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자성어는 주로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한 4글자로 된 어구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 한자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된다. 중국 고전, 역사 기록, 시 등에서 유래했으며, 각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한자성어는 간결하고 함축적인 표현으로 복잡한 상황이나 교훈을 전달하며, 말하기와 글쓰기에서 격식과 풍부함을 더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자성어 | |
---|---|
개요 | |
유형 | 숙어 |
문자 수 | 일반적으로 4글자 |
기원 | 역사적 이야기, 신화, 고전 문학 |
특징 | |
의미 | 함축적, 비유적 |
구조 | 고정된 형태 |
사용 | 문장이나 대화에서 인용구로 사용 |
예시 | |
예시 1 | 고사성어 (고대 이야기에서 유래) |
예시 2 | 관용구 (일상적인 표현) |
예시 3 | 속담 (일반적인 지혜) |
참고 | |
관련 용어 | 숙어 관용구 속담 격언 |
2. 역사와 기원
성어는 대부분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하며, 특히 중국 고전 문헌이 주요 출처가 된다. 한국이나 일본 등 다른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성어 역시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 많지만, 각국의 역사나 문화 속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성어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제 논에 물 대기'와 같은 속담이 아전인수라는 한자 성어로 쓰이기도 하며, 특정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풍자하는 사자성어가 새롭게 만들어져 사용되기도 한다.
2. 1. 중국의 성어
중국의 성어(成語)는 대부분 중국 고전 문헌, 특히 선진 시대의 고전, 중국 역사 전반의 시(詩), 그리고 제국 말기의 백화 소설과 단편 소설 등에서 유래했다. 일부는 19세기와 20세기 초 서양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초기 고전 문헌 중에서는 특히 『시경』의 서정적인 표현이나 『좌전』, 『사기』에 기록된 이야기들이 성어의 풍부한 원천이 되었다. 『시경』의 시는 네 글자 구절로 이루어져 있어, 일부 성어는 『시경』 구절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萬夀無疆|만수무강중국어('만 년의 수명, 끝이 없다')은 오랫동안 장수를 기원하는 전통적인 표현으로 그릇이나 식기에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시경』 「소아(小雅)」 편의 "천보(天保)"(天保|톈바오중국어, 시 166번)에서 인용한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성어는 원문을 간결하게 바꾸거나 요약하여 만들어지며, 해당 구절에서 두드러진 글자를 선택하고 필요한 문언문 문법 요소를 넣어 완성된다.따라서 성어는 문언문의 어휘를 사용하고 문법 규칙을 따르는 고정된 표현이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구어체나 문어체보다 정보를 더 간결하게 전달할 수 있다. 성어는 주어와 술어를 포함하여 독립된 절(또는 병렬적인 두 개의 두 글자 절)로 기능하거나, 문장 안에서 형용사, 부사, 동사, 명사구 등 다양한 품사 역할을 할 수 있다. 말이나 글에서 복잡한 상황이나 개념을 간결하게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적절하고 우아하게 사용하면 말하는 사람이나 글쓴이의 지식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성어의 의미는 단순히 네 글자의 뜻을 합친 것 이상인 경우가 많다. 이는 성어가 유래된 신화, 이야기, 역사적 사건의 메시지나 교훈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적인 단어와 문법으로 번역하더라도 추가 설명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성어는 종종 典故|뎬구중국어(고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화권의 초등 및 중등 학교 학생들은 고전 교육 과정의 일부로 성어의 배경 이야기를 배운다.
네 글자는 이야기 자체보다는 그 속에 담긴 교훈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破釜沉舟|포부침주중국어(직역: "솥을 깨고 배를 가라앉히다")는 항우 장군이 강을 건너 적진으로 들어간 후 모든 취사 도구와 배를 파괴하라고 명령한 역사적 사실에서 유래했다. 그는 이 "배수진" 전략으로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 성어는 "성공을 위해 돌아갈 수단이나 방법을 의도적으로 없애고 전력을 다하다"라는 의미의 동사구로 사용된다. 서양에도 비슷한 의미의 "배를 불태우다(Burning one's boats)", "다리를 불태우다(burning one's bridges)", "돌이킬 수 없는 지점(Point of no return)", "루비콘 강을 건너다(Crossing the Rubicon)"와 같은 표현이 있다.
또 다른 예로 瓜田李下|과전리하중국어('오이밭과 자두나무 아래')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상황과 관련된 성어이다. 이 표현은 한나라 시대의 악부시(樂府詩) 《군자행(君子行)》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시에는 '오이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에서는 모자를 고쳐 쓰지 말라'(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중국어)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아무리 결백하더라도 오해받을 만한 행동은 피하라는 충고이다. 이 성어는 유래에 대한 배경 지식 없이는 이해하기 어렵다.
일부 성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空穴來風|쿵쉬에라이펑중국어('빈 굴에서 바람이 불어오다')는 현재 근거 없는 소문을 뜻하지만, 원래는 실제 근거나 이유가 있는 소문을 의미했다. 마찬가지로, 素面朝天|쑤몐차오톈중국어('맨얼굴로 하늘을 향하다')는 현재 화장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모습을 묘사하는 데 쓰이지만, 원래는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자신 있게 드러내다"라는 의미였다.
하지만 모든 성어가 교훈적인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言而無信|옌얼우신중국어('말만 하고 믿음이 없다')은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 즉 믿을 수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 표현은 『논어』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성어로 인정받는다. 이 성어는 원래 의미가 간결하여, 형식적인 문어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言|옌중국어이 더 이상 동사로 흔히 쓰이지 않더라도 이해할 수 있다.
네 글자가 아닌 성어도 있다. 예를 들어 일곱 글자로 된 醉翁之意不在酒|쭈이웡즈이부짜이주중국어('취한 늙은이의 뜻은 술에 있지 않다')는 구양수의 수필 『취옹정기(醉翁亭記)』에서 직접 인용한 구절이다. 작가는 취옹(醉翁)으로서 술을 마시는 척하며 실제로는 산과 강의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려는 속마음을 표현했다. 성어로서 이 표현은 다른 속셈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일부 성어는 영어 표현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言不由衷|옌부유중중국어('마음에서 우러나오지 않는 말')은 영어의 '말 속에 혀를 넣고 말하다(to speak with one's tongue in one's cheek)'와 비슷한 의미를 공유한다. 冰山一角|빙산일각중국어('빙산의 일각')이라는 표현은 영어의 "tip of the iceberg"를 번역한 것으로, 20세기 초 서양과의 교류 이후 나타난 비교적 드문 예이다. 이 성어는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모두 공유한다.[3] 또 다른 예로 火中取栗|훠중취리중국어('불 속에서 밤을 꺼내다')는 라 퐁텐 우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른 사람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도록 속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영어의 "cat's paw(고양이 발)"와 유사하게 사용되는 "국제적인" 성어의 예시이다. 비록 비교적 최근에 생겨났지만, 문언문의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네 글자 형식에 맞춰 만들어졌으므로 성어로 분류된다.
중국 성어는 중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성어는 과거 중국 문학과 문화에서 흔히 사용되던 주제나 소재(모티프)를 가르쳐준다. 예를 들어 산, 물, 달과 같은 자연을 소재로 한 성어가 많다. 사대기서와 같이 중국 문학의 걸작으로 꼽히는 작품들은 많은 성어의 근원이 되었으며, 그 이야기들을 압축하여 전달한다.[4]
모든 중국인은 성어를 알고 있으며, 개인이 아는 성어의 수는 교육 수준이나 배경에 따라 다르다. 성어는 중국 대중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어서, 成語接龍|청위제룽중국어('성어 잇기')라는 게임도 있다. 이 게임은 한 사람이 성어를 말하면 다른 사람이 그 성어의 마지막 글자로 시작하는 다른 성어를 이어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 2. 한국의 성어
한국에서 사용되는 성어는 대부분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했다.하지만 한국어권에서 쓰이던 속담이 한자성어로 굳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제 논에 물 대기'라는 속담이 아전인수(我田引水)라는 한자성어로 쓰이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특정 시대의 정치적 상황이나 사회상을 빗대어 풍자하는 의미로 새롭게 만들어져 유행하는 사자성어도 있다.
한국어에서는 주로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어를 사자성어(四字成語한국어)라고 부르고[6], 역사적인 고사에서 유래한 관용구를 가리키는 고사성어(故事成語한국어)와 같은 분류도 사용한다.[7]
2. 3. 일본의 성어
일본어에서도 한자 성어와 유사한 형식을 찾아볼 수 있다. 四字熟語|요지주쿠고일본어(yojijukugo, 사자숙어)는 글자 그대로 네 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숙어를 의미하며, 이는 자명적 단어이다. 일본의 사자숙어 중 상당수는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중국어 원본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故事成語|코지세이고일본어(고사성어)는 특정 이야기나 역사적 사건 등 구체적인 출처가 있는 숙어를 가리킨다. 이러한 고사성어의 대부분은 고전 중국어로 쓰인 역사 기록에서 유래했다.
중국에서 유래한 사자숙어가 많지만, 순수하게 일본에서 만들어진 숙어도 다수 존재한다. 일본 고유의 사자숙어 예시는 다음과 같다.
- 花鳥風月|카초후게츠일본어 ("꽃, 새, 바람, 달";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
- 一期一会|이치고 이치에일본어 (ichigo ichie, 일생에 단 한 번뿐인 만남이나 경험을 소중히 여김)
- 傍目八目|오카메하치모쿠일본어 (당사자보다 제삼자가 상황을 더 잘 파악함을 의미)
- 手前味噌|테마에미소일본어 (자기가 만든 된장을 칭찬한다는 뜻에서 유래, 자화자찬이나 자기 자랑을 의미)
- 二股膏薬|후타마타고야쿠일본어 (양다리를 걸치거나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비유)
- 風林火山|후린카잔일본어 ("바람, 숲, 불, 산"; 손자의 "손자병법" 구절에서 유래한 군사적 전략 또는 행동 원칙, 후린카잔 참조)
2. 4. 베트남의 성어
베트남어에서 네 글자 숙어 또는 모든 숙어는 '''타인응으'''(thành ngữvi, 한자: 成語)라고 불리며, 이는 문자 그대로 "정해진 구절/말"이라는 의미이다.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하여 베트남어로 차용된 성어가 많지만, 고전 중국어 성어에 대한 베트남 고유의 대응어가 존재하기도 한다. 또한 베트남에서 자체적으로 유래된 성어도 많이 사용된다.베트남어 성어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한월 숙어'''(thành ngữ Hán Việtvi, 한놈: 成語漢越): 한월어 어휘를 기반으로 한 성어이다.
- '''순수 베트남어 숙어'''(thành ngữ thuần Việtvi, 한놈: 成語純越): 베트남 고유 어휘로 이루어진 성어이다. 과거에는 쯔놈으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베트남어 알파벳(쯔꾸옥응으)으로 작성된다.
아래는 각 분류에 따른 성어의 예시이다.
고전 중국어 (한자: 漢文) | 베트남어 알파벳 (베트남어: chữ Quốc Ngữ, 한놈: 𡨸國語) | 의미 |
---|---|---|
否極泰來 | Bĩ cực thái laivi | 고생 끝에 낙이 온다. "가장 나쁜 상황 뒤에 좋은 상황이 온다." |
相親相愛 | Tương thân tương áivi | 서로 아끼고 사랑함, 특히 위기나 재난 시기에 서로 돕는 모습. |
盡善盡美 | Tận thiện tận mỹvi | 더할 나위 없이 좋거나 아름다움. |
溫故知新 | Ôn cố tri tânvi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 새것을 앎. 배운 것을 복습하며 새로운 이해를 얻음. |
全心全意 | Toàn tâm toàn ývi | 온 마음과 뜻을 다함. 전심전력으로 헌신함. |
쯔놈 (한놈: 𡨸漢喃) | 베트남어 알파벳 (베트남어: chữ Quốc Ngữ, 한놈: 𡨸國語) | 의미 |
---|---|---|
𫗒𠰳𫡽𠰳 | Ăn miếng trả miếngvi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문자 그대로 "한 조각을 먹고, 한 조각을 갚는다." |
𢢂𨐮𢢂𧃵 | Ghét cay ghét đắngvi | 몹시 미워함. 문자 그대로 "매운 맛을 싫어하고 쓴 맛을 싫어한다." |
幔𡗶𥴜𡐙 | Màn trời chiếu đấtvi | 집 없이 떠돌아다니는 상황, 특히 재난 후 노숙자가 된 상태. 문자 그대로 "하늘을 커튼으로, 땅을 매트로 사용하다." |
厭𣵰羅鐄 | Im lặng là vàngvi | 침묵은 금이다. 평화와 고요함은 큰 가치를 지닌다. 문자 그대로 "평화와 고요함은 금이다." |
𨕭𤠅𠖈㹥 | Lên voi xuống chóvi | 인생의 기복을 겪음, 부유했다가 가난해지는 것. 문자 그대로 "코끼리를 타고 올라가, 개 위로 내려가다." |
성어는 문언문(文言文)의 어휘를 사용하고 문법 규칙을 따르는 화석화된 표현으로, 일반적인 구어 또는 문어보다 더 간결하게 정보를 전달한다. 성어는 주어와 술어를 포함하여 독립된 절(때로는 병렬적인 두 개의 2자 독립 절)로 기능할 수도 있고, 문장에서 형용사, 부사, 동사 또는 명사구와 같은 품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말하기와 글쓰기 모두에서 복잡하거나 다면적인 상황, 장면 또는 개념을 간결하게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적절하고 우아하게 사용될 경우 말하는 사람이나 작가의 박식함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GG 갱생단은 중국 속담을 잘못 인용하여 살해된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대만 코미디 드라마이다.[8][9][10]
wikitext
다음 세 가지 예는 한 글자만 변경해도 숙어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구조와 해석
성어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네 글자가 가진 의미의 합을 뛰어넘는다. 이는 성어가 일반적으로 그것이 파생된 신화, 이야기 또는 역사적 사건의 메시지나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적인 단어와 문법으로 번역된 후에도 성어는 추가적인 설명 없이는 종종 이해하기 어렵다. 종종 典故|diǎngù중국어, 즉 고사(故事)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화권의 초등 및 중등 학교 학생들은 성어가 탄생한 배경 이야기를 배우기 위해 고전 교육 과정의 일부로 성어를 학습한다.
종종 네 글자는 이야기 자체보다는 이야기 뒤에 숨겨진 교훈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파부침주(破釜沉舟|pò fǔ chén zhōu중국어, 직역: "솥을 깨고 배를 가라앉히다")라는 성어는 항우 장군이 강을 건너 적진으로 들어간 후 모든 취사 도구와 배를 파괴하라고 명령한 역사적 기록에 바탕을 둔다. 그는 이 "배수진" 전략으로 전투에서 승리했다. 따라서 이 성어는 "수단이나 비상 수단을 의도적으로 제거하여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다"라는 의미의 동사구로 사용된다.
또 다른 예는 과전이하(瓜田李下|guātián lǐxià중국어, '오이밭, 자두 아래')인데, 그 의미는 부적절한 행동의 낌새와 관련이 있다. 이 성어는 한나라 시대의 시(악부시 "군자행")의 발췌에서 유래한다. 이 시에는 '오이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에서는 모자를 고쳐 쓰지 말라'(瓜田不納履,李下不整冠|guā tián bù nà lǚ, lǐ xià bù zhěng guān중국어)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어, 아무리 무고하더라도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있다고 의심받을 수 있는 상황을 피하도록 독자에게 충고한다. 이 성어는 이 구절의 유래에 대한 배경 지식 없이는 이해하기 어렵다.
일부 성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문자적인 의미나 원래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공혈래풍(空穴來風|kōng xué lái fēng중국어, '빈 굴에서 바람이 불어오다')는 현재 근거 없는 소문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지만, 원래는 실제적이고 확실한 근거 또는 이유가 있는 소문을 지칭했다. 마찬가지로, 소면조천(素面朝天|sù miàn cháo tiān중국어, '맨얼굴로 하늘(황제)을 뵙다')는 현재 화장을 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외모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지만, 원래 의미는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자신 있게 드러내다"였다.
하지만 모든 성어가 교훈을 담은 고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언이무신(言而無信|yán ér wú xìn중국어, '말만 하고 믿음이 없다')는 말을 하면서도 믿을 수 없는 사람, 즉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을 지칭한다. 이 구절은 ''논어''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성어로 인정받으며, 원래 의미가 간결하여 형식적인 문어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해할 수 있다. 비록 言|yán중국어이 현대 중국어에서 동사로 흔히 사용되지는 않지만 말이다.
4. 현대적 활용
5. 성어의 예 (한국어)
한자성어 한글 발음 의미 해석 富貴在天 부귀재천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있어서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焚書坑儒 분서갱유 서적을 불태우고 학자들을 땅에 묻어 죽인다는 뜻 不勞所得 불로소득 노동의 대가로 얻는 소득이 아님. 桑田碧海 상전벽해 뽕나무 밭이 변하여 바다가 됨을 이르는 말로, 세상의 변천이 잦음을 비유 十伐之木 십벌지목 열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苛斂誅求 가렴주구 수령이 백성들을 상대로 착취를 가하는 것을 뜻하며, 탐관오리를 비유 臥薪嘗膽 와신상담 장작 위에 누워서 쓰디쓴 쓸개를 맛본다. 즉 복수를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함을 비유. 我田引水 아전인수 자기에게 이롭게만 하려는 것 梁上君子[11] 양상군자 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烏合之卒[12] 오합지졸 아무 규율도 통일도 없이 몰려다니는 무리 咸興差使 함흥차사 한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음 鷄群一鶴 계군일학 닭무리에 한마리에 학
6. 성어의 예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성어 | 풀이 | 의미 | 어원 |
---|---|---|---|
一箭雙鵰|이 지엔 슈앙 댜오zho |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의 독수리를 잡다 | 일석이조, 즉 한 번에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다 | 《북사》 참조 |
破釜沉舟|포 푸 천 저우zho | 솥을 깨고 배를 침몰시키다 | 배수진을 치다, 즉 돌이킬 수 없게 되다 | 거록 전투 참조 |
指鹿為馬|즈 루 웨이 마zho |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하다 | 고의적으로 잘못을 나타내다 | 조고 참조 |
樂不思蜀|러 부 쓰 슈zho | 너무 행복해서 촉한을 잊다 | 쾌락에 빠지다 | 유선 참조 |
朝三暮四|자오 싼 무 쓰zho |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고 말하다 | 항상 변하다(새로운 의미), 실질적인 차이 없이 변하다(원래 의미) | 《장자》 참조 |
井底之蛙|징 디 즈 와zho | 우물 안 개구리 | 시야가 좁은 사람 | 《장자》 참조 |
磨杵成針|모 추 청 전zho | 쇠막대기를 갈아 바늘로 만들다 | 어려운 일을 인내하며 하다 | 이백 참조 |
守株待兔|서우 주 다이 투zho |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리다 | 보상을 위해 무작정 기다리다 | 《한비자》 참조 |
亡羊補牢|왕 양 부 라오zho |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치다 | 소 잃고 외양간 고치다, 즉 해를 막기에 너무 늦다 | 《전국책》 참조 |
三人成虎|싼 런 청 후zho | 세 사람이 호랑이를 만든다 | 반복적인 소문이 사실이 되다 | 《전국책》 참조 |
完璧歸趙|완 비 구이 자오zho | 화씨지벽을 조나라로 돌려보내다 | 무언가를 훼손되지 않은 채 정당한 소유주에게 돌려주다[5] | 화씨지벽 참조 |
塞翁失馬|사이 웡 스 마zho | 변방 노인이 말을 잃다 | 전화위복 | 《회남자》 참조 |
刻舟求劍|커 저우 치우 지엔zho | 칼을 찾기 위해 배에 표시를 하다 | 상황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접근하다 | 《여씨춘추》 참조 |
火中取栗|훠 중 취 리zho | 불에서 밤을 꺼내다 |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사주받은 사람) | 원숭이와 고양이에서 파생됨 |
負荊請罪|푸 징 칭 쭈이zho | 가시나무를 지고 벌을 청하다 | 겸손한 사과를 하다 | 염파 참조 |
紙上談兵|즈 상 탄 빙zho | 종이 위에서 병법을 논하다 | 실제로는 쓸모없는 이론적인 논의 | 조괄 참조 |
畫蛇添足|화 서 톈 주zho | 뱀을 그리면서 다리를 더하다 | 불필요하게 무언가를 개선하다 | 《전국책》 참조 |
畫龍點睛|화 룽 뎬 징zho | 용을 그리면서 눈을 더하다 | 무언가에 마지막 손질을 더하다 | 장승요 참조 |
對牛彈琴|두이 니우 탄 친zho | 소에게 거문고를 연주하다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려면 청중을 이해해야 한다 | 《모자이혹론》 참조 |
狼吞虎嚥|랑 툰 후 옌zho | 호랑이처럼 삼키고 늑대처럼 게걸스럽게 먹다 | 음식을 빨리, 지저분하게 먹다 | |
衣錦還鄉|이 진 환 샹zho | 비단 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가다 | 성공한 후 초라한 곳으로 돌아가다 | |
易如反掌|이 루 판 장zho | 손바닥을 뒤집는 것만큼 쉽다 | 매우 쉬운 일 | 《맹자》 참조 |
- 와호장룡
- 사실에서 진실을 찾다
- 두 마리 호랑이가 싸우면
- 경화수월
참조
[1]
웹사이트
Useful Chinese Chengyu for Daily Conversation
https://www.maayot.c[...]
2020-08-27
[2]
뉴스
Chinese Idioms or Chéngyǔ About Animals -
https://www.digmanda[...]
2017-08-28
[3]
서적
Best Chinese Idioms
https://archive.org/[...]
Peace Book
[4]
문서
[5]
서적
Reading Tolkien in Chinese: Religion, Fantasy, and Translation
Bloomsbury Academic
2024
[6]
웹사이트
Structure of Korean Idioms
http://www.ilovekore[...]
2014-05-12
[7]
문서
Structure of four character idioms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Stream It Or Skip It: ‘GG Precinct’ On Netflix, A Comedic Taiwanese Cop Show Where The Detectives Investigate Idiom-Related Murders
https://decider.com/[...]
Decider
2024-08-23
[9]
웹사이트
Netflix drama GG Precinct review: Greg Hsu, Gingle Wang play goofball cops in crime comedy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4-08-26
[10]
웹사이트
正港分局/雀雀劇評:台劇豪華陣容同樂會 木曜4超玩認真演
https://500times.udn[...]
United Daily News
2024-08-24
[11]
문서
후한서 진식전(陳寔傳)
[12]
서적
《삼국지·吳志·陳泰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