다.[1] 교단 교역자가 될 목사와 선교사 양성을 위한 교단 신학 교육 기관으로는 한국장로회신학교(Korea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가 있으며, 선교를 수행한다.[1] 미공개 제3지역에 분교가 설치되어 있다.[1]

16세기 종교개혁의 완성자 장 칼뱅

2. 2. 설립 과정



한국예수교장로회는 2012년 1월 17일에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출범하였다. 교단 신학교육기관(목회자 및 선교사 양성)은 한국장로회신학교(Korea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mary)이다. 교육 과정은 비학위 과정의 목사후보생 과정, 목회자 재교육과정, 평신도지도과정 및 성경아카데미가 개설되어 있다.[1]

날짜내용
2012년 1월 17일한국예수교장로회(구 한국정통장로교회) 교단 설립(설립자 하승무 목사)[1]
2012년 1월 17일한국장로회신학교 설립 및 개교(설립자·초대 교장 하승무 목사)[1]
2012년 1월 17일한국장로회신학교 명예총장 이승미 박사(전 고신대학교 신학대학원장) 취임[1]
2012년 1월 20일한국장로회신학교 공식 도메인(www.kpts.or.kr) 등록 및 개통[1]
2014년 5월 07일교단 공식 도메인(www.koreaopc.org) 등록 및 개통[1]
2014년 9월 12일법인에 준하는 비영리 종교 단체의 자격 획득(국세청)[1]
2017년 3월 17일공동회장 대표 본 교단의 국문 명칭을 "한국정통장로교회"에서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 결의[1]
2017년 3월 27일본 교단의 명칭 변경, 관할 기관에 신고 완료[1]
2018년 4월 30일"한국예수교장로회" 대한민국 특허청 "교단명 상표권" 획득[1]


2. 3. 주요 활동

연도주요 활동
2012년 1월 17일하승무 목사에 의해 한국정통장로교회 설립.[3]
2012년 1월 17일교단 산하 신학교인 한국장로회신학교(한국장신) 설립(초대 교장 하승무 목사).[3]
2012년 1월 17일고려신학대학원장을 지낸 이승미 박사가 한국장로회신학교 명예총장으로 위촉됨.[3]
2014년 9월 12일비영리 법인(종교단체) 인가.[5]
2016년 7월 22일한국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생 배출(M.Div.).
2016년 8월 1일교단 제1회 강도사 인허.
2016년 8월 25일~26일총회 주최 "공동체 목회세미나" 개최(고신대학교 김현태홀).
2017년 3월 27일교단 명칭을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5]
2017년 4월 6일~7일총회 주최 "2017 경남지역 공동체 목회세미나" 개최(한결교회).
2017년 8월 18일 ~ 20일제1회 총회 개최.
2017년 8월 20일총회(독노회) 제1회 목사 장립.
2018년 1월 17일제3대 교단장 및 한국장로회신학교 제3대 학교장 취임.
2018년 1월 19일한국예장(OPCK)과 IURC 공동으로 2018 한국신학교육자상 시상.[3][4]
2018년 4월 30일‘한국예수교장로회’ 교단 명칭 특허청 상표권 획득.[5]


3. 조직 및 운영

한국예수교장로회는 2012년 1월 17일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설립되었으며, 교단 산하 신학교육기관으로 한국장로회신학교(한국장신)를 설립하여 목회자 및 선교사 양성에 힘쓰고 있다.[3][4]

교단 운영과 관련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2012년 1월 17일하승무 목사에 의해 한국예수교장로회(구 한국정통장로교회) 교단 설립[3][4], 교단 산하 한국장신 설립(초대 교장 하승무 목사)[3][4], 한국장신 명예총장으로 이승미 박사(전 고려신학대학원장) 위촉[3][4]
2012년 1월 20일한국장신 공식 도메인(www.kpts.or.kr) 등록 및 개통
2014년 5월 7일교단 공식 도메인(www.koreaopc.org) 등록 및 개통
2014년 9월 12일비영리 법인(종교단체) 인가[5]
2017년 3월 17일공동회장 대표 회의에서 교단 국문 명칭을 "한국정통장로교회"에서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 결의
2017년 3월 27일교단명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5]
2018년 4월 30일‘한국예수교장로회’ 교단명칭 특허청 상표권 획득[5]


3. 1. 한국장로회신학교

2012년 1월 17일 하승무 목사를 중심으로 한국예수교장로회가 출범하면서, 교단 신학교육기관으로 한국장로회신학교(Korea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가 설립되었다.[1] 목회자 및 선교사 양성을 위한 비학위 과정의 목사후보생 과정, 목회자 재교육 과정, 평신도 지도자 과정, 성경 아카데미가 개설되어 있다.[1]

한국 교회의 세속화와 혼합 종교화를 극복하고 역사적 정통 신앙을 수호하며 개혁 신학을 따르기 위해 설립된 한국장로회신학교는[2] 교단 교역자가 될 목사와 선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며, 미공개 제3지역에 분교를 설치하여 선교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2]

3. 2. 교단 운영

날짜내용
2012년 1월 17일하승무 목사에 의해 한국예수교장로회(구 한국정통장로교회) 교단 설립[3][4], 교단 산하 신학교 한국장신 설립(초대 교장 하승무 목사)[3][4], 한국장신 명예총장으로 이승미 박사(전 고려신학대학원장) 위촉[3][4]
2012년 1월 20일한국장신 공식 도메인(www.kpts.or.kr) 등록 및 개통
2014년 5월 7일교단 공식 도메인(www.koreaopc.org) 등록 및 개통
2014년 9월 12일비영리 법인(종교단체) 인가[5]
2015년 9월 5일한국장신 제2대 교장으로 이천우 목사 취임
2016년 7월 22일한국장신 제1회 졸업생 배출(M.Div.)
2016년 8월 1일교단 제1회 강도사 인허
2016년 8월 25일~26일총회 주최 "공동체 목회세미나" 개최(장소:고신대학교 김현태홀)
2017년 3월 17일공동회장 대표 회의에서 교단 국문 명칭을 "한국정통장로교회"에서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 결의
2017년 3월 27일교단명 "한국예수교장로회"로 변경[5]
2017년 4월 6일~7일총회 주최 "2017 경남지역 공동체 목회세미나" 개최(장소:한결교회)
2017년 8월 18일 ~ 20일제1회 총회 개최
2017년 8월 20일총회(독노회) 제1회 목사장립(김동수 강도사)
2017년 9월 15일한국장신 제2회 졸업식
2018년 1월 17일제3대 교단장 및 한국장신 제3대 학교장 취임(고영윤 목사)[3][4]
2018년 1월 19일한국예장(OPCK)과 IURC 공동 2018 한국신학교육자상 시상(수상자 하승무, 이천우, 고영윤)[3][4]
2018년 4월 30일‘한국예수교장로회’ 교단명칭 특허청 상표권 획득[5]


4.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OPCK Official Website http://cafe.daum.net[...]
[2] 웹사이트 OPCK Website http://www.koreaopc.[...]
[3] 뉴스 사회엔지오뉴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8-01-19
[4] 뉴스 연합뉴스 최신기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18
[5] 뉴스 ‘한국예수교장로회’ 교단명 상표권 획득 http://www.dailywrn.[...] 매일종교신문 2018-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