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필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필화는 평안남도 진남포 출신의 북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 1964년 동계 올림픽 여자 3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아시아인 최초의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메달이자 아시아 여성 선수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 동계 올림픽 3000m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으며, 이후 체육 행정가 및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다. 6.25 전쟁 중 월남한 오빠 한필성과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극적으로 상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 김복순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김복순은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 1000m 1분 21초 80, 500m 42초 70, 3000m 4분 41초 06의 개인 최고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1994년 동계 올림픽 여자 1500m에 참가하여 27위를 기록했다.
한필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7년 세계 스피드스케이팅 올라운드 선수권 대회 당시의 한필화
1967년 세계 올라운드 선수권 대회 당시의 한필화
이름한필화
로마자 표기Han Pil-hwa
출생일1942년 1월 21일 ()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진남포부
신장170cm
체중61kg
선수 정보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목스피드스케이팅
소속팀모란봉 체육단
은퇴1972년
개인 최고 기록
500m44.90초 (1969년)
1000m1분 32.30초 (1969년)
1500m2분 24.20초 (1969년)
3000m5분 03.70초 (1969년)
대회 기록
메달
1964 인스브루크은메달 (3000m)
1970 로바니에미은메달 (1500m)
1970 로바니에미동메달 (3000m)

2. 선수 경력

한필화는 196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3000m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주목받았다. 이 메달은 아시아인 최초의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메달이자 아시아 여성 선수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이었다.[7] 이후 1972년 동계 올림픽 3000m에서 9위를 기록한 후 은퇴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빛낸 운동 선수로서 김일성상 계관인과 인민체육인 칭호를 받았다.[8]

2. 1. 초기 경력

1942년 1월 21일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태어났다. 1959년부터 모란봉체육단 소속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으며, 1963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대표 선수가 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동계와 하계를 통틀어 처음으로 참가한 196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3000m 종목에서 예상을 깨고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당시 이 메달은 아시아인 최초의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메달이자 아시아 여성 선수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이다.[7]

1968년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하지 않았고, 1972년 동계 올림픽 3000m에서 9위를 한 후 은퇴했다.

2. 2. 올림픽 메달 획득

한필화는 196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3000m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7] 이 메달은 아시아인 최초의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메달이자 아시아 여성 선수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이었다. 같은 대회 1500m 경기에서는 9위, 500m 경기에서는 28위를 기록했다.

2. 3.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

1963년부터 1968년까지 한필화는 여자 세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정기적으로 출전했다. 1965년 울루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5위를 기록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단일 종목 최고 성적은 1966년 트론헤임 선수권 대회 3000m 경기에서 3위를 기록한 것이다.

2. 4.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

1972년 동계 올림픽 3000m에서 9위, 1000m 경기에서 11위, 1500m 경기에서 13위를 기록했다. 1971년 일본 아사히 신문의 주선으로 오빠 한필성과 전화 통화를 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거부로 만남이 이루어지지 못했다.[7]

2. 5. 선수 기록

'''개인 최고 기록'''[2]
종목기록날짜장소
500 m44.91969년 12월 25일부전
1,000 m1:32.31969년 12월 26일부전
1,500 m2:24.21969년 12월 25일부전
3,000 m5:03.71969년 12월 26일부전
미니 콤비네이션189.7321969년 12월 25/26일부전



'''시즌 최고 기록'''[3]
시즌500m1000m1500m3000m비고
1958/5952.71.48.22.50.66.07.01959년 알마티 메데오에서 기록[4]
1962/6346.81.36.12.30.05.37.21963년 가루이자와에서 열린 1963년 세계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
1963/6448.01.38.02.30.15.18.5
1964/6548.81.41.72.29.15.21.61965년 울루에서 열린 1965년 세계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
1965/6648.71.37.32.34.35.10.91966년 트론헤임에서 열린 1966년 세계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
1966/6748.11.41.42.28.25.19.9
1967/6848.61.38.32.30.75.21.21968년 헬싱키에서 열린 1968년 세계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
1968/6947.21.36.42.29.45.17.01969년 예카테린부르크(스베르들로프스크)에서 열린 사회주의 우호 회의에서 기록[5]
1969/7044.91.32.32.24.25.03.7
1970/7147.441.34.72.29.65.07.1
1971/721.33.792.25.645.07.24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서 기록


3. 선수 은퇴 이후

1972년 동계 올림픽 3000m에서 9위를 한 후 은퇴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빛낸 운동 선수로 김일성상 계관인과 인민체육인 칭호를 받았다.[7][8]

3. 1. 체육 행정가 활동

스포츠 경력 이후 한필화는 정치 및 스포츠 행정 분야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1986년 2월 스피드 스케이팅 연맹의 비서실장이 되었다. 또한 국가체육위원회 동계스포츠 지도국의 부국장, 국가체육위원회 동계스포츠 기술지도실장, 대한빙상경기연맹 부회장, 체육기술연맹 부회장을 역임했다.[6]

3. 2. 정치 활동

1998년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을 지냈다.[6]

한편, 그의 오빠 한필성은 6·25 전쟁 중 월남하였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오빠와의 상봉 문제로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1971년 일본 아사히 신문의 주선으로 한필성은 대회 참가차 일본에 머물던 한필화와 전화 통화를 했고,[7] 전화로 남매가 확인되자 한필성은 한필화를 만나기 위해 곧바로 일본으로 건너갔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거부로 만남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한필화는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 임원으로 참가했으며, 이때 다시 한필성이 일본을 방문하면서 이들 남매는 극적으로 상봉하였다.[8] 이때 한필성은 북에 있는 모친과 월남 후 처음으로 전화 통화를 했다.

이후 한필성은 고령의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추진했으나 불발되었고, 결국 한필성의 어머니는 1998년 4월 19일 세상을 떠났으며, 한필성 자신도 15년 뒤인 2013년 향년 80세를 일기로 생애를 마감했다.

한필화는 스포츠 경력 이후 정치 및 스포츠 행정 분야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1986년 2월 스피드 스케이팅 연맹의 비서실장이 되었다. 국가체육위원회 동계스포츠 지도국의 부국장, 국가체육위원회 동계스포츠 기술지도실장, 대한빙상경기연맹 부회장, 체육기술연맹 부회장을 역임했다.[6] 1991년 1월부터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북한 본부의 회원이었다.[6]

3. 3. 오빠와의 상봉

오빠 한필성은 6·25 전쟁 중 월남하였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오빠와의 상봉 문제로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7] 1971년 일본 아사히 신문의 주선으로 한필성은 대회 참가차 일본에 머물던 한필화와 전화 통화를 했다.[7] 전화로 남매가 확인되자 한필성은 한필화를 만나기 위해 곧바로 일본으로 건너갔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거부로 만남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한필화는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 임원으로 참가했으며, 이때 다시 한필성이 일본을 방문하면서 이들 남매는 극적으로 상봉하였다.[8] 이때 한필성은 북에 있는 모친과 월남 후 처음으로 전화 통화를 했다.

이후 한필성은 고령의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추진했으나 불발되었고, 결국 한필성의 어머니는 1998년 4월 19일 세상을 떠났으며 한필성 자신도 15년 뒤인 2013년 향년 80세를 일기로 생애를 마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irst female competitors at the Olympics by country https://www.olympedi[...] 2020-06-14
[2] 서적
[3] 서적
[4] 웹사이트 Preis der Kasachischen SSR http://www.speedskat[...]
[5] 웹사이트 Freundschaftswettkampf der Sozialistischen Länder http://www.speedskat[...]
[6]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Yonhap News Agency
[7] 뉴스 겨울올림픽 인연, 90년 북 여동생 만났던 한필성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2-22
[8] 뉴스 어제의 오늘 1990년 이산가족 한필성·필화 남매 상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