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토해양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토해양부는 2008년 2월 29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설치되어 2013년 3월 23일 국토교통부로 개편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건설, 교통, 해양 관련 업무를 담당했으며, 해양경찰청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외청으로 두었다. 주요 조직으로 감사관, 건설수자원정책실, 교통정책실 등이 있었으며, 국토해양부 장관과 차관을 역임한 인물들의 명단이 존재한다. 연찬회 비리와 같은 사건 및 논란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폐지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2013년 폐지 -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발행되는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일간지로, 워터게이트 사건 보도와 퓰리처상 수상, 제프 베이조스의 디지털 혁신 추진을 거쳐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는 신문이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토교통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국토해양부 |
현지어 이름 | 國土海洋部 |
![]() | |
설립일 | 2008년 2월 29일 |
해산일 | 2013년 3월 23일 |
전신 | 행정자치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
후신 |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
직원 | 6,317명 (2008년 8월) |
산하기관 | 해양경찰청 (08.02 ~ 13.03)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08.02 ~ 13.03)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국토해양부는 정부조직법 제37조[1] 및 국토해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조[2]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
3. 연혁
4. 조직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조직 | ||||
---|---|---|---|---|
대한민국 국토해양부의 본부 조직은 위 표와 같으며, 외청은 해양경찰청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있다.
4. 1. 본부 조직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본부 조직 | ||||
---|---|---|---|---|
4. 2. 외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5. 역대 장·차관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장관은 국토해양부의 업무를 총괄하는 직위였다.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여 소관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국토해양부 차관은 제1차관과 제2차관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차관은 주로 국토, 건설 관련 업무를, 제2차관은 해양, 교통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초대 장관은 정종환이었고, 2대 장관은 권도엽이었다. 초대 제1차관은 권도엽이었고, 초대 제2차관은 이재균이었다. 이후 국토해양부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장·차관직도 폐지되었다.
5. 1. 국토해양부 장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이명박 정부 | 초대 | 정종환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6월 1일 | 충남 청양 | 고려대 | 건설교통부 국토계획국장·수송정책실장, 철도청장,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충남발전연구원장, 제주도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 |
2대 | 권도엽 | 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 경북 의성 | 서울대 | 건설교통부 국토정책국장·주택국장·정책홍보관리실장·차관보, 국토해양부 제1차관, 한국도로공사 사장 |
5. 2. 국토해양부 차관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며 소관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국토해양부 차관은 제1차관과 제2차관으로 구성되었다. 제1차관은 주로 국토, 건설 관련 업무를, 제2차관은 해양, 교통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이명박 정부 시절 초대 제1차관은 권도엽이었고, 초대 제2차관은 이재균이었다. 이후 국토해양부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차관직도 폐지되었다.
5. 2. 1. 국토해양부 제1차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이명박 정부 | 초대 | 권도엽 | 2008년 3월 3일 ~ 2010년 8월 16일 | 경북 의성 | 서울대학교 | 건설교통부 국토정책국장·주택국장·정책홍보관리실장·차관보, 국토해양부 장관, 한국도로공사 사장 |
2대 | 정창수 | 2010년 8월 16일 ~ 2011년 5월 17일 | 강원 강릉 | 서울대학교 | 건설교통부 주택도시국장·주택국장, 국토해양부 기획조정실장 | |
3대 | 한만희 | 2011년 5월 18일 ~ 2013년 3월 13일 | 충남 청양 | 연세대학교 | 국토해양부 국토정책국장·국민임대주택건설지원단장·주택토지실장,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
5. 2. 2. 국토해양부 제2차관
(현 경남과 분리)(현 전남과 분리)
(현 경남과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