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베평화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베평화재단은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1999년 구수정의 학살 폭로와 시민단체의 활동을 거쳐, 2015년 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2016년 4월 발족식을 가졌다. 같은 해 9월 창립 총회를 통해 강우일 주교를 초대 이사장으로 선임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평화 기행, 추모 사업, 진실 규명, 피해자 지원 등이 있으며, 꽝남성 민간인 학살 지도 제작, 시민평화법정 개최 등을 통해 진실 규명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의 여파 - 라이따이한
    라이따이한은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과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베트남 사회에서 차별과 소외를 겪었고, 한국 정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 베트남 전쟁의 여파 - 에이전트 오렌지
    에이전트 오렌지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사용한 고엽제로, 다이옥신에 오염되어 인체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국제적인 비판과 법적 소송을 야기했으며, 미국과 베트남 정부는 오염 지역 정화와 피해자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베트남 관계 - 라이따이한
    라이따이한은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과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베트남 사회에서 차별과 소외를 겪었고, 한국 정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 대한민국-베트남 관계 - 미라이 학살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군 찰리 중대가 꽝응아이성 미라이 마을에서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으로,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폭로되어 전쟁 범죄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며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 2016년 설립된 단체 - 정의기억재단
    정의기억재단에 대한 정보가 없어 개요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2016년 설립된 단체 -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요구에 따라 시민들의 참여로 결성되어 촛불집회를 기획하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해산된 시민단체 연대체이다.
한베평화재단
기본 정보
한베평화재단의 로고
약칭(없음)
표어평화의 한 조각으로 또 다른 수 많은 조각을 찾아 나섭니다.
결성발족: 2016년 4월 27일
결성: 2016년 9월 19일걸어온 길, 한베평화재단
해산(없음)
유형NGO
형태재단법인
목적(정보 없음)
본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위치(정보 없음)
활동 지역대한민국, 베트남
회원(정보 없음)
언어한국어
조직
수장 명칭이사장
현재 수장강우일
주요 기관(정보 없음)
모기관(정보 없음)
제휴 기관(정보 없음)
직원 수(정보 없음)
예산(정보 없음)
웹사이트한베평화재단 웹사이트
기타 사항(정보 없음)

2. 배경

빈호아 학살 현장에 세워진 한국군 증오비


1999년 당시 베트남에서 유학 중이던 구수정은 《한겨레21》의 통신원으로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을 폭로하였다. 《한겨레21》은 이 폭로가 있은 뒤 연이은 기획 연재를 통해 베트남에서 있었던 민간인 학살을 보도하였고, "미안해요 베트남" 캠페인을 벌였다.[8] 학살 폭로와 캠페인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여러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하여 대응을 시작하였다. 베트남에서 한국군에 의해 학살된 희생자 수는 최소 9천 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9]

1999년 12월 베트남전 당시 파월 한국군의 학살에 대한 토론회가 개최되는 한편[10], 이듬해인 2000년 14개의 단체가 모여‘베트남전 양민학살 진상규명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다.[11] 대책위원회는 곧이어 이름을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진실위원회’로 바꾸었고,[12] 다시 이름을 ‘베트남전 진실위원회’로 바꾸어 이를 바탕으로 오랫 동안 베트남 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진실 규명과 사죄를 위한 시민단체의 활동이 이어졌다.[13] 일제 시기 이른바 위안부를 강요당한 문명금, 김옥주가 선뜻 7천만원을 모아 기금을 마련하여 위원회에 전달하기도 하였다.[12]

베트남전 진실위원회는 2003년 평화박물관건립추진위원회로 전환하고 2006년 사단법인으로 등록하여 관련 활동을 계속하여 왔으나 2015년 말을 기점으로 이렇다할 활동을 하지 못하였고[14] 2016년 5월 이사회의 전횡과 상근활동가의 부당해고 논란이 일어났다.[15]

베트남전 진실위원회 이후 이 활동에 계속 참여하여 왔던 사람들은 지속적인 베트남 평화 운동을 위해 새로운 단체를 설립하기로 하고 가칭 한-베평화재단 설립준비위원회(추진위원장 노화욱)를 발족하였다.[16]

2. 1. 베트남 전쟁과 민간인 학살



1999년 당시 베트남에서 유학 중이던 구수정은 《한겨레21》의 통신원으로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을 폭로하였다. 《한겨레21》은 이 폭로가 있은 뒤 연이은 기획 연재를 통해 베트남에서 있었던 민간인 학살을 보도하였고, "미안해요 베트남" 캠페인을 벌였다.[8] 학살 폭로와 캠페인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여러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하여 대응을 시작하였다. 베트남에서 한국군에 의해 학살된 희생자 수는 최소 9천 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9]

1999년 12월 베트남전 당시 파월 한국군의 학살에 대한 토론회가 개최되는 한편[10], 이듬해인 2000년 14개의 단체가 모여‘베트남전 양민학살 진상규명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다.[11] 대책위원회는 곧이어 이름을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진실위원회’로 바꾸었고,[12] 다시 이름을 ‘베트남전 진실위원회’로 바꾸어 이를 바탕으로 오랫 동안 베트남 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진실 규명과 사죄를 위한 시민단체의 활동이 이어졌다.[13] 일제 시기 이른바 위안부를 강요당한 문명금, 김옥주가 선뜻 7천만원을 모아 기금을 마련하여 위원회에 전달하기도 하였다.[12]

베트남전 진실위원회는 2003년 평화박물관건립추진위원회로 전환하고 2006년 사단법인으로 등록하여 관련 활동을 계속하여 왔으나 2015년 말을 기점으로 이렇다할 활동을 하지 못하였고[14] 2016년 5월 이사회의 전횡과 상근활동가의 부당해고 논란이 일어났다.[15]

베트남전 진실위원회 이후 이 활동에 계속 참여하여 왔던 사람들은 지속적인 베트남 평화 운동을 위해 새로운 단체를 설립하기로 하고 가칭 한-베평화재단 설립준비위원회(추진위원장 노화욱)를 발족하였다.[16]

2. 2. 시민사회단체의 활동



1999년 당시 베트남에서 유학 중이던 구수정은 《한겨레21》의 통신원으로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을 폭로하였다. 《한겨레21》은 이 폭로가 있은 뒤 연이은 기획 연재를 통해 베트남에서 있었던 민간인 학살을 보도하였고, "미안해요 베트남" 캠페인을 벌였다.[8] 학살 폭로와 캠페인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여러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하여 대응을 시작하였다. 베트남에서 한국군에 의해 학살된 희생자 수는 최소 9천 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9]

1999년 12월 베트남전 당시 파월 한국군의 학살에 대한 토론회가 개최되었고[10], 2000년 14개의 단체가 모여 ‘베트남전 양민학살 진상규명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다.[11] 대책위원회는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진실위원회’로,[12] 다시 ‘베트남전 진실위원회’로 이름을 바꾸었고, 오랫동안 베트남 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진실 규명과 사죄를 위한 시민단체의 활동이 이어졌다.[13] 일제 시기 이른바 위안부를 강요당한 문명금, 김옥주가 7천만원을 모아 기금을 마련하여 위원회에 전달하기도 하였다.[12]

베트남전 진실위원회는 2003년 평화박물관건립추진위원회로 전환하고 2006년 사단법인으로 등록하여 관련 활동을 계속하여 왔으나, 2015년 말을 기점으로 활동이 미비했고[14] 2016년 5월 이사회의 전횡과 상근활동가의 부당해고 논란이 일어났다.[15]

이후 지속적인 베트남 평화 운동을 위해 새로운 단체를 설립하기로 하고 가칭 한-베평화재단 설립준비위원회(추진위원장 노화욱)를 발족하였다.[16]

2. 3. 평화박물관건립추진위원회와 한베평화재단 설립 준비

3. 설립



한베평화재단은 2015년 준비위원회가 발족하여 2016년 4월 27일 발족식을 가졌다.[17] 2016년 9월 19일에는 창립 총회를 열고 초대 이사장에 천주교 제주교구 강우일 주교를 선임했다.[17] 이 외에 구수정, 고경태, 노화욱, 명진 등의 인사가 참여하고 있다.[17]

3. 1. 창립 과정



한베평화재단은 2015년 준비위원회가 발족하여 2016년 4월 27일 발족식을 가졌다.[17] 2016년 9월 19일에는 창립 총회를 열고 초대 이사장에 천주교 제주교구 강우일 주교를 선임했다.[17] 이 외에 구수정, 고경태, 노화욱, 명진 등의 인사가 참여하고 있다.[17]

3. 2. 주요 참여 인사

초대 이사장에는 천주교 제주교구의 강우일 주교가 선임되었고 이 외에 구수정, 고경태, 노화욱, 명진 등의 인사가 참여하고 있다.[17]

4. 활동

한베평화재단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 평화기행: 한베평화재단은 수시로 평화기행단을 모집하여 베트남 현지를 순례하고 있다.[18]

  • 추모사업: 한베평화재단은 후원금을 모아 민간인 학살 추도 제사를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으며 현지에 위령비를 세우려고 하고 있다.[19] 2017년 4월 제주 강정평화센터에 베트남 피에타를 설립하였다.[20]

  • 진실규명: 한베평화재단은 2018년 꽝남성 민간인 학살 50주기를 맞이하여 꽝남성 민간인 학살 지도를 만들어 공개하였고[21][22], 2018년 4월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을 개최하였다.[6] 시민평화법정에는 민족문제연구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주주의법학연구회를 비롯하여 24 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23]

  • 지원사업: 한베평화재단은 피해자 및 피해지역 추도사업과 지원사업을 통해 전쟁의 상처와 고통을 보듬고 치유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24][25]

4. 1. 진실 규명

한베평화재단은 2018년 꽝남 성 민간인 학살 50주기를 맞이하여 꽝남 성 민간인 학살 지도를 만들어 공개하였고[21][22], 2018년 4월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을 개최하였다.[6] 시민평화법정에는 민족문제연구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민주주의법학연구회를 비롯하여 24 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23]

4. 2. 추모 사업

한베평화재단은 후원금을 모아 민간인 학살 희생자의 추도 제사를 지원하고 현지에 위령비를 건립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9] 2017년 4월에는 제주 강정평화센터에 베트남 피에타상을 설립하였다.[20] 재단은 피해자 및 피해 지역에 대한 추모와 지원 사업을 통해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24][25]

4. 3. 피해자 지원

한베평화재단은 피해자 및 피해 지역에 대한 추모 사업과 지원 사업을 통해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24][25] 수시로 평화기행단을 모집하여 베트남 현지를 순례하고 있으며,[18] 후원금을 모아 민간인 학살 추도 제사를 지원하고 현지에 위령비를 세우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9] 2017년 4월에는 제주 강정평화센터에 베트남 피에타를 설립하였다.[20]

4. 4. 평화 기행

한베평화재단은 수시로 평화기행단을 모집하여 베트남 현지를 순례하고 있다.[18]

5. 한국 사회의 반응과 과제

5. 1. 보수 진영의 비판과 반박

5. 2. 진상 규명 노력과 정부의 역할

5. 3. 미래 지향적 한-베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걸어온 길 http://kovietpeace.o[...] 한베평화재단
[2] 뉴스 한국군 민간인 학살 '베트남 피에타' 첫 공개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6-04-27
[3] 뉴스 한베평화재단 창립 초대이사장 강우일 주교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9-20
[4] 웹사이트 주요사업 http://kovietpeace.o[...] 한베평화재단
[5] 칼럼 홍세화 칼럼 - 한국군의 베트남 민간인 학살 50주년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01-18
[6] 뉴스 베트남전 때 한국군 민간인 학살 규명하는 '시민법정' 열린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1-21
[7] 뉴스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생존자들 “사과있어야 용서도 가능”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04-19
[8] 간행물 응우옌티탄의 진실을 찾아서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6-10-24
[9] 방송 너무 두려워서 이 자료를 2년 정도 책상에 넣어뒀어요 http://www.cbs.co.kr[...]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CBS 2017-07-31
[10] 토론회 베트남전 당시 파월 한국군의 양민학살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 토론회: 베트남에도 노근리가 있다 http://www.hrarchive[...] 인권아카이브
[11] 웹사이트 미안해요 베트남 운동의 시작과 현재 http://kovietpeace.o[...] 한베평화재단
[12] 간행물 “사죄의 역사박물관 지어주세요” http://legacy.h21.ha[...] 한겨레21 2000-06-22
[13] 간행물 학살을 외면하지 않았을 뿐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7-08-15
[14] 웹사이트 평화박물관건립추진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peacemuse[...]
[15] 간행물 평화 없는 평화박물관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6-05-16
[16] 뉴스 아, 우리는 마을 안쪽으로는 들어갈 수 없는 한국인인가요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1-15
[17] 웹사이트 함께하는 사람들 http://kovietpeace.o[...] 한베평화재단
[18] 뉴스 "죄악, 만대(萬代) 기억하리라"…베트남의 '한국군 증오비'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7-11-15
[19] 간행물 ‘평화돼지’ 분양합니다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7-09-18
[20] 뉴스 ‘베트남 피에타’ 제주 강정평화센터에 건립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7-04-20
[21] 지도 1968 꽝남대학살 지도 https://drive.google[...]
[22] 웹인용 학살에 점을 찍어 지도를 그리다 https://storyfunding[...] 2018-01-23
[23] 웹사이트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 http://www.kovietpea[...] 한베평화재단
[24] 웹사이트 한베평화재단 지원사업 바로가기 http://www.kovietpea[...] 한베평화재단
[25] 웹사이트 한베평화재단 지속가능보고서 2020 http://www.kovietpea[...] 한베평화재단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